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遠藤周作の『黃色人』における<ユダ> : 『パンセ』の「哀愁の中のイエス」への接近 『パンセ』의 「애수 중의 예스」에로의 접근 The access of "Jesus Sorowed" in "pensees"

        李平春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6 No.2

        「「白い人」を書いた後、私はやがて、「黃色い人」を書く義務を感じます。神のない世界には、ドラマがないという苦しみがあります。」と述べた遠藤は『白い人』の發表六ヶ月後に『白い人』を發表した。 この時期遠藤文學表われている<神>の姿は、人間の罪を赦すよりは、むしろ裁く怖い<父性的神>として描かれてある。このように初期文學に表れている父性的<神像>がこの時期の遠藤の神觀であると考えられる。ところが、このような神觀あ時点から徐??に變化し始まるが、その變化の轉換点になったのが『黃色い人』であると思われる。したがって、『黃色い人』を通して遠藤の神觀がどのように變化したのかを考察したのがこの論文の目的である。 『黃色い人』は、誰もが死んでいく戰爭という狀況のなかで、<ぼく>が自分に洗禮を授けてくれた高槻の收容所にいる<ブロウ神父>宛に送る手紙と、元神父である<デュラン>の日記とで構成されている。 <デュラン>が自分の日記を<ブロウ神父>に屆けてほしいと賴んだ理由は、元神父だった自分の生と、自分の過ちさ告白するためである。ここに登場する<白い人>は、<神の世界>のなかで生きている人物であり、その一人である<デュラン>は、神父の身分として守るべき獨身の純潔という戒めを破ったことが、結局神を裏切ったことだと考え、その罪意識から逃れるために自殺を圖ろうとする。ところが、<黃色い人>である<千葉>と<絲子>と<キミコ>は「神があってもなくてもどうで良い」と思いながら、罪意識に痲痺されている。 罪意識に惱まされた<デュラン>は、自殺を圖るために手に入れた拳銃をずっと持っていたが、刑事に發見されるのを怖れていた末、<ブロウ神父>の所にその拳銃を密かに隱そうとした。<ブロウ神父>は、八年間の生活の面倒を見てくれた恩人でもあり、唯一の自分の味方であるのに、彼に自分の罪を擦り付けようとした。<デュラン>は<ユダ>のように<ブロウ神父>を裏切った。二度もユダになった<デュラン>。赦されない罪を犯しながら罪意識に惱まされている彼の目に映ったのは<ブロウ神父>が開いておいた『パンセ』の「哀愁の中のイエス」であった。そこには、「基督はユダのうちに敵意を見ず、自分の愛する神の命令を見、それを言いあらわし給う。なぜなら、ユダを友と呼び給うからである」と書かれてある。 この時期遠藤がバスカルの『パンセ』を自分の小說に引用したのは「ユダを友と呼ぷイエス像」を望んでいたからではないか。『黃色い人』の構成から見られるのは、この作品を書く時期の遠藤には、人間の罪を裁く神ではなく、その罪人を許す<神>を示したかったと思われる。だから<ユダを友と呼ぶイエス像>を引用することで<ユダを許すイエス>を導人し、人間の罪を許す<神>を表そうとしたのである。 遠藤は、この作品を初めとして<許しのイエス像>に段??接近していくことになる。そして、そのイエス像<私のイエス>として形成しつつ、自分の文學の世界を形づくっていくことになる。又、その試みを通して人間の罪を裁く<父性的神>を中心とする「父の宗敎」から、罪を許し、なおかつ受け入れる「母の宗敎」へと接近していくことになったのであろう。

      • KCI등재후보

        전쟁을 바라보는 일본 작가의 시선-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평춘 한일군사문화학회 2014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7 No.-

        유년기를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체험하면서 성장한 작가, 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삶을 살펴보며, 작품 속에 전쟁이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전쟁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가, 아니면 능동적으로 수용하는가에 따라 전쟁의 의미가 어떻게 규정되고 있으며, 작가는 자신이 체험한 전쟁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엔도는 자신의 전쟁체험을 10년이라는 세월이 지난 뒤 「황색인 」에서 그리고 있는데, 이는 어떤 과장도 없이 사실그대로를 그리고 있다. 1944년 가미가제 특공대 출격과 B29가 도쿄를 대공습한 사건 등을 이름조차 그대로 작품에 묘사하고 있다. 이는 전쟁 직후의 작품이 아니라 10년이란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 하겠다. 「황색인 」에 그려진 전쟁의 모습은 대부분 사실적 묘사에 그치고 있다. 전쟁을 통해 겪어야하는 사람들의 감정이 전혀 개입되어 있지 않다. 이는 동시대를 살았지만, 그 전쟁에 참여하며 꼭 이겨야한다는 필연성으로 능동적 투쟁을 했는가, 아니면, 투쟁하지 않았는가가 그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에 절대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황색인 」을 집필한 엔도의 입장에서는, 징병유예로 전투에 구체적으로 개입하지 않았기에, 전쟁을 단지 객관적인 사건으로 인식하는 수동적 시선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러기에 “전쟁에 이기든 지든 상관없습니다” ‘정말이지, 모든것이 어찌되든 상관없다.’ 는 냉담한 시선을 확보할 수 있었고 그것이 작품에 그대로 투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遠藤周作の『死海のほとり』論

