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합투자업자의 의결권 행사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이준서(Junesuh Yi) 한국증권학회 2019 한국증권학회지 Vol.48 No.6

        본 연구는 집합투자업자의 의결권 행사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0,198건의 집합투자업자 의결권과 388,486건의 개별펀드 의결권에 대한 분석결과 ‘13년 1.47%에 불과했던 반대의결권 비율은 ’17년 3.29%를 기록, 2배 이상 증가했다. 안건별로는 이익배당이나 합병, 임원임면 등에 대한 반대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재무제표승인이나 임원보수결정에 대한 반대비율은 낮았다. 집합투자업자가 행사한 반대 의결권에 대한 시장반응 분석결과, 반대의결권이 행사된 기업의 주가는 주총당일 양의 초과수익률을 기록하고 주총일기준 5일까지의 누적초과수익률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계수를 나타냈다. 안건별로는 합병이나 임원의 임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보였으나 이익배당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장 반응을 보였다. 동일안건에 대해 반대 펀드 수나 의결권 수에 따른 시장 반응은 펀드 수나 의결권 수가 아주 적거나 많은 경우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이는 ∪자 형태를 시현했다. 또한 임시주총보다 정기주총 시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 시장반응은 훨씬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결권 행사를 집합투자업자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비대기업집단, 외국계 자산운용사들이 반대 의결권을 보다 활발히 개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반대 의결권 행사가 많은 집합투자업자에 대한 시장반응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sset management companies’ exercise of voting rights on corporate value. An analysis of 50,198 asset management company votes and 388,486 individual fund votes from 2013 to 2017 reveals that the company rejection rate of firm proposals in shareholder general meetings has more than doubled, from 1.47% in 2013 to 3.29% in 2017. The rejection rates of agendas such as dividend payout, M&A, and appointment of executives are relatively high, whereas the rejection rates of financial statement approval and executive compensation are low. An analysis of the market reaction to asset management companies’ exercise of rejection voting rights indicates that the firm’s stock price shows excess return on the day of the general meeting and that it continues to rise for the following five days. The rate of cumulative abnormal return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especially in 2017. In terms of agendas, there is a positive market reaction to M&A and appointment of executives but a negative reaction to dividend payouts. This paper also finds that foreign or non-chaebol-affiliated asset management companies further exercise the opposite voting right on proposals, resulting in more positive market reactions.

