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Bacillus spp.를 이용한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생물학적 방제

        이하경,신종환,이성찬,한유경,Ha-Kyoung Lee,Jong-Hwan Shin,Seong-Chan Lee,You-Kyoung Han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Apple white rot, caused by Botryosphaeria dothidea, is one of the important diseases in Korea. B. dothidea can cause pre- and postharvest decay on apple fruit as well as canker and dieback of apple trees. In this study, we isolated bacteria from the trunk of apple trees and tested thei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B. dothidea. Five bacterial isolates (23-168, 23-169, 23-170, 23-172, and 23-173) were selected that were most effective at inhibiting the mycelial growth of the pathogens. The isolate 23-172 was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four isolates 23-168, 23-169, 23-170, and 23-173 were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by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and DNA gyraseA subunit (gyrA) gene sequencing. All isolates showed strong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B. dothidiea as well as Colletotrichum fructicola and Diaporthe eres. All isolates exhibited cellulolytic, proteolytic and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ies. In particular, two isolates 23-168, 23-169 were show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white rot lesions in pretreated apple fruits.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fungicide alternative for the control of white rot of apple. 본 연구에서는 사과 겹무늬썩음병을 유발하는 Botryosphaeria dothidea를 억제하는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고, 선발한 길항미생물의 항균 활성과 길항 효소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선발된 길항미생물 중 4종은 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고, 1종은 B.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으며 이 길항미생물은 모두 겹무늬썩음병균에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선발된 5종의 길항미생물은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fructicola, 줄기마름병인 Diaporthe eres도 효과적으로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선발된 길항미생물을 대상으로 cellulase, protease, phosphate solubilization 효소 활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효소를 분비하여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 및 사멸시키고 식물 생장촉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과 과실에서 겹무늬썩음병균과 선발된 길항미생물을 동시 접종하여 발병 억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 B. velezensis 23-168 균주가 가장 효과적으로 발병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선발된 5종의 길항미생물은 사과 진균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추국장의 정치적 의미-영조 13년(1737년) 김성탁 사건을 중심으로-

        이하경 ( Lee Ha-kyo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0

        조선후기에는 정치사적으로 볼 때 중요한 반역사건들이 끊임없이 일어났고, 반역죄 혐의로 주요 정치인이 처형당하는 사건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반역사건을 분석하면서도 당시 관련자를 심문하는 공간인 추국장에 대해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추국장을 극단적인 상황에 한해 개설되는 예외적인 공간으로 간주하거나, 혹은 왕의 형벌권이 남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뿐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조 13년 김성탁 사건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정치사 연구에 있어서 추국장이 중요한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추국장의 분석을 통해서 해당 반역사건의 정치적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기 때문이며, 둘째, 반역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당시 왕권의 특성을 조망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During the late Chosŏn Dynasty, abundant cases of treason took place and major politicians were executed for their attempts at rebellion or treason. However, the State Tribunal, where treason cases were investigated and suspects were interrogated, has not yet received a full academic attention. Regarding treason cases as exceptional events, existing literature has presumed that the Tribunal was nothing more than a façade for the King’s exercise of arbitrary power. However, a more meticulous examination of the records reveals that the judicial process cannot be understood as such. Therefore, this study, by analyzing Kim Sŏngt'ak interrogation records of the 1737 treason case, argues that the State Tribunal should become an important subject in the analysis of political history. Examining Tribunal records allows us to elucidate political underpinnings of the specific treason case and explore distinctive feature of King’s power at the State Tribunal.

      • KCI등재

        대한제국 시기 군주권 강화와 민권 확대 논의의 전개: 주권론을 중심으로

        이하경 ( Ha Kyoung Le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제국(1897-1910) 시기 ``군주권 강화``와 ``민권 확대`` 논의를 주권론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조선 시대 위계질서의 정점에 선 군주에게 당연히 있을 것으로 여겨지던 정치권위의 개념이 19세기 말 정치공동체의 대내외적인 상황변화에 맞서 어떻게 재규정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대한제국 시기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군주권과 민권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분분할 뿐만 아니라, 방법론적으로 볼 때 ``근대성``을 분석 기준으로 삼고 있어서 군주권과 민권을 이념적 대립관계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논쟁구도에서 벗어나서, 군주권과 민권에 관한 논의를 대한제국이 직면한 대내외적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정치적 노력의 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rguments over the power of king and the people in the early twentieth-century Kore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heory of sovereignty, this study reveals how the political authority in the Daehan Empire (1897-1910) was redefined. Although this was a signi?cant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controversy remains over how to examine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s during that time. Previous studies generally adopt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western "modernity" model, which overemphasizes the con?icting features between the power of king and that of the people. Against the backdrop, this paper examines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ower relationship in terms of sovereignty, underlining the political circumstances both at home and abroad. This analysis not only provides u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aehan Empire, but also allows us to clarify distinct political developments in Korea facing n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s.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무고모역’의 정치적 의미 : 영조 시대 법규와 사례를 중심으로

