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재부정 진술의 발화 진리조건과 양상적 내용의 구분 -크리민스의 얕은 척하기 이론에 대한 부분적 옹호-

        이풍실(Lee, Poong Sh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크리민스는 얕은 척하기(shallow pretense) 이론을 통해서 존재부정 진술의 의미를 설명한다. 이에 대한 강력한 반론 중 하나는 존재부정 진술의 양상적 내용에 관한 비판이다. 크리민스의 이론이 옳다면 존재부정 진술은 그 진리조건 때문에 우연적으로만 참일 수 있다. 그러나 크립키에서 시작된 고유명의 고정지시에 대한 다수 입장에 의하면 존재부정 진술은 참이라면 필연적으로 참이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크리민스는 존재부정 진술이 갖는 발화진리조건과 양상적 내용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크룬은 이러한 구분이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크리민스의 구분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며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있다. 본 논고에서 이러한 크리민스의 구분은 존재에 관한 양상적 진술이 표현하는 인식적 가능성과 형이상학적 가능성의 구분의 필요성을 통해서 옹호된다. 또한 리차드는 존재부정 진술에 대한 크리민스의 설명이 이상한 귀결을 낳는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이 비판 역시 성공적이지 않음이 논증된다. Crimmins accounts for identity statements, negative existential statements, and belief ascription utterances in terms of his notion of shallow pretense. In this paper, I argue that he can fend off the existing two objections raised against his account of negative existentials. The first objection is concerned with the modal content of a negative existential statement. If Crimmins’ theory is correct, then a negative existential statement can be true only contingently. However, to the extent that we hold the Kripkean view about rigid designation, such a statement must be necessarily true, if it is true. In response, Crimmins argues that the problem can be dealt with by distinguishing modal content from utterance truth-condition. Kroon claims that the distinction is ad hoc. However, I argue that Crimmins’ suggestion is reasonable because we need to discern epistemic possibility from metaphysical possibility. Secondly, Richard argues that Crimmins’ theory yields an incredible implication. I argue that this consequence is innocuous.

      • KCI등재

        비개념적 내용과 순환성 논증

        이풍실(Poong Shil Lee) 철학연구회 2010 哲學硏究 Vol.0 No.88

        Non-conceptualists argue that there is non-conceptual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because perceptual content has fine-grained details that cannot be captured by concepts. On the other hand, McDowell claims that non-conceptual content is not required as a perceiver can grasp those details of perceptual content using demonstrative concepts. However, Non-conceptualists including Heck point out that the fact that demonstrative concepts are available when having perceptual experience does not necessarily imply Conceptualism. Furthermore, they try to argue that conceptualist explanation of that fact falls into circularity. In this paper, however, it is argued that this Non-conceptualist argument for circularity fails. Moreover, the limit of the debate between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concerning demonstrative concepts in perception is articulated.

      • KCI우수등재

        크립키의 뉴턴/조지 스미스 문제

        이풍실(Poong Shil Lee)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7

        본 논고에서는 크립키가 『명명과 필연(Naming and Necessity)』에서 논의했던 두 사례를 소개한다. 이 사례들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특정인을 지칭하는 고유명을 알고 있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 처음으로 그 이름을 사용하는 발화이다. 여기서 크립키가 주목하는 현상은 어떤 고유명의 사용은 명백한 오정보와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그 지시체에 대한 거짓 믿음을 성공적으로 야기하는 반면에, 다른 고유명의 사용은 오정보와 결합되어 발화될 경우에 청자로 하여금 그 고유명의 지시체에 대한 거짓 믿음을 야기하는 데 실패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믿음의 야기가 실패한다면 왜 동일한 인과적 체인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두 사례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지가 설명되어야 한다. 하지만 크립키는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지 않은 채, 이것을 고유명의 지칭에 관한 이론이 앞으로 해명해야 할 과제로 남겨둔다. 필자는 크립키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 사례가 고유명을 통한 지칭의 전달과 그 지시체에 대한 믿음의 전달 사이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고 논증한다. 이어서 필자는 이름사용관행과 입문 발화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기초하여 문제가 되는 사례에서는 입문 발화의 성공 조건이 만족되지 않기 때문에 믿음 전달이 실패한다고 논증한다. In Naming and Necessity, Kripke argues that there seems an interesting contrast between two types of case. In one case, the use of a famous person’s proper name successfully causes the hearer to form a singular belief about the referent although the utterance in which the name is used carries misinformation. In contrast, the other case seems to show that the utterance containing the name of a person who is not famous fails to make the hearer entertain a singular belief about that person when some obvious misinformation is delivered. Kripke does not provide any clear explanation about the putative difference between these cases. He only suggests that, in the latter case, the hearer can only form a belief whose content is merely descriptive. I argue that we can find a theoretically interesting question in Kripke’s two cases, and that it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 of reference deliverance to the initiation of a singular belief. I suggest a theory based on the notion of name-using practice, by which we can account for this relation. According to this account, the use of a proper name introducing its referent to the hearer fails to cause her to form a singular belief when the speaker’s utterance does not qualify as an appropriate practice-introducing utterance.

