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이문열의 『선택』을 둘러싼 해석 논쟁

        이인화 ( In Wha Le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6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actual state of interpretative polemics through analyzing Lee Mun-yol`s 『Selection』 and many kinds of written texts that was published after 『Selection』. The 『Selection』 prompted polemics in the Korea literary circle in the late 1990s. Many readers who have read 『Selec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polemics. As a result, many interpretative texts are accumula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refore, these texts can contribute to examinations of the aspects of interaction in literary texts. The aspects of polemics with regard to 『Selection』 are three:(1) whether 『Selection』 has Feminism tendency or not. (2) whether 『Selection』 is a novel or not. (3) 『Selection』 is a symbol of literature power or an expression of literary right. By considering interpretative polemics, it was confirmed that reading literature is an act adding a new meaning to literary work as a symbol. Also, the meaning of literary works is affected by the subject, the object, and contexts. When the interpretative texts are analyzed, then, that multilayer of texts, diversity of communication structure, complexity for reception of readers should be noted.

      • KCI등재

        한국 아동청소년 문학에서 다문화의 수용 : 내부자의 타자 수용 방식을 중심으로

        이인화(Lee In-wha)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Recently, there are lots of lively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ism in Korea. The reasons are listed below. (1) In the age of globalization, many different cultures from around the world live together in Korea society. (2)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laborers and women who immigrate to Korea. These social trends are identified through adolescent novels. The adolescent novels are adolescent-oriented literary works. Because of this, multiculturalism in adolescent novels is the basis for accept various components of life and adapt to diversity cultures. This study analyzed aspects of accepting multiculturalism in Korea adolescent literatures and paid attention to recently-issued adolescent novels, and then raised several points and suggests about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hat we aim for diversity of cultures. Through these kinds of works,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open-mind on others and the culture of one’s own country is just one of the various cultures.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설의 허구 세계에 대한 독자 간 의미 교섭의 실천 체계 연구

        이인화 ( In Wha Le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문학교육학 Vol.40 No.-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ractical system of meaning transaction about fictional world in novel.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I clarified the educational value of meaning transaction about fictional world. Reader``s exploration of fictional world is to deepen self understanding. Therefore, meaning transaction about fictional world can contribute to goals of novel education. This meaning transaction is categorized into grasping the theme, cooperative construction of meaning, adjustment and expansion of meaning horizon. Based on these units,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system of meaning transaction about fictional world. To put it concretely, readers firstly bring up a subject about value orientation of fictional world, secondly, establish hermeneutic logics by inference, thirdly, dispute about symbolic meaning of fictional world, fourthly, adjust interpretation by accepting values selectivel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자국어 교사 임용 시험 비교 연구

        이인화(Lee, In-wha),카와노 유카(Kawano, Yuka) 국어교육학회 2015 국어교육연구 Vol.59 No.-

        The aim of this thesis is comparing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n Korea and Japan and suggesting development plan for teacher appointment of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employ teachers at secondary school through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treamlining the procedure and contexts of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re essential tasks for selecting good teacher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over certain level. Recently, research that by reviewing educational system, teaching method and content of education of other contries, formulating educational policy for implementation has been popular. By analyzing the system and problem question of the 2015 secondary school native languag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of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in Japan, status of subject conten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2) problem question types will be developed to improve quality of questions, (3) more research is needed to find evaluation factors in the interview, (4) in Korea, diversification of the test system is required in terms of teacher recruitment policy, and (5) theoretical basis for each screening and empirical effects call for discussion.

