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클라이언트를 위한 실용적 프로세스 모델

        이재유,김수동,Lee, Jae-Yoo,Kim, Soo-D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4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는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배포(Publish)하고 동적으로 발견(Discover), 조립(Composition)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기술이다. 따라서 SOA는 Publish-Discover-Invoke 형태의 컴퓨팅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객체지향, CBD의 컴퓨팅 방식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SOA의 서비스는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함수, 객체지향의 객체, CBD의 컴포넌트와는 다른 구성 단위(Unit)이며, 재사용성과 보편성이 서비스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이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사전 상호인지나 정보의 공유없이, 서비스 제공자가 재사용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 사용자는 이를 검색한 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결합도가 매우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SOA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실행시간에 검색,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기존 컴퓨팅 방식에는 적용되지 않은 개념이다. 따라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서버의 기능을 JSP, RMI 등을 사용하여 호출하는 방식은 SOA 서비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계 하는데 잘 적용될 수 없다. SOA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특징과 SOA의 서비스 사용 절차를 설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가 정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서비스 제공자 측면의 SOA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조차 정의가 부족하고, 서비스 사용자 측면의 클라이언트 개발 프로세스는 소수의 가이드라인을 제외하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서비스 검색과 실행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와 각 단계별 지침을 정의하고, 호텔 검색 및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시된 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Service-Oriented Architecture(SOA) is an method to develop applications by developing and publishing reusable services which potentially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and discovering and composing right services dynamically. SOA adopts a paradigm of publish-discover-invoke, which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object-oriented and component-based development(CBD) approaches. The service in SOA is different from function in procedural programming, object in object-oriented programming, and component in CBD, and its fundamental requirement is a high level of reusability and applicability. In SOA,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consumers are loosely coupled since the providers try to develop reusable services and the consumers try to locate right services without knowing much about the providers and their published services. Moreover, the process of searching, choosing and invoking right services is not presented in conventional programming paradigms. Therefore, conventional approaches to developing user interfaces and invoking the functionality on servers through JSP, and RMI in object-oriented programming cannot well be applicable to designing clients’ programs in SOA. Therefore,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practical and systematic process for developing clients’ applications, and the such a process should be devised by considering key characteristics of services and SOA. However, little work on this area is known to date, and there has not a process for client side just except few guide lines for developing service cl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actical and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for developing clients' applications in SOA. Then, we define instructions for carrying out each activity in the process.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work, we show the result of applying our process in developing a services application for searching and booking hotels.

      • KCI등재

        칸트 자유론의 의미에 관하여

        이재유(Lee, Jae Y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거의 대부분의 인간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으로 취급되는 자본주의 시대에 과연 인간의 자유라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칸트의 자유론에 기초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칸트의 자유론이 자본주의 시대를 넘어서는 새로운 사회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철학적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음을 살펴보는 것이다. 칸트에게서 자유는 필연적 인과성을 뛰어넘는 ‘초월론적’인 것이다. ‘초월론적’이라는 것은 인식론적인 측면에서 필연적인 인과계열의 제1원인으로 지칭될 수 있는 ‘선험적’인 것이 아니라, ‘차이’ 또는 ‘어긋남’에 의해 결코 자기동일화될 수 없는 ‘타자’, 즉 ‘물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초월론적인 것은 공간적으로는 어떤 특정한 공동체와 관계할 수는 있지만 결코 그 공동체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시간적으로는 과거의 죽은 자로서의 타자이거나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타자이다. 초월론적인 것으로서의 타자는 자기동일화된 것으로서의 어떤 특정한 공동체에 대해 대자적 존재로서의 개인, 즉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개인이다. 이러한 개인은 물 자체로서, 특정한 공동체가 특수한 것에 머무르지 않고 보편적인 것으로 향할 수 있게끔 해 준다. 그리하여 이 개인은 보편성을 지니게 되며, 자유로운 인격체, 즉 주체가 된다. 그런데 이 주체는 타율적인 것에 저항해야 하는 의무를 실천해야만 한다. 다시 말하자면 ‘타자를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목적으로도 대해야’ 하는 의무를 실천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타율적인 것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이러한 실천을 통해 이 주체는 ‘어느 누구와도 자유로이 연대할 수 있는 자유로운 개인’이 될 수 있다. 맑스가 말하는 이 자유로운 개인이 연대하는 사회는 자본주의 사회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사회로서의 코뮤니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칸트의 자유론은 맑스주의의 ‘프롤레타리아 독재’의내용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철학적 단초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human freedom is possible based on Kant’s Freedom in capitalism, in which treat most men as a means, not as a object. And to study that Kant’s Freedom provides a philosophical clue for making a new alternative plan beyond the capitalism. Kant’s Freedom is ’transzendental’ beyond the inevitable causality. ‘Transzendental’ is not ‘a priori’ in the epistemological aspec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irst cause of the inevitable causality, means ‘the other’, namely ‘thing itself’ that is never identified by ‘difference’. This ‘transzendental’ in spatial aspect can be related to a community but is never in it, in time aspect is the other as the past dead and the future being. The other as ‘transzendental’ is the individual as ‘fur sich’ to a community as the identified, that is the individual as a Cosmopolitan. This individual as thing itself, makes a community does not remain in a specific and point to the universal. So it has the universality in itself, becomes the free personality, the subject. This subject must practice the duty which have to resist heteronomy, that is, have to ‘treat the other as not only a means but also a object’. Through this praxis as a resisting heteronomy, this subject can become ‘a free individual to associate freely with anybody’. The society, this free individual associate with each other, is communism society as a new society which overcomes capitalism society. So I think that Kant’s Freedom provides a philosophical clue for taking shape a substance of ‘proletarian dictatorship’ in Marxism.

