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제우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range and integrate existing works of the present writer. The article reviews major studies on Xiao-pin小品 in the Late Ming Dynasty, done after 1980s when full-scale studies on this field have started. It also elaborates the category and concept of Xiao-pin小品 in the Late Ming Dynasty. In this article, Xiao-pin小品 in the Late Ming Dynasty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Xuan-ben-xiao-pin選本小品, Bie-ben- xiao-pin別本小品, and Bi-ji-xiao-pin筆記小品. As to the concept of Xiao-pin小品, first, regarding the notion of Xiao-pin小品, this article understands Xiao-pin小品 literature in a comparative relation to traditional literature. Second, regarding the type of Xiao-pin小品, this article analyses Xiao-pin小品 with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artistic notion of Xiao-pin小品 pieces, and of editing methods of Xiao-pin小品 selections. 본고는 만명 ‘소품’의 범주와 개념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를 종합하여 만명소품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80년대 이후의 학계의 주요 연구성과를 되돌아보고, 만명 ‘소품’의 작품 범주와 개념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정리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그간의 여러 연구자들이 제시한 탁견을 바탕으로 만명 ‘소품’의 범주를 선본소품(‘총집’ 형식의 만명소품선집)⋅별본소품(‘별집’ 형식의 만명소품선집)⋅필기소품(‘필기’ 형식의 만명저작)으로 삼분하고, 만명 ‘소품’의 개념을, 소품 용어의 관념 연구로서 소품문학을 정통문학과의 상대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소품 작품의 유형 연구로서 소품문장의 문학예술상의 개념과 소품선집의 편집방법상의 개념으로 파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