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전공 복합학문시대 한문학연구의 역할

        이종묵(Lee, Jong-mook)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1 No.-

        이 논문은 21세기 다문화 복합학문 시대를 맞아 한국한문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한문학 연구는 그 출발단계에서부터 순문학적인 것만을 고집하지 않아 사상사, 사회사, 예술사 등을 포괄하는 통합 학문적 정격이 강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문학의 범위를 넘어서 타전공 영역의 본령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까지 도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근대 담론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민족이나 근대와 같은 거대담론이 축소되고 그 자리에 생활 혹은 일상이 자리하는 한편, 문화론적인 접근이 크게 유행하면서 한문학 연구 역시 문화론적인 연구가 크게 성행하고 있다. ‘물질(material)’을 키워드로 하는 문화론적 연구 방법에 의하여 한문으로 된 텍스트를 바탕으로 건축, 조경, 여행, 서적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주목할 만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한문학 연구의 미래를 낙관할 수 있지만, 정밀한 한문 해독 능력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문학 이외의 여러 학문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될 때 한문학 연구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함께 학문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생태, 소수자, 다문화, 여성 등 현재적인 의미가 있는 주제를 개발하여 살아 있는 한문학 연구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法古創新은 여전히 한문학 연구의 가장 중요한 방법론이 되어야 한다. 물론 탈근대와 연계된 문화론적인 접근은 어떤 이념이나 목적을 지향하지 않음으로써 그간 주도적이지 않았던 문화사적 현상을 새롭게 부각시키는 것 자체에 관심이 있다. 이에 따라 문화론적 접근은 독자들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창작행위로 나아갈 필요도 있다. 한국한문학 연구가 다른 분야를 향하여 개척의 길을 나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문학 텍스트를 정밀하게 해독하기 위해서도 다전공 복합학문의 자세가 필수적이다. 한문학 작품은 일반적인 문학이 다 그러하듯이 삼라만상을 담는 그릇이므로, 정밀한 작품해석을 위해서는 다전공 복합학문에 힘을 쏟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조선 후기 박물학적인 경향이 문학에서 강하게 드러나므로 박물학자적인 박학이 필요하다. This paper tries to seek to find a wa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age of Multi-major Interdisciplinary Study. From a beginning stage,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has a tendency of coordinate learning, including history of ideas, social history, and art history. Especially, in recent days, it produces the outcomes in other major fields beyond the boundary of literature. Furthermore, it follows the trend of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the dailiness or everyday lifes under the influence of discourses on post-modernism and post-structuralism, while the macro-discourses such as nation and modemity are being retreated. By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which take 'material' as an academic keyword,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urns out noteworthy achievements in diverse areas, such as architecture, gardening, travel, and book. In this situation, we can be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but for the upgraded advancemen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deep approaches on various subjects outside the literature based on the close understanding of Chinese texts are required.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develop new methodologies with a creative mind, covering current academic issues such as ecology, minority, multi-culture, gender. These cultural approaches associated with post-modernism pay attention to show the cultural phenomena which have not veen focused so far, unrestricted to any specific ideology or intention. These might offer many materials to the readers and need to get to a new form of writing activities. It is important that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explores a new way forward different academic fields, but for the close interpretation of Chinese texts, the attitude for multi-major interdisciplinary study is necessary. Especially, th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has a strong tendency of natural history, so the researchers need to have a wide knowledge as a naturalist.