      • KCI등재

        IoT 컨텍스트 교환 방식 불일치의 동적 중재 기법

        이재유(Jae Yoo Lee),라현정(Hyun Jung La),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12

        사물인터넷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컨텍스트를 이용한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상황인지 서비스들이 정의한 데이터 교환 방식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데이터 교환 방식 간에 불일치로 인해 동일한 데이터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만 컨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지 서비스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교환 방식의 불일치를 동적으로 중재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동적 중재 기법을 이용하여 상황인지 서비스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데이터 교환 방식에 상관없이 컨텍스트의 수집이 가능하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of-Things (IoT) paradigm,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personalized services using IoT contexts acquired from heterogeneous IoT devices. However, due to the mismatch between IoT context exchange schemes of context-aware services and IoT devices, IoT applications can acquire IoT contexts only from IoT devices that support the same IoT context exchange schemes. In this paper, we propose dynamic methods to mediate those mismatches on the IoT context exchange schemes. With the proposed mediation methods, context-aware services can collect IoT contexts from heterogeneous IoT devices without considering their IoT context exchange schemes.

      • KCI등재

        민주주의 이념 기반으로서 데카르트의 코기토와 칸트의 물자체

        이재유(Lee, Jae Y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통일인문학 Vol.75 No.-

        본 연구는 데카르트의 ‘코기토’(Cogito)의 ‘초월론적인 태도’에 주목하여이 코기토가 근대 부르주아의 개별적 개인으로서의 주체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근원이 아니라, 이러한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고 비판하는 초월론적· 비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데카르트와 칸트의 코기토는 경험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일반적인 것, 즉 특정한 공동체 내에서 동의에 의해 형성된 공통적인 것에 대한 비판의 결과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데카르트와 칸트의 코기토는 넘어서는 ‘초월론적인 타자’이며, 자신 안에 ‘타자성’을 내재한 ‘물 자체’이기도 하다. 이 물 자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 그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실천적 주체가, 다시 말하자면 ‘초월적 주체’, ‘자유로운 사회적 개인’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민주주의 이념의 싹과 맹아는 이미 근대 주체로서의 코기토 자체에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코기토가 가지고 있는 타자성이 민주주의의 내용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코기토가 오늘날 나타나고 있는 모든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정표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note Descartes’s “transcendental attitude” (Cogito) and to show that this Kogito is not an ideological source of subject as an individual individual of modern bourgeoisie, but rather a transcendental and critical meaning that goes beyond this ideology. Descarte’s and Kant’s Cogito are critical results against the general that empiricism assert, against the common that is built by agreement in a community. Therefore, Descarte’s and Kant’s Cogito are ‘the transzendental Other’ that is beyond, and is ‘Thing Itself’ that have ‘Otherness’ in itself. Through thing itself, human being can be a (ethical and political) practical subject who will recognize his limit and be beyond it, that is a ‘transzendental subject’, a ‘free social perso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as a modern subject the Cogito has already in itself a germ of new democracy idea that solves the modern capitalism problem. In addition, the otherness which the Cogito has, is core of the democrac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be said, the Cogito is a landmark that solves all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and social problems in these days.

