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 현황과 전망

        이옥선(Lee, Okse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개발과정과 실행에 관련된 쟁점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체육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문서적인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체육과 교육과정은 스포츠교육학의 학문적 발전과 병행하여 문서체제, 목표, 내용에 있어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발전이 있었다. 교육과정 개발 측면에서는 총론과 각론 간의 소통, 교육과정 개발 주체 간의 소통, 학교 현장과의 소통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행 측면에서는 일률적인 실천에서 점차 자율적인 실천을 거쳐 혁신적인 실천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체육 교과의 본질을 반영하는 책임감 있는 교육과정, 현장 친화적인 교육과정, 소통이 있는 교육과정으로의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overview of past developments in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NCPE) and to explore the issues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a curriculum text level, the structure of curriculum document, objectives, and contents of NCPE have been revised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discipline of sport pedagogy and changing needs of society. Regarding the issues of curriculum revision, three critical issues have been emerged: (a) aligning general guidelines of national curriculum wi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 reconciling opinions of diverse agent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 overcoming the breach between school context and NCPE. The implementation of NCPE has been improved from passive transmission of NCPE toward more active re-organization of NCPE, thus encouraging more innova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he school settings. Future NCPE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the essential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should be developed as teacher-friendly curriculum that can bridge the school contexts and NCPE.

      • KCI등재

        중등 체육교사의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형태 및 특성

        이옥선(Okseon Lee),손혁준(Hyukjun Son),최의창(Euichang Choi),이원희(Wonhee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체육교사들의 공식적 연수 이외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참여 형태와 특성을 분석하고 공식적 연수 이외 전문성 개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등 체육교사(n=251)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심층면담(n=20)을 실시하여 자발적 전문성 개발활동의 참여 형태, 기간, 방법 및 교사와 학생에의 효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251명의 교사로부터 총 7가지 유형의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이 보고되었으며, 독서(22.1%), 웹사이트 검색(21.6%), 교사학습공동체(20.1%), 장학(18.2%), 대학원(7.6%), 학회(5%), 연구대회 참가(4.3%), 기타(1.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들이 인식하는 효과는 웹사이트(3.27/4.00)와 학습공동체 참여 (3.24/4.00)에서 높게나타났다.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참여 동기는 교수·학습능력 향상, 수업 고민의 공유와 해결, 인적 네트워크의 확장, 동료교사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획득과 같이 공식적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참여 동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체육 교사들은 즉각적 문제해결, 언제, 어디서든 배울 수 있는 경험을 자발적 전문성 개발활동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증거기반(evidence-based)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외적 지원 필요, 즉각적 필요를 넘어서는 장기적인 안목의 형성, 교사를 전문성 개발의 적극적 주체자로 인정하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ther than the formal teacher training courses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and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 educational valu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do this, online questionnaires (n=251) and in-depth interviews (n = 20) were conducted with secondary PE teachers to collect data on the types, duration, and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 types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were reported from 251 teachers; reading (22.1%), web site search (21.6%), teacher learning community (20.1%), supervision (18.2%), graduate school (7.6%), conference (5%), participation in research competition (4.3%) and others (1.1%). On the other hand, teachers"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of website (3.27 / 4.00)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3.24 / 4.00).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formal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uch as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skills and knowledge, sharing concerns, extending human networks, and obtaining emotional support from colleagu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value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btaining immediate solution for problems and learning anytime, anywhe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values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re should be external support that can provide evidence-based materials, establishing long-term developmental goals beyond satisfying immediate needs of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s active agen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이옥선(Okseon Lee),최의창(Euichang Choi),정현수(Hynusoo Jung),윤기준(Keejoon Yo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관련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물은 Parker & Patton(2016)의 효과적인 체육교사 CPD 특성을 기반으로 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CPD 참여 동기, 형태 및 세부 활동, 효과의 세 가지 영역으로 재구조화하여 논의한다. 첫째, 교사들의 CPD 참여 동기를 여타의 촉진 및 저해요인과 달리 전문성 개발의 전제조건으로 이해해야 하는 점을 주장한다. 둘째, 효과적인 CPD의 특성으로 도출된 키워드인 비공식, 구체적 사례 공유, 긍정적 유대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전문성 개발의 효과를 교수 실천의 변화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세 영역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 및 연구 설계에 대해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PE-CPD research. PE-CPD studies published 2007-2016 were retrieved and selected based on the exclusion and in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studies were reviewed and coded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which was developed through Parker & Patton’s (2016) effective PE-CPD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i) motivations to engage in PE-CPD, ii) CPD types and specific activities, and iii) CPD impacts. Firstly, teachers" motivations to engage in PE-CPD work as a premis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factor that distinguish from oth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actors. Secondly, three key factors of informal, sharing pedagogies, and supportive professional relationships for effective PE-CPD are discussed in detail. Lastly, teachers’ narrow conceptualization on the impacts of PE-CPD as change of teaching pedagogies is discussed and recommend the need to expand boundary of teacher professionalism beyond pedagogical improvement. Drawing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implications for undertaking future PE-CPD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중등 체육교사의 온라인 체육수업 지도양상과 영향 요인 탐색

