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곤충 및 거미류 종 목록

        이영보 ( Young Bo Lee ),박해철 ( Hae Chul Park ),한태만 ( Tae Man Han ),김성현 ( Seong Hyun Kim ),황석조 ( Seok Jo Whang ),김남정 ( Nam Jung Kim ) 한국잠사학회 201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0 No.2

        Since based on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 insects and spider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are as follows. A total of 60 species belonging to ten order of insects and three species of two families in the order Araneae were investigated. Among of them, we found that the species name and their photos were switched in three times, and also, misidentified species name were examined in three times. In the result of spices appearing frequencies between insects and spiders in the whole grade levels, the confirmed species numbers were a total of 63 species and the number of frequencies were 169 times. In the appearing frequencies, the correct identified species are relatively lowed as only 44 times(26.0%). In investigation on the appearing frequencies for the each insect orders, Othoptera and Coleoptera are mostly high such as ten and nine times, respectively. The appearing frequency for species levels are sequently counted as Drosophila sp.(18 times), Oxya chinensis sinuosa(16 times), and Papilio xuthus(12 time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appearing frequencies of insects in the each grades and semesters indicated that the first semester of third grade includes most large number insects which are 18 insect species, contrary, only one insect species are reported in the first semester of second grade.

      • 신두리 사구에 서식하는 주홍거미(Ereus cinnaberinus Walckenaer, 1805)의 생태학적 고찰

        이영보(Young-Bo Lee),김미애(Mi-Ae Kim),박해철(Hae Chel Park),강태화(Heoa-Tae Kang),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07 한국거미 Vol.23 No.1

          주홍거미는 주홍거미과(Eresidae) 주홍거미속( Eresus)에 속하는 종으로, 세계적으로는 100여 종이 기록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주홍거미 1종만 보고되어있다. 이 종은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의 생태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주홍거미에 대한 실내외 생태조사를 통해 관찰한 결과를 이에 보고한다.   The ecology of Eresus cinnaberinu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spider makes a tube of silk in the ground and with a roof of cribellate silk on the ground. The female and the not adult male are colored black. The male spider only gets its coloring at his last change of skin. Then he leaves its home and starts wandering looking for a female. Females can become four years old and never leave their hiding. The spiders makes one cocoon with eggs. The young spiders stay in the housing tube and stay with their mother for quite a long time. The mother dies and is consumed by the young spiders.

      •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한국산 지표성거미류 (Ground Dwelling Spiders)의 외부생식기 구조

        이영보(Lee Young Bo),유정선(Jung-Sun Yoo),이동좌(Dong-Jwa Lee),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04 한국거미 Vol.20 No.2

        우리나라 산림생태계 내 서식하는 한국산 지표성거미는 21과 57속 68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종에 대한 외부생식기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구조는 밝혀진 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컷 외부생식기 31종, 암컷 외부생식기 45종 등 총 57종에 대한 주자전자현미경 사진을 게재하고자 한다. The Korean ground dwelling spiders are recorded as 68 species of 57 genera under 21 families, Flowever, their body sizes are usually small (less than 10mm). This makes the identification of the ground dwelling spiders not easy. To provide the convenient identification guide, we report SEM pictures of of 57 ground dwelling spiders from Korea.

      • 가상환경에서의 프로젝터 기반 텐저블 메뉴 시스템

        이영보 ( Young Bo Lee ),윤창옥 ( Chang Ok Yun ),윤태수 ( Tae Soo Yun ),이동훈 ( Dong Ho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환경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젝터 기반 의 텐저블 메뉴 시스템을 제안한다. 텐저블 메뉴 시스템이란 텐저블 인터페이스(Tangible Interface)의한 형태로서 가상현실을 체험하고 있는 사용자가 프로젝터를 통해 메뉴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보면서 디지털 정보를 제어하는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텐저블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형태로서, 디지털 데스크(Digital Desk) 시스템의 경우 프로젝터의 영상이 투영되는 대상이 되는 데스크의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휴대 가능한 메뉴 시스템에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메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메뉴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가상 환경상에서 높은 몰입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에서 사용자와의 유연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사용 될 수 있다.

      • KCI등재

        독활기생탕가미방(獨活寄生湯加味方)이 배양 척수운동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영보 ( Young Bo Lee ),윤상학 ( Sang Hak Yun ),임양의 ( Yang Eui Lim ),박진상 ( Jin Sang Park ),정택상 ( Taek Sang Joung ),한경호 ( Kyung Ho Han ),이수경 ( Soo Kyung Lee ),신병철 ( Byung Cheul Shin ),권영달 ( Young Dal Kwon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3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13 No.4

        Objectives & Methods :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oxidative damage by Xanthine oxidase(XO) and hypoxanthine(HX)-induced oxygen radicals, XTT assay was carried out after the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were preincubated for 5 hour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XO/HX. And DNA synthesis, PKC activity and c-fos immunohistochemistry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Dokhwalgisaeng-tang(Duhuojisheng-tang: DGT), Dokhwalgisaeng-tanggami(Duhuojisheng-tangjiawei: DGTG), Herbar Chelidoni(HC) water extract o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damaged by XO/HX. Results : The results were XO/HX showed the quantitative decrease of DNA synthesis, increase of PKC activity and c-fos positive cell,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and exposed time o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and DGT, DGTG and HC showed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decrease of DNA synthesis and increase of PKC activity and c-fos positive cell by XO/HX.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XO/HX have a neurotoxic effect o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and the herbs extract, such as DGT, DGTG and HC, prevent the toxicity of XO/HX effectively.

