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 ·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과 심리 · 정서적 예측요인

        이지언 ( Lee Ji Yeon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7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아동 ·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발달궤적을 추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 정서적 예측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 본 연구는 잠재성장 모형을 활용하였고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 조사 초등학교 4학년패널 중 3차 년도 (초등학교 6학년) - 6차 년도 (중학교 3학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하년 시점의 휴대폰 의존은 중학교 3학년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의 특성에 따라 휴대폰 의존 발달의 증가하는 양상은 차별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동 ·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 정서적 예측요인을 보호요 인과 위험요인으로 유형화하였고 초기시점과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추이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상이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초기시점의 보호요인은 자아통계력, 학습태도, 성취동기이고 변화율의 보호요인은 긍정적 자아상과 공동체 의식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초기시점의 위험요인은 우울과 공격성이고 변화율의 위험요인은 우울과 사회적 위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아동 ·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상쇄시키고 휴대폰 의존의 조기 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계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youth's cell phone dependency,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predictor variable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LG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3th year to the 6th year(2012-2015) among panel-survey materials for the 4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volving 2,219 students participated in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urvey(KCYP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th's cell phone dependency has increased as advanced a senior grade. On the basis of significance of the mean and the variance of intercept and slope for cell phone dependency, there would be intra individual changes and inter individual differences in cell phone dependency among youth. Second, the protective factors are positive self-image, self-regulation capacity, learning attitude, community spirit, achieve motivation. The risk factors are depressi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학교적응의 예측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지언(Ji Yeon Lee),정익중(Ick Joong Chung),백종림(Jong Leem Back)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most critical variable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youth. In addition, this research assessed the impact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domains. To acquire the effect sizes, published studies between 1990 and 2012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and synthesized by meta-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34 variables which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youth and confirmed that 24 of those variables are significant. The most crucial variable that can influence school adjustment is that of a teacher`s support. The next most important variables are self-resilience,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elf-efficiency. Focusing on the categorized elements, self-resilience is the most critical variable in the individual domain, the parent-child relation is the most crucial variable in the family domain, and a teacher`s support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 the school domai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number of the indispensable components in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youth`s adjustment in school.

      • KCI등재

        따돌림 피해 경험이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언 ( Lee¸ Ji Yeon ),( Miller¸ David B. ),정익중 ( Chung¸ Ick-joo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청소년기 따돌림 피해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간접 효과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생(56.2%)과 고등학생(43.8%), 총 2,306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돌림 피해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정적 또래 관계의 매개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신체적 피해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 효과의 크기가 관계적 피해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따돌림 피해 경험과 학교적응 간 경로에서 부정적인 또래 관계는 학교적응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더욱 심화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따돌림 피해 경험을 가진 한국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을 완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two types of peer victimization (physical and relational)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sample included 2,306 middle (56.2%) and high (43.8%)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plored th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and confirmed the most robust negative mediating factor that influences lower school adjustment in South Korean adolescents: negative peer relation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physical victimization on school adjustment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relational peer victimization on school adjustment. Additionally, our results also shed light on the negative peer relations variable, which can be considered a risk mediator for physically victimized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study concludes that existing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revised to ameliorate maladjustments at school.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지언 ( Ji Yeon Lee ),정익중 ( Ick Joong Chung ),장유다 ( Yu Da Jang ),주영하 ( Young Ha J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와이 조절효과의 성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데이터에서 중 1 패널의 1차년도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폰 의존은 중 1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자아존중감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휴대폰 의존이 낮은 집단과 비교하여 휴대폰 의존이 높은 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아도 휴대폰 의존이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측면을 크게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대폰 의존이 낮은 집단에서는 휴대폰 의존으로 인한 낮은 학교적응을 자아존중감이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고 낮음에 따른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지 않는 반면에, 여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일수록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는 여학생 집단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과 학교적응과의 부정적인 관계가 조절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성별에 따라 영향력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여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gender difference of interac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rst wave of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e included 1,176 boys and 1,175 girl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bile-phone dependency influenced negatively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effect of self-esteem was different conditional on the level of mobile-phone dependency. In the group with low level of mobile-phone dependency, self-esteem could moder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mobile-phone dependency on school adjustment while self-esteem could not affect in the group with high-level dependency. Third,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For girls, self-esteem impa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but for boys, self-esteem did no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 발달궤적의 예측요인

