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별 문화차이와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 문화차이의 조절효과 분석

        이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19

        오랜 기간 단일민족이라 자부해 오던 한국은 2000년을 전후하여 다문화 가정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2019년 현재 체류 외국인은 전체국민 인구 대비 약 5%에 다다르고 있다.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외국인의 거주증가에 따른 다문화 사회와 사회통합의 문제는 외국인 정책 및 이민관련 전문지식의 부재로 새로운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고, 이주민을 잘 이해하고 포용하기 위한 선주민들의 노력 역시 충분하지 않았다. 노동시장에서 여성과 이주민이라는 다중적 취약요소를 갖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은 짧은 기간 노동을 하고 떠나는 비전문 노동자와 다르게 우리 들의 미래인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국적취득 등 장 기적인 관점에서 관심과 정책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는 이주민들의 특성이 동일하지 않고 출신국적별로 문화적 차이와 정책적 요구가 다르기에 이에 적합한 정책을 수립하여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취업 등 경제적 참여는 이주여성들의 관심과 행복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기에 출신국별 경제적 적응현황을 조사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별 문화적 차이와 노동시장 참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홉스테드의 문화차원이론을 배경으로 중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4개 국가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5가지 문화차원을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적응현황은 중국 출신이 가장 높았고, 일본 출신이 가장 낮았는데 일본 출신여성들은 다른 국가와 다르게 통일교를 통한 결혼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특색을 보였다. 홉스테드의 문화차원인 PDI(권력거리), IDV(개인주의), MAS(남성성), UAI(불확실성 회피지수), IVR(관용-자제적 문화)은 ANOVA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국가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수와 순위가 기존 홉스테드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한국과 가장 문화적으로 유사한 출신국은 일본이었으며, 그 다음이 중국, 베트남 순이었고 필리핀이 가장 한국과 문화적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종속변수로 학력과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기의사결정권을 독립 변수로 문화차원 차이를 조절변수로 이항 로짓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한 결과 학력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영향이 없었으며, 배우자 관계가 좋 을수록, 자기의사결정권한이 높을수록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문화차원 중 IDV(개인주의 지수)가 취업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한국으로 결혼해 이주한 여성들의 특성은 기존 국가 국민들의 특성과 상 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중국, 베트남, 필리핀 여성들은 개인주의 (IDV)와 불확실성 회피성향(UAI)이 기존 조사에 비해 월등히 높은 특성 을 보였다. 위 연구결과 시사점은 정부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학력 등 인적자본을 활용 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위한 정책과 출신국별 특성을 고려한 생애주기별 세밀한 정책이 필요하며, 기업은 집단적 성과보상 보다는 개인적 평가에 따른 보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과 지역사회에서는 이주여 성들을 존중하고, 특히 배우자의 긍정적 지지는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Korea, which has long prided itself as a homogeneous nation, saw a sharp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round 2000, and as of 2019, foreigners staying here reached about 5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Unlike nonprofessional workers who leave after a short period of labor, migrant marriage women, who have multiple vulner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need attention and polici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uch as the role of mom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children and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The preceding study said that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appropriate to immigrants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differ in cultural differences and policy demands by nationality of origin. Also, because economic participation, such as employment, is a big part of the interest and happiness of migrant women, wanted to investigate the economic adaptations of each country migrant women Japan was the most culturally similar country to Korea, followed by China and Vietnam, with the Philippines having the largest cultural differences with Korea, the report showed. PDI, IDV, MAS, UAI, and IV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OVA analysis, and the indices and rankings did not match those of previous hopstead studies. After analyzing the educational background,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ation as the variables of the culture dimension as the variables of independence, the educational background did not affect the employment. The better the spouse relationship, the more positive the employment, and the more positive the employment effect of culture level was found.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needs a policy to provide quality jobs to utilize human resources such as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arriage owners and women, and detailed life-cycle policie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of origin, and that companies should make compensation based on personal evaluation rather than collective compensation. Families and communities respect migrant women, and in particular, the positive support of spouses will provide married women with a basis for compatible work and family.