      • KCI등재

        신용 취약계층 대출행태의 금융기관 간 연계성 및 시스템적 리스크에 미치는 영향

        이준서 ( Junesuh Yi ) 한국금융연구원 2017 금융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가계대출의 뇌관으로 지적되고 있는 저신용자 다중채무자 과다채무자 등 신용 취약계층의 대출행태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즉 신용 취약계층 별로 대출금액 연체금액 대출자 수에 대한 금융기관 간 상호연계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대출금액이 시스템적 리스크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KCB가 제공한 50만 명 대출자의 2006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의 통합자료 분석 결과, 신용 취약계층 차주는 은행보다 비은행금융기관을 보다 많이 활용하며 이들의 대출과 관련된 금융기관 간 연계도도 전체대출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취약계층별로는 저신용자가 다중채무자나 과다채무자에 비해 금융기관 간 연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다채무자의 대출금액이나 다중채무자 및 과다채무자의 연체금액의 경우 은행은 주로 타 금융기관에 영향을 주고 비은행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금융기관의 연계성 분석에서는 다중채무자 및 과다채무자의 대출금액의 경우 상호저축은행이, 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의 연체금액의 경우 보험의 금융기관 간 연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용 취약계층이 시스템적 리스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신용 취약계층의 총 대출금액이 은행권 및 비은행권에 관계없이 시스템적 리스크에 4개월 선행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결합재무곤경확률(JPoD)로 측정된 시스템적 리스크에 대해서는 다중채무자의 은행 및 비은행권 대출금액이, 한계기대부족액(MES)으로 측정된 시스템적 리스크에 대해서는 과다채무자의 비은행권 대출금액이 시스템적 리스크에 대해 그랜저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loan behavior of vulnerable households with low credit scoring, multiple loans, or over-indebtedness that poses downside risks to economic growth.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measure the interconnectednes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ing loan balance, delinquency balance, and the number of borrowers by vulnerable household type and to evaluate the impact of loan balance by vulnerable household type on systemic risk. Interconnectednes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in loan behavior by vulnerable household type is analyzed using Granger-causality networks by Billio et al. (2012). Financial institutions include seven individual commercial banks and five non-bank financial industries such as card, capital, insurance, union, and mutual saving bank. I also observe interconnectednes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ing loan behavior of the entire households for normal borrowers. In network analyses, this paper computes the DGC (Degree of Granger Causality) presenting the frac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Granger-causality relationships among all pair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closeness centrality measuring the averaged shortest path between a financial institution and all other institutions reachable from it,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showing the importance of financial institutions based on how connected they are to the rest of the network. Systemic risk is measured by the joint probability of default (JPoD) that estimates the probability of all the banks in the system becoming distressed using CDS spread of individual banks. This paper also employs the marginal expected shortfall (MES) to compensate the defect of the JPoD, excluding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in estimation of systemic risk. Out of four methods for the MES by Brownless and Engle (2012), I utilize the RSF(Rolling Static Factor) model based on EWMA (Exponential Weighted Moving Average) to measure the size of market capital shortfall. In this model, an entire market systemic risk is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s` capital shortfall calculated by the marginal expected shortfall of 43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as well as ten commercial banks. Using the monthly data from the KCB for the loan behavior of 500,000 household borrowers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5, this paper shows that vulnerable households use more commercial banks than non-bank institutions and that the financial institutions used by vulnerable households display a more severe degree of interconnectedness than those used by entire households. It is also observed that low credit scoring borrowers lead to higher interconnectednes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than multiple loan borrowers or over-indebted borrowers. In terms of the granger causality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ing loan behavior used by vulnerable household type, this paper finds that commercial banks mainly granger-cause other institutions while other institutions granger-cause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with respect to the loan balance and the delinquency balance of over-indebted borrowers as well as the delinquency balance of multiple loan borrowers. In addition, mutual saving banks rank the highest degree of interconnectednes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ing the loan balance of multiple loan borrowers and over-indebted borrowers. Insurance ranks the highest regarding the delinquency balance of low credit scoring borrowers and multiple loan borrowers. This paper finds that the loan balance in banks as well as that in non-banks of the vulnerable households granger-causes the systemic risk. The systemic risk by JPoD is granger-caused by the loan balance of multiple loan borrowers, whereas the systemic risk by MES is granger-caused by the loan balance in non-banks institutions of over-indebted borrowers. This study also discovers that the increase of systemic risk is followed by four months of the loan balance increase in vulnerable households. In particular, systemic risk by JPoD rises three months subsequent to the shock on the loan balance of multiple loan borrowers, while systemic risk by MES increases three months after the shock on loan balance in non-bank institutions of over-indebted borrowers. This study provides various substanti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financial market stability. The result that the vulnerable households utilize more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implies that financial authorit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household debt from non-bank institutions. It is especially suggested that authorities need to introduce new loan regulations based on the total loan balance of non-bank institutions and to consider revised loan policies or financial support systems for the vulnerable households.

      • KCI등재후보

        중앙은행의 증권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서(Junesuh Yi)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5 경영과 사례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은행으로서의 중앙은행 업무 중 증권업무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금융산업 및 시장 현황과 해외사례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 한국은행은 국채에 대한 예탁업무를 수행하고 외국중앙은행이나 국제금융기구의 국내 투자 채권에 대한 보관업무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채 및 공사채 발행업무를 확대하여 소매용 국채를 발행하고 공사채 발행업무를 대행할 유인도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최근 정부의 은행으로서 중앙은행 역할이 국고업무에서 증권업무로 이전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시사하는 바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related to securities business of the BOK and presents various improvement plans. As a results of analyses on current financial industry and market environment and of comparison with central bank business of foreign countrie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BOK needs to carry out the depository services on government bond and the storage services on invested domestic bonds by foreign central bank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e paper also provides an appropriateness of central bank business on the issuance of retail government bond and municipal/special bonds. The study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new business field for central bank reflecting business shift from treasuries to securities as government bank.

