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적 음성장애인의 발성역치압력과 발성역치기류 특성 연구

        이인애(Lee, Inae),윤주원(Yun, Joowon),황영진(Hwang, Youngjin)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1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of Patients who have Functional voice disorder. 50 subjects participated in study (32 subjects were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s and 20 subjects were normal adults). The PAS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model 6600, KAY electronics, Inc.) was used to measure the data and to do the analysis. Data from the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was measured using voicing efficiency of the PAS protocol. Data from the Phonation Threshold Airflow was measured using Maximum Sustained Phonation of the PAS protocol. Those were used because of the ease of pho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between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 and normal adults could be significant index.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 showed more higher figures than normal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are very useful in diagnosing the voice disorder. The measured data also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diagnosing patients with vocal fold diseases.

      • KCI등재

        기식성 음성 장애 환자들의 음향학적 특성과 분류 변인—결절, 용종환자를 중심으로—

        이인애(Inae Lee),성철재(Cheoljae Seong)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20 언어학 Vol.0 No.88

        Incomplete phonation of vocal cords seems to cause breathy voice. Vocal nodules and vocal polyps are typical functional voice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acoustic parameters useful for discriminating these two groups. In this study, 56 subjects diagnosed with speech disorders (27 vocal nodules, 29 vocal polyps) were recruited, and the MDVP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played within CSL (Computerized Speech Lab. Kay Elemetrics Co., Model No. 4300) was used for recording sustained vowel /a/. Praat (ver. 6.0.48) was used for acoustic analysis. Mann-Whitney U test showed that the MDVP parameters (excluding frequency-relevant variables) had no effect on discriminating two groups (vocal nodules vs. vocal polyp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cepstral parameters measured by Pra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RNR (p<.o5), cepsPeak (p<.o5), quefrency (p<.o5), and CPP(p) <.o5) and cepslntercept (p<.o5).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rank of variable importance, quefrency has the highest rank, and rnr and CPP followed in order.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these three variables, th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for the training data was 81.4%, 94.4% for the vocal nodule group, and 68.4% for the vocal polyp group. In test data, nodules were 100% and vocal fold polyps were 30%. Although th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was 65%,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olyps was too low, making it difficult to trust the model. In the case of the svm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the overall classification ratio of the training data was 94.6% (nodules (17/18)=94.4%, polyps (18/19)=94.7%). Th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test data was found to be 68.4% (nodule (6/9) = 66.7%. Polyp (7/10) = 70%). It was found that,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svm was higher and more stable.

      • 열대거세미나방 친환경 방제 소재선발에 관한 연구

        안인 ( In Ahn ),이인애 ( Inae Lee ),정호용 ( Hoyong Jeong ),주진호 ( Jinho Joo ),이영돈 ( Young Don Lee ),최선희 ( Seonhee Choi ),김재근 ( Jaegeun Kim ),엄재상 ( Jaesang Eom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열대거세미나방은 애벌레 시기에 80여종의 식물에 해를 끼치는 광식성 해충이다. 2016년 아프리카 43개국에 이어 2018년 동남아시아 8개국, 2019년 일본, 중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대량 발생 시 작물에 큰 손실을 가져오는데 태국에서는 연간 옥수수 생산량이 25∼45% 줄었고, 아프리카와 스리랑카에서도 각각 20%와 10%, 중국에서는 5∼10%의 옥수수 생산량 감소율을 보였다고 FAO는 밝히고 있다. 국내는 2019년 최초로 제주 구좌읍 옥수수 재배포장 50ha에서 발생한데 이어, 2020년에는 제주 한림, 경남 고성, 남해, 경북 경주, 경산, 전북 김제에서 발생되었고, 2021년도에도 제주 한림읍, 경남 고성, 전북 고창의 옥수수 재배 포장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이 발견되고 있다. 방제농약으로는 옥수수 등 26개 작물을 대상으로 53개 농약품목이 열대거세미나방용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친환경방제제는 등록된 약제가 없어 친환경 방제제 또는 유인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천연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열대거세미나방의 친환경 방제제를 개발하고자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을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실내에서 사육하여 3∼4령 정도의 유충을 공시하여 침지법으로 접종시험을 수행하였다. Deltamethrin 농약을 대조로 하여 에센셜오일 5종(Lavender, Rosemary, Neem, Cloves, Ginger) 및 에센셜오일+Trichoderma sp. CFC(Cell Free Culture), 식물추출물 합제인 KEFAMA(Derris, Sophora flavescens, Phytolacca americana)을 공시하여 3 농도(100, 500, 1000배)별로 침지처리하였다. 처리 결과 100배 희석 시 7개의 처리구(Deltamethrin, Neem, Rosemary, Clove, Clove+CFC, Ginger, Ginger+CFC)에서 무처리구 대비 90% 이상의 높은 살충률을 보였으나, KEFAMA 식물추출물합제의 경우 40%의 낮은 살충률을 보였다. 500배 희석의 경우 100배 희석보다 전반적으로 살충률이 감소하였으나, Rosemary, Ginger, Ginger+CFC 처리구의 경우 100%로 높은 살충률을 보여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000배 희석의 경우 평균적으로 낮은 살충률을 보였지만 Ginger+CFC가 50%로 다소 높은 살충률을 나타냈다.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은 살충률을 보인 처리구는 G-CFC> Rosemary oil > Ginger oil 순으로 열대거세미나방 친환경방제 소재로 판명됨에 따라 향후 열대거세미나방 친환경방제제 개발을 위한 포장에서의 약효 확인 및 급성 독성시험과 합제형화 공정을 거쳐 상용화할 경우 열대거세미나방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열대거세미나방 확산방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작물바이러스 및 병해충 대응 산업화 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o. 120083-3)