      • 자아탄력성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 사례연구

        이주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이 성장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강화에 미치는 효과와 모래상자에 나타난 상징성과 주제변화를 분석하고 아동의 자아탄력성 증진 방안과 집단모래놀이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시 소재 초등학생 2~3학년에 대한 참가자 10명을 모집하였으며,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 전과 후에 대한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 수준과 통제집단의 자아탄력성을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아동들의 모래상자 분석을 통해 상징물 사용, 심리상태, 주제 변화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전체아동의 상징물 사용변화는 초기단계에는 119회, 중기단계 240회, 후기단계는 244회로 나타나 집단모래놀이 후반부로 갈수록 상징물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전체 8회기에 나타난 Mitchell & Friedman의 상처 및 치유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상처의 주제’는 공허 11회, 혼돈 10회, 단절 5회, 취약 2회, 위협 1회로 나타났으며, ‘치유의 주제’는 양육 7회, 에너지 4회, 연결 1회로 나타났다. 상처의 주제는 초반부와 중반부에는 혼돈과 공허의 주제가 드러났고, 중후반부에는 치유의 주제로 연결, 에너지, 양육의 주제가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의 차이검증을 살펴본 결과, 실험 전 자아탄력성의 수준은 실험집단 M=3.24, 통제집단 M=3.32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 수준은 실험집단 M=2.84~3.44, 통제집단 M=2.83~3.53로 나타났다. 실험 후 자아탄력성의 수준은 실험집단 M=2.96~3.88, 통제집단 M=3.03~3.37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코헨의 효과크기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자아탄력성 수준이 M=3.24에서 M=3.44으로 상승하였으며, 하위요인의 경우도 대인관계 M=3.32에서 M=3.60으로, 활력성은 M=3.36에서 M=3.88로 상승하였다. 감정통제의 수준도 M=2.84에서 M=2.96으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집단모래놀이 치료가 아동들의 심리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상징물의 사용과 빈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자아탄력성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래놀이 참여아동들이 프로그램 전과 후의 자아탄력성 수준 향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아동의 자아탄력성 수준 향상을 위해 다양한 집단 모래놀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ffect of the group sandplay program on the children’s resiliency by analyzing the symbolism and changes of theme in the sand trays. Als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of improving resiliency of childre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nalysis of group sandplay program. Ten children in the 2nd or 3rd grade in Daejeon were recruited for conducting this study. 5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5children are involved in a control group. The level of resil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sandplay program, and use of symbols, psychological states, changes of theme was interpreted and the result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the sandtrays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irst, changes in the use of symbols for all children were shown 119 times in the early stage, 240 times in the mid-term stage, and 244 times in the later stage of the group sandplay program, that suggest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of symbols. Second, according to Mitchell & Friedman’s topics of wound and healing analysis, the contents of eight sessions was analyzed. ‘Topic of injury’ was shown as follows; 11 times of Emptiness, 5 times of chaos, 2 times of vulnerability, and 1 time of threat. on the other hand, ‘topic of healing’ appeared 7 times of nurturing, 4 times of energy and 1 connecton. The ‘topic of the wound’ was shown in the early and mid sessions as a theme related to chaos and emptiness. In the mid-term to late-half of the sessions, topics of connection, energy and nurturing emerged which related to ‘topic of healing’. Third, in the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resiliency, the level of resiliency before the experiment was found M=3.24 in experimental group and M=3.32 in control group. Also, the level by subfactors were shown M=2.84~3.4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M=2.83~3.53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e level of resiliency was shown as M=3.4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M=3.22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ubfactors were found M=2.96 – 3.8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M=3.03 – 3.37 in the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Fourth,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sand play program, Cohen’s d statistic was analyz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level of resiliency increased from M=3.24 to M=3.44, and in the subfactor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creased form M=3.32 to M=3.60, and vitality increased from M=3.36 to M=3.88. The level of emtional control also increased from M=2.84 to M=2.96 These findings showed that group sandplay program affects children’s psychological changes, and that the use and freguency of symbols change as the program progresses. in addi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silien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evel of resilienc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shown for children participating in group sandplay progra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group sand play program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level of resiliency in children.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목록 선정과 교수방안 연구

