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

        이진옥 배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들어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와 인식이 확대되면서 교사의 전문성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영아기는 성인의 도움에 의존하게 하므로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자질을 함양하여 보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맞춤형 수업컨설팅을 실행하면서 교사의 요구 내용을 분석하고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 후 영아반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 후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약 7개월에 걸쳐 만1세 영아반 교사 한 명을 대상으로 총 8회기에 걸쳐 수업컨설팅을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수업컨설팅의 주제와 내용은 수업컨설팅의 실행과정에서 교사의 의뢰에 의해 발현되었다. 수업컨설팅에서 연구자가 한 컨설턴트의 역할은 자신의 문제를 깨닫게 하는 성찰조력자, 교사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경청자, 정서적 공감자, 교사의 내면을 드러내게 하는 상담자, 긍정적인 교사 평론가, 아이디어 제안자의 역할을 하였다. 실행연구 절차는 준비, 진단, 실행, 마무리의 단계를 거쳤고, 8회기의 실행단계 동안 문제해결 방안 협의, 적용, 재실행, 평가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쳤다. 회기별 실행 과정에서 컨설턴트의 조언, 수업 후 저널 작성, 참여관찰, 심층면담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교사의 요구에 의한 수업컨설팅을 진행하면서 경력 교사임에도 영아반을 처음 경험하여 초임교사와 같은 연구참여 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적이고 소소한 부분까지 조언하였다. 총 8회기의 실행 과정을 거치면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을 실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단계는 4단계 수업컨설팅 모형으로 구현하였다. 수업컨설팅 모형은 교사가 컨설팅 내용을 의뢰하면 참여관찰, 면담, 수업영상, 계획안 자료 등에 기초하여 문제점을 확인하여 문제해결 방안을 협의하고 교사가 문제점에 대해 해결방안을 적용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 둘째, 영아반 교사가 요구한 수업컨설팅 내용은 8회기에 걸쳐 실행하였는데 영아보육계획 및 운영, 영아발달의 이해, 영아와의 상호작용, 생활지도, 영아 교사의 역할, 놀이의 참여 및 확장, 영아를 위한 물리적 환경 조성 그리고 동료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것이었다. 셋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 후의 교사의 변화는 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의 변화와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변화가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의 변화로는 영아의 발달을 이해하여 대처할 수 있는 안목이 생겼고 자신을 되돌아보는 반성적 사고를 통해 좋은 수업에 한 발 나아가게 되었다. 위와 같은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을 통한 교사의 정서적, 전문성 측면에서의 성장은 교사와 영아가 모두 행복한 교실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로는 영아발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연령에 따른 발달과정, 행동 특성을 잘 파악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의 확장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자연스럽게 영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영아교사로서의 신념이 강해지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영아의 특성을 이해하는 과정에 대한 교사교육은 일회성으로 끝나서는 안되며 영아반 교사에게는 유아반 교사와는 다른 영아발달 특성과 일과운영에 대한 수업컨설팅이 적극적이고 더 친밀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교사교육이 개별 맞춤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영아반을 처음 경험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영아반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맞춤형 수업컨설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과『경제』교과서의 이독성과 학습자의 이해양상 분석

        이진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과에서 교과서는 학습자들에게 교과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바깥세상과의 연결고리를 찾고,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비판하는 능력까지 함양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사회과 교과서의 이러한 기능과 역할이 온전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재의 개발과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교과서 선정 과정을 보면 치밀한 기준 밑에 접근되지 않는 경향이 짙다. 교과서를 선정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겠지만, 특히 주목해보아야 할 것 가운데 하나가 교과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가능성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사회교과서, 그 중에서도 특히 많은 정보와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제』교과서 3종을 선택하여 ‘시장실패’와 관련된 단원을 사례로 이독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독성 특정 방법은 Cloze 검사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별로 이독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독성의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이해양상에서 독특한 특징이 발견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독성에서 차이가 나는 두 지문을 학업성취도와 Cloze점수가 유사한 3명의 학생들로 하여금 Think Aloud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프로토콜을 분석한 결과, 이독성이 낮았던(읽기 어려운) 지문에서 사실적 이해의 반응이 각각 68%, 71%, 54%의 비중으로 세 학생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추론적 이해나 비판적 이해의 경우는 학생별로 독특한 특성을 찾아내기 어려웠다. 하지만 지문별로 보았을 때 이독성이 낮은 지문에서 사실적 이해의 반응 비중이 높았고, 이독성이 높은 지문에서는 추론적 이해와 비판적 이해의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지문의 이독성과 이해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hink Aloud의 반응들 중에서 이해의 어려움에 대한 단서가 되는 반응들(미이해, 질문하기, 이해상의 오류)의 비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독성이 높은 지문에서 이해에 곤란을 더 크게 겪고 있는 학생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지문을 선택해달라고 요청한 결과에서도 이독성이 낮은 지문을 이해하기 쉽다고 대답한 학생이 세 명 중 두 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독성과 지문의 이해도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없고, 읽기 쉽다고 하여 이해하기 쉬운 지문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Cloze점수가 지문의 이해도를 반영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학습자의 특성에서 보면, Cloze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거된 어절의 앞뒤 단어뿐만 아니라 문장, 문단, 전체 지문의 범위를 살펴보아야하는데, 학생들은 빈칸에 정답을 넣기 위해 주로 단어나 문장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지문의 특성에서 보면, 이독성이 높았던 B지문은 단락별로 새로운 개념이 제시되고 완결되는 느낌이고 A지문은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이어지는 느낌이라고 학생들은 진술하고 있었다. 