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지구력 검사 시 심부복부근육 두께 변화

        이태경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지구력 검사 시 심부복부근육 두께 변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이태경 본 연구는 20대 만성요통 환자 15명(Chronic low back pain group; PG)과 건강한 성인 15명(Healthy control group; CG)을 대상으로 코어 근지구력 테스트인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시 시간에 따라 심부복부근육인 External oblique(EO), Internal oblique(IO), Transverse abdominis(TrA), Abdominal wall(TrA+IO+EO)의 두께수축비율과 두께수축비율 패턴을 비교하고 심부복부근육의 두께수축비율 패턴과 코어근지구력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하였다. 그룹간 시간에 따른 두께수축비율과 두께수축비율패턴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호작용 분석2-Way 2 by 6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그룹간 유의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은 대비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Prone& Supine bridge test 동안 Prone bridge는 15초, Supine bridge는 30초 마다 심부복부근육의 두께를 초음파로 측정하였고 코어 근지구력 테스트 시간을 기록하여 두께수축비율과 코어 근지구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심부복부근육의 두께수축비율과 코어 근지구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PG와 CG의 Prone bridge시 두께수축비율은 Abdominal wall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EO, IO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EO p=.022, IO p=.055). Supine bridge시 두께수축비율역시 Abdominal wall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EO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9). 시간에 따른 두께수축비율패턴 비교에서 PG와 CG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Prone bridge시 4-5rep에서 EO, IO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EO p=.048, p=.052). PG와 CG의 시간에 따른 심부복부근육 두께수축비율과 코어 근지구력 테스트 지속시간과의 상관관계는 PG와 CG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CG에서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 지속시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G= .295, CG= .7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Prone& Supine bridge 테스트 동안 시간에 따른 PG와 CG의 Abdominal wall의 두께수축비율과 두께수축비율패턴에 차이가 없고, 두께수축비율패턴과 근지구력과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의 지속시간간의 상관분석에서 CG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왔으며, Prone bridge에서 EO, IO가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Supine bridge에서 EO가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지속 시간간의 상관관계에서 만성요통환자의 체간의 앞뒤 코어근육 간 불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낸 이유라 생각되고 Prone bridge와 Supine bridge시 만성요통 환자가 정상상인에 비하여 Abdominal wall의 근육수축협력 능력이 부족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bdominal muscles thickness changes during core endurance test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Kook Min general gradu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iences Lee Tae Kyou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ickness changes of deep abdominal muscles(External Oblique; EO, Internal Oblique; IO, Transverse Abdominis; TA) during core muscle endurance tests (Prone Bridge and Supine Bridge). 15 chronic low back pain participants (PG) and 15 healthy participants (CG) were volunteered for the study. Muscle thickness were measured with ultrasound at every 15 and 30 seconds during the prone bridge and supine bridge, respectively,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cle endurance and contraction thickness ratio. A 2-way 2 by 6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of the thickness activation ratio between groups and time and contrast coefficients used as post-hoc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05 and a correlation test was performed for the muscle contraction thickness ratio according to time for muscle endurance. Results showed that EO (p=.022) and IO (p =.055) muscles' contraction thickness ratio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during prone bridge while abdominal wall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Only EO (p=.039) muscle contraction thickness ratio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groups during the supine bridge.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G and CG in the time frame comparison, EO (p=.048) and IO (p=.052) muscle contraction thickness ratio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4 - 5 rep of the Prone bridge. cLBP groups may have decreased EO,IO proprioception and core muscle balance.

