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에 대한 유아 친밀성 연구- 분배원리를 중심으로

        이하원,이미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 gender, and age on preschool children's intimate relationship with entertainment robot dog. For this purpose, two kind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70 preschool children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Experiment 1 relates to the interaction with entertainment robot dog, 34 children aged 5 years (17 experimental groups, 17 comparative groups). Experiment 2 was a study on the effects of gender and age. A total of 36 children (pre- and post-group) of 12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old were included. This study interviewed the number of distributions and the motivations for distribution by using the “Dividing Game(Distribution Principle)” interview. As a result, firstly the group experiencing the interaction felt more intimate with the entertainment robot dog, and the reason was emotional factor the most(Experiment 1). Second, gende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ntertainment robot dog intimacy and age showed a reverted U-shape. The abov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what kind of factors affecting the intimacy between the preschooler and entertainment robot dog. 본 연구는 유아의 로봇 상호작용 경험 유무, 성별 및 연령이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과의 친밀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배원리를 활용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어린이집 유아 총 7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종류의 실험을 하였다. 실험 1은 상호작용 여부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만 5세 유아 총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 실험2는 성별, 연령 영향에 관한 연구로 만 3세에서 만 5세까지 유아 각 12명씩 총 36명(사전, 사후 집단)이다. 연구 결과, 첫째, 로봇과 상호작용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에게 유의한 친밀함을 느꼈고 그 이유는 정서로 밝혀졌다(실험1). 둘째, 엔터테인먼트 로봇 견과의 친밀함에 유아의 성별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연령은 reverted U 추이를 나타냈다(실험2).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로봇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기술수용의도 분석

        이하원,신원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robot-based education at home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and technology acceptance attitud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1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one-way ANOVA, chi-squar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obot-based education at home of mothers to child according to their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acceptance intenti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social influence of robot application and personal innova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e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of acceptance wer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robot application. Conclusively, mothers with young children use robot-based education at home when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and has educational effects more than the personal innovation or social influence. These study results are meaningful ahea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at we provided basic data for the correct direction of robot-based education to young children at home.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가정에서 로봇을 활용하여 교육하는 것에 어떤 인식을 갖고 있으며 로봇을 활용한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카이스퀘어,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로봇활용교육 실시 여부는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용의도와 지각적용이성, 지각적유용성, 혁신의지, 사회적 영향력은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혁신의지와 사회적 영향력 보다는 지각적용이성, 지각적 유용성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가정에서 로봇을 활용한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고 그 수용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앞두고 가정에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로봇활용교육의 바른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실존 역량 조사: 학력과 직무만족 수준을 중심으로

        이하원,장세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ence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quality of child care teachers. To do this, we analyzed the tendency of existence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ir academic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leve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26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K-CCCA(Korea-Collegiate Core Competencies Assessmen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anuary 13 to 28, 2018, and SPSS 2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Scheffé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competence, ethical behavioral capacity, and knowledge inquiry competency were higher, however, creativity and fusion competence, local civic competence, career development and self-manage were lower is based on the child care teacher’s existence competency average scor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existential competency sub-variables.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ethical behavioral competence, career development and self-manage competenc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local civic competence, knowledge inquiry competency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ity and fusion competence. Third, the higher the academic ability of child care teachers, the higher the overall score of existence competence and sub-variables of competencies(career competence, knowledge inquiry competence,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local competence and ethical behavior competence). However, existence competence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otal existence competence, knowledge explor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thical behavior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in that the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by measuring the existential competency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y can adapt to society as a functional human rather than a teaching capacit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학력과 직무만족 수준을 중심으로 실존 역량을 분석하여 보육교사 질 제고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들의 실존 역량 경향성과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학력과 직무만족 수준에 따른 실존 역량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626명으로 2018년 1월 13일부터 28일까지 설문지(K-CCCA: Korea-Collegiate Core Competencies Assessment)를 배포하여 조사하였고 SPSS 22.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다변량분석(MANOVA), Scheffé,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실존 역량 평균점수를 기초로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 역량, 윤리행동 역량, 지식탐구 역량의 순서로 높았으며, 창의·융합적 사고 역량, 글로컬 시민 역량, 진로개발 및 자기관리 역량 순서로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실존 역량 하위 요소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의사소통 역량은 윤리행동 역량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진로개발 및 자기관리 역량은 글로컬 시민의식 역량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지식탐구 역량은 창의·융합적 사고 역량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실존 역량의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소, 즉 진로개발 및 자기관리 역량, 지식탐구 역량, 창의·융합적 사고 역량, 글로컬 시민 역량, 윤리행동 역량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서는 실존 역량의 전체 점수 및 지식탐구 역량, 의사소통 역량, 윤리행동 역량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직 역량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사회에 기능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실존 역량으로 보육현장 질 제고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K-CCCA)의 개발