학습자가 지문을 이해하는 시야가 좁은 상황에서는 단락별로 완결되는 느낌이 강한 B지문에서 Cloze검사가 더 쉽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지문 전체로 보았을 때는 학습자에게 더 많은 정보들이 주어지는 것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이해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비록 Cloze 검사로 지문의 이해도를 완벽하게 측정할 수는 없었지만, 본 연구가 사회교과서를 제대로 이해하고 선택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지문의 이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살펴보는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세 명의 사례 학생들이 어떤 부분에서 이해의 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왜 오류를 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이 이해의 오류를 범하는 경우는 지문 자체에 있다기보다는 학생의 배경지식의 부족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문의 특성 중 이해도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주요 요인으로는 문장의 길이, 글의 구조, 지문의 제목, 사례로 든 예시 등과 같은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예컨대, 학생들은 문장은 짧고 간결하게 하여 지나치게 많은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전체 주제와 하위 주제가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형태로 지문을 구성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지문의 제목은 내용을 충실히 반영한 형태를, 예시로는 학생들의 배경 지식과 어울리는 예를 들어 주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고 했다. 또한 직접적인 문장으로 다음 내용을 예측하도록 유도하는 것보다는 암시적인 예시로 뒤에 따라올 내용을 추론하도록 하는 것이 지문에 대한 흥미를 높여 이해도를 더욱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Cloze점수와 지문의 이해도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독성을 측정한 Cloze검사는 한 학급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산출한 것이고, 지문의 이해도는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세 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표본의 격차가 크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연구를 위해서는 지문 이해도를 분석하는 표본 집단의 크기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 집단을 전체로 대상으로 면담을 시해하기 어려울 경우라면 학업성취도별로 상․중․하 집단을 나누어 표본을 수집하고 연구를 진행해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이진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present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improve their writing skill.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rapidly increase and researches on education of writing in Korean vary. The existing researches deal with a piece of writ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udy th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examines the writing education methods to help to understand which method is better for writing. Chapter 1 deals with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on writing education to discuss the direc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rough this, this chapter finds out varied perspectives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emphasizes paragraphing which is a basic unit for writing but has been ignored so far. Chapter 2 examines theories on paragraphing along with general theor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First, this chapter compare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gene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tudy-purpo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rgues that these two opposite views on writing should be re-considered. This chapter also considers the trend from a formalist approach to socialist one on writing education as well as fundamental theories on paragraphing. Chapter 3 analyzes writing strategies that are used in advanced level textbook and Korean writing textbooks to teach foreign students and paragraphing. The result to analyze the advanced level textbook is that paragraphing is not dealt with as much as other writing areas and no varied writing strategies are presented. The writing textbook also does not present the systematic design for paragraphing and varied writing examples. Chapter 4 analyzes sentence and paragraph errors of students in Korean intermediate and advanced class and presents the efficient way of learning Korean writing. Chapter 5 presents specific paragraphing structures and types previously mentioned as well as process-centered paragraphing education methods based on structures of an explanation text that language learners meet. The class is designed by dividing three steps, pre-writing, writing and post-writing and this process repeats twice. Students are asked to write introduction, the body and the conclusion after learning topic sentence writing, supporting sentence writing, paragraph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pecific method to improve a writing ability