        손혁준 ( Son Hyukjun ),이옥선 ( Lee Okseon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체육수업의 지도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등 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이후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체육수업 지도 양상, 전문성 개발활동의 참여 경험, 온라인 체육수업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체육수업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수업자료 제작의 주체와 방법, 학습 내용의 선정, 자료 제작과정에서의 경험 등에 따라 ‘은둔의 링크형, 모방적 재구성형, 자기과시적 제작형, 독립적 혁신형, 협력적 개발형’의 5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체육교사들의 수업지도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신념과 지식수준, 학교의 문화와 전문성 개발 환경, 학생의 반응과 참여’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수업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하여 교수내용지식(PCK)과 테크놀로지지식(TK)의 복합적 운영을 위한 지식 체제 통찰의 필요성, 비대면 원격 환경에서 교사의 협력적인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의 필요성, 학생의 능동적 교육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condary PE teachers’ online PE teaching styl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ing style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s on online PE classes, features of online PE implementation. Their experienc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online PE classes. Findings revealed five types of online PE teaching styles: ‘hidden linkage type, mimicking reconstruction type, ostentatious production type, independent innovation type, cooperative production type’ depending on who is producing class materials, what the PE contents are, and what methods and materials are created.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aspects of PE teachers’ teaching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 belief on online classes and level of knowledge, b) school culture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 student response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need to develop insight into a new knowledge system in order to combin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chnology knowledge (TK) for effectiv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reating an environment to support the cooperative efforts for teachers,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system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 KCI등재

        초등 여학생 체육수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여학생 친화적 통합 프로그램의 효과 탐색