        이하원,이화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Collegiate Core Competencies Assessment(K-CCCA) that complements the problems of several developed provisional assessment tools and more strongly reflects the competent elements required by the current age. To derive the core competency constructs required for university students, firstly we reviewed many literatures and documents on the core competency elements of future capable people in a comprehensive way, comparing and analyzing constructs of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tools for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conducting a preliminary test to 120 college students in a 4-year course in Seoul. And then refined data, 961 students in main survey were conducted to confirm of assessment tool items. Through analyses of item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s. Consequently, 178 diagnostic items were deduced which led to define 6 core competency domains :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Self - management competence, Knowledge exploration competence,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Ethical behavior and collaborative competence.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rived that the sub - 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theory as a whole and item composition by factors provided a reasonable result to satisfy the criteria. The inter-factor correlation showed a partially high correlation with .691-.367, but it was generally adequate and cronbach’s α, the reliability coefficient between the items, showed high reliability as .85-.90. Korea-Collegiate Core Competencies Assessment(K-CCCA) provided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to construct a core competency curriculum and evaluates and feedbacks its educational performance to utilize organic education performance system establishment.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induce self-development and effective learning by presenting and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that university students should have as future human resources. 본 연구는 기존 검사도구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현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보다 강력하게 반영한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도구(K-CCCA)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에 대한 문헌을 탐색하고, 국내·외 대학생용 역량 진단검사의 구성요소를 비교분석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고찰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 소재 4년재 대학의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 수정 후 961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개의 핵심역량(진로개발과 자기관리역량, 지식탐구역량,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의사소통역량, 글로컬 시민역량, 그리고 윤리적 행동과 협업역량)으로 구성된 178문항의 검사가 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이론에 근거하여 하위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별 문항 구성도 타당하게 나타났다. 요인 간 상관은 .691-.367로 일부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문항 간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도 .85-.90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련되는 진단도구는 핵심역량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그 교육적 성과를 평가하여 피드백 하는 유기적인 교육성과체제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대학생들에게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평가해줌으로써 자기개발과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인계속교육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이하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면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보육현장에 있는 성인계속교육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녹화강의와 실시간 화상강의 줌 수업의 수업 전 준비(수업자료 준비 및 수업설계), 수업특성 그리고 수업만족도를 각각 분석하고자한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울 소재 C 대학에 어린이집 교직원으로 구성된 산업교육학과 소속 성인계속교육학습자 총 65명을대상으로 2021년 2학기에 실시된 실시간 화상수업 ‘아동생활지도’ 및 동영상 녹화강의 ‘고급아동상담’ 수업의 강의계획서, LMS 기록, SNS 자료, PPT 및 학습자들의 자기성찰 자료를 Merriam 질적분석으로 고찰하고 설문지를 활용하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동영상 녹화강의는 대면수업보다 강의 시간이 적어 교수자가 수업 전 다양한 자료를 탑재해야 하는 반면 실시간화상강의는 교수자와 성인계속교육학습자 모두 수업 전 준비된 기술력을 요했다. 둘째, 동영상 녹화강의는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부족한 온라인 수업 시간을 보완하기 위해 주중 과제가 성인계속교육학습자에게 부담이 되는 특징이 있는 반면 실시간 화상 강의는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사회적 현존감을 주는 장점은 있지만 수업집중도가 낮아 몰입도를 높일수 있는 다양한 동기부여 요소 및 기술적 장치를 보완해야 했다. 셋째, 수업 만족도 조사에서 성인계속교육학습자는 실시간 화상강의보다 동영상 녹화강의에서 만족도를 높게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성인계속교육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 업로드 및 온라인 기술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비대면 상황에서 ‘교수자-학습자’ 간의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해 온라인 교수법등을 실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낮시간에 어린이 집에서 근무를 하는 성인계속교육학습자라는 점에서 다양한 동기부여 요소를 포함한 녹화강의가 효과적인매체임을 종합적으로 주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성인계속교육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Toleranc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K35 to Lignocellulose-derived Inhibitory Compounds