of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researches through training paragraphing. To teach systematical paragraphing which is the basic unit for writing training will release language learners' fear for writing and help them increase an ability to complete their tex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최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가 주로 한 편의 완성된 글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아 실제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단 차원에서의 글쓰기 훈련이 완성된 글을 산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쓰기 교육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그동안의 연구 성과물의 방향과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교육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쓰기의 기본 단위인 문단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쓰기 교육의 이론과 함께 문단 쓰기 이론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면서 지금까지 주로 대립적인 시각에서 보아 왔던 점을 개선할 필요를 제기하였다. 또한 쓰기 교육에 있어서 형식주의적인 관점으로부터 사회주의 관점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인 문단 쓰기 이론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통합 한국어 고급 교재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 사용된 쓰기 전략과 문단 쓰기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통합 한국어 고급 교재를 분석한 결과 다른 영역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인 비중이 적었으며 읽기 후 쓰기 단계에 머무르는 등 다양한 전략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이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 전문 교재의 경우에는 문단 쓰기 훈련을 위한 체계적인 단계의 설계가 미흡하거나 예문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 4장에서는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들의 쓰기에 나타난 오류의 양상을 문장과 문단 단위로 분석해 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방안의 틀을 마련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구체적인 문단의 구조와 유형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수학 과정에서 자주 접하게 될 설명 텍스트의 구조를 토대로 과정 중심 문단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크게 쓰기 전과 쓰기, 쓰기 후의 단계로 설정하고 2차시에 걸쳐 진행하도록 설계하였다. 중심문장쓰기, 뒷받침문장쓰기, 문단 쓰기의 과정을 통해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로 이루어진 설명 텍스트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문단 쓰기 훈련이라는 전략을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쓰기 능력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글의 기본 단위인 문단 쓰기 훈련을 체계적으로 훈련해 나간다면 학습자들이 글쓰기에서 가지게 되는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시키고 텍스트를 완성하는 능력의 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숫자 바꾸기와 구조 바꾸기 전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진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숫자 바꾸기와 구조 바꾸기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아에게 숫자 바꾸기(중재 A)와 구조 바꾸기(중재 B) 중 어느 방법이 문장제 해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방법인가를 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 바꾸기와 구조 바꾸기 중 어느 중재 방법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가? 둘째, 두 가지 중재 방법 중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중재했을 때 중재 방법의 효과가 유지되는가? 연구 대상은 인천 A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수학학습부진아 아동 3명이다. 실험은 기초선-교대중재-유지 단계로 개별 학생별로 각각 27~29회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 바꾸기가 구조 바꾸기보다 문장제 해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숫자 바꾸기는 구조 바꾸기보다 이해하기가 더 쉬워 빨리 익혀 적용할 수 있었다. 숫자 바꾸기는 덧셈, 뺄셈, 곱셈 계산을 할 수 있는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이해 능력을 높여 주었다. 식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숫자 바꾸기는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숫자 바꾸기는 수학 학습 부진아의 학습된 전략이 유지되어 문제 해결 과정에서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는 숫자 바꾸기 전략이 구조 바꾸기 전략보다 문장제 해결 능력을 높이는 데 더 효과적임을 입증해 주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수학학습부진아를 지도할 때 숫자 바꾸기를 연습하는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도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changing number and changing sentence structure strategy on mathematically retarded students'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study discovered which method can improve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more efficiently, changing number(Treatment A) and changing sentence structure(Treatment B) to them. To do this, the established subjects are on the below: A. Which method can improve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more efficiently , changing number and changing sentence structure to the mathematically retarded students? B. When I treat more efficiently treatment the treatment's effect maintained? The objects of this thesis are the mathematically retarded 3 students in from fourth grade i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the stages of baseline, alternating treatments, and follow-up, with each student participating in it for 27 to 29 times. With the results above, I can get the conclusions below: First, changing number is more efficient treatment than changing sentence structure to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s improvement. Changing number is easier to