        이주한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 한국어의 의성어·의태어를 이용하여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교재와 TOPIK 기출문제, 선행연구자 제시 목록, 국립국어원 한국어휘 사용빈도 등을 참조하여 초급 학습자에 적합한 목록과 적절한 교수방안을 제시한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급 학습자를 위한 제시된 목록에 다소 신뢰성이 미흡하다. 그 이유는 첫째, 연구 시점에서 참조한 교재나 자료의 변별성(분류기준, 교재발행 년도 등)에 차이가 있다. 둘째, 초급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수 모형의 제시 미흡 하다. 셋째, 초급 학습자를 위한 목록 작성 절차가 연구자 마다 상이하다. 본 연구는 위의 세 가지 문제를 바탕으로 초급 학습자에 적합한 목록을 제시하는 과정을 세분화하고 고도화 하였으며 그리고 교수자들이 의성어·의태어를 분류할 수 있는 방법과 초급학습자에 적합한 교수 모형을 제시한다. 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특징이 역동성, 창조성, 고도의 사회성, 사치성, 마술적 응용성, 지속성, 압축성, 확장성 등의 다양한 언어적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대적 통신언어로, 산업현장에서, 학교에서, 대중 생활 속에서 다양한 텍스트로 지속 활용이 계속될 것임은 틀림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초급 학습단계부터 지속적 반복적으로 노출해 주고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주는 요소로 발전시켜야 한다. 교수자들은 의성어·의태어의 확대에 따른 어문 규범적, 문법적, 화용론적 다양한 연구 등 활용한 이론적인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갖게 하여 도중에 포기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루게 하는 것이 교수자들은 의무이며 책무라고 생각한다면 다양한 교수 방법 중에서 의성어와 의태어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교수하는 게 실제적인 좋은 교수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핵심어: 한국어 초급 학습자, 상징어, 의성어·의태어, 한국어 학습 모형, 교수방안, 교수목록 This paper presents an appropriate list of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by 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of the Korean language. It refers to Korean language textbooks, TOPIK sample questions, a list of existing research,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Korean lexico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 analysis of preexisting research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presented list for elementary level learners was low. The first reason is that there was a discrimination gap(classification standard, the year of publication of the textbook, etc.) between the textbooks and the material used during the research duration. Second,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instruction model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for elementary level learners. Third, there was a huge difference among researchers between the process of presenting lists for learners. This research paper has subdivided and focused on the process of presenting an appropriate list for elementary level learners based on the three aforementioned problems. It is unquestionable that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will continue to be alive as the era’s communication language in industrial sites, schools and the general public’s lifestyle through various texts because they make diverse language expression possible through the language’s dynamics, diversity, high creativity in society, greatness, exuberance, magic of application, durability, compressibility, and expansion.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hat learners should be exposed to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repeatedly during the elementary level stages of learning, and through the teacher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must develop as a tool to gain interest in the language. Also, teachers should always continu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diverse usage of language norms and grammar based o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t is a teacher’s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to help elementary level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to gai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help them to not give up and eventually be able to speak the language fluently. Hence, implementing the nature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one’s teaching method is a true example of a good teaching method. Keyword: Elementary level learners of Korean, symbolic word, onomatopoeia - mimetic words, korean teaching model, teaching methods, onomatopoeia - mimetic words selection

      • Back to back 전력변환장치 및 RTDS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 A study of the PHILS method for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back to back converter and RTDS

