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이은정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내 헬스케어디자인(healthcare design)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저자의 선행 메타분석(이은정 외 3, 2019a; 이은정 외 2, 2019b)을 심화한 후속 연구시리즈 논문으로, 메타분석(meta analysis)의 초점을 연구방법에 맞춘다. 이를 통해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에서 주류적인 연구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들에서 어떤 연구방법들이 선호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1차 메타분석(이은정 외 3, 2019a)에서 수집된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논문 총 1,117건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한다. (1) 연구방법을 선행 메타분석에서보다 더욱 세분화하여 유형화한다. 우선 한 가지 방법만을 사용한 단일 연구방법(single-method)과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동시에 사용한 다중 연구방법(multi-method)으로 구분한 후, 각각을 다시 몇 개의 세부 유형들로 구분한다. (2) 연구방법과 연구주제 간 교차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별로 어떤 유형의 연구방법이 가장 선호되는지를 파악한다. (3) 본 연구가 새롭게 조명하는 다중 연구방법들의 특징과 대표 연구사례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디자인영역으로 대별되는 연구주제에 따라 주류적인 연구방법이 상이한데, 공간 연구들은 사례분석을, 시각정보 및 제품 연구들은 실험⋅제작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 다중 방법을 사용한 연구들도 상당수 존재하는 가운데, 가장 선호되는 다중 방법의 세부 유형 또한 연구주제에 따라 상이하다. 제품 연구들에서 실험제작을 중점으로 한 다중 방법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다중 방법의 연구는 다양한 양적⋅질적 자료들을 풍부히 수집하여 분석을 다각화하고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을 처음으로 조명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연구영역 전반에 걸쳐 실증주의적 지향성이 있다는 점과 복수의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다중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보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조합의 다중 방법들을 고안하고, 연구를 안내하는 길잡이로서 리서치디자인의 모델들을 제시한다면, 방법상의 획기적 전환을 통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is paper purports to analyze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This is a follow-up research series paper that deepens the author’s preceding meta analysis (Lee et al., 2019a; Lee et al., 2019b), focusing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method. With this, I identify what the mainstream research method is in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what research methods are preferred in specific studies. Methods: This study performs the following analysis on a total of 1,117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papers collected by the first meta analysis (Lee et al., 2019a). (1) Research methods are further subdivided and categorized than in preceding meta analysis. First, they are divided into a single-method using only one method and a multi-method using two or more methods simultaneously. Each method is then divided into several detailed types again. (2) Through cross-tabulation between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I identify which type of research method is most preferred for each research subject. (3) The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ve research cases of the multi-methods that this study newly highlights are analyzed. Resul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ainstream research methods diff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s classified into design areas. Spatial studies tend to favor case analysis, and visual information and product studies prefer experiment and production. (2) While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using multi-methods, the subtypes of the most preferred multi-methods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 (3) The multi-method study is likely to diversify and deepen the analysis by richly collecting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was the first to highligh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Through this, it showed that there is an positivistic orientation throughout the research field and that multi-methods can be effective. If multi-methods of various combinations are devised and research design models are presented as a guide for research through follow-up studies, a breakthrough in methodology will provide a chance for further development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 KCI등재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히스토리 ‑시기별 연구 경향 분석‑

