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예술관광 활성화 요인에 관한 탐색적 고찰

        이의신(EuiShin Yi),김선영(SunYoung Kim)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3 미래사회 Vol.14 No.3

        지역소멸의 위기가 가중되고 있는 현실에 많은 지자체에서는 지역 발전을 위해 다양한 관광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예술관광 분야는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 이 에 본 연구는 예술을 통해 지역의 관광을 활성화 하는 방안으로 예술관광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관광동기, 관광객 만족, 행동의도를 구성하는 요인이 예술관광에서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관광 동기로는 유희, 자아실현(교 육성), 자연과 문화(고유성), 체험 등 일반적 요인 외에 예술성, 신비성, 희소성이 필요하며, 관광객 만족을 위해서는 자긍심, 일탈, 정서적 유대감 등 내부적 요인과 함께 예술적 수월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행동 의도와 관련하여 추천 의도에는 예술적 희소성이 가장 중요하며, 재방문의도를 위해서는 홍보성, 볼거리, 타인 대상 소개 욕구, 사회적 행동 등이 필요하다. 구전 의도는 예술적 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미래의 예술관광 활성화에 실무적, 학술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crisis of regional depopulation is worsening, many local governments are pursuing various tourism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regions. However, the field of arts tourism has not yet shown clear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for revitalizing arts tourism as a means to boost tourism in regions through the arts. To achieve this, we analyzed how factors comprising tourism motivations,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manifest deferentially in the context of arts tourism. For our research methodolog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s arts tourism motivations, in addition to common factors such as leisure, self-realization (educational), nature and culture (uniqueness), and experiential factors, arts tourism requires artistic qualities, mystique, and rarity. To enhance tourist satisfaction, it is essential to emphasize internal factors such as pride, escapism, emotional bonds, along with artistic ease. Regarding behavioral intentions, artistic rarity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commending arts tourism experiences. To encourage revisits, promotional aspects, attractions, the desire to introduce others, and social interactions are necessary. Word- of-mouth intentions are predominantly influenced by artistic quality. We hope that this study can provide both practical and academic contributions to the future revitalization of arts tourism.

      • KCI등재

        지역축제의 참여 주체 간 거버넌스 연구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 사례를 중심으로

        이의신 ( Yi Eui Shin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본고에서는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거버넌스 구축과 그 성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댄싱카니발의 주요한 추진 주체는 지방정부와 시민단체, 군부대로 나눌 수 있다. 축제의 미션, 주체자간의 수행하고 있는 역할 등의 측면에서 시민 참여형 축제, 도심 공간 특성을 활용한 프로그램, 군과 함께하는 축제의 특수성, 지역 내외의 공감대 형성을 통한 거버넌스 구축과 그 성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댄싱카니발은 지역 축제의 미션과 목표를 향하여 양방향으로 협력한 네트워크를 구축 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첫째, 문제 해결에 있어 파트너십 형성과 공동미션을 향한 협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파트너십과 서로 간 존재의 필요성을 통하여 경제원칙에 입각한 효율성을 보여주며 협력적 거버넌스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셋째, 모두가 공통된 목표를 향해 서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자체는 공공기관으로서 필요한 행정 절차를 수행하고 지역에 대한 책임의식과 위민이라는 행정을 구현하고, 시민들은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다. 또한 지역방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나 유관기관들과 긴밀한 협조와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군부대는 댄싱카니발을 통하여 민군관의 활발한 교류활동과 그에 따른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 댄싱카니발은 축제 거버넌스의 제도적인 외적 기반 형성은 조성되어있으나 운영 측면에서 협력적 관계의 역할 중심이 문화재단에 치우쳐 있다. 이는 군의 특수성과 관의 복잡하고 다양한 업무의 상충으로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축제의 진행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역축제는 지역 사회 최고의 가치임을 모두 함께 인식하는데서 시작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민관군 간 문제해결이나 조정적인 역할을 할 매개 조직이나 소통기구를 강화하여 조직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댄싱카니발의 지속적인 축제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거버넌스의 긍정적인 순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동시에 부정적인 역기능을 가능한 한 줄이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원활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는 매개조직이 구축되어 외형적 협력이 아닌 자발적 협력으로 축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주체별 역할분석을 통하여 축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점을 극대화하여 축제가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how the governance of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was implemented and what achievements were made by the governance. The dancing carnival was primarily implemented by a local government, civic groups, and military service units. The governance of the dancing carnival and its accomplishments were examined by studying the mission of the carnival, roles played by each participant, carnival programs aligned to the distinct features of urban space, unique nature of the festival involving the military, and consensus formed in and out of the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the dancing carnival fostered an interactive collaborative network to promote its mission and goal. Such a network was enabled by partnership forged to resolve problem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accomplish a shared mission. Secondly, the partnership and needs for interdependence among the participants resulted in efficiency based on economic principles and promoted collaborative governance. Thirdly, all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resolve each other`s problems in a bid to achieve the shared goals. As a public entity, the local government can perform administrative procedures as necessary, fulfill its mission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At the same time, citizens can grow more proud of and attached to their local community,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 military service unit requiring close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levant authorities to ensure success in defending local communities can foster partnership with relevant public and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dancing carnival. Institutional governance framework was put in place for the dancing carnival, yet the collaborative role was placed unproportionately on the cultural foundation in terms of operational aspects. This could lead to conflicts stemming from clashes between the unique nature of the military and complexity and diversity of government procedures, impacting the progress and outcomes of the festival. More than anything else, local festivals should start from shared awareness of primary values of relevant local communities. To that end, organizational structure or communication mechanism to resolve or mediate issues among the private sector, the public sector, and the military needs to be enhanced to ensure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governance. Subsequently, further studies and discussions will be needed to address the weakness of the festival and maximize its strength by analyzing the roles played by each participant in a bid to determine how the festival can contribute best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지역축제의 참여 주체 간 거버넌스 연구

