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톤 체호프 장막극의 무대 해석에 대한 연구(1) -홍해성, 이해랑, 이진순의 연출 작업을 중심으로

        이진아 ( Chin A Lee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6

        본 연구는 한국연극에서 안톤 체호프 장막극의 무대 해석의 역사를 고찰한다. 한국연극사에서 체호프 공연사를 살피는 일은 다음의 두 가지점에서 중요하다. 첫째는 사실주의 연극의 확립과 극복의 문제이다. 둘째는 체호프의 동시대적 해석의 문제이다. 체호프는 한국근현대연극사에서 근대연극, 리얼리즘 연극, 연출론과 연기론의 정석과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 이 점에서 식민지 시대의 대표적 연출가 홍해성, 한국 리얼리즘연극 시대의 대표적 연출가 이해랑, 이진순도 예외는 아니었다. 홍해성은 최초의 근대적 연출가로서 체호프 작품을 통해 조선 극계에 신극을 수립하고자 했다. 사실적인 무대를 구현하고 근대적 연기술로 역할을 형상화하는 배우들로써 근대극이란 무엇인가를 조선의 관객에게 보여주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 연극의 현실을 극복하고 그의 꿈을 이룬다는 것은 그리 녹록치 않았다. 한편, 그에게 있어서 <벚꽃동산>은 구시대 지식 계급의 몰락과 신흥 세대의 등장을 애잔한 어조로 그린 작품으로, 당대의 일반적 해석이었던 ‘분위기의 연극’ ‘애수의 연극’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로서의 현실이 이를 더욱낭만적이고 감상적으로 만든다. 해방 이후에도 ‘애수’ ‘시정’ ‘분위기의 연극’이라는 체호프에 대한 이해는 크게 바뀌지 않는다. 이해랑이 이해한 ‘분위기’는 어떤 의미에서는 상징적이고 이미지즘적인 것이었다. 그의 시적 정서는 모든 것을 무대위에 가시적으로 다 드러내지 않은 것, 그리하여 대사로 전달되지 않은 것을 관객이 포착하고 이해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었다. 반면 이진순의 연출은 훨씬 외향적이고 과감한 것으로, 인물의 심리나 관계도 시각적으로 미장센을 통해 드러내기를 원했다. 그는 관객이 더 쉽고 분명하게 체호프의 세계에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대중적 감각으로 체호프를 무대화 했다. 홍해성으로부터 이해랑, 이진순에 이르는 체호프 해석은 어찌 보면최초로 식민지 조선에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온 체호프의 무대 해석, 즉모스크바 예술극장과 스타니슬랍스키의 해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것이다. 물론 그들의 성취나 궁극의 해석은 스타니슬랍스키와도, 또 그들 서로 간에도 같지 않았다. 연출가들이 몸담은 시대와 연극적 요구, 그리고 개인의 미적 취향과 기질이 서로 다른 체호프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러나 예술극장식 체호프, 심리적 사실주의의 체호프, 시정과 분위기의 체호프 연극에 대한 관념적 지향을 세 연출가 모두 그리 쉽게 떨치지는 못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stage interpretation of Anton Chekhov’s full-length plays in the Korean theatre stage. Studies on the impact of Chekhov on modern Korean theatre usually focused on introductions, but assessments on the achievements of individual performances and the aesthetic accomplishments have been dealt with relatively less. The performance history of Chekhov is closely related to the following three areas, which are also key issues of Korean theatre histor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issue of the realism interpretation of Chekhov’s drama that became the canon for interpretation of Chekhov’s stages after the premiere of <Seagulls>, which was directed by K. Stanislavsky at the Moscow Arts Theatre. The second is the issue with the era-based reinterpretation of classics. In the modern historic context of Korea, it could be said to be an issue of the status of the writer named Chekhov, change of interpretation, and an era-based issue of Chekhov``s dramas. Chekhov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interpreted writers in Korean theatre. The history of interpreting Chekhov can be divided into the time when modern theatre first began to become established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era when realism and psychologism theatre began being established through Chekhov after gaining independent, and the era when Russian students began to appear en masse in the Korean theatre world in the mid to late 90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is study deals with Chekhov stage interpretation up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most celebrated directors at this time were Hong Haesung, Lee Haerang, and Lee Jinsun. The interpretation of Hong Haesung’s <Cherry Orchard> is shown through the words of the director and translator Ham Daehun. They interpreted this as a piece depicting the fall of the old intellectuals and the appearance of new forces in a bittersweet tone. It shows strong influence of Stanislavsky that passed through Japan, and ‘theatre of mood’ is set as the key to the interpretation of Chekhov. Lee Haerang and Lee Jinsun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called the establishers of realism stage production, but their disposition are very different. While Lee Haerang pursued realism of moderation and the inner side, Lee Jinsun pursued the dramatic and the visualization of inner psychology of characters through mise-en-scene and dramatic expression. They agreed that theatre is an art of actors and because of this, they reproduced Chekhov throughout their entire career, but their organic differences made stages with different Chekhovs.

