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박의 국적, 등록 및 등기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이필복 한국해법학회 2021 韓國海法學會誌 Vol.43 No.1

        The nationality of ships is a concept indicating that a ship is belonged under the jurisdiction of a country. The nationality of ships is important and functionally useful concept in the context of both public and private international law. Firstly, in the context of the public international law, the concept of the nationality of ships makes it possible for the states to exercise its national jurisdiction and control over the ship flying its flag. This is conducive to preserve and enhence the safety and order of voyage in the high seas. Secondly, in the context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the nationality of ships functions as an influential connecting factor between the applicable law or forum and a specific legal issues or cases related to the maritime matters. However, it is required to be cautious about applying the nationality of ships as a connecting factor in the context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for the usage of ‘flag convenience(open registration)’ is widely utilized in maritime practices and the validity of it is virtually recognised in the context of public international law today. In Korea, there are the two types of publication system for the ships flying Korean flag. The one is a ‘recordation(= registration)’ and the other one is a ‘title registration(= the registration for rights)’. The recordation functions as a condition for the acquisition of Korean nationality and a method for the publication of the factual status of a ship. On the other hand, the title registration functions as a method for the publication of the variation of legal rights(ownership, mortgage, and the rights of bare charterer) entitled for a ship. The Korean ships can be generally categorized as three types in the aspect of publication-a ship requires both recordation and title registration, a ship only requires recordation, and a ship even recordation is not required. Respective types of ships are treated differently for the legal relationship connected with the recordation or title registr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learly understand the different legal treatment for each types connected with the recordation or title registration, to adequately resolve the substantive legal dispute concerning the maritime matters. 이 글은 선박의 국적, 등록 및 등기와 관련하여 중요한 몇 가지 문제들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글이다. 선박의 국적은 선박이 어느 나라에 귀속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국제법적 맥락 그리고 국제사법적 맥락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선박의 국적은 국제법적 맥락에서, 공해에서 그 선박에 대한 기국의 국가관할권 행사와 통제를 가능케 함으로써 공해상에서의 항해의 안전과 질서를 보장하고 증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선박의 국적은 국제사법적 맥락에서, 어떠한 해사법률관계와 법정지 또는 준거법을 연결하는 영향력 있는 연결점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오늘날 편의치적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국제법적 맥락에서 그 유효성을 사실상 승인받고 있는바, 이러한 사실적ㆍ규범적 상태로 말미암아 국제사법적 연결점으로서 선박의 국적을 활용함에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선박에 대하여는 등록과 등기라는 두 가지 유형의 공시제도가 적용된다. 선박의 등록은 국적취득의 효력발생요건이자 선박의 현황을 공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달리 선박의 등기는 선박에 관한 권리(소유권, 저당권, 임차권)의 공시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선박은 크게 등기선, 등록선, 그리고 비등록선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유형별로 그 등록 또는 등기에 따른 법률관계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실체법적 문제의 정확한 해결을 위하여 각 유형별 등록 또는 등기에 따른 법률관계 상 차이를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외국판결의 승인에서의 공서 위반 심사의 대상