        이의신(Yi, Eui Sh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본고에서는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거버넌스 구축과 그 성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댄싱카니발의 주요한 추진 주체는 지방정부와 시민단체, 군부대로 나눌 수 있다. 축제의 미션, 주체자간의 수행하고 있는 역할 등의 측면에서 시민 참여형 축제 ,도심 공간 특성을 활용한 프로그램, 군과 함께 하는 축제의 특수성, 지역 내외의 공감대 형성을 통한 거버넌스 구축과 그 성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댄싱 카니발은 지역 축제의 미션과 목표를 향하여 양방향으로 협력한 네트워크를 구축 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첫째, 문제 해결에 있어 파트너십 형성과 공동미션을 향한 협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파트너십과 서로 간 존재의 필요성을 통하여 경제원칙에 입각한 효율성을 보여주며 협력적 거버넌스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셋째, 모두가 공통된 목표를 향해 서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자체는 공공기관으로서 필요한 행정 절차를 수행하고 지역에 대한 책임의식과 위민이라는 행정을 구현하고, 시민들은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다. 또한 지역방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나 유관기관들과 긴밀한 협조와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군부대는 댄싱카니발을 통하여 민군관의 활발한 교류활동과 그에 따른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 댄싱카니발은 축제 거버넌스의 제도적인 외적 기반 형성은 조성되어있으나 운영 측면에서 협력적 관계의 역할 중심이 문화재단에 치우쳐 있다. 이는 군의 특수성과 관의 복잡하고 다양한 업무의 상충으로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축제의 진행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역축제는 지역 사회 최고의 가치임을 모두 함께 인식하는데서 시작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민관군 간 문제해결이나 조정적인 역할을 할 매개 조직이나 소통기구를 강화하여 조직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댄싱카니발의 지속적인 축제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거버넌스의 긍정적인 순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동시에 부정적인 역기능을 가능한 한 줄이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원활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는 매개조직이 구축되어 외형적 협력이 아닌 자발적 협력으로 축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주체별 역할분석을 통하여 축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점을 극대화하여 축제가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how the governance of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was implemented and what achievements were made by the governance. The dancing carnival was primarily implemented by a local government, civic groups, and military service units. The governance of the dancing carnival and its accomplishments were examined by studying the mission of the carnival, roles played by each participant, carnival programs aligned to the distinct features of urban space, unique nature of the festival involving the military, and consensus formed in and out of the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the dancing carnival fostered an interactive collaborative network to promote its mission and goal. Such a network was enabled by partnership forged to resolve problem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accomplish a shared mission. Secondly, the partnership and needs for interdependence among the participants resulted in efficiency based on economic principles and promoted collaborative governance. Thirdly, all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resolve each other’s problems in a bid to achieve the shared goals. As a public entity, the local government can perform administrative procedures as necessary, fulfill its mission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At the same time, citizens can grow more proud of and attached to their local community,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 military service unit requiring close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levant authorities to ensure success in defending local communities can foster partnership with relevant public and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dancing carnival. Institutional governance framework was put in place for the dancing carnival, yet the collaborative role was placed unproportionately on the cultural foundation in terms of operational aspects. This could lead to conflicts stemming from clashes between the unique nature of the military and complexity and diversity of government procedure , impacting the progress and outcomes of the festival. More than anything else, local festivals should start from shared awareness of primary values of relevant local communities. To that end, organizational structure or communication mechanism to resolve or mediate issues among the private sector, the public sector, and the military needs to be enhanced to ensure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governance. Subsequently, further studies and discussions will be needed to address the weakness of the festival and maximize its strength by analyzing the roles played by each participant in a bid to determine how the festival can contribute best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윤이상의 음악세계로 살펴본 통영국제음악제의 발전방향