      • 한국형 헤지펀드 평가모형 도출 및 성과분석

        이준서(Junesuh Yi)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출범 3년째를 맞이한 한국형 헤지펀드에 대한 성과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도출된 모형을 활용해 실제 성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개별펀드별 자산운용사별로 성과를 평가, 초과수익률을 달성하는 개별펀드와 자산운용사를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성과와 현금흐름과의 관계 및 성과지속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성과평가 모형 중 위험요인 계열 5개와 운용자산스타일 계열 7개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Avramov et al. (2011) 모형이 가장 설명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모형들에서 활용한 23개 변수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7요인모형과 한국형 8요인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중 한국형 8요인 모형의 설명력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세 모형을 통해 한국형 헤지펀드에 대한 성과를 분석한 결과, 시장 전체적으로 양의 초과수익률을 시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컨대 한국형 8요인 모형의 경우 월 0.95%의 초과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시판 첫해보다 지난해 성과가 더 뛰어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성과가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개별펀드별 성과분석에서는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인 펀드가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보인 펀드는 20% 이내에 불과했다. 자산운용사별 성과분석에서는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보인 운용사 비율이 개별펀드 비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유의한 결과를 보인 2개 자산운용사의 초과수익률이 다른 운용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자산운용사간 운용기술의 차이가 존재함을 드러냈다. 현금흐름과 성과와의 관계에서는 펀드 성과에 따른 현금유입 현상은 관찰되었으나 현금유입에 따른 성과저하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익률의 경우 월간 성과지속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계나 실무계뿐 아니라 정책당국에게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먼저 본 연구는 헤지펀드에 대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헤지펀드 성과모형은 향후 헤지펀드 관련 연구의 시금석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본 연구는 헤지펀드 투자자나 운용사들에 대해 한국형 헤지펀드의 특성을 반영한 진정한 의미의 초과수익률 정보를 제공, 펀드 선택의 효율성이나 객관적 성과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와함께 본 연구결과는 금융당국의 한국형 헤지펀드에 대한 추가적 규제완화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성공적 3년 트랙레코드를 도출한 본 연구결과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들에게 향후 한국형 헤지펀드 투자에 대한 논의의 장을 열어 주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과 OECD 국가의 학자금 대출 제도 비교연구

        이준서 ( Junesuh Yi ) 한국비교경제학회 2021 비교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OECD 국가들의 대학생 학자금대출 제도의 비교를 통해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즉 국내 학자금 대출 제도의 현황 및 특성을 살펴보고 OECD 국가들의 학자금 대출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대출, 상환, 감면 등과 관련된 정부학자금 대출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수혜비율은 13%로 OECD 국가의 평균 수혜율인 44%를 크게 하회하였고 1인당 연평균 대출금액도 $4,798로 OECD 국가 평균 대출금액인 $6,953에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대출금리는 2021년 기준 1.7%로 타 국가 대비 다소 낮고 상환기준소득은 2,280만원으로 타 국가 대비 다소 높아 상환조건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채무감면 및 면제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엄격한 규정을 통해 적용대상자가 1% 미만의 극소수에 불과한데 비해 한국은 비정기적 채무조정을 통해 원금의 일부 및 이자전액을 면제해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사점으로는 학자금 대출수혜 비율을 확대하고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제도에 대한 혜택 보완 및 생활비 대출 상향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대출금리를 시장금리와 연동하고 상환비율을 축소 또는 소득에 따라 차등화하는 등의 상환조건의 재설계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과도한 채무조정을 지양하여 졸업생들이 정상적 사회생활과 모럴해저드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을 수 있는 방향으로 채무조정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ways to improve the system of government guaranteed loan for the students enrolled in tertiary programs comparing the system in Korea and OECD countries. In other words, through the review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guaranteed loan in Korea and the comparing of them in OECD countries,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 guaranteed loan system related to loan availability, repayment, and remission. As a result of analyses, the loan beneficiary rat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n is 13%, far below the OECD average of 44%, and the average loan amount per capita in Korea is $4,798, which is less than the OECD average of $6,953. On the other hand, the college students in Korea have better repayment conditions such as the low loan interest rate of 1.7% and the high the annual minimum income threshold for income-contingent loans repayment of 22.8 million won. In particular, most countries have strict regulations to apply only a very small number of less than 1% in debt remission and forgiveness, but it is found that the government of Korea benefits the debtors through irregular debt restructuring, remission of the principal and forgiveness of the entire amount of interest. I present the implications such as the expanding of the government guaranteed loan beneficiary ratio, the supplement of the benefits of the direct loan system, and increase of living expense. I also recommend a redesign of the repayment conditions such as linking the loan interest rate with the market interest rate and reducing the repayment ratio or differentiating it according to income. In addition, debt relief program will be discreetly considered so that graduates can find a balance between normal social life and moral hazard by avoiding excessive debt adjustment.