        이하원,조대행,김용환,신수정,김성봉,한성옥,이진원,김승욱,박철환 한국생물공학회 2011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16 No.4

        The hydrolysis which converts polysaccharides to the fermentable sugars for yeast’s lingocellulosic ethanol production also generates byproducts which inhibit the ethanol production.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inhibitory compounds affect yeast’s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fermentations by Saccharomyces cerevisiae K35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5-HMF), syringaldehyde,and coumaric acid. Fermentation in hydrolysates from yellow poplar and waste wood was also studied. After 24 h, S. cerevisiae K35 produced close to theoretically predicted ethanol yields in all the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tested (1 ~ 10 g/L). Both furans and phenolics inhibited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Ethanol yield,however, was unaffected, even at high concentrations, except in the cases of 5 g/L of syringaldehyde and coumaric acid. Although hydrolysates contain various toxic compounds,in their presence, S. cerevisiae K35 consumed close to all the available glucose and yielded more ethanol than theoretically predicted. S. cerevisiae K35 was demonstrated to have high tolerance to inhibitory compounds and not to need any detoxification for ethanol production from hydrolysates.

      • KCI등재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이하원,조혜경,Lee, Hawon,Cho, Hyeky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In this paper, we analyz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game using teacher assisted robot on 5-year-old children's reading ability and reading interest. A total of 30 5-year-old children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16 game activities using an educational robot twice a week for three weeks, the control group conducted the same 16 game activities without the robot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better in reading abil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otal scores, word meaning, omission, and replacement.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nterest in reading than the control group.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games using the educational robot lay foundation to developing and enhancing on 5-year-old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 in reading.

      • KCI등재

        한국어-영어’동시습득 이중언어아동의 한국어 발달: 어미발달을 중심으로

        이하원,최경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occurrence, error, error causation) of Korean verbal endings between the ten 5-6year 'Korean-English' simultaneous bilinguals children and ten Korean monolingual children. Most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occurrence, error, error causation of verbal endings. 1) Bilingual children showed not significantly a lower frequency based on the occurrence rates of verbal endings per utterance. But Bilingu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a lower occurrence rates in verbal ending`s variety per utterance(p<.05). 2) Bilingu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error rates(p<.05). 3) In terms of error causation, bilingual children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honological, semantic causes and monolingual children in syntactic one. Therefore bilingual children's verbal ending proficiency are not just a sum of two monolingual children one.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습득한 5-6세 동시습득 이중언어아동의 한국어 어미 산출, 오류 및 오류원인을 한국어만 사용하는 단일언어아동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그 결과 이중언어아동과 단일언어아동을 비교할 때 발화 당 어미 산출율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지만 한 발화 내에서 나타난 어미 다양성은 이중언어아동이 보다 단조로웠다. 또한 총 어미 산출수에 대한 총 어미 오류율은 이중언어아동이 단일언어아동보다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그리고 그 오류 원인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 매우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이중언어아동은 한국어 음운환경 지식의 부족함(음운 오류)과 한국어 어미의 다양하고 세분화된 의미의 이해 부족(의미 오류)으로 오류를 보였으며 단일언어아동은 한국어 어미의 문법지식(문법 오류)이 주요한 오류특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중언어아동이 두 명의 단일언어아동의 합산된 언어능력 보유집단이 아니라 이중언어아동 만의 독특한 언어능력을 보유한 집단임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