        이은정,안지영,백진경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4

        연구배경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현재까지 수행되어 온 헬스케어디자인(healthcare design)에 관한 연구들의 경향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그 히스토리(history)를 추적하는 데 있다. 이는 이은정 외 3(2019)이 일차적으로 수행한 바 있는 메타분석(meta analysis)을 더욱 심화한 후속 연구시리즈 가운데 그 첫 번째 기획논문으로, 시기별 분석(chronological analysis)을 통해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이은정 외 3(2019)이 1차 메타분석을 통해 수집한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논문 총 1,117건을 대상으로 시기별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연간 논문의 수’를 기준으로 분석시기를 ① 초기, ② 중기, ③ 후기의 세 시기로 구획하였다. 그리고 (2) 구획된 시기별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들의 주요한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분석의 측면을 ① 주제영역, ② 연구대상, ③ 연구방법으로 세분화하여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는 (1) 맹아기로 분류될 수 있는 선구적 현장⋅학술활동들이 마련한 환경과 토대 위에서 2002년을 기점으로 등재학술지에 게재되기 시작하였다. (2) 양적으로 미미한 상태에 머문 초기(2002∼2008년)에는 헬스케어 공간디자인, 고령자,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3) 양적 팽창이 시작된 중기(2009∼2014년)에는 고령자 연구가 더욱 다각화되고, 시각정보 및 제품디자인, 설문조사 및 실험⋅제작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4) 후기(2015∼2018년)에는 단기간 내 급증세가 나타나 지속적인 성장가능성을 시사했는데, 시각정보 및 제품디자인 연구가 이전 시기보다 질적으로 심화했으며, 고령자 외 사용자 연구가 다소 증가하고, 실험⋅제작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를 집약하여 그 발전과 변천의 역사적 과정을 최초로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에 따르면,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는 모든 측면들에서 양적으로 팽창해온 동시에, 점차 다양하게 분화되면서 해당 분야의 지식을 축적하고 독자적인 연구영역을 구축해왔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각 측면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심화한다면, 하나의 연구영역으로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지니는 정체성을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This paper analyzes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design by time and tracks down its history as the first project paper in a series of follow-up studies that are aimed at deepening the meta analysis, which was first performed by Lee et al. (2019). By conducting a chronological analysis, we will review how domestic researches on healthcare design have been developed. Methods : This paper performs a chronological analysis on a total of 1,117 domestic healthcare design papers collected by Lee et al. (2019). To do this, (1) based on number of annual papers, we divide the analysis period into three periods: ① early, ② middle, and ③ late. And (2)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design studies by divided period, we set up three aspects of analysis: ① topic areas, ② subjects, and ③ methods. Result : Domestic healthcare design researches (1) began to be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from 2002 on the basis of the environment and foundation prepared by pioneering activities in embryo. (2) In the early period (2002-2008), when they were small in quantity, the focus was on healthcare space design, senior citizens, and case studies. (3) In the middle period (2009-2014), when their quantitative expansion began, the research on senior citizens was further diversified, and visual information/ product design and survey/experimental researches were increased. (4) In the late period (2015-2018), there was a short-term sharp increas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ustained growth. Visual information/product design research was developed qualitatively,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research on other us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research. Conclusion : This paper ha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having analy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for the first time by compiling the domestic healthcare design researches. According to this, they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while gradually diversifying into various aspects, accumulating knowledge and establishing one research area. If meta analysis is deepened by further studies, the identity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as a research area will be clarified.

      • 지혜 깊어지는 건강 - 건강검진이야기 - 2012년 이것만은 꼭! 평생 건강생활백서

        이은정,Lee, Eun-Jeong 한국건강관리협회 2012 건강소식 Vol.36 No.1

        건강을 위한 왕도는 없다. 매일매일 건강을 위한 꾸준한 실천이 모일 때 비로소 질병 없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 한해를 건강하게 보내고 나아가 평생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리스트 - 척추, 꼿꼿하게 펴고 사는 법

        이은정,Lee, Eun-Jeong 한국건강관리협회 2013 건강소식 Vol.37 No.3

        몸의 기둥이며 중심인 척추. 두개골을 받치고 우리 몸의 무게를 지탱하고 분산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을 통제하는 척수신경의 배관 통로이기도 하다. 척추가 건강해야 몸이 건강한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 척추 건강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은 평소 바른 생활 자세를 유지하고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다.

      • 박영일 과학기술부 차관

        이은정,Lee, Eun-Jeong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6 과학과 기술 Vol.39 No.6

        박영일 과학기술부 차관이 5월초로 취임 100일을 맞았다. 장관보다 일찍 취임한 ` ‘죄’로 100일 행사도 없이 조촐하게 넘어갔다는 박 차관. 그는 행시 출신으로 일찌감치 과기부에 입성한 인물이다. 당시만 해도 잘나가는 고시 출신들이 재경부 등 힘있는 부서를 택할 때 그는 과학이 미래 사회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해 과기부를 택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동기들 중에 상당히 일찍 차관이 된 성공한 관료에 속한다. 박 차관을 만나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는“과학기술부총리 체제가 2기로 접어든 시점에 차관이 되어 영광으로 생각하며 아울러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 소중한 당신의 체중계_호르몬을 알면 날씬해진다 - 호르몬 균형 잡는 생활 습관 기르기

        이은정,Lee, Eun-Jeong 한국건강관리협회 2012 건강소식 Vol.36 No.11

        추운 날씨와 함께 더불어 밀려드는 식욕. 어떻게 하면 이 식욕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있을까. 식욕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호르몬을 균형감 있게 유지하는 것으로도 다이어트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보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