      • KCI등재

        중국의 녹색건축 평가표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진,이기영 한중사회과학학회 201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1 No.4

        隨着經濟的迅速發展,中國的城市化進展、房地産市場擴張的速度也근着加快了。其過程中發生了衆多問題,比如能源和資源量費、環境汚染,忽視人們居住環境的住房品質等。這些問題會影響而進而阻碍中國城市化的可持續發展。中國能源耗費和環境汚染總量中開發建筑物過程中産生的比重爲約30%,具有相當大的比重。最近各國對世界保護環境和節約能源的呼喚越來越高,中國也不例外。因此中國政府也非常重視中國城市化過程中會産生的這些問題的解決方法。中國政府在2006年制定而實施了綠色建筑評价標准。該標准由六大領域項目二構成,每個項目再細分化爲幾個小指標。本文進行了關于中國綠色建筑評价標注的試探性的硏究。首先比較了主要發達國家和中國的綠色建筑的槪念,再考察了評价標准的決定主體、決定的整個流程,具體的各個標准指標。然后分析了中國綠色建筑評价標准的成果和該彌補的地方。目前爲止,中國綠色建筑標准實施的時間較短,沒有有統計數据,因此只分析了潛在性的成果,實際上成果評价還需待一段時間。本筆者認爲該指標還需要關于交通、環境的更加具體的詳細規定,還需要考慮可以引發房産企業積極性的經濟上的優惠,最后得提高房産企業的關聯技朮水平的提高。本文的不足之處是分析關于綠色指標的成果方面,因爲中國資料上限制,只進行了分析間接的、潛在性的成果。隨着時間的推移,關聯數据和紀錄的積累,還需要進行更加深一步的分析。

      • KCI등재후보

        바이마르 의회주의의 위기와 보수주의의 헌법정책적 대응

        이진일 한국서양사연구회 2009 서양사연구 Vol.0 No.40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was never a constrained process of historically predominated. As a consequence of world economic crisis since 1929 increased the hardship of the democratic parliamentarian system, and the nomination Hitlers to the German Chanceler had been underway behind the process of deparliamentarisation. It was not sudden, but a gradual transformation. These years are the grounds for the collapse of republic and the political alternative to Hitlers designation discussed anew. In this center of alternative-discussion stand the constitutional problem. The fate of Weimar was combined closely with the Weimar constitution and especially with the emergencystate of article 48. Through this article could change the republic to the authoritarian state. Carl Schmitt (1888~1985), one the most controversial juristprudence and powerful protagonist in Germany, has analysed the decay of Weimar liberal democracy and its anti-liberal concept. He concretized his political ideas with friend-foe principle. He criticized the pluralistic principle and the coalitionstactic of Weimar party-system and proposed as an alternative a ‘total state’ under the autority of the republics president. With the deprive of parliamentarian power will he build up a autoritarian presidential system. Hindenburg, Schleicher and the industrial right wing wanted a more despotic mode of governing than the fragile multi-party ststem. For that Carl Schmitt saw the last chance to reserve the republic and the only way out from the state crisis. For him was to infringe the part of constitution a smaller evil than their total elimination after all.