        이의신(Eui-Shin Y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통영국제음악제는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을 기리는 추모음악회로 시작하여,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빠른 성장을 하며 국제적인 음악축제로 발돋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윤이상의 음악세계로 살펴본 통영국제음악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 근대사의 비극을 겪고, 고국에서 추방된 윤이상이었지만, 그의 작품 속에는 한국, 특히 통영의 문화적 유산을 부단히 창조적 에너지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음악은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 남과 북, 거장과 신예를 아우르는 화합의 세계를 추구하며 다양한 모습으로 음악제에 투영되어 있다. 통영국제음악제가 국제적인 반열에 올라서기 위해서는, 윤이상의 음악창조의 진원지로써 통영의 유형, 무형의 문화적 자원 속에서 그 가치를 찾아내어 음악제와 연결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화역량의 기반아래 서구 음악제와 차별되는 독창적인 음악축제의 모습을 갖춘다면, 통영국제음악제는 세계적인 음악도시의 성공적인 음악 축제로 약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was established to commemorate the world-renowned composer Isang Yun.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event is quickly grown into a global music festival. This paper considers the future direction of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as seen through the musical world of Isang Yun. Although Isang Yun suffered through Korea’s modern history and was deported from his own country, his works clearly use Korea, in particular the cultural heritage of Tongyeong, as his creative energy. His music is reflected in the festival in various forms, i.e., East and West, past and present, North and South and maestro and rookie, while pursuing a world of harmony. In order for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to join the ranks of global festivals, an effort needs to be made to find the values from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of Tongyeong, the source of Isang Yun’s musical creations, and connect these values to the music festival. I believe that, based on such cultural capacity, when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becomes a unique festival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music festivals in the west, it will advance into the successful music festival of a global music cit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연예술산업을 위한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고찰