understanding than changing sentence structure, so changing number learned quickly and apply it. Changing number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a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of mathematically retarded students who can calculate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It helped them made an algebraic expression and solve problem. So they improved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changing number had significant effect on keeping the mathematically retarded students'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Changing number helped them to keep any learned strategy, which had unambiguous effects on the courses of solving arithmetic sentence problem. This study proved that changing number improved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more efficiently than changing sentence structure. Thus teachers need to offer practice activities for changing number when they teach mathematically retarded student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a series of studies on developing another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enhance their the arithmetic sentence problem solution ability.

      • 메밀 첨가 약주 제조 및 발효특성

        이진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메밀(Fagopyrumesculentum Möench)에는 특히 rutin의 함량이 높아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메밀은 분쇄하여 가루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메밀싹은 생식으로 주로 식용되고 있다. 근래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청주, 약주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건강기능성 주류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전통주가 국내 주류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5%정도로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통약주 고유의 기능성, 맛과 향을 복원하는 동시에 주류 소비층의 기호성을 감안한 새로운 형태의 건강기능성 전통약주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밀첨가 약주의 발효특성 및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 메밀의 생리활성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약주 제조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메밀첨가약주의 발효특성을 측정하여 본 결과 대조군과 메밀첨가 술덧의 주정도는 발효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감소하였다. 특히 2단 담금 4-7일에 알코올 발효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 알코올함량과 환원당 함량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났으며 발효 술덧의 품온도 이 때 가장 높게 나타내어 주정도와 환원당 함량의 변화에 부합되었다. 적정산도와 pH는 발효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2단 담금 1-4일에 산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메밀첨가약주의 quercetin및 ruti함량은 발효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대관3-3> 진안군산> 내몽고산> 대산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주요단어: 전통약주, 발효, 메밀, 메밀싹, rutin, 이화학적 분석 메밀의 종자, 싹, 동결건조싹을 첨가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quercetin 및 rutin 함량은 대관3-3메밀첨가약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rutin함량은 싹을 첨가한 약주에서 높았고 quercetin함량은 종자를 첨가한 약주에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순이었고 대조군에서 검출되지 않은 rhamnose가 메밀을 첨가한 약주에서 미량 나타났다. 유기산은 검출된 8가지 유기산 중citr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의 함량이 높은 편이었다. 아미노산은alanine과 arg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단맛을 내는 alanine, 쓴맛을 내는 leucine, 감칠맛을 내는 glycine과 alanine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깊고 부드러운 맛을 보유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 보다 메밀을 첨가한 약주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대관3-3 메밀싹약주의 페놀 함량이 35,333 ㎎/100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활성은 총 페놀 함량의 경향과 유사하였고 대관3-3메밀싹약주의 항산화능이 99.22%으로 가장 높았다. 메밀의 종자, 싹, 동결건조싹을 첨가하여 약주를 제조하고 발효하는 과정 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와 제조된 약주의 성분분석 및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메밀첨가약주는 대조군에 존재하지 않는 quercetin과 rutin을 함유하고 페놀함량과 항산화능이 대조군 보다 더 높았으며 아미노산의 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필수아미노산도 풍부하였다. 따라서 약주발효과정중의 메밀첨가를 통해 기능성 약주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메밀싹첨가약주는 메밀종자첨가약주 보다 rutin, 페놀 함량, 항산화능, 아미노산 조성이 더 우수하였고 대관3-3 메밀싹을 첨가한 약주가 가장 우수하였으므로 대관3-3메밀싹 첨가한 약주의 기능성이 가장 클 것으로 사료된다.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is regarded as a functional food due to its high content of rutin. Unfortunately, buckwheats are usually processed into a powder and fresh buckwheat sprouts are consumed as an uncooked form. As consumer’s concern on health stirred up the demand for functional strained rice wine such as Yakju, study on functional alcohol has made progress. However, the market share of traditional alcohol is only 0.5% in domestic alcohol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trend of traditional functional alcohol which satisfies the preference of main consumer group and to restore the taste, flavor and fun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conditions of Yakju using different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cultivar as well as different types such as seed, fresh