      • KCI등재

        사모펀드 성장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이준서(Junesuh Yi) 한국증권학회 2020 한국증권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는 사모펀드 시장 확대가 금융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사모펀드 성장이 금융시장과 금융기관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금융안정지표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모펀드 시장 확대는 펀드 유형에 따라 상이하지만 전반적으로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모펀드 증가는 주식시장과 대체투자시장의 수익률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개월의 시차를 두고 부동산가격 상승도 견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채권형의 경우에는 오히려 시장안정에 공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모펀드 수탁고 증가와 금융기관 수익률간의 관련성에서는 펀드 시장 확대가 금융기관 수익률에 대해 인과관계를 갖기보다 그 반대의 경우, 즉 금융기관 수익률이 펀드 시장 확대에 인과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았다. 무엇보다도 사모펀드 증대는 제한적이지만 금융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모펀드 증가율은 Financial Stability Index(FSI)나 Joint Probability of Default(JPoD), FSI 증가율, JPoD 증가율과 정관계를 보였고 특히 JPoD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형별로는 부동산형과 특별자산형 증가가 FSI 증가율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채권형의 증가는 모든 금융안정성 지표의 하락을 이끌어 금융안정성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사모펀드 유형별로 별도의 관리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fund market on financial stability.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effect of private fund growth on financial markets’ as well as financial institutions’ returns and on financial stability indicators. Overall,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fund market i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financial market,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fund type. The increase in private fund deteriorates the returns on the stock and alternative investment markets. In addition, the growth of private funds is observ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financial stability. The expansion ratio in private fund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inancial Stability Index (FSI) and joint probability of default (JPoD),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PoD growth rate. By fund type, the increase in real estate and special asset funds amplify the increase in FSI growth rate, whereas the increase in bond funds lead to a decrease in all financial stability indicators, helping to maintain financial stability. Consequently, the result raises policy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a separate management method for each type of private fund.

      • KCI등재

        비씨카드의 매입프로세싱 해외진출 사례

        이준서(Junesuh Yi),유창조(Changjo Yoo) 한국경영학회 2017 Korea Business Review Vol.21 No.1

        본 연구는 BC카드의 매입프로세싱 솔루션에 대한 해외 수출사례를 살펴본다. 즉 파트너선정, 입찰제안, 방문실사, 현지실사, 계약협상, 계약체결 등 솔루션 수출과 관련된 전 과정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향후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국내 신용카드사를 포함한 금융기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BC카드는 국내 카드시장의 성장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판단, 글로벌 시장에 대한 진출을 모색해 왔으며 세계 5위 인구 대국이자 1인당 카드사용율이 비교적 낮은 인도네시아를 타깃국가로 선정하였다. BC카드는 인도네시아 최대은행인 Mandiri은행을 사업파트너로 선택하고 2013년 Mandiri은행이 발주한 신용카드 업무역량 강화 프로젝트에 응찰, 세계적인 결제프로세싱 9개 기관과 경쟁을 펼쳤다. BC카드는 국내에서 이미 활용하고 있던 변형된 4 당사자 결제시스템을 기반으로 카드사업 역량과 선진화된 ICT기술을 강조하며 2014년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이후 계약협상 과정을 거쳐 2016년 합작법인인 MTI를 설립했으며 2017년 2분기부터 승인중계 및 매입 프로세싱, 가맹점 모집 및 단말기 관리, 그리고 가맹점 접점 부가서비스를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본 사례 연구는 국내 영업에서의 수익성 악화로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신용카드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영업자체가 아닌 카드영업과 관련된 하부 비즈니스 솔루션을 수출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또한 개방형 결제구조에 비해 다소 후진적인 변형된 4당사자 결제시스템을 수출, 객관적으로 경쟁력을 상실한 솔루션이라고 하더라도 활용 가능한 적정 환경을 찾아 이를 정착시킨다면 새로운 가치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 위탁기관의 요구수준 이상의 솔루션 제공, 성실성, 진실성 등 카드사가 해외진출 시 취해야 할 기본적인 대응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a case on the export of card payment processing by BC Card. Through the detail explanations about an entire process to win a project on card acquiring, including partner selection, bid proposals, on-site examination, deep dive session, contract negotiation, and conclusion of a con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credit card companies that plan to knock on overseas market. Judging a domestic card market is full of opportunities and potentials, BC Card tried to tap global markets and decided to hit Indonesia that is a country with fifth largest population in the world and with the low percentage of payment card usage on family expenditure. BC Card’s relationship with Bank Mandiri stems from the year 2011, when BC Card won Bank Mandiri’s consulting project on card acquiring. After the consulting project, BC Card has competed with 10 global processing companies for over a course of one year to finally be selected as the priority negotiation partner in Bank Mandiri’s acquiring processing project bidding in 2014. Thi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ere it not for BC Card’s 30-year business knowhow in Korea and ICT capacity of KT, BC Card’s holding company. MTI, a joint venture owned by BC Card and Bank Mandiri was built in 2016, and will begin the credit card processing business from the second quarter of 2017 in Indonesia.