        이의신(Yi, Eui Shin),김선영(Kim, Sun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8 No.-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개인 뿐 아니라 사회, 기업, 경제 등 모든 것들이 다양한 과학기술과 융합하며 그들의 패러다임 전환을 유도한다. 이는 국가간, 기업간, 산업간 그리고 사회 전체 시스템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문화경제학자 트로스비(D. Throsby)는 인터넷의 출현과 광범위한 디지털 경제의 등장은 미래 예술 산업에서 구조, 경영은 물론 궁극적으로 예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했다. 이는 데이터 관리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e-비즈니스가 예술의 발전에 결정적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최근의 예술은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디지털 영상기술과 결합하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로 예술창작의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시간적 · 공간적 · 경제적 접근성을 확대함으로써 서로 다른 표현과 소통 방식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의 발전은 결국 기술의 활용과 지배의 과정으로, 능력과 의도, 표현매체와 표현내용의 조화된 일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공연예술은 공급과 유통 등에 많은 난제를 내포하고 있다. 예술의 영역은 확장되었지만 관객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유통 기술’은 아직 제대로 구축되어있지 못하며, 이는 공연예술이 선순환되는 여건이 만들어지는데 어려움을 준다. 결과적으로 공연예술의 융합 또는 확장은 예술시장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속에 정체와 확대의 양극화 현상을 보이며 침체와 고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고 양질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생산, 공급하고 유통하는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투명한 시장 환경 조성이 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연정보와 데이터 시스템이 필요하다. ‘데이터’는 산업을 위한 기초자료이자 기반이다. 예술 또한 예외는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이란 화두를 세상에 던진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교수는 빠른 속도로 진화하는 고객의 욕구 해소와 풍부한 데이터를 위해서는 포괄적인 협력을 통해 자원을 공유할 때 모두에게 중요한 가치가 창출된다고 하였다. 데이터를 통한 고객의 경험, 데이터 기반 서비스 등의 분석과 활용을 통해 정책을 세우고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집행하여야 시장의 선순환 구조와 그에 따른 산업화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위해서 공연예술시장에서는 무엇보다 ‘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구축 및 안정화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현황을 분석하고 직면한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공연예술통합 전산망은 먼저 정량적 데이터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야 하며 공연법 개정등 법적,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예술, 융복합 예술 등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 시대에 정확한 데이터 확보와 분석을 위한 보다 세밀하고 체계적인 장르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그리고 제공방식 및 서비스 노출의 다변화, 포탈과의 공연 정보 연계 등을 통한 활용도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16년 11월,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이 대형 예매처들의 참여로 본격화되었지만 순조롭게 안착하기까지 아직 남겨진 과제들이 많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초자료로서 사용되어지고 공연예술의 선진화와 산업화의 기본토대 구축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공연통전망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Based on the digit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kes scientific technology merge not only with individuals but also with society, corporate, economy and more. It changes their paradigm and attends transitions of the system among countries, corporate, industries, and societies. A cultural economist, David Throsby, foresaw the arrival of internet as one of the paths for arts consumption and vast digital economy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 He believed that it will greatly influence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future arts business ultimately. This conveys that e-business, which includes ‘data’ under the use of internet, can become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Also, today’s performing arts is expanding the field of communication by exceed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The collaboration with digital video clips or artificial intelligence(AI) widened the range for the artistic creation and by increasing timely, spacial, financial accessability, different methods of communication are merged. The improvement in arts happens during the process of use and domination of technology which can be seen as a consonance between ability and intention and expression materials and contents. Despite the external growth,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regarding supply and distribution in performing arts. The domain of fine arts expanded, however, ‘distribution technique’ is not firmly constructed, creating difficulties for the condition of virtuous cycle in performing arts. As a result, the expansion is in imbalance with the supply and demand which leads to depression and struggle between expansion and abeyance.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revitalize the market to create, supply, and distribute the high quality contents in performing arts, market transparency should be fostered. For this, information of performing arts and statistical system that is accurate and reliable is needed. ‘Data’ is not only the fundamental elements but it is also the infrastructure for the industry. For performing arts, there are no exceptions at all. Professor Klaus Schwab, who brought up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gues in his book that a important value is created when resource is shared through comprehensive cooperation due to costumer’s need and rich data that evolves rapidly. By establishing and administering polici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rough collec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data’ based on customer’s experience and service, the structure for virtuous cycle and its industrialization for preforming arts can be structured. Considering all of these, establishment and stabilization of Korea Performing Arts Box Office Information System (KOPIS) as a ‘data platform’ for performing arts market should be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PIS, look over the related problems, and come up with some improvements in terms of data and service. As a result, KOPIS needs to search for a plan to overcome the quantitative data from various angles. Supplementation of legalization or institutionalization such as revision of the Public Performance Act is necessary also. In a period where art is developing under AI or convergence within, detailed and systematic reassortment of genre is necessary more than archiving data. Moreover, variation of delivering method and service exposure along with the availability of linkage between the portal and performance information needs to be enhanced. With the participation of major ticket sale sites, KOPIS began its official statu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cesses to go through to make program go smoot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and attribute to advancement and foundation construction for industrialization of performing arts.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re systematic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OPIS will be expected.