        이지언(Ji Yeon Lee),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4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의 긍정발달의 산물인 학교적응과 부정발달의 산물인 문제행동의 발달궤적을 검증하고 이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2012년에서 2014년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 아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제행동은 증가하고 학교적응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발달궤적에는 개인, 학교, 가족과 같은 다체계의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문제행동 발달궤적은 우울, 소외감, 성취동기와 같은 개인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 발달궤적의 공통 보호요인은 성취동기와 지역아동센터 참여만족도로 나타났고, 공통 위험요인은 소외감과 공격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취약계층 아동의 긍정발달을 증진시키고 부정발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predictor variables of problem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2nd year to the 4th year (2012-2014) of a community child center child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grade went up,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creased while school adjustment decreased. Second, multi-level domains, such as individual, school, and family variables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trajectory, while only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isolation,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influenced problem behavior trajectory. Third, common protective factor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were motivation for achievement in and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Common risk factor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trajectories were isolation and ag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지언(Ji Yeon Lee),정익중(Ick Joong Chung),백종림(Jong Leem Back),Batzolboo Byambaakhuu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7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상이한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아동 ?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동시에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상이한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동시에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의 관련변인을 개인, 가족, 그리고 학교등의 영역별로 분류하여 영역 간 변인들의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적 행동은 개인요인의 기본생활습관, 공감능력, 가족요인 중 어머니의 엄격한 훈육과 부모격려, 학교요인 중 친구지지, 교사지지와 같은 보호요인이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반사회적 행동은 개인요인의 낮은 자아통제력, 우울과 스트레스, 가족요인 중 부모폭력목격, 학교요인 중 학교폭력가해,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 등 위험요인이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의 보호요인으로서의 공통변인은 자아존중감, 부모의 격려와 지도감독, 교사지지, 친구지지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으로서의 공통변인은 우울, 스트레스,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개인, 가족, 그리고 학교 영역으로 유형화한 후 비교해 본 결과, 친사회적 행동에는 가족영역의 변인들이 가장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에 반사회적 행동은 개인영역의 변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장려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지침을 제기하고,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공통 변인에 대한 동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gnitude of standardized effect sizes of 44 variables that influence youth`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using meta-analysis. This study also assessed the impact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domain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f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ffect sizes obtained from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0 to 2013.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ctive factors, such as daily routine, empathy, mother`s strict monitoring,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peer`s support influenced prosocial behavior. The risk factors, such as low self control, depression, stress, witnessing marital violence, school bullying,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s influenced antisocial behavior. Common protective factors betwee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were self-esteem, parents` support and monitoring, teacher`s support, and peer`s support. The common risk factors were depression, stress,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s. Second,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three major domains, variables in the family domain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while variables in the individual domain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antisocial behavior.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for youth welfare were discus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a simultaneous intervention focused on the common factors associated with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o support prosocial behavior and prevent antisocial behavior.

      • KCI등재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 간호사의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분석

        정연옥 ( Yeon Ok Jeoung ),박성철 ( Song Chol Park ),진정근 ( Jeong Kun Jin ),김주영 ( Joo Young Kim ),이지언 ( Ji Uhn Lee ),박순영 ( Soon Young Park ),석소현 ( Sohyune Sok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4 정신간호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during preceptorship. Methods: A qualitative study, using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held with 10 nurses working in urban hospitals. Results: A total of 226 significant statem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and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new nurses’ own performance were responses to reproach - acceptance and apology, and unresponsiveness due to feeling small and uncomfortable; responses to questions - misanswer; responses to directions - unconditional acceptanc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new nurses’ performance by nurse preceptors were kindness, stigmatization, talking behind one’s back, criticism and reproach, impolite words, and emotional expression.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nurse preceptors’s own performance were directives, sympathy, reproach, unkindness, authoritative strictness, and nonverbal expression: being cold, and lessening of tension.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nurse preceptors’ performance by new nurses were response to criticism - recognition and apology for mistakes, evasion of responsibility, and excuses; responses to explanations-active acceptance, and difficulty with communication due to lack of comprehen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deep understanding of nurses’ communication during preceptorship and should help in developing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for preceptor nurses and new nurses.

      • KCI등재

        청소년기 비만과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익중(Ick Joong Chung),이지언(Ji Yeon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8 No.-

        세계적으로 청소년기 비만의 유병률이 가파른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그 예외는 아니다. 청소년기 비만은 발달단계 고유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인해 성인기 비만의 신체적 문제와는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비만과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가운데 성별이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성별에 따라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면 시기적으로 예민한 청소년기 학생의 정신건강 정책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별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전국규모의 횡단조사 자료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09년 아동청소년 비만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남녀 모두 자아존중감과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여자청소년의 경우 비만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급격하게 저하되는 반면 남자청소년은 비만도가 높아도 자아존중감은 완만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는 남녀 모두 자아존중감과 정적(+) 관계를 보였으나 그 영향은 여자청소년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약간 상이하였다. 청소년기 비만과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상이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Recently,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rapidly increasing among youth in Korea. The adolescents` obesity leads to a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in adulthood, which increases psychosoci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as well as physical health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s among obesity,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Youth Obesity Survey 2009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nd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s among BMI (body mass index),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nd self-esteem. For both boys and girls,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self-esteem. The girl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oys when BMI was increased. And the boys` and girls` self-esteem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However, the girls` slop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counseling program for obese girls should be arranged in school. Also,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girls on how to obtain adequate body image. Further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youth welfare were discussed to reduce risk for psychosocial problems following adolescent obes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