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 연구

        이제화,최성욱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3

        The study, with the purpose of realizing effective and functional career and job education of the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education schools, developed the special-education software to improve job life function of the 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aw the effects. For this, the software was produced focused on the sub-contents (neat attire, proper relationship, phone etiquette, local community movement) of the job life area composed to apply and practice learned contents among job curriculum content systems in the basic education course in the real life continuously. The medium form of the software was CD-ROM TITLE and the authoring tools were Macromedia Flash and Macromedia Director. It is progressed focused on subunits and the topic activities are composed of thinking, preparing, action, and organizing in the order. In the result of applying the software developed in the study to three 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pecial-education schools using the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it appeared to give positive effects to the functions relating to the job life of all the 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진로․직업교육 실현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직업생활기능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본교육과정 직업교과 내용체계 중 학습한 내용을 실생활에 꾸준히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직업생활영역의 하위내용(단정한 옷차림하기, 적절한 대인관계 유지하기, 전화 예절 익히기, 지역사회 이동하기)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였다. 소프트웨어의 매체 형태는 CD-ROM TITLE, 저작도구로는 Macromedia Flash, Macromedia Director를 사용하였다. 소단원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제재별 활동은 생각해 보기, 준비하기, 활동하기, 정리하기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세 명의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에게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적용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모든 장애학생들의 직업생활 관련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제화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 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수준 및 관계를 파악하고, 장애아 보육 수행과 서비스 질의 지표가 되는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장애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특수교사, 치료교사 17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성 인식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사회적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으로 원아지도 및 관리 스트레스가 높았고,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일반적 효능감이 개인적 효능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인식과 다소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업무 및 지원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 하위영역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또한 개인적 효능감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일반적 효능감에는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level and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perception, job stress and th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as well as to analyze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teaching efficacy that is the index of nurturing special children and service quality and the influenc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171 nurturing teachers, special teachers and treatment teachers working in the child care centers for special children located in Daegu.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perception is above general level where social necessity is recognized relatively high. Job stress is general level where caring for the children and instruction stress are high. Teaching efficacy is above general level where general efficacy is found to be higher than individual efficacy. Second, teaching efficacy showed relatively high static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perception and significant improper correlation with job and application stress, the lower area of job stress. Third, profess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a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lower area of professional perception. Furt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individual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necessity, to general efficacy.

      • 自然立地 條件을 고려한 Golf場 計劃 方法論에 對하여 : 慶北 C.C를 事例로 A Case Study of Kyungpook Country Club

        李濟華,黃彩珠,鄭順律,金台鉉,成映卓,金龍洙,林元炫 慶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89 慶北大農學誌 Vol.7 No.-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Golf course planning Methodology in terms of use and p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which consider balance of Ecosystem.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alysis of natural resources in the development site prior to its planning. The analysis will give a benefits both the profits of private enterprise and national interests for reuse of natural resources. Study site was planned region of Kyungpook Country Club, which located near Weagwan. In connection with this study, natural resources which will reuse in the planning stage and soil status in the development site were analyzed.

      • KCI등재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 1997년에서 2007까지 국내외 연구 중심으로

        이제화 ( Jea Hwa Lee ),이상복 ( Sang Bok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7까지의 국내외 연구를 통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국내논문 13편, 국외논문 17편, 총30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연구대상에 있어 7세 이하 유아의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아동의 외현한 문제와 자페성 장애로 인한 문제로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연구 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가 국외 연구에서는 집단 연구가 많았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된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결과 부모 및 다른 가족 구성원에 대한 교육 · 치료적 서비스가 분석 연구의 대부분으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주된 형태였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부모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었다 특히, 국외 연구의 경우 국내 연구에 비해 다양한 서비스 형태와 내용이 연구되도 있었고,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 형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분석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 지원 프로그램의 국내외 연구 현황과 그에 근거한 연구 과제에 대해 노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on family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from 1997 to 2007 Therefore, total 30 articles were analyzed(13 domestic articles and 17 pieces of overseas article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families with under 7 ages children members were chosen as a study participations the most and the major subject was the study of family support for external and autistic problem Commonly used method of study was case study in domestic and group study in overseas articles. Secondly, the most common from of family support program was educational and therapeutic service and commonly given to parents of the family. Especially more various from and contents of services were studied and service program tended to consist of more than I service form in overseas articles In both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 Finally discussion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amily support program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nd future study issu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이제화 ( Jea Hwa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 110명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나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전문성 인식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들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다. 전문성 인식 정도는 교사의 연령, 학력수준, 평균보수,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30세 이상,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기혼여성, 평균보수 140만원 이상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장애아 전담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교사의 근무경력, 근무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근무경력이 1-5년 미만의 교사, 11시간 이상의 장시간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셋째,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인식 정도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this purpose, the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 influence of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job stress in 110 teach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located in Daegu, were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more than moderate. The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wed difference due to teacher`s age, schooling, average remuneration, marital status. Specifically,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was highest in the case of age over 30 years old, schooling over graduate from 4-year university, married women and average remuneration over \1,400,000. Second,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little lower than moderate. And job str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job career, working hours. Job stress was highest in the teacher with work career in 1-5 years and teachers working long time over 11 hours. Third, teacher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The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ffected job stress. In the lower factor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order of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awarenes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동향 분석: 국내 실험연구 중심으로