      • KCI등재

        사모펀드 성과분석

        이준서(Junesuh Yi)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사모펀드 제도 개편으로 인해 전문투자형으로 분류될 일반사모펀드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였다. 즉 일반사모펀드 중 대체투자 성격을 지닌 절대수익추구형, 부동산형, 기타형 등 3개 대분류유형 및 이들을 세부적으로 구분한 7개 소분류 유형의 펀드들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였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존재했던 대체투자형 사모펀드들에 대해 제로인 벤치마크, FF 5요인, 한국형8요인 성과평가 모형을 통한 분석 결과 부동산형의 성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부동산형세부유형 중 통합분석에서는 부동산임대형의 성과가 뛰어났으며 개별펀드 분석에서는 부동산대출채권형이 가장 우수해 42%의 펀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달성하였다. 또한 특별자산형의 경우에는 개별펀드 중 39%의 펀드가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기록하였다. 설립년도별 분석에서는 펀드가 설립된 연도에 따라 성과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으며 2009년 이후 설립된 펀드들의 성과가 우수하였다. 개별펀드 분석에서도 최근의 펀드성과 개선효과는 시현되었으며 특히 2009년에 설립된 펀드의 성과가 뛰어나 금융위기 직후 설립한 펀드의 성과가 우수하다는 주목할 만한 결과를 도출했다. 자산운용사 규모별 분석에서는 대형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펀드들의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펀드 성과와 현금흐름에 관계에 대해서는 펀드 전체적으로나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달성한 펀드만을 대상으로 한경우에나 모두 펀드 성과가 좋은 경우 현금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 같은 성과와 현금흐름 간의 역관계 현상은 특별자산과 대형 자산운용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현금흐름에 따른 펀드 성과는 공모펀드와 마찬가지로 역관계 현상을 보였으며 펀드규모도 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사모펀드 시장규모가 공모펀드를 추월하고 제도개편으로 인해 사모펀드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측되는 시점에서 학계나 실무계에 공헌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먼저 전문투자형으로 전환될 펀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사모펀드 시장의 성장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또한 대체투자형펀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저금리시대에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대체투자 상품에 대한 관심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향후 사모펀드 체제 개편 이후 전문투자형과 경영참여형의 차별화 운영방향에 대한 제도적 시사점, 실무적 해법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stimates the performance of private funds that are now classified as the professional investment type as a result of a reform of the legal system for private funds. The private funds composing the professional investment type include absolute return, real estate, and other funds in the major categorization. Bond alpha, market neutral, IPO high yield, real estate loans, real estate rents, special assets, and convertible bond funds are in the minor categorization. The performance analyses of the private funds from 2005 to 2014 based on Zero-In benchmark, Fama French 5 factor model, and Korean hedge fund 8 factor model indicate that the real estate private fund ranks the highest performance. Among the sub types of the real estate private fund, the real estate rent fund achieves the best performance in pooled analyses and 42% of the real estate loan fund display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normal returns in individual fund analyses. Fund performances vary depending on the inception year and have improv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unds launched in 2009 surprisingly present positive abnormal returns. In addition, funds managed by big asset management companies display better performance than funds managed by medium or small companies. In terms of fund performance and flow, the fund outflow is subsequent to good performance and this relationship is manifested in the special asset funds and in funds managed by big asset management companies. Meanwhile the fund inflow is followed by performance deterioration. The AUM of private funds unprecedently exceeded that of the public funds and there has been a reform in the legal system for private funds. This study contributes to academia and practitioners in light of the increased interest in private funds. We can henceforth measure the growth potential of the private funds classified as the professional investment type. This study also provides information of a new alternative investment vehicle to investors searching for an appropriate investment outlet in the contemporary low interest era.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e systemic implications and the practical solutions for managing the professional investment type fund and the business participation type fund.

