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상옥 시조와 자유의 형식

        이중원(Yi, Joong-won)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8 No.-

        개화기 이후 현대 시조의 필요성이 작동한 이래, 시조의 형식적 구분은 여러 논의로 이루어져 왔다. 문학 장르나 학문 분야가 온전히 존립되기 위해서는 개별 범주로서의 분류와 정의가 필수적이기에 자수율ㆍ 음수율에 대한 비판과 그 차선책으로서의 음보(mora)에 대한 모호한 정의는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옛것(古)과 현대라는 간극을 지나는 과정에서 시조는 부를 수 있는(唱) 속성을 내어주면서 그것의 형식적 가능성의 문을 열어둔 것이며 형식에 매이지 않으려는 정신과 자세, 그리고 형식 자체를 규정하려는 시대적 필요성은 현대 시조의 딜레마라고 하겠다. 시조 형식에 대한 학문적 분류가 첨예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그 실체를 획득한 시조 형식 자체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형식 자체에 연연하지 말고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을 말한 초정 김상옥의 시 세계를 다시 한 번 재조명해야 할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김상옥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전통’과 ‘민족’의 강한 인력이 작동하고 있음과, 추상적으로 설정된 ‘전통 시조’에 대한 인식이 시조 형식을 무화시키는 논리로 접근될 수 있음을 짚어보았다. 시조의 형(形)이 마치 그 내용을 제압하는 것 같지만 김상옥의 후기 시 세계를 추적한 결과 자유롭게 시조의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형식을 통해 내용을, 내용을 통해 형식을 재구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음을 파악했다. 이처럼 형식적 제약은 도리어 시조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하게 한다. 형식 자체를 더욱 세밀하게 규정하고자 하는 최근의 노력도 똑같은 이치이다. 시조의 형(形)은 (시조가 포괄할 수 있는 정서와 세계를 제한하고) 불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아니라 오히려 시조를 (현대 문학의 한 장르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초정 김상옥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말하면서 궁극적으로 시조의 형식을 추구한 것과 같다. 「느티나무의 말」, 「소망」에서 파악되는 평시조, 장시조의 의미와 형식적 확장은, 시의 영역으로 파악되었던 이미지까지도 시조 안으로 끌어들인 것이며 이는 시조의 형식이 시와 대비되는 위치의 불가능성이 아니라 ‘자유의 형식’으로 존재함을 말한 것이다. 한국어 고유의 형식이 지니는 음률의 미학이라는 점은 시조의 낭떠러지가 아닌, 시 조를 새롭게 나아가게 하는 정체성과 맞닿아 있다. Since Modern Sijo was in need for its periodic reason during the Enlightment, discussions about Sijo’s form is diversely progressed. If Literature genre or academic field was to be existed,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is vital. So criticism about a syllable meter and a foot(mora) as the alternative are a lot argued because a foot(mora) itself is still vague to define. From the old to the modern, Sijo gave its property to sing and opened the door to the opportunity of the form. Mind and attitude not to be bounded to the form and academic need to define the form itself is quite dilemma to Modern Sijo. The academic categorization is tightened so Sijo now has its clear formal definition, though its impossibility is also being magnified. Therefore Kim Sang-ok’s poetic worlds, which said ‘not to hang on the form itself but to be free’ were reviewed. After checking precedent studies, It’s been found that gravity of ‘tradition’ and ‘nation’ strongly affected, also that concept of Traditional Sijo which sat abstract can even make the discussion about the form of Modern Sijo nullified. Sijo’s form looks like suppressing its contents. But in Kim Sang-ok’s late poetic world, It appeared that he freely changed the form of Sijo’s structure, he could reconstruct contents by the form, also the form by contents. Like this, restriction of the form is not making Sijo impossible but possible. It’s the same logic to those studies to define the form much detailed. Sijo’s form is not the obstacle (which limits sentiments and poetic world), on the contrary It makes Sijo to be worked (and to be possible as one of the genre of modern literature). It’s what Chojung Kim Sang-ok said ‘the beauty of Korean language’ and sought the form of Sijo ultimately. Meaning and formal expansion of Pyeng-sijo and Jang-sijo which can be seen at Neutinamu-ui Mal(word of zelkova) , Somang(wish) , are shown ‘image’ from Sijo, which is supposed to be shown from free verse. This means the form of Sijo doesn’t exist as the impossibility against free verse but do exist as ‘the form of freedom’. For Modern Sijo, the form of itself is not the obstacle but the new road to its own identity, unique form and rhythmical aesthetics of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