        이제화 ( Jea Hwa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효과를 검증한 국내 실험연구 59편을 분석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전략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구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결과 첫째, 분석논문은 2001년부터 증가하여 2006, 2007년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 단일대상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다소 편중된 현상을 보였다. 셋째, 연구의 질적 수준은 단인대상연구의 경우, 실험조건의 평균 반복수가 2.9회였고, 유지와 신뢰도 측정은 비교적 충실한 편이나 일반화,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측정은 부족하였다. 집단연구의 경우, 종속변인 측정 도구 유형의 상당수가 비표준화 검사 도구였으나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다소 미비하였고, 중재의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부재하였다. 다음으로, 중재전략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함께 중재대상으로 선정한 연구가 많았고, 중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통합학급교실, 놀이상황, 개별보다 또래집단상황에서 주로 실시되었다. 중재자는 연구자나 통합학급의 일반교사가, 중재기간은 1개월 이상~3개월 미만, 중재회기 당 소요시간은 20분 이하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주요 중재전략으로 사회적 통합 활동이 가장 많았으나 학급대상중재, 자연적 중재, 직접교수 등과 큰 차이 없이 고루 사용되고 있었고, 부분적 효과를 검증한 네 편의 연구를 포함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종속변인의 내용은 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관련 능력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59 experimental analysis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promoting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and their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evaluated to shed light on significant trends. The first,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such analyses increased from 2001, with 2006 and 2007 the most active years. Second, the studies showed a degree of bias towards use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Third, in terms of research quality in cases where single-subject design was employed, the average number of repetitions of experimental conditions was 2.9; measurements for maintenance and reliability were relatively sound or generalized; and those for social validity we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group studies, many of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tool types were non-normalized testing tools,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s somewhat incomplete, while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were almost non-existent. The next, the study analyzed trends in intervention strategies. First, many studies conducted interventions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together, mainly in peer-group rather than in individual situations and in play settings of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both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level children. Most moderators were researchers 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 intervention duration lasting over 1 month but less than 3 months, and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20 minutes or less. Second,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mainly focused on social integration activities, with class-targeted intervention, naturalistic intervention, direct teaching, etc. all used evenly without discrepancy, and interventions in all studies, including four which included partial verifications, were duly analyzed. Third, dependent variable content mainly looked at the social and communication-related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directions for intervention studies promoting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discussed.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 1997년에서 2007까지 국내외 연구 중심으로

        이제화 ( Jea Hwa Lee ),이상복 ( Sang Bok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7까지의 국내외 연구를 통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국내논문 13편, 국외논문 17편, 총30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연구대상에 있어 7세 이하 유아의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아동의 외현화 문제와 자폐로 인한 문제로 인해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연구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가 국외 연구에서는 집단연구가 많았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된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결과 부모 및 다른 가족 구성원에 대한 교육·치료적 서비스가 분석 연구의 대부분으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주된 형태였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부모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었다. 특히, 국외 연구의 경우 국내 연구에 비해 다양한 서비스 형태와 내용이 연구되고 있었고,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 형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분석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국내외 연구 현황과 그에 근거한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on family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from 1997 to 2007. Therefore, total 30 articles were analyzed(13 domestic articles and 17 pieces of overseas articles)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families with under 7 ages children members were chosen as a study participations the most and the major subject was the study of family support for external and autistic problem. Commonly used method of study was case study in domestic and group study in overseas articles. Secondly, the most common form of family support program was educational and therapeutic service and commonly given to parents of the family. Especially more various forms and contents of services were studied and service program tended to consist of more than 1 service form in overseas articles. In both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f family support program Finally, discussion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amily support program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nd future study issues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제화 ( Jea Hwa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는 보편적 지원으로서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일반학급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 한 명을 대상으로 학급 내 다른 세 가지 상황에서 상황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 발생율 감소 및 활동참여행동 발생율을 증가시켰으며, 중재 효과는 유지되었다. 이에 개별에 대한 특별한 지원 없이 학급 전체 유아에 대한 보편적 지원만으로도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와 활동참여 행동의 증가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CWPBS) as universal support on problem and engagement behaviors of an integrated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On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a class of kindergarten participated for study.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condition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WPBS on problem and engage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WPBS reduced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ree conditions(conversation class, art class, Montessori class with learning aids) and the problem behaviors remained reduced. And the CWPBS increased the engage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ree conditions 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continued. In conclusion, the CWPBS as univers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 of problem behaviors and engagement behaviors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