        이하경(Ha-kyoung Lee)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1

        본 연구에서는 영조 시대 법규와 사례를 중심으로 반역사건을 허위로 고발하는 행위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무고행위는 개인이 국가권력을 전유하여 사법질서 체계에 혼란을 가져오는 중대한 위법행위이다. 더구나 정치체제의 근간을 흔들 수도 있는 반역 행위에 대한 허위 고발은 다른 범죄행위보다 더욱 중요하게 논의되어왔다. 그런데 문제는 국가가 반역에 대한 경계를 강화할수록, 이를 악용하여 무고행위가 남발될 수도 있다는 데에 있다. 따라서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무고행위를 제어하면서도 동시에 반역과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고발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무고를 행하는 개인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무고가 분쟁해결의 수단으로 활용된 측면도 있다. 자신의 권리구제수단이 체계적으로 보장되지 못한 조선후기에 무고를 행해서라도 일단 왕 앞에서 발언권을 얻고자 했던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편으로는 『속대전』의 규정을 중심으로 무고모역 행위에 대한 규제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국가의 무고모역 행위 제재에 대한 노력을 살펴본다. 다른 한편으로는 『추안급국안』에 수록된 추국기록을 바탕으로 무고모역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서 개인의 입장에서 무고모역 행위가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false charges of treason in the late Chosŏn Dynasty by focusing on the reign of King Yŏngjo. False charges are grave violations of the state law which could threaten the judicial system by arbitrarily appropriating its rules. Also, treason cases shook the found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of the pre-modern era and were inevitably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ases. Thus, the state was willing to be vigilant against treasons and minor accusations could be immediately investigated. However, the problem lied in the possibility that people could exploit the state’s efforts. From the government’s perspective, there was a difficulty in deterring false charges while actively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reasons simultaneously. On the other hand, from an individual’s perspective, false accusations were used as a means to resolve disputes. When their rights were not institutionally guaranteed, people resorted to false accusations to acquire the right to speak in front of the king and political officials at the State Tribunal. Starting with this problem, this paper traces the state’s efforts to solve this dilemma by analyzing the laws stipulated in the legal codes including Sok Taejŏn. Also, it explores the political meanings of false charges by delving into the specific treason cases recorded in Interrogation Records.

      • KCI등재

        조선후기 사적복수 허용에 대한 일고찰 -법규 변화와 『추관지(秋官志)』 사례를 중심으로-

        이하경 ( Ha-kyoung Lee ) 연세사학연구회 2022 學林 Vol.49 No.-

        “부모의 원수와는 같은 하늘을 이고 살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유교 경전 어구처럼 조선시대에는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국가의 사법적 체제를 경유하지 않고 개인이 무력을 통해서 사건을 직접 해결하려고 한 바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적인 무력사용을 국가에서도 일정하게 허용해 주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심지어 일부 사례에서는 복수를 감행한 행위에 대해 국가 차원의 찬사를 보내기도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유교적인 가치가 내재화되는 차원에서 이와 같은 사적복수 허용을 분석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입장에서 개인의 무력사용을 허용하면서 초래할 수 있는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서 조선후기 법규의 변천을 추적하고 관련 사례분석을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 조선후기에 이르러 복수와 관련된 법규가 어떻게 세분화 되었는지, 허용되는 복수 주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형량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사적복수 사건을 27건 수록하고 있는 『추관지(秋官志)』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복수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국가가 복수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한다. The famous phrase originated from Confucian ideology, “one should not live under the same Heaven with the enemy who has slain one’s father,” reveals the tolerance of revenge in Chosǒn dynasty. In some cases, individuals did not resort to the state’s judicial procedures but tried to solve the case with private use of force for the sake of revenge. Also, the state commended the use of such private force. Sometimes, the state even praised revengers for taking private revenge. Existing studies have analyzed such permission of private revenge in terms of internalizing Confucian values in the late Chosǒn dynasty.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that could be caused by allowing individuals to use force. This paper traces the changes concerning the regulations of private use of force and conducts case studies. Throughout an analysis of the changing regulations, this paper explicates how private use of force, especially revenge, was categorized, who was allowed to use violent means for revenge, and how punishments changed over time. In addition, the case studies based on Ch'ugwanji, a case book delineating different types of revenge, explicates how the policymakers understood private use of force.

