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두 방범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 천안ㆍ아산지역을 중심으로

        이주락(Ju Lak Lee) 한국국정관리학회 2008 현대사회와 행정 Vol.18 No.2

          2002년 서울시 강남구에서 시작된 방범 CCTV의 설치가 범죄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를 이미 도입하였거나 앞으로 도입하려 계획하고 있다. 범죄예방수단으로서의 방범 CCTV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효과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방범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BR>  본 연구는 천안ㆍ아산지역을 중심으로 범죄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방범 CCTV의 범죄예방효과를 분석하려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방범 CCTV는  일정한 수준의 범죄예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와 더불어 범죄전이효과도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방범 CCTV의 범죄전이효과를 최소화하고 범죄예방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pen-street CCTVs on the crime prevention has been acknowledged, many local governments have already implemented CCTVs or are planning to introduce them.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CCTVs, we mus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m and their impact on the crime prevention.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opic in Korea.<BR>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CCTV 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nown offenders in Cheonan and Asan area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CCTVs had some impact on the crime prevention along with crime displacement. In relation to this finding,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CTVs on the crime prevention while reducing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s.

      • KCI등재

        침입절도 반복피해에 관한 연구

        이주락(Lee Ju Lak),강민완(Kang Min Wa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3

        범죄피해경험은 후속피해에 대한 가장 확실한 예측요소이므로 침입절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침입절도 반복피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우리사회에서는 침입절도와 그 반복피해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7명의 침입절도범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반복피해의 기본전제라 할 수 있는 범죄자의 합리성이 침입절도범의 경우에도 성립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탐색적인 차원에서 침입절도 반복피해의 발생유형과 그 발생시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도 침입절도범들은 합리적으로 범행대상을 선택하며, 범행대상선택시 이익이나 노력에 관련된 요인보다는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반복피해의 발생유형에 관해서는 위험이질적 반복피해와 사건의존적 반복피해가 모두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반복피해의 시기는 국외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상당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침입절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점증적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Since victimization is the best single predictor of later victimization, better understanding of repeat burglary victimiz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effectively tackle burglary problem. In the Korean context,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burglary and its repeat victimization. Thu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7 known burglar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fill the gap and tried to find whether burglars make rational choice; what types of repeat burglary victimization occur; and when repeat burglary victimization occurs. This study found that residential burglars planned and made rational decisions when they searched for a target. However, the decision made by the burglars on a particular target was based primarily on an assessment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any potential target. In relation to the types of repeat victimization, it was found that both heterogeneity and event dependency factors contributed to repeat burglary victimization. Unlike the findings from the most preceeding research that repeat offenses occur quickly, this study found that the time period between an initial and subsequent offense was not shor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everal recommendations focusing on graduated response are proposed

      • KCI등재

        개인정보 및 사생활보호를 위한 민간조사원 조사권의 한계 설정

        이주락(Lee Ju Lak),최종윤(Choi Jong Yu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2 경찰학연구 Vol.12 No.1

        This study places its emphasis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which is the major concern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Moreover, the legal or other practical issue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are reviewed while efficient ways to set the proper scope of private investigation to minimize the infringement are discussed. The detailed examination on the issue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reveals that violation of portrait rights, wiretapping, invasion of privacy or restrictions on personal freedom due to tailing and stakeout, and intrusion on the personal rights caused by excessiv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overuse are the major expected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intrusion into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te life,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ets of work scope for the private investigators. Firstly, wiretapping should be prohibited; in other words, private investigators are not allowed to trespass on a private area of the person being investigated. Secondly, shooting photos needs to be sanctioned as it is a crucial part of the investigatory tasks. However, it should be limited to the shooting in public areas of those who are considered possible evidence of a case. Thirdly, tailing and stakeout should be legalized as the vital components to perform relevant duties; however, they should only be permitted in open places and should be stopped when requested by the person being investigated. Furthermore, private investigators are prohibited to collect any personal information outside of their work scope. Finally, disclosur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cquired over the course of investigations to a third party is prohibited, and all the relevant information should be discarded after termination of investigations.