        이주한 창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화석 연료에 의한 에너지 소모는 지구의 온난화 그리고 에너지 자원 고갈이라는 두 가지 심각한 문제를 동시에 유발한다. 무한하게 재생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신재생 청정에너지 산업은 위의 두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미래 산업이다. 신재생 청정에너지를 논의 할 때, 수소 연료 전지, 태양광발전, 그리고 풍력 발전의 3개 분야는 다른 에너지원보다 현실성 있는 대안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은 최근 기술적 진보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kW당 발전 단가도 매우 저렴해 지고 있다. 풍력발전의 세계적 추세는 해상풍력과 발전 용량의 대형화이다. 육상 풍력은 대형 구조물의 이동, 설치 등의 문제로 인하여 수 MW 규모 이하로 그 용량이 제한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해상풍력은 대형 구조물 작업이 육지보다 훨씬 수월하며, 바람 자원도 우수하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는 장점 등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유럽 각국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안에 약 2 GW의 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될 계획이고 현재는 80 MW급의 풍력발전단지가 실증단지로 건설 중이다. 80 MW급의 풍력발전단지는 3~7 MW의 풍력발전기가 주축으로 구성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형 동기발전기를 사용하는 5 MW 풍력발전기를 power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PHILS) 기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PHILS 기법은 실제시스템과 시뮬레이션 시스템사이의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기 힘들거나 현재 보유하고 있는 실제 시스템으로 해석이 불가능한 대용량의 시스템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험기법이다. 또한 실험실과 같은 소규모 공간에 설치하여 실험 할 수 있으므로 실제 시스템에 비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실험이 가능하며 실제 시스템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한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PHILS는 직접 제작한 back to back converter와 인터페이스 시스템, MG set, 실시간 시뮬레이터인 RTDS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RTDS에는 5 MW급으로 설계된 풍력발전기의 터빈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풍속을 모델링 하였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풍속이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통해 MG set으로 전달되어 변화하는 풍속에 따라 실제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모의하였고, 출력되는 전력은 다시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통해 RTDS에 모델링되어있는 5 MW 풍력터빈에 적용되어 5 MW 풍력발전기의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PHILS를 통해 얻은 5 MW 풍력발전기의 특성결과는 실제 5 MW의 풍력발전기가 설치되고 계통에 연계될 때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여주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구축되어 있는 풍력발전용 PHILS를 통해 다양한 용량의 풍력발전기를 해석할 수 있고, 실제 시스템에 구현하기 힘든 제어방법을 우선 적용 테스트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적응형 이동 창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스무딩 필터

        이주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필터에 대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특히 칼만 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상태 추정 필터에 대하여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스무딩 필터의 설계가 가능하며, 스무딩 필터를 이용하면 칼만 필터에 비해 보다 높은 정확도로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스무딩 필터는 현재 시점 이외의 정보, 즉 과거 또는 미래의 정보들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필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칼만 필터에 비해 상태 추정 정확도가 높으나 실시간 구현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는 곧, 스무딩 필터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다면 칼만 필터 기반 실시간 상태 추정 필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실시간 상태 추정 필터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실시간 스무딩 필터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 창 형성 기법을 제안하며, 구현한 필터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적응형 이동 창 기법을 제안한다. 이동 창 형성 기법은 스무딩 필터를 적용할 일정 시간 길이를 가지는 창을 형성하여 현재 시점 기준으로 계속 이동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 창을 형성해주는데 있어 필터의 실시간성 유지를 위해 설계할 필터에 적합한 이동 창의 길이를 선정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동 창 길이에 따른 각 필터 과정 수행 횟수와 소요시간 간의 관계성을 분석을 통한 선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적응형 이동 창 기법은 측정치가 부정확하거나 단절되는 상황에 대한 강인성을 확보하여 실시간 스무딩 필터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적응형 이동 창 형성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스무딩 필터의 성능을 항법 알고리즘을 예로 들어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위치 정확도가 간접형 확장 칼만 필터 기반 항법 알고리즘에 비해 12.06%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Research on various filters capable of estimating the state of a system in real-time has been conducted, but research on a real-time state estimation filter using a Kalman filter is being most actively conducted. Although the system state can be estimated with considerable accuracy through such a Kalman filter, system state information can be estimated with higher accuracy by using a smoothing filter that can be designed based on the Kalman filter. Since the smoothing filter is an algorithm that estimates the state of the system using information other than the current point in time (i.e., past, or future inform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higher state estimation accuracy than the general Kalman filter,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rea-time implementation is difficult. This means that if the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smoothing filter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eal-time state estimation filter wit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Kalman filter-based real-time state estimation filt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ving window formation method to implement a real-time smoothing filter with high accuracy, and an adaptive moving window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mplemented filter. The moving window formation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forming a window having a predetermined time length to which a smoothing filter is applied, and continuously moving the window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In forming such a moving window, a method of selecting a length of the moving window suitable for the filter is most important to maintain the real-time filter. To this end, in this paper, a selection method was proposed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executions of each filter process and the required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oving window,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The adaptive moving window method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a real-time smoothing filter by securing robustness against situations in which measurement values are inaccurate or disconne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real-time smoothing filter using such an adaptive moving window formation method, simulation was performed by taking the navigation algorithm as an exampl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oning accuracy was improved by 12.06% compared to the navigation algorithm based on the indirect extended Kalman filter.

