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영성과 교사 격려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종연 ( Jong Yeu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교사가 높은 효능감을 가지는 것은 학생들의 교과학습과 생활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내적 변인이 무엇인지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a) 교사의 영성, 교사 격려, 그리고 교사효능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b) 교사 격려가 교사의 영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에는 1급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는 교사 216명이 참여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영성이 높을수록 교사 격려와 교사효능감이 높고, 교사 격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영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사 격려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격려 기술을 높여야 하고, 교사의 격려기술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교사의 영성 수준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교육에서 교사의 격려기술과 영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school,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achieve teacher efficacy through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inner resources which impact the teacher effica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 Are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ity, teacher encouragement, and teacher effica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b) Are there any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pirituality and teacher efficacy? Two hundred and sixteen teachers enrolled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become a fully certified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mediating effect tests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a)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pirituality, teacher encouragement, and teacher efficacy of the teachers; and (b)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between their spirituality and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efficacy can be enhanced when teachers have skills for encouraging students, and these skills can be enhanced when teachers are spiritual.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ograms to enhance teachers` spirituality and the skills for encourag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희망과 영성 및 격려의 관계

        이종연 ( Jong Yeun Lee ),김복미 ( Bok Mi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격려에 영향을 주는 보육교사의 내적 변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데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보육교사의 희망, 영성, 그리고 격려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영성이 보육교사의 희망과 격려의 관계에서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에는 1급 승급교육을 받는 보육교사 336명이 참여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희망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영성과 격려 정도가 높고, 보육교사의 영성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격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희망과 격려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영성이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가 격려를 잘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영성을 높여야 하고, 이들의 영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이들의 희망 수준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 교육에서 격려 기술과 영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variables related to inner resource which have impact on encour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hope, spirituality, encour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 Is there any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ope and encouragement? Three hundred thirty three early childhool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in-service early child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to get the certificate for the first-class full early childhood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mediating effect test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hope, spirituality, and encouragement of the early childhool teachers; and (2)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pirituality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between their hope and encourage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encourage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enhanced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skills for encouraging early children, and the skills can be enhanced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spiritualit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ograms to enhanc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pirituality and the skills for encouraging early children should be studied, and provided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영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

        이종연 ( Jong-yeun Lee ),조정자 ( Jeong-ja J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영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생들의 영성과 셀프리더십은 어느 정도인가?; (2) 고등학생들의 인적 배경변인(성별, 학교유형별, 종교별)에 따라 영성과 셀프리더십은 차이가 있는가?; (3) 영성과 셀프리더십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 셀프리더십에 갖는 영성의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고, 기초통계치를 산출하고,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고등학생들의 영성과 셀프리더십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인적 배경변인(성별, 학교유형별, 종교별)에 따라 영성과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영성과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성 하위요인들의 기여도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1) What is the level of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gender, school type, religion) of high school students?; (3) Are th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4)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spirituality on self-leadership?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47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basic statistics calcu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data analysis methods. First,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medium lev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gender, school type, relig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 contribution of spirituality sub-factors to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영성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성숙성의 매개 효과

        이종연 ( Jong Yeu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교사의 공감 능력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고, 교사 자신의 직무 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특성이다. 본 연구는 교사의 영성 및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공감 능력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영성과 공감 능력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1급 중등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는 교사 9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영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성숙성과 공감 능력이 높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영성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성숙성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영성이 공감 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고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거쳐 공감 능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교사 교육이나 연구 과정에 교사들의 영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높여, 공감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강좌를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Empathy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are needed for school teachers to help effectively adolescent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s well as teacher`s other job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ity, psychosocial maturity, and empath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psychosocial matu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pirituality and empathy. Ninety fiv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get the certificate for the first-class full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a)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pirituality, psychosocial maturity, and empathy of the teachers; and (b)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maturity of the teachers were supported between their spirituality and empat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need to include courses to enhance teachers` spirituality and psychosocial maturity for developing their empathy.