      • KCI등재

        조선후기 추국장에서의 왕 - 영조시기 『추안급국안』 사례를 중심으로 -

        이하경(Lee, Ha-kyoung)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3 No.-

        조선후기 국청(鞫廳)은 모반(謀反)이나 모대역(謀大逆)과 같은 중대한 범죄가 발생할 때 왕명에 따라 세워지는 특별사법기관이다. 최근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이 완역되고, 『추안급국안』의 원문 데이터베이스도 웹상에 공개되면서, 국청에서 죄인을 심문하는 추국(推鞫)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추안급국안』의 사료적 가치를 논하는 연구, 『추안급국안』을 바탕으로 추국을 직접 수행하는 의금부에 관한 연구, 추국에서 주로 논의되는 다양한 죄목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왕의 재판으로 알려진 추국에서 왕의 역할이 무엇인지 왕의 권력이 어떻게 행사되는지에 대해서 아직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반역죄를 다스리는 과정에서 최고의 재판관이었던 왕의 역할을 분석한다. 특히 추국과 관련하여 다양한 법규들이 새롭게 입안되었고, 가장 많은 추국 기록이 있으며, 왕의 권력에 대해서도 여전히 학계에서 논란이 있는 영조 시기를 조명한다. 이를 통해, 첫째, 추국의 절차를 상세하게 구체화하고, 추국 과정에서 왕이 어떠한 방식으로 권력을 행사하였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추국장에서 펼쳐지는 국가권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논구한다. The State Tribunal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lso known as the King’s Bench, was a special judicial process formed at the command of the king to judge capital crimes such as lèse-majesté and treason. Recently,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pay more attention to the State Tribunal with translation and digitalization of its Interrogation Records. This fascination has led to studies that focus on the importance of the Interrogation Records as a historical record, the role of the Bureau of State Tribunal, and the recurring crimes that have been subject to the State Tribunal. While the State Tribunal is frequently referred to as the king’s court, the role and the power of the king at the State Tribunal remain still understudied.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role of the king, by exploring the regulations and treason cases under King Yŏngjo’s reign. Given the highest number of treason case records and new regulations relating to the State Tribunal formulated and implemented, King Yŏngjo’s era should gain more attention. This research endeavors to delineate how King Yŏngjo exercised his power in the process of judicial interrogation at the State Tribunal and discusses how we can understand the legal power of the king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소원(訴冤)을 둘러싼 법정, 법, 그리고 국가

        이하경 ( Ha-kyoung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소원(訴冤)을 둘러싼 조선후기 법정과 전통법 그리고 국가에 대해 시론적으로나마 성격을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번역된 김지수의 연구에서 “성리학 이념을 바탕으로 건국된 조선에서 법적 분쟁 없이 사회적 균형을 이루는 이상적인 사회를 지향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조선후기에는 법적인 다툼이 많았던 것일까?”와 같은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조선후기로 들어서면서 그 이전이기에 비해 사회 경제가 발전한 것도 사실이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분쟁 역시 많아졌을 것도 부정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한 사실이 곧바로 사람들의 법적 구제 활용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람들 간의 분쟁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물리력을 통해서 사건을 해결하거나, 제3자의 위력을 활용하지 않고, 국가의 공적인 혹은 법적인 절차를 활용했다는 것은 보다 정교한 차원의 설명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김지수의 연구는 바로 이 지점을 보다 논리적으로 탐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지수의 논의를 재구성해본다면, 즉, 조선 법정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그 과정에서 활용되는 법의 실체적 의미를 다시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사법 공간에서 펼쳐지는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살펴볼 때 비로소 이 문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의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조선후기 법정은 국가권력이 피지배자에게 일방적으로 현시되는 공간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가 만나서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다. 조선후기 법 역시 국가권력을 집행하는 도구에 불과한 것이라기보다는 국가와 사회가 끊임없는 상호 작용을 통해서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마지막으로 조선후기 국가는 단순히 공공질서를 확보하는 데에만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 사인들 간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사법적인 정의를 추구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Chosŏn dynasty’s court, law, and the state by analyzing “petitions.” Jisoo Kim problematizes the gap between the proliferation of petitions and the purported ideology of Neo-Confucian ideology aimed at building a harmonious society. Certainly, the increase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population could have led to greater chances of social conflicts. However, increased social conflicts do not automatically lead to the proliferation of petitions and legal disputes.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deal with social conflicts, including the use of private force. The fact that individuals chose to manage their conflicts through legal disputes in courts begs explanation. Kim’s research is an attempt at such an explanation. She purports that the appropriate approaches to this question are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legality and the role of courts by the social actors and the state manifested in the “judicial space.”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at viewed the judicial space as a unilateral exercise of state power against society during the Chosŏn dynasty, it was an arena of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The late Chosŏn laws were not simply a tool employed by the state to exercise its power. Rather, it was the culmin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Lastly, maintaining social order was not the exclusive focus of the state. The state actively intervened in disputes between individuals to realize justice.