      • KCI우수등재

        비개념주의와 세밀성 논증

        이풍실(Poong-Shil Lee) 한국철학회 2009 철학 Vol.0 No.99

        본 논문에서는 지각 경험 내용이 개념적인가에 대한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 사이의 논쟁을 세밀성 논증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맥도웰을 비롯한 개념주의자 들은 지시사적 개념을 사용하여 세밀한 지각 경험 내용을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세밀성 논증을 비판한 바 있다. 켈리는 세밀성 논증을 새롭게 발전시킨 그의 두 논증들을 통해서 개념주의자들의 이러한 비판을 논박하려고 시도 한다. 본 논문은 켈리의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서, 비개념주의자들이 개념주의를 논박하기 위해 정면으로 공격해야만 하는 것이 무엇인지가 밝혀진다. The controversy between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over whether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is non-conceptual or not is discussed in this paper. Conceptualists along with McDowell contend against fine-grainedness argument that the details belonging to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can be captured by demonstrative concepts. Kelly tries to refute this conceptualist strategy exploiting demonstrative concepts by developing his own two fine-grainedness arguments. But, his attempt turns out to be a failure, which sheds light upon what point non-conceptualists have to attack.

      • KCI등재

        경험주의와 비개념주의

        이풍실(Poong Shil Lee) 철학연구회 2011 哲學硏究 Vol.0 No.94

        Given that perceptual experience provides the reasons for perceptual beliefs and that this reason-giving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belief is to be available to our reflective investig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centers around the question of whether perceptual experience with non-conceptual content can play a role of providing reasons for believing about the world. Conceptualists, who argue that the content of perception is merely conceptual, maintain that non-conceptual content cannot justify perceptual beliefs, while Non-conceptualists hold that there is non-conceptual perceptual content which plays a role of justifier. To examine this debate, the meaning of conceptual and non-conceptual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is explained. Then several non-conceptualists` interpretations and criticisms of McDowell`s conceptualist arguments are investigated, which shows that their interpretation is somewhat misleading, and that McDowell`s arguments are all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reason-giving relation between perceptual experience and belief has to be immune to arbitrariness. I show that non-conceptualists` arguments fail to fulfill this requirement. Given the importance of this non-arbitrariness requirement,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reason to prefer Conceptualism to Non-conceptualism, at least from the epistemic side. Finally, I reveal the broader implication of the non-arbitrariness constraint and Conceptualism.

      • KCI우수등재

        맥킨지의 책임전가기술구 전략에 대한 재고

        이풍실(Poong Shil Lee)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8

        맥킨지는 우선권 부여 사용의 경우에 고유명의 의미론적 지시체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책임전가기술구를 통해 설명한다. 최근에 나는 크립키의 비판을 기초로 하여 맥킨지의 설명이 실패한다고 논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나의 논증은 맥킨지의 기술구주의 지칭이론을 충실하게 반영하지 못한 채 맥킨지의 입장을 단순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 나는 맥킨지의 책임전가기술구 전략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맥킨지 측에서 설득력 있는 반론을 내놓을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따라서 맥킨지의 지칭 이론을 경쟁 이론들과 비교하는 작업의 초점은 책임전가기술구 전략이 적용되는 우선권 부여 사용이 아니라 우선권 비부여 사용을 비롯한 그 외의 지칭 현상이 되어야 한다. McKinsey appeals to buck-passing descriptions in providing an account of how the semantic referent of a proper name is determined when it is used deferentially. Recently, based on the criticisms that Kripke raised against the buck-passing strategy, I argued that such an account fails. However, in this paper, I withdraw my argument, and I argue that McKinsey can defend his theory from these criticisms. My new argument implies that we need to look at nondeferential uses and other phenomena such as reference-shift in order to properly compare McKinsey’s theory with competing theories.