      • KCI등재

        미술 대중화를 위한 작가중심형 아트페어 사례 연구

        김선영(Sun-Young Kim),이의신(Eui-Shin Y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빠른 회복세를 보인 세계미술시장과는 달리 한국 미술시장은 현재까지도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미술시장은 화랑 편향의 유통시스템, 취약한 1차 시장 기능, 소수 컬렉터 중심의 시장 구조로 신진 및 중견작가들로 하여금 시장 진입의 기회를 어렵게 하고, 결과적으로 작가들의 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또한 높은 작품 가격은 일반인의 시장참여를 제한함으로써 시장의 저변확대를 가로막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미술시장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시장 저변의 허약함에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안형 아트페어’가 허약한 우리 미술시장의 체질을 개선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한국 미술시장의 현황과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작가미술장터’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작가중심형 아트페어’는 일반인의 미술시장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신진 및 비인기 중견작가들에게 전시 및 판로를 열어줌으로써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 방안 중 하나로 미술시장 대중화를 촉진하는 대안형 아트페어이다. 나아가 국내 미술 시장의 체계적인 유통 체계 구축과 더불어 견고한 작가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작업이기도 하다. 현재로서는 시장편중 현상이 다른 나라에 비해 뚜렷하고, 대중화가 부진한 우리 미술계의 현실, 그리고 자생력이 부족한 시장의 현장 등을 고려할 때 ‘작가중심형 아트페어, 육성을 위한 공공부문의 마중물 역할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직접적인 지원방식이 아닌 홍보플랫폼의 제공이나 소비자 금융지원 등 간접적인 지원방식으로의 전환을 통해 ‘작가중심형 아트페어’의 지속가능성과 그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Unlike the global art market which experienced rapid recovery from the impact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Korean art market has not yet fully recovered. The gallery-oriented distribution system, vulnerable primary art market functions, and the market structure centered on a small number of collectors make it difficult for young and medium artists to enter the market and, as a result, deepen the economic polarization of artists. In addition, the high price of art works limits market participation by restricting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began with the idea that the interest of the public in the art market as well as their participation in the market are urgent. To this end, we noted that public awareness of art transactions can be a starting point for improving the constitution of the fragile art market, focusing on the `Artist-centered Art Fair` rather than existing art fairs.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such an art fair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art market, we analyzed the case of the `Visual Artist Market (VAM)` project of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Results found that the `Artist-centered Art Fair` focuses 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arket entry to young and medium artists rather than on the interests of distributors, and promotes the popularization of the art market by promoting low-priced works to the general public. Also, the `Artist-centered Art Fair` seems to play a primary role in the public sector to foster solid groups of artists as well as to establish healty distribution networks of Korean Art market. However, in the long run, it is necessary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rtist-centered Art Fair` through indirect support, such as the provision of a publicity platform or consumer finance support, rather than direct support.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아시아문화전당 발전 방안

        김선영(Kim, Sun Young),이의신(Yi, Eui Sh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아시아의 과거와 현재의 문화예술과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콘텐츠를 생성, 교류하고자 지난 2015년에 출범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많은 기대와 인프라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아시아문화전당의 정체성과 특성화 기능의 부재, 지역사회 · 문화계와의 소통 부족, 실험 예술과 지역 관객 눈높이의 격차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 집중하고 현안들을 타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광주시는 문화재단을 통해 2010년부터 미디어아트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또한 2015년부터는 오스트리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를 벤치마킹하며 뉴미디어 융복합 페스티벌인 ‘ACT페스티벌’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선보이고 있다. 아시아문화전당과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는 소외된 지역적 한계, 유사한 기능과 조직, ‘실험예술’과 ‘미디어아트’와 같은 기술과 융합된 예술을 추구하는 등의 유사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고는 다양한 기술과 예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미디어아트를 구현해내는 38년 역사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지향 해야 할 방향성을 찾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속성을 담보한 광주의 문화자원을 창조적 자산화 할 수 있는 원천스토리 발굴과 창작의 활성화 둘째, 시장 형성이 가능하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나라와의 전략적 네트워킹, 셋째로 경쟁체제 도입을 통한 공신력 확보를 제안하였다. 또한 차별화 전략으로 기존 미디어 혹은 뉴미디어의 개념에서 한 단계 더 진보한 ‘4차 산업혁명 예술’ 개념의 개발과 생산 등을 제시하였다. 무조건적인 모방 보다는 아시아문화전당의 실정에 맞는 변형과 이를 뛰어넘으려는 창의적 시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예술에 대한 심층적인 이론 연구와 실천방안 논의를 통해 아시아문화전당이 세계적인 예술 페스티벌(기관)로서 도약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 Asia Culture Center (ACC), which was launched at the end of 2015 to create and exchange innovative and futuristic content from Asia’s past and present culture and arts, still drifts away from its identity, despite a lot of expectations and infrastructure investment. At this point, this study started to look for ways to break through the issues on the voices of concerns about the identity of ACC and the absence of specialization functions, lack of communi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cultures, disparities between experimental arts and local audiences. Gwangju City is holding a media art festival since 2010 through its Cultural Foundation. From 2015 onwards, the ACT Festival, the new media combined festival, is being presented at ACC, benchmarking the Austrian Ars Electronica. The ACC and Ars Electronica have a lot of similarities, such as the marginalized regional limitations, functions and organizations, and pursuing arts fused with technologies such as ‘experimental art’ and ‘media ar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rs Electronica case of 38 years history which embodies various media arts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and arts, and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the National ACC should aim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discover the source stories that can sustain the cultural resources of Gwangju and to activate creative activities. Second, strategic networking with the countries that can form a market and utilize the technology. Third, it proposed to secure public confide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competitive system.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he concept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ry Art’, which is one step further from the concept of existing media or new media art, is proposed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Instead of imitating unconditional imitation,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culture of the ACC and try creative ways to overcome it. Based on these findings, we hope that the ACC will be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leaps and bounds as a global arts festival by discussing in depth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e on new arts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예술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 사례 고찰