      • KCI등재

        소설(小說) 읽기를 위한 묘사(描寫) 교육(敎育) 내용(內容) 연구(硏究) -현덕(玄德)의 '노마 연작(聯作)'을 중심(中心)으로-

        이인화 ( Lee In-wha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이 硏究는 描寫가 단순하고 脫脈絡的인 命題的 智識으로 취급되고 있는 現況을 비판적으로 檢討하고, 묘사에 대한 이해가 소설 이해에 도움이 됨을 밝혀 묘사 교육 내용을 具案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묘사는 作家가 讀者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媒介이고, 독자는 묘사의 意味를 적극적인 의미 推論의 대상으로 認識해야 한다는 疏通論的 觀點에 터하고 있다. 묘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묘사의 主體와 條件, 묘사의 客體가 필요하다. 소설 속에서 묘사의 주체인 敍述者는 對象-人物, 對象-人物 外, 視空間에 대해 敍述하게 되는데, 이때 스토리 시간이 遲延되고 事件으로부터 거리감을 갖는 동시에 사건과의 聯關性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묘사를 통한 소설 읽기의 實例를 보이기 위해 玄德의 노마 聯作을 分析하였다. 그 결과, 묘사는 場面化를 통해 사건을 綜合하고, 낯설게 하기를 통해 倫理的 感覺을 提高하며, 情緖 表現을 통해 독자의 共感을 이끈다는 사실을 確認했다. Description is a familiar concept but, it is not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 a result of review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it is clear that description education is in disord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spect description in novel education. In this research, description is set up as a thing of reception and inference. Enhancing the value of description in reading novel is intended. In a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description is a kind of mediation for delivering messages from an author to readers. Readers have a obligation to inference the meaning of description. From a dimension of communication, description is not a concept for defining, but a target of interpreting to understanding novels. To describe, the subject of description(narrator), conditions and the objects of description is needed. The narrator narrate object-characters, object- non-characters, time and space in novels. At this time, ⑴ story-time is delayed, ⑵ description put sense of distance with narrative events, simultaneously ⑶ description has relevance to narrative events. To show importance of description in reading novels, a series of 'Noma' written by Hyun-Deok are analyzed. After analysis, description ⑴ synthesize narrative events through scene making, ⑵ raise ethical sense through defamiliarization, and ⑶ induce sympathy of readers through expression of emotion is revealed. Such a thing of this results prove that description is a agency for communication between author and read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 연구

        이인화(Lee, In-wha)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지금까지의 한국어교육 정전 연구는 정전의 기준과 목록을 개발하는데 집중해 왔으나, 그러한 작품들이 한국어교육의 장면에서 실제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에 대한 점검은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의 정전으로 어떤 작품을 상정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작품들이 한국어교육 교재에서 제재화 된 양상을 파악하여 이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에서 발행한 한국어교육 교재와 과거의 한국어교육 교재를 함께 검토하여 황순원의 「소나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유정의 「봄봄」이 현재 한국어교육의 정전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 세 작품의 제재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품이 수록된 교재를 단원, 학습활동, 작품 해석 차원에서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30~50년대에 발표된 작품이 한국어교육 정전이었으며 이 중 한국 농촌 풍경을 보여 주는 작품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자국어교육의 정전과 일치도가 높았으며, 정전을 제재화 할 때에는 순문학적 자질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같은 특징을 근거로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의 제재화에 있어서 향후 외국인 학습자들과 정전 간 시공간적 거리감을 해결하고 정전의 확대 및 개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정전 학습을 위한 학습 수준 및 활동을 다양화할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study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standards and lists of canon.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about how these works are actually handled in the sce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works are proposed as canon of modern no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grasp implications of these work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ssued by universities in Seoul and past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works-Hwang Soon-won"s "Showers", Ju Yo-seop’s “The guest and Mother”, Kim Yu-Jeong’s “Bom Bom”- are currently a blackou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 of these three works, the textbooks containing the works were analyzed microscopically in terms of unit,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pretation of work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included works showing Korean rural landscape among the works published in the 1930s and 1950s.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is composed by referring to the canon of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pure literary qualities when the canon is produc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foreign learners and canon in the production of modern can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the level of learning and activities for canon learning, while also providing a way to expand and open the canon.

      • KCI등재

        일반논문 : 묘사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인화 ( In Wha Lee ),주세형 ( Se Hyung J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5 No.-