      • KCI우수등재
      •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 및 기피요인 수준 연구

        이진일,김광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2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experience and factors of teachers avoiding being placed in inclusiv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avoiding, in-depth interviews with 6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schools under G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while the questionnaires of 369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analyzed to study the factors of avoiding.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llenges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face were classified into 66 terms under 21 heads in 5 categories. Second, levels of the factors of teachers avoiding being placed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recognized like that on the top level was 'Teaching and learning' followed by 'Educational guidance', 'Teacher's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and finance', and 'Human relations'. Third, the level of avoiding by group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training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in every category. In the category of Teacher's mental health, it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clusive classrooms in Teaching and learning category. For successful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needs for ‘the arrangement of experienced teacher in inclusive classroom’, ‘cultivating experts in inclusive class, such as head teachers and master teachers’, ‘providing with opportunities for ongo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rea of inclusive education’, ‘cooperation with regular teachers or main groups in education with their active interest for educational guid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searches on mental health of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policy supports’ we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 및 기피요인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기피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 연구에서는 경기도 G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통합학급 담임교사 6명을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기피요인 수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에서는 경기도 G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 통합학급 경험교사 36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은 5개 영역, 21개 범주, 66개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요인 수준은 교수·학습 요인이 가장 높은 기피수준을 나타냈으며, 생활지도, 교사의 정신건강, 행·재정, 인간관계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피요인 수준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특수교육 관련 연수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정신건강 요인에서는 성별에 따라, 교수·학습 요인에서는 통합학급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를 토대로 성공적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경력교사의 통합학급 배치, 통합학급전문 부장교사나 수석교사 등의 통합교육 전문가 양성, 통합교육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 및 실질적 혜택과 지원, 장애학생 생활지도를 위한 일반교육 주체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 통합학급 담임교사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토지문제와 경제질서

        이진순(李鎭淳) 한국부동산연구원 1994 부동산연구 Vol.4 No.1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의 약화요인으로 고금리, 고임금, 고지가, 그리고 사회간접자본의 부족으로 인한 높은 유통비용 등 (여러가지가 거론 된다. 이들 요인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주가적 부동산 투기붐에 기인한 바 있으며 크다. 따라서 높은 국제경쟁력을 갖춘 선진경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토지문제의 해결이 우선과제이다. 여기서는 토지문제의 발생원인은 1960년대 이후 정부주도형 경제개발 과정에서 형성된 중앙관리경제질서와 그 제도하에서의 지대추구가 누적적으로 결합된 산물로 보고, 중앙관리경제형태적 요소가 형성되고 강화되는, 역사와 그 과정에서 지대추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를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토지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본대책으로서 첫째, 전면적인 경제질서의 개편, 즉 자유경쟁과 자기책임원칙에 의한 경쟁적 가격기구의 확립을 위하여 경쟁질서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토지시장을 왜곡시키고 있는 각종 규제를 철폐하고, 시장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지관련제도를 정비할 것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생존공간’(Lebensraum)과 ‘大東亞共榮圈’ 담론의 상호전이 -칼 하우스호퍼의 지정학적 일본관을 중심으로