      • Optimal level of CRP for evaluation of meningitis in infants under 3 months of age presenting with fever

        이태경 Wonkwang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발열은 소아청소년과 진료의 흔한 원인이다. 발열이 있는 영아의 경우, 나타나는 증상이나 징후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 감염의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뇌수막염은 발열을 동반한 어린 영아의 주요한 원인 질환 중 하나이며, 침습적인 검사방법인 요추천자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열이 있는 어린 영아에서 뇌수막염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진단검사학적 검사들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5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환자 중 발열 이외에 특이 증상이 없는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들의 임상정보 및 검사소견이 포함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571명의 발열을 동반한 생후 3개월 미만의 환자들 중 뇌수막염으로 진단된 환자는 57명이었다. 백혈구 수의 평균값은 뇌수막염을 가진 환자 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중성구 수와 C-반응단백의 평균값은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수막염 진단에 대한 수신자 조작 특성 분석에서 곡선 아래의 면적은 C-반응단백의 경우 0.699로 가장 높았으며, 백혈구 수의 경우 0.391, 중성구의 경우 0.525이었다. C-반응단백 수치의 기준점을 10 mg/L로 정할 경우, 통계학적으로 뇌수막염을 평가하기에 가장 최적화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C-반응단백은 생후 3개월 미만의 발열을 동반한 환자에서 뇌수막염의 진단함에 있어 내재적 예측 가치를 지닌다. 비록 뇌수막염의 진단을 위한 요추천자가 침습적이나, C-반응단백 수치가 10 mg/L 이상일 경우에는 요추천자가 추천된다고 사료된다. Purpose: Fever is a common cause of pediatric consultation. Moreover, identifying the source of infection in many febrile infants is challenging because of insufficient presenting symptoms or signs. Meningitis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fever in infants, and it is confirmed by lumbar puncture, which is an invasive procedure. Th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otential laboratory markers of meningitis in febrile infa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infants aged <3 months who visited our hospital between May 2012 and May 2017 for fever as a main symptom with no identical focus. Clinical information and laboratory data including C-reactive protein (CRP) level, leukocyte count, and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were evaluat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were constructed. Results: A total of 571 hospitalized febrile infants aged <3 month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mean leukocyte cou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ningitis group, but mean levels of ANC or CRP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for CRP was 0.699 (95% confidence interval [CI], 0.645 to 0.754). The AUC for the leukocyte count was 0.391 (95% CI, 0.312 to 0.470) and that for ANC was 0.525 (95% CI, 0.454 to 0.596). The CRP cut-off value of 10 mg/L was optimal for identifying possible meningitis. Conclusions: CRP has an intrinsic predictive value for meningitis in febrile infants aged <3 months. However, it appears that in febrile infants with CRP level exceeding 10 mg/L, lumbar puncture for evaluation of meningitis is recommended despite it invasiveness.

      • 자율적 직장 공동체 텃밭 활동이 교대근무 행정직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태경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job stress experienced by public servants in general administration when they performed their duties on a 24-hour shift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subjects include 12 public servants at the Center for Finding Missing Children in the Department of Women and Adolescents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center receives an early missing report for missing normal children,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nds out the report to each police station, and lifts the missing report after the missing individual is found. Total 12 public servants work at the center on a double shift(full day off after a night shift, four-day interval) among four groups. Total 11 of them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They engaged in autonomous vegetable garden community activities at the workplace for five weeks on August 19~September 22, 2018.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completed five weeks of autonomous vegetable garden activities show that their job stress dropped significantly. Their mean score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d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de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the activities; an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elf-esteem after vegetable garden activities at the workplace. 본 연구는 야간 교대근무의 특성을 가진 센터단위 부서를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텃밭을 운영했을 때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근무자 11명 4조 2교대(주야휴비, 4일주기)를 대상으로 사전 장소선정과 텃밭 정비 및 모종이식이 있었으며, 야간교대근무형태의 특성을 이용하여 출근시간, 점심시간, 퇴근시간을 각각 이용하여 텃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고, 1주일에 한 번씩 게시판에 활동프로그램을 공지하여 본인들이 원하는 만큼의 활동을 권장하였다. 2018년 8월 19일부터 9월 22일까지 5주간 실험을 진행하고 사전사후 설문조사 하였다. 프로그램진행 후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사후조사 시 직장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크게 개선되었다.조직유효성 즉 직무만족도는 프로그램 실시 전후 비교시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몰입도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삶의 만족감을 주는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생성과 분석을 결합한 환경 성능기반 설계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일조 성능기반 설계 도구의 개발 및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이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owing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tool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bin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with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lthough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architecture is still in its infancy, it is spreading among the leading architects. It is expected to bring big changes in the near future to the field of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design process, which integrates generation and analysis, affects an architect and his design. To do this, the research develops a generative design tool based on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conducts a case study in order to observe and analyze how the generation and analysis integrated process affects the design practice.