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교육비 경감 정책 효과 분석 - 부산광역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주동범 ( Ju Dong-beom ),이원석 ( Lee Won-seok ),이현철 ( Lee Hyun-chul ),김광석 ( Kim Kwang-seok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1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사교육비 경감 정책 및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부산광역시 사교육비 경감 및 지원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사교육비에 대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결과, 중학교 학생수준의 변수 중에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영어, 수학 사교육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사이버스쿨 활용 시간은 미약하지만 국어 사교육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는 국어 사교육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교육 프로그램 이용 시간은 영어 사교육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학교수준 변수들이 포함될 때 그 영향력이 사라져 학교수준의 변수들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특성 변수 중에 영어 수준별 수업운영은 영어 사교육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연계 프로그램 운영은 수학 사교육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수준의 변수 중에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국어·영어·수학 사교육비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방과후학교(국어) 참여는 국어 사교육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교육 프로그램 이용은 국어·영어·수학 사교육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특성 변수 중에 방과후학교 참여는 국어 사교육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EBS교육 프로그램 이용은 수학 사교육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he first year data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Busan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reduction policy and support program and examined the policy alternatives for reducing Busan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 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on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showed that the parent’ socioeconomic status among the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 level in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English and Mathematics. And the usage time of Busan cyber school increased weakly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Korean. The student’s after-school participation de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Korean. The usage time of EBS education program reduc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English, but when school-level variables were included, the program’s influence disappeared, which means that school-level variables exerted greater influence. Among the school characteristics variables, English class by level de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English. The operation of program connected with after-school in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Mathematics. The parent’ socioeconomic status among the variabl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 level in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Korean) de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Korean. The usage of EBS education program reduc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Among the schoo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in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Korean, and the usage of EBS education program decreased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of Mathematics.

      • KCI등재후보

        학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주동범(Ju Dong-Beom),이원석(Lee Won-Seok),이현철(Lee Hyun-Chul),김광석(Kim Kwang-Seok)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2017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초등학생 학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부모 학교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 학부모 학교활동 참여는 학부모수준에서의 학교활동 참여와 학교수준에서의 학교활동 참여로 구성된다. 학부모수준 변수는 부모의 SES, 부모의 교육지원, 부모 자녀 관계, 부모의 학교활동 참여 횟수, 부모의 학교만족도이며, 학교수준 변수는 학부모 모니터링 인원, 학부모 모니터링 횟수, 학교장의 학부모나 지역사회관계, 교사의 학부모나 지역사회관계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부모수준에서는 부모의 SES, 부모의 교육지원, 부모 자녀 관계, 부모의 학교활동 참여 횟수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수준에서는 학부모 모니터링 횟수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학부모나 지역사회관계 인식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이 논의․제시되었다. Using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BELS),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ed the implications of policy for activating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The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s of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in parent level and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in school level. The variables of the parent level include parent s socioeconomic status, parent s educational support, parent-child relationship, number of the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arent s school satisfaction, and the variables of the school level include number of person of parent s monitoring, number of parent s monitoring, perception of principal s parent or community, and perception of teacher s parent or commun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s socioeconomic status, the parent s educational support,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number of the parent s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 the parent level. Second, the number of the parent s monitoring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but the perception of teacher s parent or community relationship influenced elementary school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negatively in school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분석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주동범(Ju, Dong-Beom),이현철(Lee, Hyun-Chul),이원석(Lee, Won-Seok),김광석(Kim, Kwang-Suk)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대구교육종단연구 1차년도(2017)~3차년도(2019) 데이터를 통하여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종단적인 만족도의 변화 그리고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학교 만족도 인식 변화의 패턴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학교 만족도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종단적인 변화와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방과후학교 만족도 초기치에 문화활동(.117, p<.05), 학교활동참여(-.090, p<.05), 학교교육만족도(.576, p<.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변화율에는 학교교육만족도(-.097, p<.05)만이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방과후학교 만족도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s satisfaction with after-school programs and their change in elementary school by using a sample from DELS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1 (2017) ~3 (2019) data.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what is the pattern of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after-school programs?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To this end, the LGM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itudinal chang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As a result of the study, cultural activities (.117, p<.05),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090, p<.05),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576, p<.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initial level (intercept) of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after school. The rate of change (slope) was influenced by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097, p<.05).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with the after-school program.