        이필복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4

        In Supreme Court Judgment 2009Da22549 Decided May 24, 2012,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ndered the first-ever ruling that explicitly stated the subject matter for examination of Public Policy Exception rule in the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the reference period for examination of the requirements, and the general examination criteria. In the subject case, the Supreme Court: (a) held that the judgment rendered by a Japanese court, i.e., dismissal of claims seeking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payment of outstanding wages by Koreans who were subjected to forced labo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ould not be recognized under the Korean legal order; and (b) declared that “not only the text of a foreign judgment but also the rationale of the decision (ratio decidendi) and the consequences arising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foreign judgment” ought to be examined when determining whether to recognize a foreign judgment. Nevertheless, it remains unclear as to which specific part of the ratio decidendi of a foreign judgment shall be examined. “Public policy,” which is a criterion for the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that conflict with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 review of a foreign decision on the merits of the case (révision au fond), is a term encompassing bo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aspects, and is considered as the minimum intervention required to preserve a sovereign country’s fundamental values, such as social integration and legal order. Taking account of the purpose and substance of the requirements for applying the public policy exception rule, the concept of res judicata under each country’s law may be somewhat weakened. Therefore, the “consequence of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which constitute subject matter of public policy examination, supra,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sequence of recognizing the res judicata of a foreign judgment” but rather be construed to encompass the “overall and indirect impact of recognition on a nation’s legal order.” The scope of res judicata is a minimum requirement but the general examination criteria is not confined to that scope. Thus, the scope of ratio decidendi may be deemed to encompass the “determination of matters necessary for the conclusion of judgment,”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determination of matters that had a direct affection on the text of a decision.” If a Korean court were to deny the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by applying the public policy exception rule on the part tha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text of a decision, it may go against judicial economy and cause outcomes unfavorable to a party who won a suit. Nonetheless, if there exists grounds for applying such public policy exception rule to the effect that is absolutely intolerable under Korean legal order, a Korean court may have sufficient reason to deny the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In the subject case, given that it is unclear as to which specific part of the ratio decidendi of the Japanese court’s judgment was deem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s the subject matter for examination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public policy exception rule, it is difficult to readily conclude which of the scope, as seen supra, the Supreme Court adopted. Going forward, a wide array of case studies need to be accumulated so as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and clear criteria on the subject matter for examination of Public Policy Exception rule in the recognition of a foreign judgment.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09다22549 판결(이하 ‘대상판결’)은 공서 위반 심사의 대상과 그 심사의 기준 시점, 공서 위반 심사의 일반적 기준까지 추상적 법률론으로서 분명하게 제시한 최초의 판결이다. 대상판결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을 당한 노동자들의 손해배상청구와 미지급 임금청구를 기각한 일본판결은 우리 법질서에서 승인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은 외국판결 승인에 있어서 ‘외국판결의 주문뿐 아니라 이유 및 외국판결을 승인할 경우 발생할 결과’까지 심사하여야 한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추상적 법률론의 제시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외국판결의 이유 중 어떠한 부분이 공서 위반 심사의 대상이 될 것인지에 관한 기준은 아직 불분명한 채로 남아 있다. ‘공서’요건은 외국 판결에 대한 ‘실질재심사 금지의 원칙’과 긴장관계에 있는 승인의 요건으로서, 주권국가가 독립된 자신의 법체계의 정합성을 유지하고 사회 공동체의 통합을 유지해주는 기본적인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필요한, 외국판결에 대한 최소한의 개입이다. 여기의 공서에는 ‘실체적 공서’와 ‘절차적 공서’의 양자가 포함된다. 이러한 공서 위반요건을 둔 취지와 그 내용을 고려한다면, 공서 위반의 심사대상이라는 맥락에서는 각 국내법상의 기판력 개념을 일정 부분 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서 위반요건의 심판대상인 외국판결 ‘승인의 결과’는 ‘외국판결에 기판력을 인정하는 결과’라는 형식적인 결과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국내 법질서에 대한 파급효(波及效)’를 의미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기판력의 범위는 공서 위반 심사대상의 최소한을 구성하지만, 심사대상이 기판력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심사의 대상이 되는 이유의 범위 또한, ‘주문에서의 판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쟁점에 관한 판단’에 한할 것이 아니고, ‘판결의 결론에 이르는 과정에서 필요한 쟁점에 관한 판단’이면 공서 위반의 심사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판결 주문에서의 판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쟁점에 관한 판단 부분이 공서에 위반한다고 하여 승인을 거부하는 경우, 소송경제와 승소 당사자의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판단에 우리 법질서에서 도저히 수인할 수 없는 공서 위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판단을 승인하지 않을 이익이 있다. 대법원이 대상판결에서 어떤 사항을 대상으로 삼아 공서 위반 심사를 하였는지 자체가 다소 불분명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대법원이 대상판결에서 심사의 대상이 되는 이유의 범위에 관한 위 두 견해 중 어느 견해를 채택한 것인지 단정하기 어렵다. 앞으로 다양한 사례의 축적을 통해 외국판결 승인에서의 공서 위반요건의 심사대상에 관한 정확하고 분명한 기준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