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can be combined with the form gener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e research examines the changes in the design, the performance, and the thought process of the architect,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and the form generation.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design tools in the field are analytical tools that evaluate the designs made by the architects. However, the analytical tools cannot be used for the design exploration,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information to operate, and does not participate in the form generation. Most architec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bining architectural design with environmental performance. However, the tools that architects can easily use at the early stage of design are not common. Furthermore, studies on how to use them more effectively in the design process are also insufficient.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design process that integrates generation and analysis as an alternative. The study has developed the daylight performance based design tool and has conducted case studies of six architects in order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design process that integrates generation and analysis. This research compares the four different design processes: 1) only using generative design tool 2) only using analytical design tool 3) using both generative design tool and analytical design tool 4) not using any design tool The case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design, the performance, and the thought process of the architects based on the four design processes. The case stud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based design process that integrates generation and analysis on the architectural practice. The study has two parts: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tool and the case study. Chapter 3 discus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enerative atrium design tool based on the daylight performance. Formal parameters for an atrium have been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tool is designed to be used in the early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erefore it requires only few input data. The tool is then verified by the existing dayligh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DIVA for Grasshopper. Chapter 4 discusses the case studies of the six architects experimenting with the four different design processes; the design process using a generative design tool, the design process using an analytical design tool, the design process using both generative and analytical design tools, and the design process not using any design tool. The case studies reveal how these architects use the generative atrium design tool based on the daylight performance in their design processes. The study analyzes the designs that results from the four different design processes and finds the changes in the design, the performance, and the thought process of the architects. The study has developed a design tool based on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from architect’s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has proposed a design process that utilizes both the generative design tool and the analytical design tool, and has confirmed its usefulness through the case studies. In conclusion, the generative atrium design tool based on the daylight performance developed through the study can be combined with othe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tools. Then, it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e tool is an open source project developed with this possibility of expansion in mind. Therefore, future researches should focus on this aspect of possibility. 최근 들어 다양한 환경성능 분석 도구의 등장으로 환경 성능분석 과정을 설계에 결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환경 성능기반의 건축이 실무에 적용되는 데 있어서 아직은 기초적인 단계에 있지만, 건축계를 이끌어가는 주요 건축가를 중심으로 점점 확산되고 있으며, 향후 건축계 전반에 이로 인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생성과 분석을 결합한 환경 성능기반의 설계 프로세스가 건축 실무에 적용될 때, 그것이 건축가와 그가 하는 설계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 성능기반의 생성형 설계 도구를 개발하고, 건축가가 이를 활용하는 사례 연구를 통해 생성과 분석을 결합한 프로세스가 설계 실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건축 설계 과정에서 초기 단계에 이루어지는 형태의 생성과정에 환경 성능분석과정이 결합될 수 있다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아울러 형태 생성과정에 환경 성능분석과정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설계안의 내용적 변화와 성능적 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건축가의 생각 변화를 알아보았다. 현재 보편화된 환경 성능기반의 설계 도구는 건축가가 만든 설계안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분석형 설계 도구이며, 이는 만들어진 디자인의 환경성능에 대한 검증 도구로 활용된다. 하지만, 이 도구가 많은 디자인 정보를 요구하고 형태 생성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 탐색의 도구로는 활용될 수 없다. 대다수 건축가가 디자인과 환경성능 간의 결합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건축가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설계 도구는 보편화 되어있지 않으며, 이를 설계과정에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생성과 분석을 결합한 환경 성능기반의 설계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생성과 분석을 결합한 환경 성능기반의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유용성 검증을 위해 일조 성능기반의 생성형 설계 도구를 개발하고 실무에 종사 중인 건축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설계 프로세스를 비교하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생성형 설계 도구만을 활용할 때, 분석형 설계 도구만을 활용할 때, 생성형 설계 도구와 분석형 설계 도구를 함께 활용할 때, 그리고 그 어떤 도구도 활용하지 않을 때와 같이, 총 네 가지 경우를 비교 분석하여 설계의 내용적 성능적 차이를 밝히고 사례 연구를 통한 건축가의 생각 변화를 분석하여 설계 프로세스에 따른 건축 실무상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3장의 설계 도구의 개발과 4장의 활용 사례 연구로 나누어진다. 