sprout and freeze-dried sprout during fermentation in order to develop a functional Yakju. Consequently, as fermentation went further, alcohol content of Yakju increased while reducing sugar decreased. In particular, the fermentation of alcohol actively changed the content of alcohol and reducing sugar from fourth to seventh day of 2nd mashing stage, which corresponds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titratable acidity, pH steadily increased when acidity kept increasing as fermentation advanced. Rutin and quercetin content of the buckwheat-added Yakju continuously increased in higher order of Daikwan 3-3, Ginangun, Inner Mongolia and Daisan. Moreover rutin had higher content when buckwheat fresh sprout was added while quercetin content was higher when seed was added. The content of sugar showed a sequence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and rhamnose which was not found in control group was detected a little in some samples of buckwheat-added Yakju. Among organic acids detected in the experiment citric, succinic, lactic and malic acids had relatively higher content. As the result of amino acid analysis in buckwheat-added Yakju, alanine, leucine and glycine were found relatively to be higher amount, so that it was expected to have rich and tender taste such as sweet, bitter and savory taste. Total content of phenol was higher in the buckwheat-added Yakju than its control group. In particular, Yakju added with Daikwan 3-3 cultivar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353.34 mg/100g).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buckwheat to Yakju using different types improved the quality of Yakju and set the basis of developing it as a functional Yakju. It was due to detection of rutin and quercetin, excellent composition of amino acid profile as well as profou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higher amount of total phenol, and higher scavenging activity of DPPH radicals. Moreover adding fresh sprout or freeze-dried sprout which the amount of rutin was vitalized through fermentation was functionally better than adding seeds. Particularly, Yakju added with Daikwan 3-3 cultivar’s fresh sprout tha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rutin, total phenol content and scavenging activity of DPPH radicals wa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functional and traditional Yakju.

      • 중도·중복지체부자유아 취학의무 지원체제의 실태 및 보호자 요구 분석 연구

        이진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of the school attendance supporting system for the severe and multiple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parents' needs for the school attendance supporting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the legal base of supporting system of the severe and multiple physical disabilities's compulsory primary school attendance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and the law in force as literature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n ten village offices in Busan and six education offic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nd 92 teachers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in Seoul and Busan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chool attendance supporting system. Collected 97 parents' opinions through questionnaires to analyze parents' needs for supporting the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have no choice but to start their school life without any preparation due to the imminent schedule about school enterance. In the case of severely disabled students, no one guarantee their opportunities for getting an education or returning to school. Moreover,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the duty of school attendance, we don't draw a sharp line between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and those who aren't. In addition, we don't give any special care for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So, we need to require an active guidance and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And the lack of special care or guidance provide by the district of education enforces the parents of severely disabled students to collet the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 attendance for themselves. therefore we have to make the supporting system for those students and parents. Second,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of the parents we need to establish an efficient supporting system and to give enough public information connected to authorities concerned, hospitals, and schools. Schools have to change their point of view about school attendance of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In addition, many measures - convenient facilities, systematic consulting programs, subsidy and life-long education systems for severely challenged students - are required to be taken.