      • 유사 하모닉 스태거드 전송 방식을 이용한 효율적인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이주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Advances in broadcasting technology are generating an increasing demand for Video-on-Demand (VoD) applications. In a video broadcasting method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s how to reduce a viewer’s waiting time and client’s buffer requirement in a given bandwidth allo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significant broadcasting methods had been propos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Pseudo Harmonic Staggered Broadcasting (PHSB) method which has simple structure and channel efficiency in a given bandwidth. The nume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viewer’s waiting time of the PHSB method converge to that of harmonic method as the bandwidth is increased and the client buffer requirements of this can be decreased below that of the staircase method by adjusting a short front part of a video size. 주문형 비디오 (VoD) 서비스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정해진 대역폭 내에서 시청자의 대기 시간과 요구되는 버퍼량을 줄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기존의 주문형 비디오 방법의 복잡도를 크게 줄이는 새로운 유사 하모닉 스태거드 전송 (Pseudo Harmonic Staggered Broadcasting)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전체 채널 대역폭, 채널 수, 셋탑 박스의 저장 공간과 같은 서비스 환경을 고려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짧은 선행 부분과 긴 후행 부분으로 나누고 짧은 선행 부분에는 유사 하모닉 (Pseudo Harmonic broadcasting) 전송 방식을 적용하고, 긴 후행 부분에는 스태거드 전송 (Staggered Broadcasting) 방식을 적용한 다음 상호 동기를 맞추어 NVoD 서비스를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구조는 비디오의 짧은 앞부분만 데이터 분할을 통한 비디오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채널 대역폭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NVoD 시스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성능을 판단하기 위해 비디오 길이가 6000초, 비디오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전체 채널수가 10, 비디오 분할 계수가 3으로 주어질 경우에 제안된 방식의 최대 시청자 대기 시간은 15초 정도이고 시청자 버퍼 요구량은 데이터 크기의 25%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방식은 우수한 성능과 더불어 기존에 제안되었던 다양한 NVoD 방식들의 단점인 세그먼트 수, 관리 채널 수, 동시 사용 채널 수와 같은 시스템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시청자 수에 의한 성능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대규모의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비디오 분할 계수를 이용하여 비디오를 분할함으로써 시청자 대기 시간과 필요한 버퍼량을 조절할 수가 있었다. 이것은 NVoD 방식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이들을 조절해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방식은 많은 시청자를 지원하는 NVoD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실용적인 주문형 비디오 방법으로 기대된다.

      • 전해질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공액 폴리머 필름의 이온 교환 도핑에 대한 연구

        이주한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Ion exchange doping, which is mediated by an ionic liquid and can be done with the effective exchange between a conventional molecular dopant anion and the second anion in an ionic liquid, is an emerging chemical doping process of π-conjugated polymer film. This process can provide an exceptionally high doping level and enhanced stability of the doped semiconducting polymer fil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the ion exchange doping process by using the electrolyte-gated transistor platform, which can electrochemically modulate a driving force for ion exchange doping of the π-conjugated polymer semiconducting film. For this, we fabricated an electrochemical transistor where 1-ethyl-3-methylimidazolium-bis(trifluormethylsulfonyl), [EMIM] [TFSI] and tetrafluoro-tetracyanoquinodimethane (F4-TCNQ) doped poly(2,5-bis(3-tetradecylthiophen-2yl)thieon(3,2-b)thiophene) PBTTT-C14 polymer film as electrolyte gate medium and conducting channel layer. The electrolyte-gated transistor shows a reversible process that the conductivity of the doped PBTTT polymer film initially increased and then arrived at the maximized conductivity but decreased again after the critical point as the bia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increased. With the electrolyte-gated transistor platform, the intrinsically possible maximum doping level in the PBTTT-film could be estimated.