      • KCI등재

        에반스의 지배적 원천 이론과 디키의 비판

        이풍실(Lee, Poong Sh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 Vol.76 No.-

        고유명의 지시체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오늘날까지도 언어철학의 가장 중요한 기초적 과제들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에반스는 크립키가 제안한 인과적/의사소통적 체인의 그림에는 결함이 있음을 논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지배적 원천 이론을 제안한다. 이 이론에 의하면 고유명과 연관된 일군의 정보 집합의 지배적인 인과적 원천인 대상이 그 고유명의 지시체이다. 디키는 반례를 통해서 지배적 원천 이론이 반직관적인 귀결을 낳는다고 비판한다. 특히 디키의 반론은 지배적 원천 이론의 핵심적 요소인 인과적 원천 관계에 대한 에반스의 규정을 문제 삼고 있다. 나는 디키의 반례가 성공적이지 못함을 논증한다. 디키는 인과적 원천 관계에 대한 에반스의 설명을 오해했으며, 에반스의 우선권 사용 지칭 의도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디키의 반례가 제기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키의 반론으로부터 지배적 원천 이론을 방어하기 위한 예비 단계로서, 나는 오늘날까지도 충분히 설명되지 못했던 에반스의 이론의 중요한 측면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조명할 것이다. 에반스에 의하면, 지칭 이론은 이러한 요소들을 만족스럽게 설명해야 하지만 크립키의 인과적/의사소통적 체인의 그림은 이것들을 적절하게 해명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나는 지배적 원천 이론과 후기의 에반스의 이론사이의 관계 역시 간략하게 해명할 것이다. 본 논고를 통해 고유명의 지칭에 대한 에반스의 초기 이론의 기여가 보다 명확하게 평가되기를 기대한다. The debate over the question of how a proper name has a semantic referent is still ongoing. Although Evans’s dominant source theory is well-known to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debate, some of its important elements and motivations have not been clearly appraised. I illuminate these aspects, which Evans argues are the aspects of a proper theory of reference that Kripke’s simple picture of causal/communicational chain fails to elucidate. Then I defend Evans’s theory from Dickie’s attack based on a counterexample. Dickie’s objection centers around the notion of a causal source, which is an integral part of Evans’s account of how the referent of a name is determined. I argue that Dickie misinterpreted Evans’s definition of a causal source and that his account of deferential intention also solves the problem raised by Dickie. In addition, I briefly explain how the aspects of Evans’s dominant source theory developed in his later theory of reference.

      • KCI우수등재

        심적 내용 외재주의와 특권적 접근 사이의 양립불가능성 문제 ‒맥킨지의 논증에 대한 브뤼크너의 비판의 실패‒

        이풍실(Poong Shil Lee) 한국철학회 2019 哲學 Vol.- No.139

        심적 내용에 대한 외재주의가 등장한 이래로 이런 종류의 입장이 사고에 대한 일인칭적 특권적 접근과 양립가능한지 여부가 문제시되어왔다. 맥킨지는 오랫동안 양립불가능성을 옹호해왔으며, 우리가 특권적 접근을 포기해야 한다고 논증한다. 이에 대항하여 브뤼크너는 맥킨지의 논증이 실패한다고 반론하며 양립가능성을 옹호한다. 그러나 브뤼크너의 비판에는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브뤼크너가 받아들이는 특권적 접근은 맥킨지의 결론과 사실상 충돌하지 않는다. It has long been debated on whether Externalism about mental content is compatible with our intuition that we have privileged access to our thought. McKinsey has argued in several papers that compatibility does not hold, and thereby that we must abandon the privileged access. Brueckner has criticized McKinsey’s argument and maintained that we can accept the privileged access without giving up Externalism. In this paper, I argue that Brueckner’s account faces several problems. Especially, his conclusion that we can accept the privileged access does not clash with McKinsey’s conclusion that we have a kind of internalist access to our thought.