      • KCI등재후보

        국회 경호공무원과 민간경비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연구

        이주락(Lee, Ju-Lak),김재운(Kim, Jae-Wo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2 No.4

        민간경비는 공경비와 더불어 사회전반의 치안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경비와 민간경비를 비교하는 연구가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는 국회 경호공무원과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조직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공경비와 민간경비의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각각의 조직에서 구성원의 만족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가 되고자 하였다. 국회 경호공무원은 경위와 방호원 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민간경비원은 서울ㆍ경기지역 경비업체에 종사하는 일반경비원 20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통계패키지(PASW 21.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국회 경호공무원에게는 조직특성이 조직몰입에 보다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민간경비원은 조직특성보다는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보다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국회 경호공무원에게는 직위구조의 조직화, 보상의 공정성과 조직 자율성 확보, 조직지원 확대 등을 통해 조직몰입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민간경비원은 개인이 받는 직무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추어야 조직몰입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rivate security sector performs many responsibilities to ensure the overall security in our society along with public security; however, despite the its importance,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two types of secur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how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shap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security officials at the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and private security officers. Also, with the basi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uthor(s) aimed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ecurity type and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ecurity workers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wo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One with 145 security employees a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other with 203 private security offic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security officials at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other hand, job stress was found to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ivate security officers. Therefor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security officials is expected to improve through changes including, systematization of the rank structure, fairness in compensation, increased autonomy, and expans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Furthermore, the levels of private security officers' commitment to their organizations could increase by helping to minimize and relieve individual officer's stress.

      • KCI등재후보

        지하철 성범죄의 유형별 실태분석과 대응전략

        이주락(Lee, Ju-Lak) 한국범죄심리학회 201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9 No.1

        우리 사회의 많은 여성들이 지하철 성범죄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하철 이용에 따른 심리적 불안과 공포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지하철 성범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체계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지하철 성범죄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또한 지하철 성범죄를 다룬 소수의 연구들도 지하철 성범죄의 다양성과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단편적인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제시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하철 성범죄와 관련된 공식 통계자료의 분석과 지하철경찰대 소속 수사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지하철 성범죄의 실태와 그 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살펴보고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하철 성범죄의 유형을 구분하지 않았던 과거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지하철 성범죄를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인 성추행과 몰카촬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같은 지하철 성범죄지만 성추행과 몰카촬영은 그 수법과 특성이 매우 다르다는 점과 지하철 성범죄자들이 합리적 선택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지하철 성범죄 대응전략은 성범죄를 성추행과 몰카촬영으로 나누어 제시되어야 하며, 또 상황적 범죄예방이 지하철성범죄의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South Korea, many women have had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being a victim of subway sex offenses, which has led to an increased psychological anxiety and fear among them in using the metro.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response measure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crim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place an emphasis on the subway sex offenses, and the existing researches follow such a narrow model without tak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into account, thus failing to provide viable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sex offenses and suggest feasible measures by examining official data and interviewing the investigators of the Subway Police Force/Unit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at do not categorize subway sex offens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rime by classifying it into two representative types. The result reveals that sexual harrassment and secret picture-taking are different in method and characteristics although they are both considered as subway sex crimes, as well as that the offenders tend to make reasonable choices. With the results obtained, the author suggests that policy makers develop suitable measures that are separately designed for each type of the crime and implies that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can be an effective option.

      • 영국 정보기관의 정보활동 연구

        이주락(Lee, Ju-Lak) 한국사회안전학회 2017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12 No.2

        영국의 정부 기관 중 정보활동을 하는 기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순수한 정보기관이고, 둘째는 정보 기능을 가진 법집행기관이다. 전자에는 보안부 (Security Service, SS 혹은 MI5), 비밀정보부 (Secret Intelligence Service, SIS 혹은 MI6), 국방정보부 (Defense Intelligence, DI), 정보통신본부 (Government Communications Headquarters, GCHQ)가 있고, 후자에는 국가범죄수사청 (National Crime Agency, NCA), 국가사기범죄정보국 (National Fraud Intelligence Bureau, NFIB) 및 국세청 (HM Revenue & Customs, HMRC)이 있다. 영국 정보기관의 활동은 국가안보와 중대 범죄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익 (economic well-bing)을 목표로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경제적 이익이 논란이 되고 있기는 하나, 이를 근거로 영국의 정보기관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정보기관은 안보위험에 대한 정보기반의 평가보고서를 정책결정권자들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안보위험은 매우 광범위해서 범죄정보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에너지 안보, 식품보장, 이민, 금융 불안정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There are two main types of agencies in the UK that are engaged in intelligence activities. The first is a pure intelligence agency and the second is a law enforcement agency with intelligence function. The former includes Security Service (SS or MI5), Secret Intelligence Service (SIS or MI6), Defense Intelligence (DI), Government Communications Headquarters (GCHQ), The National Crime Agency (NCA), The National Fraud Intelligence Bureau (NFIB) and HM Revenue & Customs (HMRC). The activities of UK intelligence agenci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aims of economic well-bing as well as national security and serious crime. Although the economic interests are controversial, the British intelligence agencies are doing various activities based on this. In addition, intelligence agencies provide information-based assessment reports on security risks to policy-makers. Security risks are so broad that they are related to not only intelligence on crime, but also climate change, energy security, food security, immigration, and financial instability.