        국어교육의 외연의 확장과 함께 국어 교과 내적 논리를 공고히 하는 일은 국어 교과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근래 들어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위상을 공고히 하는 일은 타 교과의 정체성 확립에도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인 묘사를 선택하여, 역대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내용이 국어 교과의 본질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검토 결과, ‘묘사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합의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육 내용의 학년별 위계가 혼란스럽고, 기능 영역에 교육 내용이 편중된 반면, 묘사 교육 내용에 대한 공통역이 설정되지 않아 영역별로 학습자들이 묘사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익히기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과서 검토를 통해서는 문학 영역에서는 장르에 따라 묘사에 대한 접근 방법이 상이하며, 시에서는 주로 기법의 하나로, 소설에서는 내용 전개 방식의 하나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독서에서는 소설 감상 과정을 추론 기능을 익히는 과정으로 재편하여 일부만 다루고 있고, 작문에서는 내용 전개 방식 및 기법 모두를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그 정합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이처럼 영역별로 교육 내용이 상이한 것은 문학 영역에서 묘사에 대한 명제적 지식, 방법적 지식을 명확히 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를 기능 영역에서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 적용함으로써 생긴 문제점으로 판단된다. 요컨대, ‘묘사 관련 교육 내용’은 그 교육적 가치가 재발견·재탐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역대 묘사 교육의 내용으로서 지속적으로 제시해 온 문학교육 및 쓰기교육에서 중핵이 되는 개념 및 관련 개념들을 명확히 기술해 내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읽기교육 및 문법교육에서도 ‘묘사’의 교육적 가치를 발굴하고 관련 교육 내용이 국어과적 정체성을 갖추도록 구체화 하는 데에 기여해야 한다. In this thesis, we evaluat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description as part of knowledges and skills appearing in all textbooks approv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We find the following “stylized facts.” First,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on ``description`` as specialized knowledge; for instance, description in poetics is recognized as a sophisticated writing technique, while the one in novels as a content development scheme. Consequently, the hierarchy of its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range of its core elements are not well-posed across curricula. Second, achievement standards on description are mainly paid attention to the language art domain. Any consistent educational contents of description are not found in the writing domain; description tends to be dealt with inferences from reading, rather than with testable specialized knowledge.

      • KCI등재

        현덕 작품의 제재화 특성 분석 -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0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교과서에서 현덕의 작품이 언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현덕의 작품이 제재화된 양상과 특성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제재화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현덕의 동화, 소설 수필은 7차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듣기·말하기·쓰기 6-2』 교과서에 처음으로 도입된 이래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까지 꾸준히 수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밝힌 현덕 작품의 제재화 특성은 첫째, 국어과의 영역 통합 학습을 위해 「나비를 잡는 아버지」, 「의심」, 「고양이」 등의 작품이 도움을 주는 텍스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보전화(輔典化) 양상이 나타난다. 둘째, 문학 영역의 ‘갈등’ 관련 성취기준의 학습을 위해 「나비를 잡는 아버지」 와 「하늘은 맑건만」이 서로 경쟁 구도를 형성하며 예전(例典) 경쟁을 벌였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하늘은 맑건만」의 위상이 두드러진다. 이 같은 제재화 양상은 현덕의 작품이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습자들의 발달단계와 부합하는 텍스트라는 점, 통합적 언어활동 및 문학교육에 기여하는 교육적 텍스트라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덕의 작품이 보전으로서 활용될 때 성취기준과 작품 간 연계성이 약화되는 점은 보완을 요하며, 성취기준이 작품 해석을 장악하는 양상을 경계하기 위해 성취기준의 재구하거나 작품을 다양한 성취기준과 연관 짓는 방식으로의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n and how Hyun-Deok’s work was accep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of Hyun-Deok,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textbooks accordingly. Hyun-Deok’s fairy tales, novels, and essay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7th grade and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have been steadily includ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gula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ppear when the works of Hyun-Deok are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1) For the integrated learning of the area, the works of Hyun-Deok are used as a ‘support materials’, and (2) For learning of conflict-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Hyun-Deok’s novels form a competitive landscape to become ‘case materials’. These aspects prove the following: (1) that the works of Hyun-Deok are texts that correspon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arners, and (2) the works of Hyun-Deok are educational texts contributing to integrated language activities and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PISA 2018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 연구