      • KCI등재

        IoT 디바이스 기반 노화진단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이재유(Jae Yoo Lee),박진철(Jin Cheul Park),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12

        사물인터넷 컴퓨팅의 등장으로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건강 컨텍스트의 수집과 수집된 건강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노화진단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기존의 노화진단 기법들은 서로 다른 고정된 노화진단요소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획득 가능한 건강 컨텍스트의 가변성을 고려하지 않아서 새로운 노화진단요소의 추가 및 삭제에 대해 동적 대응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노화진단에 필요한 다양한 노화진단 요소를 수집하고, 사용자마다 가변적인 노화진단 요소의 구성에 따라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노화진단 프레임워크의 기법 및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노화진단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획득 가능한 건강 컨텍스트의 가변성과 관계없이 노화진단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노화진단 요소의 동적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With the emergence of Internet-of-Things (IoT) computing, it has become possible to acquire users’ health-related contexts from various IoT devices and to diagnose their biological aging through analysis of the IoT health contexts. However, previous work on methods of aging diagnosis used a fixed list of aging diagnosis factors, making it difficult to handle the variability of users’ IoT health contexts and to dynamically adapt the addition and deletion of aging diagnosis factors.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and methods for a dynamically adaptable aging diagnosis framework that acquires a set of IoT health contexts from various IoT devices based on a set of aging diagnosis factors of the user. By using the proposed aging diagnosis framework, aging diagnosis methods can be a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IoT health contexts and aging diagnosis factors can be dynamically added and deleted.

      • KCI등재

        코로나 19 대응 관련 한국의 출입국 제한조치 및 국제법적 평가

        이재유(Jae-yoo LEE)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2019년부터 코로나 19이라는 국제적 감염병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각국은 자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입국금지 등 출입국 제한 조치를 앞 다투어 시행하였다. 더 나아가, 공중보건 역량이 충분하지 못한 개도국 국가들은, 먼저 코로나 19가 확산된 타국으로부터 입국하는 외국인에 대해 전면적인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하였다. 문제는 이러한 각국의 입국제한조치가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국제기구의 주도적인 조정 없이, 개별 국가들의 방역주권 차원에서 취해지고 있다는 데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어느 개별국가들에 의해 취해진 다른 국가 국민에 대한 입국제한은, 국제법상 상호주의 법리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입국제한조치를 야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 19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 출입국당국이 시행한 외국인에 대한 출입국 조치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국제적 감염병 전반을 다루는 ‘국제보건규칙(2005) 등 국제규범 차원의 평가와 향후 국제공조체제에서의 한국의 역할에 대한 모색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국제사회와 세계 언론들이 한국에 대해 코로나 19 사태에 가장 모범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가운데, 이러한 국제적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 출입국당국이 취하였던 출입국 제한조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 19 초기부터 전면적 입국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고, 특별검역절차를 포함한 특별입국절차를 시행하면서, 실질적으로 코로나 19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성공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국내 입국이후, 체류하는 ‘격리의무 위반’외국인에 대하여는 고의적으로 중대한 위반인 경우, 코로나 확산의 방지를 위해 강제출국을 추진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우리나라의 출입국 제한조치에 대한 국제법적 평가를 논의하는 것이 매우 의미가 있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국제규범으로는 WHO가 주도하여 채택된 ‘국제보건규칙(2005)’과 WHO의 권고 등이 있으며, 이러한 평가의 대상은 한국의 공 항만에서의 특별입국절차를 거부하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불허, ‘격리의무 위반’ 체류외국인의 강제출국, 체류외국인에 대한 출국기간 연장조치 등이 포함된다. 무엇보다도,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체제의 수립이 시급한 데, 우리나라의 검역 및 보건체계 등과 연계된 출입국 조치를 담당하는 출입국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 국제보건규칙은 ‘인간의 존엄, 인권과 인간의 기본적 자유를 충분히 존중하면서, 국제교통과 운송에 대한 최소한의 간섭이라는 원칙들’을 천명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출입국당국이 이를 출입국업무 현장에서 실행하고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국제적 감염병에 대한 통제를 위해서, WHO 주도의 국제적 대응은 각국의 국내법적 예방 및 확산 방지 조치들과 긴밀히 연계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코로나 19에 모범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가 향후 국제보건규칙(2005)의 개정과 WHO 권고안 마련 시에, 각국이 시행할 ‘출입국 제한조치의 국제표준’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들 국제규범들이 실질적이면서 효과적으로 국제적 감염병을 통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논문 :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관하여 -레닌과 카우츠키의 보편 논쟁을 중심으로-