      • KCI등재

        우리나라 지급결제시스템의 상호의존성에 관한 연구

        이준서,강경훈,Yi, Junesuh,Kang, KyeongHoon 한국개발연구원 2010 韓國 開發 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갈수록 복잡다단해지는 지급 결제환경하에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결제시스템 간 상호의존성에 대해 그 원인과 유형, 위험관리방안 등을 살펴보고 국내 지급결제시스템 간 상호의존성 현황에 대해 조사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실제 결제불이행의 파급효과를 계량화하여 결제시스템 간 상호의존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국내 결제시스템 간 상호의존도는 지난 3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한국은행이 운영하고 있는 거액결제시스템인 신한은금융망(BOK-wire+)은 소액, 증권, 외환결제시스템과 모두 연결되어 있어 시스템 간 상호의존성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액결제시스템은 소액결제와는 일평균 15조 9천억원, 장외증권과는 10조 6천억원의 결제 규모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제불이행의 실제 파급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추가적인 결제불이행 규모는 일평균 최대 13조 6천억원이 발생하여 전체 결제금액의 7.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적인 결제불이행 금액까지 포함하면 전체의 22.3%를 기록, 국내 결제시스템간 상호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결제불이행 발생시점보다 인지시점이 결제불이행 파급효과에 더 중요한 요소로 지적됐고 증권사들이 국내 은행들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유동성 범위를 확대한 경우에는 추가 결제불이행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는데, 외국은행 지점의 지급불이행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거래 상대방 간 상계거래 비중 확대, 증권사에 대한 새로운 결제방식 도입, 금융기관에 대한 원활한 유동성 공급방안 모색, 참여 기관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참여기관 간 정보공유체제 강화 및 결제시스템 간 협조 강화의 필요성 등 결제위험 최소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With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becoming more and more complex and interconnected, the issue of their interdependency rises as an important academic issue as well as a policy topic. This study examines causes, forms, and risk management of interdependencies of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in Korea, and presents their current situation. By way of simulations using BOF-PSS2 developed by the Bank of Finland, we quantify the effects of an operational disruption on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so as to figure out the degree of interdependency. As a result, the secondary round effect reaches up to ₩13.6 trillion a day, which amounts to 7.8% of the daily settlement value. Furthermore, if we also consider the amount of direct operational disruption, the volume of operational disruption occupies 22.3% of total value of the daily settlement, evidencing that the interdependencies of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in Korea is enormously widespread. The secondary round effects are found to be more severe with security companies rather than with banks, and to be more depended upon when it is perceived rather than it actually happens. In case that we expand the liquidity to include cash holdings and deposits as assets, the secondary round effect dramatically decreases in all types of financial institutions while foreign banks account for more share of all the secondary round effects increas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various policy tasks and directions to improve the risk management of settlement systems: expansion of off-setting settlements, introduction of a new settlement system for securities transactions, rapid provision of liquidity to financial institutions, more effective monitoring on participant institutions, and intensified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among the systems.