        홍연종 ( Younjong Hong ),이옥선 ( Okse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여학생 친화적인 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녀 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여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어떤 인식이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인식을 형성하는 부정적인 요인을 불식시키고 남녀학생 모두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체육수업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여학생 친화적인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1년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5학년 10명(남 5명, 여 5명)과 수업을 지도한 교사 1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학생 프로그램 이전-사후 심층면담, 관찰, 교사 반성일지, 학생 체육일기, 학생이 찍은 사진 등의 다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들이 수동적이며 운동기능이 낮고, 주변적 위치에 머무르고 있다는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여학생들은 자신들의 강점이 인정되지 않는 분위기와 남학생의 비난을 문제 삼는, 남녀 학생 간의 엇갈린 시선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 무지에서 관심으로, (2)오해에서 이해로, (3) 기능에서 가치로, (4) 경쟁에서 협동으로를 지향하며 남녀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능(competence), 지(knowledge), 심(dispositions)이 통합된 30차시로 이루어진 여학생 친화적 통합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1) 여학생 체육수업 참여에 대한 인식의 변화, (2) 참여 방법의 다면화와 참여도의 향상, (3) 가치를 중시하는 체육 수업 분위기 조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of girls`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PE) in elementary schools and examine the impacts of a girl-friendly integrated program on children`s participation in PE clas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fifth graders (5 girls and 5 boys) and their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students` journal entries, field observation, and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were analyzed inductively. [Results] Findings revealed that boys perceived girls` participation as passive, possessing a low level of skills, and staying at the peripheral position. Meanwhile girls expressed their desire to demonstrate their strengths in PE classes and were afraid of boys` criticism regarding their lack of skills. There were also misconceptions and misunderstanding on girls` PE participation between boys and girls.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a girls-friendly integrativ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four guiding principles drawn from students` perception: (1) from ignorance to interest, (2) from misunderstanding to understanding, (3) from sport skills to sport values, and (4) from competition to cooperation. The program integrated boys and girls for promoting active interaction and also integrated competence, knowledge, and dispositions to accommodate students` various ways of PE participation.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gram had: (1) diversified students` perceptions of PE participation, (2) promoted students` diverse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3) established classroom atmosphere which emphasized positive values.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 참여 경험에 따른 교육과정 은유 유형과 은유 변화 탐색

        박용남(Yongnam Park),이옥선(Ok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 참여 경험이 있는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은유 유형 및 은유 변화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여 예비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S도시에 소재한 A대학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재학생 중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 49명(남 39명, 여10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개방형 설문, 포커스그룹인터뷰,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Gok와 Erfogan(2010)이 제시한 ‘개념적 은유분석 방법’(conceptual metaphor analysis)에 따라 분석하였다.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은유는 Jewett 등(1995)이 제시한 교육과정 은유가 갖는 함의 여섯 가지로 범주화한 결과, 동굴(무지), 거울(반영), 주춧돌(기초), 양파(복잡), 공갈빵(허울), 세금(의무), 사전(기준), 찰흙(선택), 마라톤(과정), 얼음물(상생)의 10가지 은유 유형과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가장 눈에 띄게 드러난 은유 변화 양상은 교육과정에 ‘무지’했던 학생들이 각각의 개념적 은유를 형성하게 된 것과 ‘복잡’한 교과지식과 ‘선택’으로서의 교육과정과 관련한 은유가 크게 증가한 점이었다. 이러한 은유 변화의 교육적 의미는 ‘교육과정 소양의 증가’, ‘실천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으로 범주화되었으며, 두 의미를 연결하는 핵심은 ‘교사 전문성’이었다. 또한, 교육과정 수업의 교육활동 중 교육과정 문서 분석과 교수자의 교육과정 해석이 담긴 강의는 ‘무지’에서 다른 은유로의 전환에, 현장탐방은 ‘선택’으로 집중된 은유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은유를 활용한 교육과정 인식과 변화의 탐색, 교육과정 소양 함양을 위한 입체화된 예비체육교사교육, 예비체육교사 유형별 교수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education(PE) teacher candidates’ metaphors on PE curriculum and how these metaphors have been changed throughout a PE curriculum class. Participants were 49 secondary PE candidates (male 39, female 10),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ceptual metaphor analysis (Gok & Erfogan, 2010). The teacher candidates’ curriculum metaphors have been categorized as: cave (ignorance), mirror (reflection), cornerstone (basement), onion (complication), puffs (speciousness), tax (duty), dictionary (standard), clay (option), marathon (process), and iced water (coexistence). A noticeable pattern of metaphor change was found from ``ignorant`` student group. These candidates’ metaphors have been changed with ``complicated`` subject knowledge and metaphors related to the ``optional`` curriculum. The educational meanings of metaphorical changes were categorized as ``improvement of curriculum literacy’ and ``curriculum as practice approach``. These changes have been facilitated by curriculum document analysis, collaborative curriculum inquiry, and observation of translating curriculum texts into teaching practice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유형 분석