        이인화(Lee, In-wha)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이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읽기 영역 결과 분석을 통해, 한국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PISA 2018에서 한국의 평균점수는 514점이었고, 순위는 OECD 회원국 중 2∼7위, 전체 참여국 중 6∼11위를 기록하였다. 우리나라는 PISA 첫 주기인 PISA 2000부터 PISA 2018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읽기 성취 상위국의 위상을 유지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읽기가 주영역이었던 PISA 2009와 비교하면 평균점수가 25점 하락하고 순위 구간 역시 1∼2위에서 2∼7위로 하락하였다. PISA 2015와 비교하면 평균점수가 다소 하락하였지만 순위는 3∼8위에서 2∼7위로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학생의 읽기 성취도 차이를 비교하면 여학생이 526점으로 남학생 503점에 비해 20점 이상 높았다. PISA 2009와 PISA 2018에서의 남녀 학생의 성취수준별 비율을 살펴보면, PISA 2009에 비하여 PISA 2018에서 5수준과 6수준에 해당하는 남학생의 비율이 높아지고 여학생의 비율이 낮아진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PISA 2015 대비 PISA 2018의 비율을 살펴보면 4, 5, 6수준에 해당하는 남학생의 비율이 모두 늘어난 데 반해, 여학생의 비율은 하락하거나 변화가 없어 대조적이다. PISA 2018 읽기 영역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바, 전반적으로 평균점수가 하락하는 추세라는 점, 성취수준 하집단의 비율이 늘고 상집단 학생의 비율이 낮은 점, 남학생의 성취가 여학생에 비해 낮은 점은 우리나라 읽기 성취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ding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PISA 2018 reading. In PISA 2018, Korea"s average score was 514. The rankings were 2nd∼7th among OECD countries and 6th~11th among all participating countries. Korea has maintained its status as the top country in reading achievement from PISA 2000 to PISA 2018. Compared to PISA 2009, where reading was the main domain, the average score dropped by 25 points (from 539 to 514), and the ranking section also fell from 1st∼2nd to 2nd∼7th. Compared to PISA 2015, the average score dropped by 3 points (517 → 514 points), but in the ranking section, it was raised from 3rd-8th to 2nd-7th. In comparison of the reading achieveme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cored 526 points, more than 20 points higher than 503 male students. In terms of student gender, the percentage of achievements increased by 0.4%p from 12.7% to 13.1%, and the percentage of lower achievements increased by 1.5%p from 13.6% to 15.1%. In PISA 2009 and PISA 2018,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students to achievement level is characterized by a higher percentage of boys and girls in PISA 2018 compared to PISA 2009.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ratio of PISA 2018 to PISA 2015,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in 4th, 5th, and 6th levels increased, but the proportion of female students did not fall or change. However, the overall trend of decreasing average scores,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students at lower levels, the lower percentage of upper level students, and lower boys" achievements compared to girls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reading achievement. Therefore, follow-up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se phenomena and seek educational countermeasures.

      • 슈만 가곡의 생태주의적 연구 가능성에 관한 고찰

        이인화(Lee In Wha)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4

        현대에 이르러 대규모의 전쟁과 환경 재난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며 존재하고 있다는 상생의 생태주의 패러다임이 등장했다. 이제 생태주의 패러다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건축 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예술분야에서도 도시 산업주의 문명을 생태주의 문명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더 이상 ‘자연’과 ‘인간의 문화’를 각각 다른 영역으로 간주하지 않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상호 조화를 이루는 예술을 추구하게 되었다. 음악은 작곡가, 연주가, 청중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연주형태도 합창, 합주의 영역 뿐 아니라 독주분야에서도 독주자와 반주자의 동반자적 역할 등으로 인해 가장 생태적인 예술분야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을 상징하는 반주 성부와 인간이 부르는 성악 성부가, 이름다운 자연을 노래한 시와 음악이, 그리고 순환형식으로 되어 있는 연가곡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하나가 되어 있는 슈만의 ‘예술가곡’은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 관계 속에서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는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어 환경 위기와 생태계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예술사회에 음악에 대한 생태주의적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After experiencing world wars and environmental catastrophes, which claimed too many human lives in modem times, som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ecology philosophy paradigm, which stresses interdependence and symbiosis of nature and human kind. At the present time, the ecology philosophy paradigm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architecture. In the area of arts, "nature" and "human civilization" is no longer considered a separate identity because a great effort is being exerted to transform a metropolitan industrial life into and ecological and philosophical based life. Mutual harmonic art is being pursued between human nature and among human beings. Among all arts, music is the most ecologically important because creating good music necessitates not only the organic mutual interdependence of composers, performers, and auditors, but also the harmonic cooperation of soloists and accompanists during the chorus ensemble and even a solo performance. Robert Alexander Schumann's "art song" expresses an ecological viewpoint most satisfactory because its accompaniment symbolizes nature, vocal which represents human singing, and poetry and music which glorifies the beauty of nature and through this circulating system composed song, is organically related into each other. Therefore, this author would like to recommend the "art song" as an alternative music, to overcome a modem environment and an ecological crisis in this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