        이진일 한국독일사학회 2015 독일연구 Vol.- No.29

        Das Wort Geopolitik wurde erstmals im Jahre 1899 durch die schwedische Politikwissenschaftler Rudolf Kjellen benutzt. Geopolitische Institute an der Universitäten bietet die Vorträge und Seminare űber Geopolitik. In der Mitte der Diskussionen um die Geopolitik in Weimarer und NS Zeit steht ein Mann, heisst Karl Haushofer. Geboren im Jahre 1869, wurde er Offizier und diente als deutscher Military Beobachter in Japan 1908-1910, wo er nachhaltig Bewunderung für die räumliche und geopolitische Scharfsinn Japans erwerben konnte. Haushofer vereinte zwei der dominanten rhetorische Aspekte der Weimarer geopolitischen Denkens, nȁmlich als eine akademische Wissenschaft und als rassistische Mystik. Für deutsche Geopolitikers war die Ungleichheit der Verteilung der Lebensraum unter den weltweit großen Nationen ungerecht. Haushofers geopolitische Überzeugungen und geopolitisches Grundsätze führte ihn zu den Nationalsozialisten als die Verkörperung einer Regierung und in ihre Außenpolitik liess mit Nachdruck willkommen. Als 20er Jahre Japan die deutsche Geopolitik importierte, spielte seine Haupthese als Grundlage der “Grossostasiatische Wohlstandsspȁhre.” 1920년 이후 새롭게 강조된 공간에의 관심은 ‘지정학’ (Geopolitik/geopolitics)이라는 하나의 분과학문으로 발전한다. 지정학은 1차 세계대전 이후 제국주의적 팽창에 따른 지역 중심의 문명담론, 각 지역 혹은 대륙을 중심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판-운동(Pan-Bewegung) 등 지역에 대한 지리적 관심과 관련을 맺으며 국경을 넘어 전개되는데, 이러한 지정학 담론을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Lebensraum’ (생존공간) 과 ‘대동아공영권’ 개념이다. 양 개념 모두 1920년대 처음 만들어진 것은 아니면서 이후 점차 구체화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전자가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통해 실현의 단초가 만들어지게 된다면, 후자는 1940년 일본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면서 실현의 과정으로 들어간다. 전자가 독일과 동부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면, 후자는 일본과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양 개념 사이에는 독일인 지리학자 칼 하우스호퍼(Karl Haushofer, 1869-1946)가 있어서 그를 매개로 국가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개념간의 주고받음, 전유, 상호 발전, 변화의 추동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본은 사회과학 이론과 전통적 동아시아관들이 합쳐진 형태의 ‘동아신질서’, ‘동아협동체론’, ‘동아연맹론’에 이어 ‘대동아공영권’론 까지 만들어 내었지만, 그 속에서 하우스호퍼의 지정학적 세계관은 지속적으로 중심축을 구성하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Lebensraum’ 이나 ‘Geopolitik’과 같은 지정학 개념뿐 아니라, ‘게르만 신질서계획’ (Germanische Neuordnungspläne)을 바로 뒤집은 ‘동아 신질서’ 등 많은 독일의 지정학 용어들이 ‘대동아공영권’ 논의 이전에 이미 수입되었으며 정치적, 학문적 용어로 통용되었다. 하지만 ‘대동아공영권’ 논리가 그래서 곧 히틀러의 ‘생존공간’ 개념의 직접적 모방, 혹은 수입품이라고 할 수는 없다. ‘대동아공영권’ 논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구성해 낸 다양한 제국주의적 지배와 식민의 논리들이 모두 흘러들어가 모인 거대한 담수호와 같다. 그는 왕성한 지적 생산력을 가졌고, 복잡한 현상을 단순하게 정리함에 능했다. 사람들과의 관계에 사려 깊었고, 넓게 세계를 보고자 했지만, 도가 넘은 민족주의자였다. 일본에 대한 일방적 편애에서 나온 일본의 군사력과 국력에 대한 과대한 평가와 앵글로색슨에 대한 일방적 혐오는 그의 지정학을 비이성적, 과거 회귀적으로 이끌었다. 그가 독일사회에서, 또 국제적으로도 강한 영향력을 소유한 학자였음에는 분명하지만, 그것이 폄하던 영웅화던,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그에 대해 부풀려 평가되어 온 부분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교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