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 갈망 유발을 위한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의 개발

        이충헌,석정호,이만홍,이병욱,남궁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 갈망(craving)이란 약물의존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여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만드는 동기적 상태(motivational states)를 일컫는다. 또한, 약물 사용을 중단(abstinence)하고 있는 약물 의존 환자의 재발에 선행하는 유발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 갈망은 어떤 사람이 알코올과 관련된 사물, 환경, 감정에 노출된 때 발생한다. 이러한 자극들을 알코올 관련 자극이라고 하는데, 이중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은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효과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실험실 내에서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을 개발하고,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시각 자극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으로 술을 대상으로 하는 정물 및 상황 칼라 사진 27장을 후보 자극으로 개발한 후 알코올 의존 환자군,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 정상 대조군 각각 20명씩을 대상으로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을 보여주고, 알코올 갈망을 기장 많이 일으키는 자극 6장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알코올 갈망의 정도가 가장 높은 사진에 1위를 주고 그 다음 사진은 각각 2,3,4,5,6위, 그리고 선택되지 않은 사진에는 모두 7위를 주어 각 군에서 가장 순위의 합이 낮은 사진 3장씩을 각 군에 따른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세균을 대상으로 가장 강력한 갈망감을 유발하는 술의 종류, 상황, 복잡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알코올 의존 환자군에서는 '소주가 담긴 소주잔',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 '회식장면 II : 술잔 부딪히는 장면', 정상 대조군에서는 '맥주잔, 병, 안주'를 각각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일으키는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2) 각 군의 시각자극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에 대한 '정물'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고,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 음주에 대한 '상황'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다. 즉,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마시는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아닌 술 자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고,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은 술 자체보다는 술자리의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음주 욕구를 자극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는 알코올 갈망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자극이 사람마다 다양하여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자극에 일관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알코올 의존 환자의 경우는 고전적 과정을 통해 술 관련 자극에 대해 알코올 갈망을 느끼고, 사회적 음주자의 경우는 음주 상황에 대한 기대 또는 기억에 의해 알코올 갈망을 일으킴을 보여준다. 이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기전이 사회적 음주자와 신경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Craving is the subjectively experienced motivational states inducing ongoing drug use in addicts. It also proceeds or precipitates relapse episode in drug addicts. Alcohol craving may be triggered by exposure to an object, environment, or emotion that a person has come to associate with alcohol consumption. Such stimuli are called alcohol-related cues. Among alcohol-related cue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are simple and reliable methods in inducing alcohol crav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in alcoholics. Methods : First, the authors developed 27 alcohol and drinking color photos as candidate stimuli. Then, 3 photos which induce alcohol craving most were chosen a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respectively by alcoholics, alcoholism high risk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he authors compared characteristics, situation and complexity of selected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among three groups. Results : 1) 'A glass of Soju', 'Drinking together' and 'A glass of beer, a bottle of beer and a sidedish' were chosen a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which induce most craving in alcoholics, alcoholism high risk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respectively. 2) Alcohol photo(stationary object) induced craving most in alcoholics in contrast with drinking photo(situation) in social drinkers. Alcoholics clung to alcohol per se, not to atmosphere or situation of drinking, ad alcoholism high risk group felt craving by the expectation of drinking situation. Normal control group showed no consistent finding in choosing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Conclusion :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classical conditioning as psychopathological model of alcohol craving with alcoholics. In contrast with alcoholics, alcohol craving of alcoholism high risk group may be related to alcohol specific memory or positive expectancies about alcohol use. These finding may support different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lcohol craving between alcoholics and social drinkers.

      • KCI등재후보

        A Dissecting Aneurysm of the Common and Proper Hepatic Artery with Dissection of the Celiac Axis and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이충헌,장이찬 대한혈관외과학회 2012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28 No.2

        A spontaneous dissecting aneurysm of visceral arteries without trauma or an iatrogenic cause is rare. We would like to report a case of a dissecting aneurysm of the common and proper hepatic artery with dissection of the celiac axis and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A 55-year-old man presented abdominal pain. In th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an intraabdominal hematoma and a dissecting aneurysm of the common and proper hepatic artery with dissection of the celiac axis as well as the SMA had been found. The size of the dissecting aneurysm was growing in a follow-up CT. We performed a bypass between the right hepatic artery and a celiac artery with a saphenous vein after exclusion of the aneurysm. A bypass graft was occlude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but the patient recovered without major sequelae.