      • Burglar Decision Making and Target Selection

        이주락(Lee Ju Lak)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06 경찰학연구 Vol.6 No.2

        This study assesses the theoretical consistency and empirical validity of environmental approach in relation to residential burglary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a,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employed in the study consisted mainly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djusted to suit the specific needs of the study.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fifty-two burglars interviewed. A central focus of the study was the subjects’ target-selection methodology, and in the study interviews they were queried as to how they went about identifying a suitable residential target for burglary.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extent to which the subjects in the study sample utilized rational processes to select a potential burglary target, and what situational conditions and features they used as discriminative cues in this target-selection process. Analysis of the study data indicates that both the risks and the rewards of residential burglary are capable of influencing burglars’ target selection. However, when assessing potential residential burglary targets, burglars are significantly more influenced by situational cues relating to risk than by cues relating to reward. Thus,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prevention measures against residential burglary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anipulation of situational cues relating to risk.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guidelines that c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sidential burglary prevention initiatives and measures are put forward for consideration.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팬데믹 상황에서의 물리보안 통제요소 도출

        이상학(Lee, Sang-Hak),채정석(Chae, Jeong-Seok),이주락(Lee, Ju-Lak)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65

        글로벌 팬데믹 사태를 겪으며 전 세계는 다시 한번 ‘전염병’을 높은 수준의 위협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방역은 본래 환경안전의 범위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 보안은 이에 대한 지원적 업무만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물리보안시스템(PPS)의 적용을 통한 팬데믹 대응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물리보안의 팬데믹 대응에 대한 범위확장과 새로운 접근이 고려되어야 하는 때이다. 이 연구에서는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주제로 팬데믹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구성하였으며,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통제요소의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와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구분하는 건축 구조적 요소, 전자적 시스템 요소, 인적 요소 아래, 12개의 중분류, 28개의 소분류로 구성되는 팬데믹 상황에서의 물리보안 통제요 소를 도출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The global pandemics have once again led the world to recognize epidemic as a high-level threat. Disinfection measures were originally dealt with in the scope of environmental safety in general, and security has only been in charge of supporting tasks, but now, as the number of pandemic response cas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physical security systems is increasing, it is time to consider expanding the scope and various approaches to countering the pandemic of physical security. In this study, physical security controls that should be consider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called pandemics, were constructed under the subject of physical security controls, which have been rarely addressed so far, and conclusions were drawn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to derive objective and specific control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high practical value by deriving and presenting physical security controls in pandemics, consisting of architectural structural, electronic, and human factors that distinguish physical security controls, 12 divisions and 28 subdivisions. It would also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by presenting traditional physical security control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 KCI등재

        백화점 상점절도범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석 ( Seok Lee ),이주락 ( Ju Lak Lee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4