      • KCI등재

        고유명은 자연언어 표현이 아닌가? -유창성 논증, 번역불가능성 논증, 국지성 논증에 대한 비판-

        이풍실(Lee, Poong Sh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79 No.-

        고유명에 대한 일군의 철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고유명은 (1) 유창한 자연언어 화자가 알 필요가 없으며, (2) 번역불가능하고, (3) 본질적으로 국지적이다. 이들은 각각의 주장으로부터 고유명이 자연언어에 속하는 표현이 아니라는 결론을 도출하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는 이와 같은 결론을 이끌어내는 세 논증들을 구성해보고, 다음의 문제들에 대한 대답을 모색할 것이다. 이 주장들이 함축하는 고유명만의 이질적인 특성은 정확하게 무엇인가? 고유명이 실제로 이러한 특성을 갖는가? 이러한 특성의 소유는 고유명을 자연언어에 속하지 않는 표현으로 만들어주기에 충분한가? 이 작업을 통해서 나는 세 논증들 모두가 고유명이 자연언어 표현이 아님을 입증하는데 실패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Some philosophers attempt to argue that proper names do not belong to any natural language, based on the interesting observations as follows. (1) Knowing proper names is not required for one to be a competent speaker of a natural language (2) They are not translatable. (3) They are essentially local. Each observation enables us to construct an argument purporting to show that proper names are not words of any natural language. However, I argue that each argument fails. All the observations are heavily biased or not well-supported. None of (1), (2) and (3) entail that proper names are not natural language expressions.

      • KCI우수등재

        고유명은 지표사인가? -고유명에 대한 르카나티의 지표사 이론의 옹호-

        이풍실(Poong Shil Lee) 한국철학회 2020 哲學 Vol.- No.145

        르카나티는 고유명이 지표사의 일종이라는 이론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르카나티의 이론을 소개하고 고유명을 지표사의 일종으로 볼만한 이유가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나는 이 이론에 대하여 제기된 비판들을 다룰 것이다. 라미는 고유명이 지표사의 일종이라는 주장에는 동의하지만 르카나티의 이론은 고유명 유형의 개별화와 관련하여 문제가 있으며 우리의 언어적 직관과 상충하는 부적절한 귀결을 낳는다고 비판한다. 맥킨지는 고유명의 의미론적 지시체 결정에 대한 르카나티의 설명이 고유명의 언어적 의미에 대한 그의 설명과 충돌한다고 비판한다. 나는 이러한 비판들로부터 르카나티의 이론을 방어할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유명의 언어적 의미와 지시체 결정에 관한 르카나티의 이론의 핵심적 주장들을 명료하게 드러내고 이러한 주장들이 일관적임을 보일 것이다. 르카나티는 크립키의 논의를 바탕으로 고유명을 지표사의 일종으로 보는 것이 불합리한 귀결을 낳는다는 논증을 구성해낸 후, 이 논증을 논박한다. 나는 르카나티의 논박이 충분하지 않음을 지적한 후 이를 보충하는 논증을 제안할 것이다. 본 논고에서 제시된 르카나티의 이론의 옹호 작업은 완전하지는 않지만, 르카나티의 이론이 고유명의 의미와 지칭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이론으로 발전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앞으로도 연구될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I examine Recanati’s indexical theory of proper names, according to which they are a kind of indexical. After providing the reasons for regarding them as indexicals, I attempt to defend Recanati’s theory from the existing criticisms. Rami argues that the theory faces difficulties with the individuation of proper name types and the explanation of ordinary people’s linguistic intuition. McKinsey argues that Recanati fails to reconcile his account of reference-determination with his claim that proper names have characters as their linguistic meanings. Throughout my defense of Recanati’s theory, its central claims are manifested and their consistency is shown. Finally, I deal with the generality argument reconstructed from Kripke’s criticism of a version of descriptivist view. This argument purports to show that Recanati’s theory yields the absurd consequence that every referring expression has as its lingusitic meaning the same kind of character as proper names have. I argue that such an absurdity does not follow from his theory. Given that Recanati’s indexical theory withstands all these criticisms, we can conclude that it is promising as a theory of meaning and reference about proper names and it deserves further elab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