      • KCI등재

        조선시대 괴석(怪石) 취향 연구-침향석(沈香石)과 태호석(太湖石)을 중심으로-

        이종묵 ( Lee Jong-mook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0

        조선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怪石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新溪石, 靑剛石, 花斑石, 豊川石 등 명품 괴석이 문인의 큰 사랑을 받았다. 그럼에도 최고의 명품은 沈香石이었다. 물이 정수리까지 올라가 꽃과 나무를 붙일 수 있는데다 돌의 결이 매우 아름다웠기에 최고의 명품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 이미 침향석은 고갈되었고 이에 따라 그 대용품으로 용암이 굳은 水泡石이 문인의 각광을 받았다. 일부 부유한 문인들은 중국에서 太湖石을 구입하여 그들의 서재를 장식하기도 하였다. 명품 괴석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은 기괴한 돌을 구하여 물을 잘 가무리할 수 있도록 가공하였고, 또 종이로 태호석을 만드는 현상까지 생겨났다. 특히 18세기 이래 괴석에 대한 癖을 자처하는 인물들이 등장하였다. 이는 일차적으로 ‘新奇’를 추종하는 시대적인 흐름이 저변에 깔려있다. 물론 전통적인 玩物喪志에 대한 경계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기에 괴석을 심성 수양의 방편으로 삼겠다는 논리를 개진한 이도 있었고, 일부 문인들은 괴석의 ‘奇怪’에 자신의 불우한 뜻을 깃들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이 시기 이러한 괴석 열풍은 淸供의 유행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臥遊 문화와는 큰 차이가 있다.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trong interest in the quaint stone (Goe-seok) since the earliest time, and the masterpieces such as the Singye-seok(新溪石), Cheonggang-seok(靑剛石), and Hwgban-seok(花斑石) were greatly loved by the literati. Among the pieces, the most prominent was Chimhyang-seok(沈香石). Chimhyang-seok was regarded as one of the finest items because water could permeate through gaps all over the body of the piece, so that flowers or trees could be planted and grown. However, the Chimhyang-seok was already exhaust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nd Supo-seok(水泡石) as the substitute, which was made up of leftover-lava, became the center of the literary spotlight. Some wealthy literati have purchased Taihu stone(太湖石) from China to decorate their libraries. Those who could not find any masterpiece used to find bizarre stones to make them look better, or sometimes try to make Taihu stone with paper. Particularly since the 18th century, those who introduced themselves as manias of the Goe-Seok began to appear in Joseoun Dynasty, under the trend of following the ‘novel’ basically. Of course, since the traditional idea of minding the ‘excessive attention to travia saps the will(玩物喪志)’ was not completely gone, the literati introduced a logic that they would make the Goe-seok one of means for cultivating and meditating their minds. Some literati also had their scenes or experiences of unsatisfied lives, as the themes or subjects written in the bizarre body of Goe-seok. Nonetheless, this frenzy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dream of travelling while in bed(臥遊) culture’, for that it is linked to the ‘Elegant offerings(淸供)’.

      • 관물(觀物)과 성찰(省察)의 공부(工夫) - 남명학파를 중심으로

        이종묵 ( Lee Jong-mook ) 南冥學硏究院 2017 南冥學 Vol.22 No.-

        조선시대 문인들은 사물과의 맞닥뜨림을 통해 삶의 지혜를 성찰하고 수양의 계기로 삼았다. 산수를 유람하면서 선한 품성을 함양하고 올바른 처세를 생각하는 것은 조식(曹植)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서 매우 강하게 나타나며, 정구(鄭逑)와 김효원(金孝元)등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산수유기(山水遊記)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꽃과 나무, 바위 등 일상에서 마주치는 사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인간의 문제를 성찰하는 글 역시 성여신(成汝信), 이제신(李濟臣), 하수일(河受一) 둥 남명학파의 글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물론 이러한 글쓰기는 `설(說)`이라는 양식의 기본적인 성격이기는 하지만 특히 남명학파는 이를 적극 활용하여, 인간의 성정 자체에 대한 탐색 대신,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인성을 함양하는 실천적인 공부를 지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on the wisdom of life through encounters with objects and used them as instruments for discipline. The cultivation of a good nature and contemplation of the proper conduct of life while cruising the landscape is very strongly seen in Yudur-ryok遊頭流錄 by Jo-sik曹植and a similar pattern can be seen in the travel writings of writers from th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such as Jeong-gu鄭遂 and Kim-Hyowon金孝元. In addition to this, reflection on human problems through observations of objects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such as flowers, trees and rocks, is also characteristic of the writings of the Nam-Myeong school,including the writings of Seong-Yeosin成汝信, Yi-Jesin李濟臣, Ha-Suil河受一. Of course, these qualities 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Seol說`, but it could be said that the Nam-Myeong school in particular actively utilizedthem for the practical study of cultivating a character capable of livinga right life, rather than for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itself.