        이재유 ( Jae Yoo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4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이 두 가지견해 중 하나는 레닌으로 대표되는 볼셰비키의 견해, 다른 하나는 카우츠키로 대표되는 견해이다. 그런데 이 두 견해는 서로 상반되고 대립되며 이율배반적이다. 둘 다 자본주의 독재(부르주아 독재)를 해체해야 한다는 회의론적 입장에 서 있다. 다시 말하자면 자본이라는 ‘보편’을 해체해야 한다는 회의론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회의론적 입장은 다시 두 입장으로 갈라진다. 하나는 자본이라는 보편 자체는 원래부터 선험적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상품 사회 내에서 여러 상품들의 ‘동의’를 거쳐서 존재했던 ‘일반적인 것’ 또는 ‘공통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다시금 새로운 ‘동의’를 거쳐서 새로운 일반적인 것 또는 공통적인 것을 도출해 내자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동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즉 자본이라는 ‘물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물질적인 것’으로서의 실체로부터 다시 새로운 판을 짬으로써 자본의 ‘물신’(실체)성을 해체하자는 입장이다. 그런데 전자의 입장은 흄의 경험론적(회의론적) 입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후자의 입장은 데카르트의 합리론적(신회의론적) 입장으로 이어진다. 이율배반이 생겨나는 철학적인 지점은 ‘보편적인 것’이다. ‘보편적인 것’은 철학사에서 일반적으로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카우츠키나 레닌 모두 형이상학적·보편적인 것으로서의 물신인 자본을 지양하고자 했다.그렇지만 이 둘 모두 이 보편적인 것을 넘어서고자 했지만 결국 넘어서지 못했다. 그렇다면 이 ‘보편적인 것’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 것일까? 우리는이 물음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칸트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칸트는 자유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타자를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는 보편적인 도덕법칙의 실천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는 기본적으로 칸트의 자유가 실현될 수 있는 사회가 아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 사회는 근본적으로 자본-노동이라는 관계로 묶여 있는 사회인데, 이 관계는 타자를 ‘수단’으로서만 다루고 목적으로 다루지 않고 있거나, 오로지 목적으로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를 철폐하여 타자를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목적으로 다루는 의무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코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맑스는 코뮤니즘 사회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유로운 각 개인이 서로 연대하는 사회.’ ‘자유로운각 개인이 서로 연대하는 사회’에서 각 개인은 서로를 자기동일화시키지 않지만, 또한 자기동일화시킬 수도 없지만, ‘공통감각’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서서로에게 타자이며, 물자체이다. 예를 들면 가치형태에서 등가형태의 자리에는 항상 ‘자기동일화될 수 없는’, 하지만 ‘공통감각’을 형성하는 타자가 온다. 이러한 타자는 공통감각을 가지고 있는 특정한 공동체에 대립하여 이 특정한 공동체에 보편성을 부여하는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개인이다. 이 개인은 바로 맑스가 말한 ‘사회적 개인’이다. ‘사회적’이라고 할 때, 이는 각각의 개별적 개인의 밖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관계 구조도 아니고, 이 개인들이 특수한 관계 체계에 속해 있다는 의미도 아니다. ‘사회적개인’이라고 했을 때 이 ‘사회’는 특정한 관계 체계 또는 구조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초월론적인 의미에서, 즉 일반적인 것이 아닌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관계 체계 자체(즉 물자체)이다. 그러므로 개인은 사회적 개인이며 특정한 관계 체계(공동체)에 속해 있지만 그것을 뛰어넘는 ‘코스모폴리탄’이며, 따라서 (특정한 공동체에 대하여) 물자체이다. It is largely two position on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One of the two is the Bolshevik position represented by Lenin, the other is Kautsky position. But this two positions are conflict, contrary and antinomic each other. The both are based on the skeptical position which must dissolve the capitalism dictatorship(bourgeois dictatorship). In other words, they are based on the skeptical position which must dissolve the capital as ‘the universal’. But this skeptical position branches off into two. One is the position that derive the new general or common through the new ‘agreement’ because capital as the universal itself is not the transcendental originally, ‘the general’ or ‘the common’ that is with consent of commodities in commodity society. The other is the position that builds a new structure which derives from substance as ‘the non-material’ which enables this ‘agreement’ and the capital as ‘fetish’, and so dissolves the capital as ‘fetish’(substance). But the former is directly connected to Hume’s empiricism position, while the latter to Descartes’s rationalism position. The philosophical point, making the antinomy, is ‘the universal’. ‘The universal’ makes one’s appearance as ‘the metaphysical’ in philosophical history. Both all Kautsky and Lenin tried to sublate capital, fetish as the metaphysical and universal. Nevertheless they did not succeed. So how we can to sublate? We can see the clue of the answer to the question in Kant. Kant thought that one must practice the universal moral law, ‘treat the other not only as the means but also as the purpose!’, in order to get freedom. But capitalism society in which we live, basically is not the society which Kants freedom can be realized. Because capitalism society is undamentally tied up with capital-labour relation and by the relation the other is treated only as means and not as purpose, or only as purpose and not as means. To abolish the realation and practice the duty, treating the other not only as means but also as purpose, that is communism. Marx talk about communism society. ‘Society, free individuals associate each other.’ In ‘Society, free individuals associate each other’, individuals don’t and can’t self-identify each other, and as being, having a common sense, are the other and thing itself each other. For example, the other, not self-identified always but forming a common sense, takes a place on the equivalent form in form of value. This other is the individual as ‘cosmopolitan’, conflicting to a certain community and giving universality to this community. This individual is Marx’s ‘social individual’. To talk about ‘social’, this is not a certain relation system, existing out of each individual, and does not mean that the individual belong to a certain relation system. To talk about ‘social individual’, this ‘society’ does not mean a certain relation system, in transcendentalism, is the relation system itself(thing itself) as the universal, not as the general. Therefore the individual is social individual and belongs to a certain relation system(community), but the cosmopolitan out of it and so thing itself(opposing a certain relation system).