        조기희(Jo, Kihee),정유금(Jeong, Yookeum),이옥선(Lee, Okseo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1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해 원격수업이 도입되었고, 이로 인해 학습 내용의 본질이자 도구가 신체활동인 체육 교과 역시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단계가 어떻게 변화하며, 이러한 관심 정도에 따라 온라인 체육수업이 어떻게 펼쳐지는지 그 실행 유형을 질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온라인 체육수업이 어떻게 준비되고 실천되어 가는지 그 모습을 드러내고, 온라인 체육수업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체육수업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체육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초등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온라인 학습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 단계는 1) 불가능과 기대감 제로 단계, 2) 불가피함의 인정과 가능성 찾기 단계, 3) 학습 동기와 내용에 대한 고민 단계, 4) 협력과 확장 단계로 구분되었다. 둘째, 온라인 체육수업의 실행 유형은 1) 이것저것 끌어오기형, 2) 이론 중심 지식 전달형, 3) 신체활동 증거 수집형, 4) 실시간 신체활동 요구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온라인 체육수업의 가능성과 한계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pread of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the geography of school education, especially in physical education (PE) classes which mainly uses physical activity as essential educational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 of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types of online PE classes.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mplemented online PE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online class materia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concerns on online PE class have been categorized as: (a) impossibility with no expectation, (b) accepting inevitable nature and seeking possibility, (c ) concern on motivating students and class content, and (d)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Teachers’ implementation types of online PE classes were categorized as: (a) drag-and-drop type, (b) theory-based knowledge transfer type, (c) physical activity evidence collecting type, and (d) real-time physical activity requirements type. Lastly discussion and future directions on online PE classes are provided.

      • KCI등재

        일반논문 : 신체활동과 인성향상을 위한 체육 수업모형 개발

        김윤희 ( Yoonhee Kim ),김병준 ( Byoung Jun Kim ),이옥선 ( Okseon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을 바탕으로 학생의 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체육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신체활동 변화단계모형과 책임감모형을 적용한 신체활동 및 인성 변화 2차원 모형을 수업모형 개발의 이론 틀로 채택하였다. 신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성요소를 반영하고, 학기별 또는 학년별로 체육수업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체육 수업 프로그램 20개(자신감, 책임감, 상상력, 몸마음관계, 창작, 감상, 경쟁/협동, 스포츠맨십, 봉사 리더십, 다문화 체험, 마라톤클럽, 휘트니스클럽, 댄스축제클럽, 줄넘기클럽, 스포츠리그클럽, 뉴스포츠클럽, MOVE클럽, 올림픽클럽, 드라마클럽, 커뮤니티클럽)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신체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여 신체활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높은 활동을 바탕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에 수록된 주요 인성 덕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맞는 수업 지도전략을 제시하여 상위 단계로 신체활동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활동 내용에 부합하는 인성 지도전략을 접목하여 인성향상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주제 20개에 대해 초중등학교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지도안 60개가 개발되었으며, 신체활동과 인성 변화는 2차원모형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체육수업, 클럽활동, 방과후활동 등 신체활동 영역에서 인성교육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current study outlined a new instructional model designed to enhance students` character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Two theoretical approaches, stages of behavior change model (Prochaska, & DiClemente, 1984) and personal-social responsibility model (Hellison, 2003), were integrated to build a two dimensional matrix. The matrix was used coherently as a guiding framework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diverse elements of the new instructional model. The model included character-centered and physical activity (PA) -centered programs. Each had 10 themes purposefully chosen based on the affective domain presented in the new national PE curriculum. Each theme was designed to represent character-related competences in the curriculum. A total of 60 lesson plans, 30 for character-centered programs and 30 for PA-centered programs, were developed to help physical educators adopt this new instructional model. Educators in physical activity fields would find the instructional model a valuable resource to enrich their effort toward character building in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