이를 각각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장에서는 아트리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형태변수를 설정하고 간단한 정보의 입력만으로 쉽게 활용이 가능한 일조 성능기반의 아트리움 설계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계 도구는 기존의 분석형 설계 도구인 그래스하퍼용 디바(DIVA for Grasshopper) 를 활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4장에서는 실무에 종사 중인 건축가를 대상으로 생성형 설계 도구를 활용하는 설계 프로세스, 분석형 설계 도구를 활용하는 설계 프로세스, 생성형과 분석형 설계 도구를 함께 활용하는 설계 프로세스, 그리고 환경 성능기반의 설계 도구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설계 프로세스를 비교하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건축가가 일조 성능기반의 아트리움 설계 도구를 활용하여 설계를 진행하는 과정을 다른 설계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물을 분석하여 설계 프로세스에 따른 내용적 성능적 차이를 밝혔으며, 건축가의 생각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성능 분야 전문가가 아닌 건축가의 관점에서 환경 성능기반의 생성형 설계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생성형 설계 도구와 분석형 설계 도구를 함께 활용하는 생성과 분석을 결합한 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일조 성능기반의 아트리움 설계 도구와 다른 환경 성능분석 도구가 연동된다면 건축가에게 유용한 설계 도구로서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일조 성능기반의 아트리움 설계 도구는 이러한 유용성과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파급효과 및 확장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향후의 연구는 이러한 확장성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 고등학교 과학 화학반응속도단원에 제시된 그래프에 대한 교사의 설명 유형과 학생의 이해 유형 분석

        이태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화학반응속도 단원에 제시된 온도와 촉매 관련 그래프에 대한 교사의 설명 유형과 학생의 이해 유형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과학 화학반응속도 단원을 가르친 화학교사 20명과 A광역시에 소재한 J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과학을 배우는 1학년 학생 120명이었다. 설문지를 교사용과 학생용으로 각각 작성하였고 설문을 보강하기 위해 비구조화 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운동에너지에 대한 입자수 분포 그래프에서 시간에 따라 입자수가 변하는 어느 한 순간의 그래프임을 인식하지 못해 여러 오개념이 형성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세로 좌표 값인 입자수를 그래프 아래 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는데 이는 그래프 자체 해석의 문제점보다는 유사한 상황에서 배운 것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교과서의 내용 설명방식이 학생의 오개념 형성의 한 원인으로 보이는데 교과서에서 반응이 일어날 조건으로 에너지만 다루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충돌이 화학 반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교사는 거의 설명을 하지 않았으며 학생 또한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또한 한 개의 그래프에서 두 변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각각의 그래프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르게 인식하였다. 1학년 과학 교과서에 화학 에너지 개념을 다루는 부분이 없으므로 학생들은 그래프에 나오는 발열반응, 흡열반응, 반응열 등의 에너지 관련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정반응에 비해 역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에 대한 이해정도가 낮은 이유를 교사들은 활성화 에너지 이해의 부족이라기보다는 학생의 가역반응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보았다. 이는 실제 1학년 교육과정에서 과학교과서에 다루는 화학반응이 주로 비가역반응이므로 가역반응에 대해 접할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로부터 온도와 반응속도 그래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그래픽 자료가 몇 단계 교과서에 제시된다면 그래프의 전반적인 입자분포 변화를 이해하는 동시에 반응 가능한 입자수의 증가가 생성물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과학개념 형성에 도움을 줄 것이다. 촉매사용에 따른 반응속도 변화를 설명 시 앞의 운동에너지와 입자수 그래프를 연관시켜 설명하며 1학년에서 적절한 개념의 도입으로 개념누락으로 인한 오개념 형성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emistry teachers' explanation type and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graph chemical reaction rate.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difficulties the students experience, the concepts of the students who studied chemical reaction rate in high school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e concepts of the teachers. For this study, 20 chemistry teachers who are studying in the graduation school and 120 high school students who study high school science were selected.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put in operation with questionnaire about the influence by temperature and catalyst on chemical reaction rate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graphs shown in chemical reaction rate chapter. Then they were interviewed for their responses freely.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and chemistry teachers have low understanding about particle distribution of molecular speeds by temperature. Also students don't recognize the change of particles per unit time. Students didn't know the reason why those particles represented by the area on the left of the activation energy don't react. Students and even teacher's don't recognize exactly the meaning of collision.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higher the temperature becomes, the faster the reaction rates get, almost 90% of the teachers answer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very energy particles with greater energy than the activation energy. But the students tend to think of the greater frequency of collision as the reason of that. In case of students, especially the concept that the increase of chemical reaction rates is not equal to that of products amounts was th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Only 27.5% of the students could recognize that catalysts lower the activation energy in this graph. This is related to that they focus on only temperature variables, ignoring other variables shown in this graph. Connecting graph Ⅱ-1 with graph II-2 makes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catalysts and the velocity more exactly. The reason wh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reverse activation energy is that they haven't learned the concepts about reverse reaction. So teachers need to introduce this concept. It will be very help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Catalysts and reaction rates by connecting graph Ⅱ-1 with graph Ⅱ-2. The results indicate that if graphic data are presented by stages per unit time in the science textbook, it will be very help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graph. Also, teachers should introduce proper concepts irrespective of grade to explain what graphic data mean.