      • KCI등재

        "토대-상부구조론"의 해체와 재구성

        이재유 ( Jae Yoo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시대와 철학 Vol.18 No.2

        오늘날 맑스주의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는 교조주의를 벗어나서 맑스주의의 확장 또는 재구성에 있다. 이 확장이나 재구성은 역사적 유물론에서 일어나야 하고, 그 중에서도 토대-상부구조론에서 일어나야 한다. 왜냐하면 자본주의 사회를 지양하고 새로운 사회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역사 발전의 이론을 새롭게 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새로운 역사 발전 이론은 여전히 역사유물론의 중심 근거인 토대-상부구조론에서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토대-상부구조론에 관한 논의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토대에 대한 재구성이다. 왜냐하면 맑스주의는 유물론이기 때문이다. 맑스주의에 있어서 토대는 경제적 영역이다. 그런데 기존의 맑스주의에서 토대, 경제적 영역은 자본의 자기 운동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토대는 자본의 자기 운동 영역(공장 안)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자본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전제가 되는 영역이 있다. 그것은 바로 노동자의 자기 생산 영역(공장 밖)이다. 이 영역은 자기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영역, 즉 인간 유적 보편성을 실현해 가는 영역이다. 이 영역에서 노동자 대중은 비로소 ``노동자 계급``이 될 수 있으며, 노동자 계급의식을 가질 수 있다. 맑스의 핵심 주체인 노동자가 인간의 유적 보편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노동자 계급의 자기 생산에 주목함으로써 맑스주의는 자기 자신을 비판할 수 있고 자기 자신을 넘어설 수 있으며, 그럴 때 맑스주의의 재구성과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Today, the important problem in Marxism is the Marxism`s extension or reconstruction from the dogmatism. This extension or reconstruction has to happen in historical Materialism, specially in basis-superstructure theory. Because it must present the new history evolution theory, for sublating capitalism society and presenting an alternative about a new society. The important thing on the argument in basis-superstructure theory is the reconstruction of basis. Because Marxism is materialism. Basis in Marxism is the economic sphere. But basis, the economic sphere has been consider capital`s self-movement sphere. But basis is composed of only capital`s self movement sphere(``factory-in``). It is just the worker`s self-movement sphere(``factory-out``) that make capital`s movement possible and is the presupposition of it. This sphere is that the workers lead their own life subjectively, namely they realize the man`s species universality. In this spere the mass of the worker become ``the worker class` and have the worker class consciousness for the first time. For giving attention to the worker class self-production, Marxism can criticize and pass over itself. So the Marxism`s extension or reconstruction can be accomplished.