      • KCI등재

        신용등급과 시장지표를 이용한 채권포트폴리오 강제매각효과 비교 분석

        최재용 ( Jae Yong Choi ),이준서 ( Junesuh Yi ) 한국금융학회 2016 금융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채권포트폴리오의 신용위험 관리방법중 하나인 강제매각(forced sell)의 기준을 신용등급으로 하는 경우와 시장지표로 하는 경우의 효과를 위험대비 수익률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역사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한 분석 결과 기본적으로 펀더멘털 요인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신용등급 기준이 시장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장지표 기준에 비해 포트폴리오 위험대비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 같은 강제매각효과는 대상채권의 성격이나 시장상황 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신용위험 등이 증가세에 있는 채권인 경우 가격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경보 측면에서 유리한 시장지표 기준의 강제매각 효과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위기와 같이 시장 전반의 신용리스크가 증가하는 시기에는 펀더멘털 관련 정보가 거의 동시에 양 지표에 반영되면서 양 기준간 강제매각효과 차이도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시장가격의 변화를 통해 신용리스크의 변화를 좀 더 빨리 반영하는 경향이 있는 시장지표 기준이 강제매각 시점이 보다 앞섬으로써 재투자수익률 수준에 좀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지표 기준의 경우에는 시장지표(OAS)의 수준이 높을수록 시장변동성에 의한 강제매각의 빈도를 줄일 수 있어 포트폴리오의 위험대비수익률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장지표와 신용등급을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가 신용등급만 고려하는 경우에 비해 강제매각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강제매각 시 시장지표를 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총수익률 분석을 통한 강건성 검증에서도 유사하게 도출되어 본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였다. Credit ratings provided by the rating agencies is the most commonly used credit risk measure in managing the credit risk of holding securities or counterpart risk. Market-driven credit indicators such as the Option Adjusted Spread (OAS) are also widely used credit risk measures as well. Both the credit ratings and market indicators are generally used as a criteria for the forced sell, which rules out some of holding exposure if its credit risk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Among the risk management usages, the rule of forced sell is increasingly more focused on because it is a risk management practice and also is a investment process which may directly impact to the investor`s P/L profile.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effectiveness of risk management based on the credit ratings has been reexamined as the credibility on the credit ratings has weakened. On the other hand, the need for using the market indicators as a complimentary credit risk measurement has increasingly grown in response to the lowered credibility of the ratings. In these senses, this paper assesses whether rating-based or marketbased forced sell strategy are more suitable in terms of the risk adjusted return in the fixed income investment. More specifically, first, this paper compares the risk adjusted return of the model portfolio which experienced forced sell between when its credit rating falls down below A- and when its OAS exceeds 500bp. Second, it compares the risk adjusted return of the sub portfolio whose bond`s credit risk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during the periods. Third, it compares the risk adjusted return of both strategy between the normal times and the market stressed periods such as financial crisis. Forth, we analyzed how the forced sell effect of both strategies differs to the different level of reinvestment return. Fifth, we also testified how the forced sell effect would be changed with the different level of the OAS threshold in the case of the market-based strategy. Finally, we assesses whether the risk adjusted return of the rating and market combined strategy is better than that of the rating only strategy in order to testify whether the market indicator positively work as the complimentary credit risk measure when jointly considered with the credit rating. The finding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historical simulation analysis using data during 2008~2014, it is evident that the rating-based strategy, which mainly reflects the fundamentals, results in the higher risk adjusted return than the market-based strategy. However, the results varied with some different variables such as bond portfolio`s risk profile or the degree of the market stress. For the bond portfolio of which credit risks are increasing, the market-based approach performed better because its early warning advantage could reduce the capital loss as it signals the forced-sell at the earlier stage of the price deterioration. During the market stressed period like financial cris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between two approaches decreased as the credit risk information is reflected into both the ratings and market indicators with lesser time lag. It also proved that the market-based approach, which reflects the change of the credit risk fast through the price volatility, tends to be more sensitive to the level of reinvestment return as its forced-sell timing generally precedes that of the rating-based approach.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the OAS threshold for the forced sell, it is evident that the risk adjusted return improve as the level of the threshold become higher.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lower forced-sell threshold would result in more frequent forced sell, and therefore lead to the higher risk of losing possible profit if kept in the portfolio. Finally, it proves that the risk adjusted return of the rating and market combined strategy is higher than that of the rating only strategy. This implies that the market indicator could work positively as the complimentary credit risk measure when jointly considered with the credit rating. The robustness test through the total return analysis also reaches the same conclusion, which reinforces the credibility of the simulati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