      • 디지털치료기기 특성을 고려한 국가R&D사업 지원정책 개선방안

        이태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치료기기는 비용효과성이 높고 기존 방법으로 치료나 관리가 어려운 질환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세계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 독일, 영국 등 주요국은 디지털치료기기산업 육성 및 시장선점을 위해 전주기 지원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 중이다. 우리나라도 先출시, 실사용데이터 기반 後평가 등 규제개선과 R&D사업 투자확대 등 주요국들과 유사한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수가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실사용데이터 수집단계의 지원제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인허가 이후에도 실질적 사업화를 위한 추가적인 R&D수행이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업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국가R&D사업 성과물이 사장될 우려도 있다. 이에, 해외 주요국의 지원제도 비교 및 우리나라 국가R&D사업 지원현황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치료기기 특성을 고려한 국가R&D사업 지원정책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국가R&D사업 최대 지원범위인 사업화직전 제품인증 단계인 기술준비도 8단계에 혁신의료기술 인증 또는 급여여부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방안 및 혁신의료기술평가 제도의 선별급여를 활용하여 초기제품에 대한 원가수준의 보상체계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수질오염총량제 담당공무원의 의식특성에 관한 연구

        이태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 이후 급격한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해 발생한 수질악화의 문제를 해결하고 물자원을 보전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적ㆍ정책적 노력이 있어 왔으나 농도규제로 수질오염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에 대한 인식이 공유되면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가 도입 되었다. 정부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원할한 시행을 위해 2002년 각 지방자치단체에 수계관리담당직(수질오염총량제 업무 담당공무원)을 두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담당공무원의 경우 공무원 업무 특성상 순환보직으로 인해 전문성 문제 및 제도에 대한 이해부족 및 지방자치단체장의 제도에 대한 참여의식 부족 등 많은 문제들이 지적되고 있고, 경상북도 구미시, 고령군의 경우 수계담당직을 폐지하는 등 본 제도 시행에 있어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에 대한 문제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책집행과 관련하여 집행자들의 의식에 대한 논의가 중요한 이유는 정책자의 정책에 대한 순응 및 불응에 의해 정책집행대상들에게 전달되는 정부서비스나 범위가 일반국민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정책집행자들이 정부정책의 왜곡된 집행으로 인해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지게 하기도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구시 수질오염총량담당자들의 의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질오염총량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질오염총량제에 대한 인식도 및 하천수질개선여부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둘째, 수질오염총량제는 지역개발에 문제점을 제기하는 제도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성에 대해서도 역시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공무원과의 커뮤니케이션(업무협조)이 어렵고 관계담당공무원의 수질오염총량제에 대한 이해가 낮아 업무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질오염총량제는 전문성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체계상 순환보직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문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를 보완해 중 자문기관의 부족 등이 문제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질오염총량 관련 교육의 경우 대부분의 담당공무원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고 교육으로 인해 업무 수행에 도움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참여 기회의 부족과 교육의 질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보전제도인 수질오염총량과 지역개발간의 상생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 둘째, 자문기관마련, 관계공무원의 교육참여, 담당공무원의 인센티브제도 도입, BOTTOM-UP 정책방안을 수립 등 제도적 기반 마련 In Korea, there have been consistent technical, political endeavors to solve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due to sudden industrial advancement and progress in urbanization since the 1960s, and there have been consistent technical, political endeavors to preserve water resources; however, as the recogni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oncentration control in solving the water quality pollution problem began to be shared,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management system' has been introduced. The government mandated each local government to position a member of their personnel to be in charge of the water system in 2002 for the smooth execution of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management system. However, concerning the responsible public officers, many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such as their speciality issue due to the rotation which is general in terms of their duties, the lack of an understanding of the system, and the insufficient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 the system by the local government heads. Also, new problems in public officers in critical charge of the execution of this system are appearing in Goryeong-gun, Gumi-si, Gyeongsangbuk-do, such as the abolishment of a position in charge of the water system. Also, policy-executors are responsible for the decline in reliability of the government due to the distorted execu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persons in charge of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in Daegu Ci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concerning the perception about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system and the realization of the improvement of river water quality,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Second,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system is perceived as a system that proposes problems in local development; thus, respondents were found to not highly feel a need for the system. Third, the communications (cooperation for work) with related public officers were found to be difficult, and the responsible public officers' understanding of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system was low; thus, many difficulties were discovered to follow in their jobs. Fourth, the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system needs specialty; however, their specialty is lacking because their job is subject to rotation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officer system, and the lack of an advising organization to complement this is identified as being another problem. Lastly, with regard to education about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emissions, although most responsible public offic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hey received help in their execution of jobs from their educations, they were found to experience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the qualitative problem i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