      • KCI등재

        다문화학생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경기도 다문화학생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주동범(Dong Beom Ju),이현철(Hyun Chul Lee),이원석(Won Seok Lee),김광석(Kwang Suk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다문화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다문화교육정책학교 학부모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다문화학생 지원 인지 정도, 다문화학생 지원활동 만족도, 다문화학생 지원 항목 중요도 및 실행도, 다문화학생 지원체계 구축 인식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학생 학부모는 교육지원청에 대한 정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학생 교육지원 활동, 국가수준과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에서 운영되는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 수준이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학생 지원 항목에 대한 변화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실행부족 관점에서는 ‘진로진학교육 지원’, ‘다문화가정 학부모 대상 지원’이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아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다문화학생 지원체계 구축에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학교·교육(지원)청·다문화교육지원센터·지자체(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다문화학생 지원체계의 운영 주체로 ‘도교육청’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51 par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in Gyeonggi-do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parents in seeking ways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system.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the recognition level of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satisfaction with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activities,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items, and the percep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syste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tudent’s parents showed above average level of awareness of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and multicultural student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onducted in school, and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policies operated by nation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 for change in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items, from the perspective of lack of implementation, ‘support for career advancement education’ and ‘support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recognized as needing change because their implementation was low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ird, as the most necessary item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system, they answered that it was most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schools, education support offic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local governments. Fourth,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as the main operator of the multicultural student support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소규모학교 통폐합 영향평가를 위한 합리적 모델 개발 연구

        주동범 ( Ju Dong-beom ),김광석 ( Kim Kwang-suk ),이현철 ( Lee Hyun-chul ),이원석 ( Lee Won-seok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학교 통폐합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고,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의 근거 타당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합리적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소규모학교 통폐합의 논리로 제시되는 근거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교육재정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둘째, 소규모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뒤진다는 논리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셋째, 소규모학교 학생들은 문화적 향유라는 측면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논리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재정적인 측면은 단기적으로 소규모학교 통폐합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마을공동체를 회생시키고 활성화할 수 있다는 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오히려 소규모학교일수록 학생들의 학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학교 규모가 곧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보장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문화적 측면에서 도시화의 산물로서 문화를 공유하는 것이라면 일리가 있으나 문화란 인간의 내면적 가치를 높이는 삶의 본질이라고 이해한다면 오히려 소규모학교 학생들만이 누리는 문화 향유가 있다는 점에서 고려할 점이 있다.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소규모학교 통폐합 영향평가를 위한 합리적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며, 지역사회기반의 평가요소를 개발․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기초로 소규모학교 통폐합 영향평가를 위한 네 가지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것은 첫째, 소규모 학교 통폐합 강화 모델(시행 투명성 확보), 둘째, 소규모학교 통폐합 절차 감사 모델(교육청 자율성 강화), 셋째, 소규모학교 통폐합 효과 모델(효과 검증 강화), 넷째, 전문가협의회 구성 모델(통폐합을 위한 상설 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and to develop and provide the rational models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policy. For this, we analyzed the evidence presented as the logic of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in three aspects. First, we looked at the financial aspect of education. Second, we verified the logic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mall school students is behind. Third, we confirmed the logic that small school students could be alienated in terms of cultural enjoy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nancial aspect of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hat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may be effective in the short term, but in the long term, rehabilitation and revitalization of village community can be considered. Second, in aspec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that small schools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bility suggests that school size does not guarante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ird, it may make sense to share culture as a product of urbanization in terms of culture, but if we understand that culture is the essence of life that enhances the internal value of human beings,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there are cultural enjoyments enjoyed only by small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analyses, we emphasize the need to develop rational model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community-based evaluation elements. Based on this, four models for the impact assessment of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were developed. Those are the model of strengthening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s(insurance of transparency of implementation), Second, the model of auditing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 procedure(strengthening of autonomy of office of education), the model of making effect of small school merger and abolition(strengthening of verification of effect), and the model of making an expert council(permanent organization for merger and abolition).

      • KCI등재

        초등 학부모의 학교교육만족도에 대한 종단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주동범(Ju, Dong-Beom),이현철(Lee, Hyun-Chul),김광석(Kim, Kwang-Suk),이원석(Lee, Won-Seok)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부산교육정책연구소의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내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부산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을 시작점(1차)으로 2017년 2차년도(2차), 2018년 3차년도(3차)의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의 변화와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1차년도를 기준으로 연구참여자는 남성 1,656명과 여성 1,496명으로 총 3,178명이다.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 적합한 모형으로 선형 변화모형이 도출되었으며, 초기치 평균과 변량, 변화율의 평균과 변량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한편, 학부모들의 학교교육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선형 변화모형의 초기치, 변화율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투입한 결과 방과후학교 효과 인식, 학부모들의 학교온라인 이용정도, 학부모들의 학교자원봉사 참여 횟수 등이 학교교육만족도 초기치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설정된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Using BELS(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of Busan Education Policy Institute, the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parents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education in Busa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change and impact factor of satisfaction of the school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parents using data from the first wave of 2016, second wave of 2017, and third wave of 2018. The sample in the first wave was 3,178(1,656 males, 1,496 fema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linear change model as a suitable model was drawn by the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and the mean and variance of baseline and the mean and variance of change ratio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y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parents’ school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after-school, the extent of usage of parents’ school online,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of parents in school volunteer events.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