        李平春(이평춘)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5 No.-

        엔도 슈사쿠(遠藤周作)는, 1973년 『예수의 생애』를 발표했다. 그리고 거의 같은 시기에 평행해서 씌어졌다고 생각되는『사해의 주변』이 1973년 6월에 발표되었다. 『사해의 주변』은, 이전에 발표된 몇 개의 단편을「군중의 한사람 1」부터 「군중의 한사람 6 」으로 구성하면서, 「순례 1」부터 「순례 7」을 덧붙여 순문학 특별작품으로 간행했다. 그러나『예수의 생애』의 내용과『사해의 주변』의「군중의 한사람」은 대부분 같은 내용이며, 완전히 같다고 말할 수 있는 인물인 예수가 등장한다. 그런데,『예수의 생애』에서 이미 쓴 〈예수〉를『사해의 주변』의「군중의 한사람」에서 되풀이하여 쓴 까닭은 무엇일까. 거기에는 확실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성서이야기(예수의 생애)』를 연재하면서 『사해의 주변』을 쓰지 않으면 안 되었던 그 이유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결국, 이 소설의 포인트는「13번째의 제자」에 있다. 〈나〉는, 자신의 투영으로서「13번째의 제자」를 주인공으로 하여 소설을 썼지만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 후 〈나〉는 예수가 실존했던 이스라엘을 순례하며 지금은 희미해진 〈내게 있어서의 예수〉를 찾아 한 번 더 소설을 쓰려고 시도한다. 〈나〉는 史的인 예수의 발자국을 쫒으면서, 그리고「군중의 한사람」과「순례」를 교차시켜가면서, 쥐(등장인물)에게도 , 자신에게도 , 동반하고 있는 동반자 예수像을 찾아내게 된다. 이 동반자 예수를 그려내기 위하여 엔도는『성서이야기(예수의 생애)』를 연재하면서도『사해의 주변』을 쓰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엔도 슈사쿠 종교문학의 의미요법 -빅터 프랭클 (Viktor E. Frankl)을 도입하며-

        이평춘 ( Lee Pyong-ch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日語日文學硏究 Vol.124 No.0

        本研究は宗教文学の機能と役割に関する研究である。我々は予期せぬうちに多くの苦痛に直面することになる。そしてその苦痛からも生き残らなければならず、生きていくために私たちが探さなければならないものは何であり、何に「意味」を付与して立ち上がるのかについて問いかける。特に、それが宗教文学というカテゴリの中ではさらに克明な解答が必要である。それを探すためにビクターフランクル(Viktor E. Frankl)を導入し、彼のロゴセラピー(logotherapie)の意味を通じた療法(therapy through meaning)を融合させた。 本研究の核心が<遠藤周作宗教文学の意味療法>にあるだけに、苦痛という現実に直面した私たちにそれでも慰めと希望が必要であるため、フランクルの<ロゴセラピー理論>を融合させることになった。宗教を通じた信心と信仰の姿勢が苦痛を昇華させる方法であるように、ロゴセラピーの意味療法を通じて苦痛に耐えさせる動力を発見したかったためだ。 この研究を進めながら確認できたのは、人種と宗教と性別に関係なく苦痛に直面した人は誰もが慰労を必要とし、その慰労と対象を通じて希望を探し再び立ち上がる方法を会得しようとしたことが分かった。 遠藤周作には雑種犬と九官鳥とイエスがいて、フランクルには意味付与のロゴセラピー(logotherapie)と「シェマイスラエル」があり、キム·ヘナ作家には小説とヨガがあった。このような姿は文学が共通して追求しているところではあるが、特に宗教文学ではさらにその価値が発現するのだ。したがって、苦痛の中で少なくとも絶望と死に至らないように、希望だけは手放さないように、自分のロゴセラピー(logotherapie)を見つけられるように提示することが宗教文学の目的であり機能と役割だろう。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function and role of religious literature. We face a lot of pain unexpectedly. And we have to survive in pain, and we ask questions about what we need to find to live, and what we will stand up with meaning. In particular, more obvious answers are needed within the category of religious literature. To find it, Victor E. Frankl was introduced and his logotherapie was incorporated. As the core of this study was in The Semantic Therapy of Endo Shusaku Religious Literature, Frankl's logotherapie Theory was incorporated because we still need comfort and hope in the face of the reality of pain. Just as faith and attitude of faith through religion are ways to sublimate pain, I wanted to discover the power to endure pain through the semantic therapy of logotherapie. What I was able to confirm while conducting this study was that people in pain wanted to be comforted, and through that comfort and object, they tried to find hope and learned to stand up again. Endo Shusaku had a hybrid dog, Mynah, and Jesus. Frankl had logotherapie and ‘Shema Israel’. And writer Kim Hye-na had novels and yoga. This aspect is commonly pursued in literature, but is especially necessary in religious literature. Therefore, the purpose and role of religious literature will be to present a vision so that one can find one's logotherapie so that one does not lose hope without reaching despair and death.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종교문학의 특성연구

        이평춘(Lee, Pyong Ch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4 일본문화연구 Vol.0 No.50

        In this paper, a Japanese writer and author of Korean Christian literature,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determines to figure out religious purposes. Specifically, the writers Shusaku-Endo of Japan and South Korea’s Lee Mun-yol and Kim dong-ri, and their literature ‘God’ ‘Gods’ are discussed. The difference is in identifying whether there are common goals. The two countries concluded been deriver through the artists’ works, the Christianity to accommodate the religions of the two countries because singular or fundamental differences did not exist, but rather the common elements that were in common. The reason is that part of the Orient,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and the adjacent countries with cultural, religious, historical, and social significance came to a close relationship with, was inevitable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each other. Thus, the presence of both Eastern and syncretism Shamanism that there was implicit in the background could be seen. Therefore, the Shamanism present in both Eastern and syncretism that there was implicit in the background could be seen. Religious phenomenon, coupled with the form of faith has been expressed, even in the Writer consciousness appears as an aspect of conflict, believe the works of literature exp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