      •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신경인지기능의 손상 - 문제해결 능력과 실행 기능 -

        이충헌,송진관,김지혜,최문종,남궁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다는 것은 이미 이전의 많은 논문들에서 보고 되었으며, 특히 직업 수행능력이나 사회적 대응능력에 중요한 인지기능인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 행기능의 저하가 보고 되었다. 반면, 병적 음주기간이 비교적 짧은 20~30대의 젊은 알코올 의존 환 자에서는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행기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저하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이전의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주중인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신경인지기능의 저하 여부를 알아보고, 환자군의 신경인지기능과 음주관련요 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환자군은 금단기간이 경과한 19세에서 39세까지의 입원 중인 남녀 알코올 의존환자 24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환자군과 나이, 성별, 교육수준을 맞추어 짝짓기 표본으로 선정한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음주력, 그리고 Beck’s Depression Inventory,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를 통해 대상 군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대상군의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Wechsler Memory Scale-Revised 중 일부 소검사,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중 Block desig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등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32세의 평균연령을 가진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 및 기억능력, 문제해결능력, 추 상적 추론능력 및 실행기능 등의 인지기능의 유의한 저하가 관찰되었다. 환자군의 일부 인지기능 검 사에서 평생음주기간 및 평생음주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이전 보고와는 달리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도 만성 알코올 의존 환자와 마찬가지로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행기능의 저하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들 도 신경인지기능의 손상으로 인해 직업적 수행 능력 및 사회적 대응기술능력의 저하, 이로 인한 사회적 고립에 빠질 수 있으며, 알코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 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질환의 조기 발견, 조기개입과 재활 및 향후 치료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bjectives:The decline in general neurocognitive functions of alcoholic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especially in the area of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which are important for occupational performance or adaptation to enviroment. On the other hand, young alcoholics under the age of 40 with relatively short duration of problem drinking were reported of no significant decline in neurocognitive functions consisting of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neurocognitive functions around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in abstinent young alcoholics. Methods:24 male and female alcohol dependent patients from the age of 19 to 39 years, who were detoxified in the hospotal were recruited as subjects. Normal control group of 20 males and females who matched for age, sex, educational level were select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demographic variables, alcohol his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and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Also, subtests of Wechsler Memory Scale- Revised, Block design from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subjects’ neurocognitive functions. Results:Compared to normal controls, significant decline in neuro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were observed in young alcohol dependent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32. Parts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uration of lifetime drinking and lifetime alcohol consumption. Conclusion:This study shows that, unlike previous reports, decline in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occur in young alcoholics as in chronic alcoholics. This implies that young alcoholics can experience difficulty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adaptation to environment, and may be less responsive to treatment due to neurocognitive da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icate the importance of early identification, intervention, and planning therapeutic strategies in young alcoholics.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폰 내장 센서와 SimilarNet을 이용한 보행자 방향 감지

        이충헌,최원익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3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9 No.6

        본 논문에서는 SimilarNet을 이용한 1:1 비교 기법을 시계열 분석에 적용한 보행 상태 추정 모델을 제안한다. SimilarNet은 1:1 비교에 특화된 모델을 설계하기 위한 딥러닝 레이어이며, 이를 응용하면 시계열의 분류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안 모델은 SimilarNet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라 분류된 센서 측정 데이터와 현재 시점의 센서 측정 데이터를 1:1로 비교하여 사용자 보행 상태를 추정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동일한 임베딩 모델을 사용한 기존 분류 모델보다 44.11% 향상된 정확도와 기존 모델보다 30% 우수한 학습 성공률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destrian walking state estimation model using SimilarNet. The SimilarNet is a deep learning layer to perform the one-to-one comparison operation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time-series classification. Using the SimilarNet, the proposed model estimates the user's walking state by comparing sensor measurement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state with sensor measurement data at a specific time point. Extensiv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achieves a 44.11% improvement in accuracy and a 30% higher learning success rate compared to classification models based on the same embedd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