        김선영(Sun-Young Kim),이의신(Eui-Shin Y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국내 공연예술은 공급과잉과 유통영역의 부재, 뚜렷하지 않은 비즈니스 모델 등으로 인한 침체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객관적으로 제공되는 시장데이터를 활용해 마케팅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관객개발과 충성도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가 보다 보편적이고 정확한 통계와 공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이라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먼저 빅데이터의 특징과 분석기술, 그리고 공연예술 소비자 분석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한 신용카드사가 실시한 빅데이터 분석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에 의한 공연예술 소비자 연구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그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공연 구매자 대상의 카드사 데이터 자체의 불완전성, 기존 이론 검증의 한계, 낮은 활용도, 소비자 성향 및 구매 동인 분석의 한계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장르와 공연명 파악이 가능하고 성향이나 구매요인 등을 추출해낼 수 있는 예매처 정보, 설문조사와의 결합과 소셜 데이터와의 매쉬업을 통해 구매동기 등의 정성적 분석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공연예술 소비자에 대한 연구가 빅데이터 시대에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어떤 변화를 모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위한 보다 구체화된 정성적 분석 사례들이 많이 출현하기를 기대하며, 지금의 공연예술시장의 흐름을 정확하게 대변해 주는 빅데이터 분석과 가공을 위한 솔루션들이 계속 개발되기를 바란다. The Korean performing arts has been facing stagnation due to oversupply, lack of effective distribution system, and insufficient business model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marketing by using more objective market data, and to secure audience development and loyalty. This study considers the viewpoint that "Big Data" could provide more general and accurate statistics and could ultimately promote tailoring services for performances. We examine the first case of Big Data analysis conducted by a credit card company as well as Big Data"s characteristics, analytical technique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rforming arts consumer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analysis case on performing arts by Big Data an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ncompleteness of credit card data for performance buyers, limits of verification of existing theory, low utilization, consumer propensity and limit of analysis of purchase driver were derived. In addition,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dentify genre and performances, and to collect qualitative information, such as prospector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rends and purchase factors.combination with surveys, and purchase motives through mashups with social data. This research is ultimately the starting point of how the study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should be done in the Big Data era and what changes should be sought. Based on our research results, we expect more concrete qualitative analysis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audiences, and continue developing solutions for Big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that accurately represent the performing arts market.

      • KCI등재

        공연예술산업의 유통부문 지원 개선방안

        김선영(Sun-Young Kim),이의신(Eui-Shin Y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지원에 상당부분 의지하여야 하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공연예술산업의 문제점들을 타개할 방안 또는 개선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창제작-유통-소비 등으로 이루어진 공연예술산업의 가치사슬 중 유통부문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음을 인식하고 유통 부문 발전 및 개선점을 찾기 위한 방안을 모색코자 하였다. 특히 정부 지원 중 공연 유통의 메인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공연장 중심의 지원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유통 부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산업과 동 산업의 가치사슬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공연예술산업 유통의 구조와 주체, 현황을 분석한 이후, 정부 등 공공의 유통부문 지원 규모와 지원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전한 공연예술 생태계가 되기 위해서는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각 주체의 균형 발전과 공진화가 필요하고, 2014년 기준 2.7%에 불과한 정부 및 공공의 유통·매개분야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또한 기획사와 같은 유통 주체의 양성과 전문성 향상이 제고되어야 한다. 더불어 공연 영상 등 공연장 이외의 플랫폼 확대를 비롯한 유통의 다각화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improvements or solutions of problems in the field of the performing arts that relies on public support and faces economic difficulties. Considering the value chain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s comprised of Creation-Distribution-Consumption is isolated relative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mprovements for the distribution system. By examining the government"s theater-oriented support policy, this study details methods of improvements in the distribution sector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Following the study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its value chain, the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factors and the present stat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s well as the volume and type of public sector support for distribution.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magnifying government"s Distribution sector supporting that was limited by only 2.7% in 2014, and fostering and specialty improvement of circulation agents such as production agencies.In addition, supporting distribution diversification, namely the extension of platforms like the Visualization of Performing Arts, is needed. These alternatives will contribute to balanced development and coevolution of each sector which comprises the performing arts industry"s value ch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