        상점절도는 경제현상을 왜곡하고 건전한 근로의욕을 저해하며 미시적으로는 소매영업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피해를 주는 반사회적 행동이다. 오늘날 공권력의 한계가 노정되는 현실에서 수익 사업장인 백화점에서 발생하는 상점절도 대책은 해당업계의 관심과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백화점 상점절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이를 저지르는 사람들의 인적 특성과 범죄행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 소재백화점에서 남녀 107명이 저지른 191건의 상점절도 사건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백화점 상점절도범의 인적 특성으로는 여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20대에서 서서히 증가하여 50대에 최고 빈발하였다가 60대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70대에 이르기까지 줄어드는 전형적인 포물선 형태의 연령별 범행 추세를 보였다. 또한, 백화점 상점절도범의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점에서도 예측할 수 있듯 절도범의 직업은 주부와 무직자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범죄행동 특성 분석 결과는 첫째, 발생 요일은 주말과 휴일이 절반이 넘었고 월·화요일의 주 초반에는 매우 낮았다. 발생 시간대는 12시 이후 5시간 동안 전체의 70% 이상이 집중되었고 단일시간대는 12~13시 사이에 가장 빈발했다. 둘째, 절도대상물은 의류가 가장 많았고 화장품, 잡화·신발·액세서리가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절도 당시의 매장상황은 점원의 ‘다른 손님 응대’가 가장 높았고, ‘감시소홀’, ‘혼잡’, ‘점원의 부재’의 순이었다. 또 상품을 숨기는 장소로는 쇼핑백, 가방의 순으로 높았고, 맨 손으로 들고 나오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점절도를 저지르는 사람들 중 20% 이상이 하루에 두 번 이상 훔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Retail shoplifting is an anti-social act that distorts economic trends, affects the will to work negatively, and microscopically, harms both consumers and retailers. With the limited influence of public authority, preventive measures for retail shoplifting in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has become an area of interest for private security. This research aimed to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department store owners and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plifting cases, thus helping to develop and implement rational and effective countermeasure against the crime. Specifically, 191 cases of retail shoplifting committed by 107 individual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examined. In addition, interviews with case officers, security guards, shop managers, and shoplifters were conducted and supplemented the analyses. The vast majority of the offenders were female of varying age groups. To illustrate, a parabolic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ge and offending behavior, with the number increasing from the individuals in their 20s to 50s, and decreasing from the age group of 60s. Moreover, housewives and the unemployed comprised the majority of the offender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shoplifting cases were committed on weekends and holidays. On the other hand, earlier days in the week, Mondays and Tuesdays each constituted small part of the sample. As for time of day, over 70 percent of the cases happened during the hours between 12pm and 5pm,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found between 12pm and 1pm. Additionally, clothes, cosmetics, and shoes, accessories and others were shown to be the main targets of shoplifting.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items were stolen in situations in which other customer(s) were attended to the level of store monitoring was low, the shop was crowded with customers, and the clerk(s) were absent. Moreover, as for place of concealment, shopping bags, hand bags, and a simple hand-carrying method were used. Finally, over 20 percent of the offender sample reported shoplifting more than twice in a day.

      • KCI등재

        외국어논문 : 경찰 불심검문시 용의자의 개인적 경향이 뉴욕시 경찰의 대응에 미치는 영향: 차별적 의심이론의 검증

        문준섭 ( Jun Seob Moon ),이주락 ( Ju Lak Lee ),이완희 ( Wan Hee Lee ) 대한범죄학회 2012 한국범죄학 Vol.6 No.1

        경찰업무란 편견이 사실로 대체되어서는 안 되며, 어떠한 외부상황과 외압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들에 의해 수행 되는 숭고한 업무여야 한다. 이것이 경찰과 경찰이 수행하는 업무의 가장 이상적인 이미지이다. 하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경찰업무도 시민들이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지적 원칙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를 통하여 교통경찰 업무 이외에 발생하는 경찰 검문에서의 차별적 의심 이론 (Smith, Makarious, & Alpert, 2006)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뉴욕시의 NYC Stop, Question, and Frisk 데이터에 포함된 변수들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원자료는 2006년 뉴욕시 경찰관에 의하여 수집된 불심검문관련정보로써, 뉴욕시 5개 지역의 NYPD경찰관으로부터 보행자 검문을 받은 약 50만명 (n=506,491)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변수로는 용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검문 장소, 시간, 경찰관의 검문 시 취한행동과 결과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뉴욕시 내의 5개 자치구중Staten Island의 검문 수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불균형하게 낮게 나타나 (3.8%), Staten Island에서 수행된 모든 검문에 관한 사항은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용의자 연령” 변수는 18세에서 65세 사이로 제한하였고, 결측 데이터 (Missing Data)는 제외시켜,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총 392,055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Logistic Regression)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세한 결과와 연구의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olice work is a task in which bias does not supercede fact, a noble endeavor that should be carried out by men and women to immune extraneous influences and circumstances. These are the ideal images of police and the work they perform. In reality, police are bound by the same cognitive principles as the citizens they serve. The current study will attempt to test the differential suspicion theory (Smith, Makarious, & Alpert, 2006) in the context of police stops outside of the traffic setting. Instead, pedestrian stops will be analyzed utilizing variables derived from the 2006 New York City (NYC) Stop, Question, and Frisk dataset. These data were originally collected by New York Police Department officers and record information gathered as a result of stop question and frisk encounters during 2006. The data included over 500,000 (n = 506,491) individual pedestrian stops by New York Police Department (NYPD) officers in all five boroughs of New York City. Data was amassed through information recorded by NYPD officers after citizen stops during the duration of the study. A se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Model 1, 2, and 3). Detailed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