      • KCI등재

        발성역치능력(Phonation Threshold Power, PTW)의 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 연구

        황영진(Hwang, Youngjin),이인애(Lee, Inae)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alidation of Phonation Threshold Power of Patients who have Functional voice disorder. 5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32 subjects were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s and 20 subjects were normal adults). The PAS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model 6600, KAY electronics, Inc.) was used to measure the data and to do the analysis. Data from the Phonation Threshold Power was measured multiplying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were measured by the PAS protocol. Those were used because of the ease of pho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Phonation Threshold Power between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 and normal adults could become a significant index.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 showed more higher figures than normal adults.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Phonation threshold Power is more sensitive than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The measured data also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diagnosing patients with vocal fold.

      • 열대거세미나방 생물학적 방제 소재선발에 관한 연구

        안인 ( In Ahn ),이인애 ( Inae Lee ),최선희 ( Seonhee Choi ),김재근 ( Jaegeun Kim ),손혜란 ( Hyeran Son ),엄재상 ( Jaesang Eom ),주진호 ( Jinho Joo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열대거세미나방은 2016년 아프리카 43개국에 이어 2018년 동남아시아 8개국, 2019년 일본, 중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장거리 이동하며 대량 발생 시 작물에 큰 손실을 가져오는데 태국에서는 연간 옥수수 생산량이 25~45% 줄었고, 아프리카와 스리랑카에서도 각각 20%와 10%, 중국에서는 5~10%의 옥수수 생산량 감소율을 보였다고 FAO는 밝히고 있다. 국내는 2019년 최초로 제주 구좌읍 옥수수 재배포장에서 발생한데 이어 전북 고창군, 전남 무안군, 여수시, 해남군, 보성군, 경남 밀양 옥수수 재배포장에서 발생이 이어지고, 2020년에도 제주 한림, 경남 고성, 남해, 경북 경주, 경산, 전북 김제의 옥수수 재배 농가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이 발견되고 있다. 적용농약으로는 옥수수 등 26개 작물을 대상으로 53개 농약품목이 열대거세미나방용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생물학적 친환경방제제는 등록된 약제가 없어 친환경 방제제 또는 유인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Spodoptera frugiperda 암컷의 페로몬 성분은 열대거세미나방이 발생되는 지리적 지역이 다른 곳에서 여러 연구진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이에본 연구는 생물학적 유인제인 성페로몬을 열대거세미 해충의 성페로몬 성분과 조성을 확인하고자 국외 시제품 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된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한 야외포획실험으로 적절한 성페로몬 조성비를 검정하였다. 주요 페로몬 성분인 Z9-14AC와 보조성분인 Z7-12AC는 브라질, 프랑스 가이아나, 플로리다, 코스타리카의 열대 거세미나방 개체군에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수컷은 두 성분 모두에 반응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주성분 Z9-14:OAc 와 보조성분 Z7-12:OAc, Z11-l6:OAc, Z9-12:OAc을 선정하여 제조사가 다른 미국, 네델란드, 중국의 열대거세미 나방 성페로몬 루어 성분 분석 및 비율 분석시험을 수행하였다.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3개 제품 모두 주성분인 Z9-14:OAc과 보조성분인 Z7-12:OAc를 확인 할 수 있었으나, 다른 보조성분인 Z11-l6:OAc와 Z9-12:OAc은 확인되지 않았다. 성페로몬 성분의 함량은 Alpha Scents, Inc. (미국) 제품은 Z9-14:OAc 195ppm, Z7-12:OAc 2.2ppm, Pheroboank (네덜란드)제품 은 Z9-14:OAc 4l4ppm, Z7-12:OAc I4ppm 으로 가장 많았고, Bioglobal (중국)제품은 Z9-14:OAc 225ppm, Z7-12:OAc 0.9ppm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주성분인 Z9-14:OAc와 보조성분인 Z7-12:OAc이 가장 효과적인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으로 판명됨에 따라 향후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개발을 위한 합성 공정을 진행하여 상용화할 경우 열대거세미나방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열대거세미나방 확산방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학교식당 및 교실배식 과정 전·후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정해용,손주혜,이재윤,이인애,고지연,고나윤,박성준,고광표,김성균,Jung, HeaYong,Sohn, JuHae,Lee, JaeYoon,Lee, InAe,Ko, JiYean,Ko, NaYun,Park, SungJun,Ko, GwangPyo,Kim, Sungkyoo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5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1 No.6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school food service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of microbial food safety. Methods: We collected both swab samples from tables and desks and airborne bacterial samples from an elementary school (School A) and a high school (School B). Heterotrophic plate count, total coliform,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were measured with selective media to quantify microbial concentration. PCR assay targeting 16S rRNA gene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trains of S. aureus and B. cereus isolated. In addition, we made a food service checklist for the locations to evaluate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A Wilcoxon test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icrobial concentration between before lunchtime and afterwards. Results: Heterotrophic plate counts showed higher levels after-lunch compared to before-lunch at School B. However, levels of S. aureus were higher in the after-lunch period (p<0.05) in both classrooms and in the cafeteria in School A. B. cereus was only sparsely detected in School B. Several samples from food dining cart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bacteria, and facilities associated with food delivery were found to be vulnerable to bacterial contamination. Although microbial concentrations in the air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lunchtime in the cafeteria in School A, those in classrooms were greater after-lunchtime at both school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crobial safety in schools after lunchtime of concern. Necessary preventive measures such as hygiene education for students and food handlers should be required to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food service processes in schools.