      • 시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집단 따돌림 현상을 다루는 방식: < KBS 추적 60분 >과 < MBC 시사매거진 2580 >을 중심으로

        이하경 ( Ha Kyoung Lee ),노광우 ( Kwang Woo Noh )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구 고려대학교 언론연구소) 2014 커뮤니케이션 科學 Vol.30 No.1

        본 연구는 TV 시사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집단따돌림과 학교폭력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했다. 이를 위해 비슷한 시기에 같은 주제를 다룬 KBS의 <추적 60분>과 MBC의 <시사매거진 2580>을 선정하였다. 내용 분석을 통하여 두 프로그램에서 학교폭력을 피해자와 가해자와의 갈등이 아닌 피해자 측과 학교와의 갈등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해자의 부모는 책임을 지울 수 있는 대상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재현되고 그들이 비판하는 대상은 가해자보다는 적절한 대처를 해주지 않는 학교이다. 학교 측은 사건에 대해 침묵하고 책임을 회피하려 하는 대응을 보여주며 해당 교육청 역시 사건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방관자적인 역할에 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두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TV 시사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집단따돌림과 학교폭력 현상의 갈등구조의 재현방식을 알아보았다. This study analyzed how TV documentary programs such as < Chujeok 60bun > (KBS) and < Sisa Magazine 2580 > (MBC) deal with ostracism and bullying in school. Both programs focused less on the conflict between aggressors and victims than one between victim and school. Both programs represented victims’ parents blaming school for its inability rather than aggressors’ culpability. School was represented to avoid responsibility, and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remained a spectator rather than solved the problem in a positive light.

      • 황육계 키위 신품종 ‘감황’의 과실 발달 양상과 과실 성숙의 변화

        이목희(Mockhee Lee),이하경(Ha-kyoung Lee),김홍림(Hong-Lim Kim),정경호(Kyeong-Ho Chu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감황’은 2015년에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황육계 키위 신품종으로 2019년에 품종보호등록(제7721호)되었다. 소비자의 황육계 키위 소비 선호도 증가와 높은 수취 가격을 바탕으로 ‘감황’은 2020년 기준으로 약 13.5ha가 보급되었으며 향후 증가할 전망이다. 본 연구는 ‘감황’의 과실 발달 양상과 과실 성숙의 변화를 이해하여 적정 농작업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남 사천시 실안면 소재의 농가에서 2019년부터 2년간 만개 후 20일 부터 180일까지 20일 단위로 과실을 채취하여 과중, 횡경, 종경, 건물 함량을 조사하였고 만개 후 147일부터 182일까지 7일 단위로 과실을 채취하여 건물 함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 경도, 적정 산 함량, 외과피 색도를 조사하였고, 에틸렌 발생제를 이용해 강제 후숙시킨 뒤 가용성 고형물 함량, 경도, 적정 산 함량 외과피 색도를 조사하였다. 과중은 만개 후 60일까지 급증하여 최종 무게의 66%가량 자랐고 이후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종경과 횡경은 만개 후 40일까지 비슷하게 생장하였으나 이후 횡경의 비대 정도가 더 우수하였다. 건물 함량은 만개 후 40일 이후 꾸준하게 증가해 140일에 17%를 넘어섰으며 180일까지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장 후반기에도 증가하는 같은 양상을 보였으며 만개 후 182일경, 20%에 도달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만개 후 161일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만개 후 182일에 13.6ºBrix에 도달하였다. 적정 산 함량은 만개 후 154일을 기점으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Hue angle의 값은 조사가 시작된 만개 후 147일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여 만개 후 161일에 102º 이하에 도달하였다. 경도는 만개 후 161일부터 감소하였으며 만개 후 175일부터 급감하였다. 후숙 후 과실 특성 조사 결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적정 산 함량은 수확일이 늦을 수록 높게 나타났다. 과실 경도는 수확일 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Hue angle 값은 모든 수확일에서 99º 이하로 안정적인 황색 발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과실 생장과 성숙의 변화를 토대로 각종 농작업 시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수확 시기는 재배 환경과 저장 기간, 그리고 판매 시기 등을 고려해 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