      • KCI등재

        대학생의 성평등의식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위정미(Wie, Jung Mi),이종연(Lee, Jong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평등의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대학생의 성평등의식과 관련한 연구방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88년부터 2019년까지 대학생 성평등의식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97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학문분야, 연구대상, 자료수집, 연구방법, 연구주제, 관련변인, 측정도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연구시기별로 보면 2000년까지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1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학문분야별로 보면, 심리학, 교육학, 여성학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의 성별로 보면, 남·여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4.2%로 가장 많았으며 학년별로는 1~4학년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4.3%로 가장 많았다. 자료수집방법별로 보면, 설문조사가 68.0%로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 중에서는 양적연구가 82.5%로 가장 많았으며, 양적 분석방법 중에서는 변량분석이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심리·적응에 대한 주제가 42.3%로 가장 많았고, 관련변인 연구로는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60.0%로 가장 많았다. 측정도구별로 보면, 성평등의식 관련 측정도구가 52.1%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성평등의식과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gender egalitarianism for college students, thereby organizing the flow and performance of research and provid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future. From 1988 to 2019, a total of 97 articles and academic publications on gender egalitarianism studies,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by time, academic field,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related variables, and measurement too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ime, research studies have not been done until 2000 but have increased rapidly since 2001 and have increased steadily until 2019. In terms of academic field, many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sychology, education, and women’s studies. In terms of gender, research studies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74.2%, in terms of college grade, research studies including all college grade students were 44.3%. In terms of data collection, the survey studies occupied the majority(68.0%), in terms of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occupied the majority(82.5%),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most.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personality and adjustment research subject were the majority(42.3%), In terms of the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the most(60.0%). In terms of the use of measuring tools, scales in gender egalitarianism were used the most(52.1%).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studies for college students’ gender egalitarianism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영아(Kim, Young ah),이종연(Lee, Jong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개인심리학의 5가지 인생과제(일과 여가, 우정, 사랑, 자기 지향, 영성)를 바탕으로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심리학 문헌과 기존에 개발된 사회적 관심 척도 및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설문조사는 2017년 6월 1일부터 9월 28일까지 진행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대상을 달리하여 중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총 1,0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청소년 20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1차 예비척도(71문항)를 개발하고, 6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2차 예비척도(84문항)를 개발하였다. 청소년 32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검 사를 실시하여 Likert 응답방식을 보완하였다. 최종 척도 개발을 위해 청소년 358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척도를 타당화하기 위해 청소년 435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사회적 자기 관심, 타인 관심, 공동체 관심, 영성 관심) 구조는 양호한 적합도였으며, 공인타당도, 예언타 당도, 수렴타당도, 증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이 척도는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심리학에서 제시한 인생과제에 기반을 두고, 우리나라 사회문화에 맞는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를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 개발

        유은정(Eun-Jung Yoo),이종연(Jong-Yeun Lee)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2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설문조사, 포커스 면접 조사,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내용 영역, 조직적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된 잠정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잠정 모형은 40명의 학교상담 현장 전문가인 전문상담교사 패널들의 1차,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최종 모형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구안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은 총 3영역(내용 영역, 조직인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내용 영역으로 3개 영역(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 의사결정하기, 타인을 이해하고 사이좋게 지내기)으로 구성되었다. 두번째, 조직적인 틀 영역으로 4개 영역(가용시간, 운영 회기 수, 자유학기제 중 적합한 모형, 프로그램 운영)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소요자원 영역은 5개 영역(프로그램 운영자, 필요 역량, 역량개발방법, 재정적 지원, 행정적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학교상담자의 역할 정립과 학급단위 집단상담을 운영할 수 있는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lass unit group counseling model for school counselors to use the free-semester progra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conducted a survey,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n expert meeting to develop a proposed model, which consists of the content area, the organizational frame area, and the required resource area. The proposed tentative model was confirmed as the final model by securing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of panels of professional counselors who are 40 school counseling field expert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lass unit group counseling model for school counselors that can be used in the final proposed free semester system consisted of a total of three areas (content area, organizational frame area, and required resource area). The content area includes three sub-areas(understanding and accepting oneself, making a decision, understanding others and getting along well).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includes four sub-areas(available time, number of operational sessions, a most suitable model among the free-semester models, and program operation). The required resource area includes five sub-areas (program operator, required capacity, capacity development method, financial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model for looking for a solution to establish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and to enhance their competency to manage class unit group counsel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불안의 매개효과

        서성식(Seo, Seong Sik),이종연(Lee, Jong Yeu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불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 간의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성화 고등학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불안이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 모두,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진로불안과 정적으로, 삶의 만족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진로불안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끝으로,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불안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특성화 고등학생의 경우 진로불안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e life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career anxiety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school students. Secondly, regarding both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areer anxiety, bu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the career anxiety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ife satisfaction. Finally, in the case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the uncertainty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nxiety appea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fully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nxiety appeared. Based on such results of the research, the main suggestions, the limitations, and a proposal for a follow-up research were st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