      •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정관념·편견·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이진옥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tudy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Through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measures to address various problems and conflict that these adolescents experience in schools.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Korean adolescent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do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do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 or correlate to school-related factors? Fourth, do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 or correlate to the degree of exposure and experiences they had with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Fifth,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determining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owar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recruited from middle schools in Daejeon wher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ttend as well as schools without these adolescents and one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 located in Goesan area. Out of 594 surveys that were completed by the students, only 524 were used and 70 were excluded in data analyses due to missing or incomplete information. For data analyses,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17.0 softwar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adolescents's scores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er than the median scor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by gender that the male students had more stereotypes and prejudice and felt more distant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e female students. Third-year students reported to have more stereotypes abou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e first-year students. The Students' parents with high school education had the most stereotypes. Third, Korean student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were statistically less for students of teachers with multicultural awareness.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orean students' level of prejudice, indicating that their prejudice may be reduced when they are exposed to mor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In addition, students from regular schools with no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reported to have more prejudice and felt more distant toward these adolescents than thos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students with more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had les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Stereotypes and prejudice were less for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having direct contact with the adolescents than those without and they also felt less distant than those without the experiences. The longer the period of contact, the more contact Korean students had with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loser they felt toward them, the less of stereotypes and prejudice they had as well as less socially distant they felt toward these adolescent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students who were friends with thes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les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han those without these adolescents as frien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media, and having direct contact with these adolesc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se stereotypes and prejudice. Fifth,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younger students, higher multicultural awareness of teacher, having frien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less likely to have stereotypes than their counterparts. Furthermore, students with more exposure to media on multicultural content, having teachers with better cultural awareness, having frien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emale students were also less likely to feel social distance to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um, the findings showed that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the school year had more stereotypes and prejudice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elt more distant to them compared to female and younger counterparts. Furthermore, the amount of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and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se adolescents decreased students' degree of stereotype,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direc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on working with Korean students for their attitude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thes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lead a better life in school, home, and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다문화 환경 속에서 살아나가게 될 우리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들이 학교생활 안에서 겪는 갈등을 해결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청소년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는 유의한가? 셋째, 일반청소년들의 학교관련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 혹은 상관관계는 유의한가? 넷째, 일반 청소년들의 다문화경험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 혹은 상관관계는 유의한가? 다섯째,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5개구에 위치한 다문화가정 학생이 재학 중인 일반학교, 다문화가정이 전혀 없는 일반학교 5개 학교와 괴산지역에 위치한 다문화 연구학교 1개교 등 모두 6개 중학교에서 1, 2, 3학년 학생 594명이 참여하였고, 질문지 조사결과 응답내용이 충실하지 못한 70부를 제외한 총 524부가 최종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 검사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태도 중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 수준은 중간 값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 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고정관념은 3학년이 1학년 보다 높고, 보모의 학력은 아버지 학력이 ‘고졸’인 집단에서 고정관념이 가장 높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의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낮고, 그리고 다문화학생 수와 편견과의 상관은 유의미하였다. 이는 학교에 다문화학생수가 많을수록 일반청소년들의 편견이 낮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이 소속된 학교의 유형에 따른 결과 일반학교의 학생들이 다문화 연구학교의 학생들 보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넷째, 다문화 교육경험, 대중매체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낮았다. 다문화청소년과의 직접접촉경험이 없는 경우 보다 접촉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고정관념, 편견이 더 낮게 나타났고,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접촉경험이 없는 경우 사회적 거리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기간과 접촉정도, 친밀감 수준은 다문화가정 청소년과의 접촉기간이 길수록, 접촉정도가 많을수록, 친밀감정도가 깊을수록 이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또한 친구 중에 다문화가정이 없는 청소년이 있는 청소년 보다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경험, 대중매체경험, 접촉경험 모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이 높을수록, 주변 다문화가정 친구가 있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청소년들의 학년이 낮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의 고정관념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 중 다문화가정이 있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그리고 다문화에 대한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편견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에 대한 대중매체경험이 많을수록,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이 높을수록, 친구 중 다문화 가정의 친구가 있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문화 학생들이 많고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다문화 교육경험과 대중매체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들의 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 내에서 더불어 사는 삶을 가꿀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 실천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