      • KCI등재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 대한 철학적 고찰 -근대적 주체의 해체와 새로운 주체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재유 ( Jae Yoo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2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클라우제비츠의 아포리아가 전쟁에 대한 정치의 지배를 통해 근대적 주체를 확립하고자 했다는 것에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전쟁에 대한 정치의 지배는 `비합리성`에 대한 `합리성의 지배`이며, `강제`에 대한 `동의`의 지배이다. 그러나 이 비합리성은 합리성을 깨 버리는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역사 발전의 동인임을 발견할 수 있으며 역사적 경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클라우제비츠의 아포리아는 클라우제비츠를 재해석하고 재전유한 맑스 주의에게서도 다른 방식으로 발견된다. 그것은 노동자 농민 대중이 계급의식을 가지지 못하고 사물화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그들에게는 오로지 전쟁에 대한 정치적 공포만이 있을 뿐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부르주아 사회 자체 안에서 자신의 삶을 이어가고 있으며, 부르주아 사회 자체가 무너져서는 자신의 삶을 이어갈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때 전쟁에 대한 정치적 공포는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지배계급뿐만 아니라 계급의식을 가지고 있는 혁명적 노동자와 지식인에게도 해당된다. 그러므로 노동자, 농민 대중들은 상당히 기회주의적이며 언제든지 등을 돌릴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은 항상 계급의식을 지니지 못한 노동자, 농민 대중들로부터 일정하게 분리될 수밖에 없으며 부르주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그들을 계몽적으로 조직할 수밖에 없다. `당`은 근대적 주체인 부르주아 국가처럼 `이성의 화신`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클라우제비츠의 철학적 아포리아를 해결할 수 있도록 맑스를 재해석하고 재전유해야 한다. 클라우제비츠처럼 근대적 주체(국가)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또한 기존의 맑스주의처럼 내전을 전쟁으로 간주하는 것에만 머물러서도 안 된다. 그것을 넘어서서 새로운 주체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한 주체는 자본주의 사회 내부에 그 외부인 `코뮌`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Clausewitz`s Vom Kriege(On the War) shows that his aporia is in establishing modern subject through the control of politics to war. This political control of war is the control of `rationality` to `irrationality`, and the control of `agreement` to `coercion`. But in this irrationality, it is the nature which disconcerts the rationality. We find that this is just the cause of history development, and this has been proved by historical experience. But this Clausewitz`s aporia is found as a different form in marxism which reinterprets and appropriates Clausewitz again. It derives from that the mass of labour and peasant don1t have the class consciousness but the fetishistic consciousness. They have only a political fear about war. Because they have lived in bourgeois society itself, and have thought that they cannot go on their life when the bourgeois society fall down. At this time, the ruling class which carry out a war and revolutionary worker and intelligentsia which have the class consciousness, have the political fear about war too. Therefore the mass of labour and peasant can be timeserving and betrayed. So `the party` has to be divided from the mass of labour and peasant and organize them enlightingly like a bourgeois nation. `The party` has to become `the incarnation of reason` like a bourgeois nation. So we must reinterprets and appropriates Marx and Clausewitz again in order to solve Clausewitz`s philosophical aporia. We have to not remain in Clausewitz`s modern subject(nation). And we have to not remain in which the established marxism regarded a internal warfare as war. Beyond this, we must grope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subject. This subject can be possible when we build up `commune` as the outside which is inside capitalism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