      • 매미나방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성페로몬 소재선발에 관한 연구

        안인 ( In Ahn ),이인애 ( Inae Lee ),최선희 ( Seonhee Choi ),김재근 ( Jaegeun Kim ),손혜란 ( Hyeran Son ),엄재상 ( Jaesang Eom ),주진호 ( Jinho Joo ),이영돈 ( Youngdo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매미나방(Gypsy moth ; Lymantria dispar)은 나비목 독나방과의 돌발 외래해충이다. 겨울철 이상 고온현상으로 매미나방 월동 치사율이 낮아지면서 대발생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0년 19종의 과수 및 수목에 매미나방이 발생하여 피해면적은 2019년의 3배수준인 10개 시도(89개 시군), 6,183 ha에 매미나방이 대 발생하여 사과나무 등 과수 및 수목에 심한 피해를 줄 뿐만아니라 애벌레가 사람에게 피부가려움증과 혐오감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매미나방에 대한 종 특이적 예찰 및 유인 포살을 위한 페로몬 트랩 개발이 선행되어 추적 데이터 신뢰도 증대가 필요한 실정이나 패로몬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로서 매미나방에 대한 페로몬은 외국에서는 개발되어 있으나 국내에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페로몬은 수많은 곤충에서 발견되며 특히 과수나 산림에 피해를 주는 나방류의 성페로몬은 예찰 및 방제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곤충 성페로몬제품의 세계적 시장규모는 2019년 약 1조5천746억원이며 2025년에는 5억2천만$로 연 9.1%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9 BCPC).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미나방에 대한 페로몬을 유기 합성하는 한편 그에 대한 맞춤형 트랩을 개발하고자 외국산 매미나방 페로몬을 도입하여 페로몬 루어성분을 정성 정량 분석을 실시한 후 유효성분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산 수입 매미나방 페로몬 루어성분을 hexane에 희석하여 GC-MS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 정성 분석하였다. 수입매미나방 페로몬루어 GC-MS 분석결과 매미나방 루어 페로몬으로 알려져 있는 Disparlure 성분이 RT 40.664분에 확인되었다. 이어 매미나방 페로몬 유효성분인 disparlure을 절대검량선 방법을 이용하여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정량하려는 성분으로 된 순물질 disparlure을 단계적으로 취하여 크로마토그램을 기록하고 피크의 면적을 구하였다. 성분량(PPM)을 횡축에, 피크 면적를 종축에 취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이 시험 결과에 의하여 매미나방 페로몬 유효성분은 disparlure ((7R,8S)-cis-7,8-Epoxy-2-methyl octadecane)로 판명됨에 따라 향후 매미나방 성페로몬루어 개발을 위한 합성 공정을 진행한 후 발생현지 포장에서의 유인효과시험을 통하여 유인제 트랩에 탑재할 경우 매미나방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과수 및 수목의 매미나방 피해 방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기술사업화지원 민간중심 R&D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o. 821064-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