      • 정보 밥상 차리기 : KBS 2TV <8 아침 뉴스타임>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과정 연구

        이주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국내 뉴스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경성 뉴스에서 벗어나 이른바 뉴스 쇼라 불리는 연성 종합 뉴스가 서서히 선보이고 있다. 제작기법이나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기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돼 왔던 뉴스에 이제는 VJ와 PD들의 참여도 크게 늘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의 아침 뉴스는 쇼 형식의 뉴스가 이미 오래 전에 자리를 잡았지만 우리는 아침 시간대 아직은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의 홍수 속에 버라이어티 성격의 뉴스 쇼의 토양은 척박한 편이다. 이를 뒷받침해 줄만한 뉴스 쇼에 대한 연구도 미흡했다. 그동안 주를 이뤘던수용자 중심의 연구에서 생산자 중심의 연구가 서서히 늘어나고 있지만 PD가 제작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이 많고, 기자들이 제작하는 뉴스 쇼,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기자와 외주 제작사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포맷과 구성으로 시청자를 공략하는 새로운 형태의 뉴스 프로그램이 등장했다. 이 연구는 주부를 주 시청자 층으로 하는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 <KBS 2TV 8 아침 뉴스타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제작진은 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고, 제작진의 인식은 프로그램 제작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연구는 시작됐다. 특히 시청률을 의식할 수 밖에 없는 아침 시간대 기자 제작진들은 프로그램의 성격과 우선 가치를 어디다 두고 있는지 살펴봤다. 이같은 연구목적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아침 뉴스타임의 프로그램 성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직은 정체성이 불분명한 뉴스 쇼의 장르 성격은 무엇인지, 그리고 코너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을 살펴 봤다. 제작진은 공정성 등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수용자와 제작진 자신들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짚어봤다. 이를 통해 사실을 찾는데 익숙했던 기자들이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겪는 애로사항은 무엇인지도 살펴봤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아침 뉴스타임의 제작과정과 제작관행을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봤다. 일상적인 제작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리고 제작관행과 의사결정 과정의 특징이 프로그램 제작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봤다. PD가 제작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일상화된 외주 제작방식을 놓고, 제작과정에서 기자들이 겪는 갈등과 해소방안은 무엇이었는지 짚어봄으로써 보도부문으로까지 확대되는 외주 제작 시스템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침 뉴스타임 제작진은 가장 높은 가치로 공정성과 신뢰성을 삼고 있다. 하지만 광고 수입이라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아이템 선정과 제작에 있어 공정성과 시청률 사이에서 매순간 ‘외줄타기’를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제작진은 한편으로는 재미와 다른 한편으로는 공정성을 추구하며 철저한 게이트 키핑을 실시하고 있었다. 둘째, 주 시청자들인 3~40대의 주부들은 이중성과 중독성을 갖고 있는만큼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선정적이고도 단순한 아이템을 채택하는 경향이 높았다. 따라서 연예와 사건 중심의 아이템 채택율이 훨씬 높았다. 셋째, 기자들은 아침 뉴스타임의 정체성과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편집부서이면서도 노동 강도가 센 반면, 자기 발전과 충전을 꾀할 기회는 적어 이같은 생각을 더욱 증폭시키는 듯 했다. 무엇보다 회사 측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해 보였다. 넷째, 업무과정에서 이뤄지는 활발한 의사소통은 프로그램 전체의 질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간혹 수직, 수평간 갈등이 사기저하로 이어지는 사례가 간혹 엿보였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아침 뉴스타임 뿐만 아니라 뉴스 쇼의 형태를 지닌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경영진의 전폭적인 지원, 그리고 제작진의 획기적인 인식 변화가 시급해 보인다. 특히 대폭적인 예산과 우수 인력확보는 프로그램 품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시청자들에 대한 서비스 차원에서도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상파의 유사 프로그램 간의 비교분석도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eporters and producers about the news program which are produced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reporters and outsourcing maker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television program is produced. Particularly, it examined by segmenting producers' perception about program contents and consumers, and production crew's perception about their task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RQ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ning News Time? RQ2. What perception does the production crew have about the Morning News Time? RQ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ing process and the producing practice of Morning News Tim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production crew of the Morning News Time, including reporters, outsourcing producers, news producers, and assistant producers. The interviewees considered fairness and viewer ratings as the highest value in making the program. In the meantime, they had a hard time while walking a single line between two values, which may be collided at the slightest slip. It was found that, since housewives in their 30s~40s, who construct the main audience, have dualism and toxicity, there was tendency of adopting sensational and simple items in order to attract these audience. The production staffs were feeling a sense of 'shame' in the middle of inferior work environment and a sense of confusion in identifying the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vertical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wa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program and for the smooth produc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