      • KCI등재

        옛글과 함께 하는 영월 어라연 기행

        이종묵(Lee, Jong-M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영월의 어라연은 18세기 무렵부터 문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정자암(亭子巖)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김이만(金履萬)은 1722년과 1733년 두 차례 정자암 일대를 유람하고 처음 문학작품으로 남겼는데 선돌[立巖]의 빼어남도 함께 소개하였다. 이를 이어 1736년 영월부사 이명곤(李明坤)이 수운암(水雲庵)과 어풍정(御風亭)을 지었으며, 그의 벗 이광정(李光庭)이 정자암 일대의 명승에 이름을 붙이고 이를 시문에 담았다. 그 후 1745년 이인상(李麟祥)이 「정연추단도(亭淵秋湍圖)」를 그렸고, 시로도 노래하였다. 또 조하망(曺夏望)이 1746년 영월부사로 부임하여 정자암을 유람하고 그곳의 전설을 소개하였다. 그 밖에 정기안(鄭基安), 한만유(韓晩裕) 등도 정자암을 소재로 한 작품을 남겼다. Yeongwol Eorayeon started to become known to the literati around the 18th century, and was often called Jeongjaam. Kim visited the area twice in 1722 and 1733 and create literary works for the first time. It was introduced along with Sundol. In 1736, Lee Myeong-gon built Suunam and Eupungjeong, and his friends Lee Gwang-jeong named many places. Then, in 1745, Lee In-sang painted Jeongyeonchudado and sang a poem as well. Jo Ha-mang in 1746 toured Jeongjaam and introduced the legend of Jeongjaam. In addition, Jeong Gi-an and Han Man-yu also left works on Jeongjaa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양상

        李鍾默(Lee Jong-mook)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장서각 Vol.- No.7

        To prosper the poetics of the literary men, 『Dusi'?nhae 杜詩諺解』was published in the early Chos?n and republished in the middle days of Chos?n owing to great demand. In the late Chos?n, several kinds of 『Dusi'?nhae』 such as 『Dusibulyu 杜詩分類』, 『Duch'odangsi 杜草堂詩』 were produced. However, most translations of Chinese poetry except Dusi were for the beginners. 『?nhaej?lgu 諺解絶句』, 『Paegry?nch'ohae 百聯抄解』 were the cases. 『Komunjinbo 古文眞寶』, a collection of proses, which was widely spread with 『Komunbaoks?n 古文百選』 as Korean translation seems to have been very helpful to the beginners who were learning the verse and prose. 『Kugp'ung 國風』, the Korean translation selected from the works associated with the women's behaviors in 『Siky?ng 詩經』 came out in the late Chos?n. It is different from the the work, 『Siky?ng?nhae 詩經諺解』 dealing with the past achievements. Especially, it is notable that in the late Chos?n, women anthology began to be produced and translated for the women readers. 『Hoy?ncheyugo 浩然齋遺稿』 and 『?iyudangyugo 宜幽唐遺稿』 show the fact that Chinese poetry in Korean were produced and read by women at that time. Meanwhile, 『Hags?gjip 鶴石集』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the women readers. The existence of Korean anthology reflects the concerns of women about Chinese poetry in the late Chos?n. With the growth of family consciousness, the records including the considerable amounts of Chinese poetry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o announce the behaviors of ancestors to the ordinary women. The records like 『S?nbugun'?nhaeng'yusa 先父君言行遺事』 were translated with the Chinese poetry and the writing about the travelling experience to China like 『?lby?ng'y?nhaeng'nok 乙丙燕行錄』 including some Chinese poetry were translated. As the court ladies had a great desire for understanding history, many history books were translated. It is presumed that women enjoyed the translated Chinese poetry because among these historical materials, many Chinese poetry were inserted. Particularly, in 『Choya'hoetong 朝野會通』 there were a lot of Chinese poetry written by famous poets, which dramatically described political events, while putting the background of producing the Chinese poetry as poetic utterance. Many translated materials in Korean are kept in Changs?gak, most of which were in Y?nky?ngdang(演慶堂). It seems that these Korean materials in the late Chos?n were translated and read in the court. Among these, the Chinese poetry seems to have played a role in educating the Prince and court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