      • 바둑돌부전나비(Taraka hamada)의 야외 생태학적 특성 조사

        이영보 ( Young Bo Lee ),박해철 ( Hae Chul Park ),한태만 ( Tae Man Han ),김성현 ( Seong Hyun Kim ),김남정 ( Nam Jung Kim ) 한국잠사학회 201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2 No.1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각지 야외에서 조사한 바둑돌부전나비의 생태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대에 서식하는 일본납작진딧물은 바둑돌부전나비 유충의 먹이로서 지표로부터 폭넓게 분 포하였으며, 조사8회 차인 6월 13일부터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일본납작진딧물과 바둑돌부전나비가 가장 많은 밀도를 보이는 곳은 줄기와 가장 인접한 부위이었다. 3. 바둑돌부전나비의 유충 예상 령수는 4령으로 추측된다. 4. 바둑돌부전나비 성충의 야외 노출 시 생존시간 조사결과, 2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Taraka hamada is known as the sole aphidophagous lycaenid butterfly in Korea. The species specifically preys upon Ceratovacuna japonica which lives in bamboo forests. During several years, the species has been received attention from the field of industrial insects in order to commercialize as a pet. However, an ecological character of the species have been unclear in Korea. We carried out a survey for basic ec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two species for 2010 to 2012. As the results, both species only cohabit at Pseudosasa japonica in our investigation. C. japonica is widely distributed from the host plant. Population density of T. hamada is synchronized with the density changes of C. japonica. Their densities are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point to the investigation and significantly declined in mid-june. The maximum population density of both species shows at the basal part of a leaf. The last-larval instar of T. hamada may seem to be reaching at 4th stage. The adults of T. hamada are killed within two minutes when they were exposed to the sun.

      • 한국산 지표성 거미의 지리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영보(Lee Young-Bo),유정선(Jung-Sun Yoo),정종우(Jongwoo Jung),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05 한국거미 Vol.21 No.1

        산림생태계 내 서식하는 지표성 거미들은 서식지의 크기나, 이에 따른 먹이밀도의 풍부성과 종내 또는 종간 경쟁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개방된 생태계 내의 종들보다는 이동력이 적으므로 지리적 격리에 의한 종의 분화나 변이 등의 연구에 좋은 재료가 될 수 있다. 특히 낙엽층은 폐쇄된 소 생태계로 양적인 조사에 있어서도 다른 조사에 비하여 좋은 재료가 된다. 생태적 분포형에 따른 조사에서 북방계로는 구북계의 부리염낭거미(Clubiona rostrata), 산외줄거미(Hahnia nava), 수풀오소리거미(Zora nemoralis)의 3 종과 전북계의 검은머리번개깡충거미(Pseudeuophrys erratica) 1 종을 포함 총 4 종이었고, 동양계는 산표깡충거미(Harmochirus brachiatus) 1 종이었으며, 나머지는 기본종 또는 범세계종이었다. 주요 12 분포지역에 대한 분석결과 분류군은 40 종 250 개체였으며, 이 지역 내에서의 우세종은 먹눈꼬마거미(Stemmops nipponicus), 족제비거미(Itats na praticola), 어리개미거미(Synagelides agoriformis), 너구리거미(Anahita fauna), 십자삼지거미(Orothobula crusifera), 땅접시거미(Doenitzius pruvus) 등이었다. 한편, 군집분석조사에서 우점도 보은(0.73), 음성(0.75), 선산(0.76), 고성(0.77) 등은 우점하는 제 1 종과 제 2 종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고, 종다양도 조사에서 어론(2.079)과 거제(2.168)가 타 지역에 비해 다수의 종들로 구성되었으며, 균등도지수가 모슬포지역의 경우 채집 종수와 개체수가 1 로 조사되었고, 풍부도는 거제(3.114)가 가장 높았다. In view of geographic distributional pattern, ground dwelling spiders in Korea are composed of three Palearctic species (Clubiona rostrata, Hahnia nava and Zora nemoralis), one Holarctic species (Pseudeuophrys erratica), one Oriental species (Harmochirus brachiatus) and remaining local or cosmopolitan species in our study. As a result of analysis of 12 distributional region, 40 species (250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nd predominant ones are Stemmops nipponicus, Itatsina praticola, Synagelides agoriformis, Anahita fauna, Orthobula crusifera and Doenitzius pruvus. In our analysis of spider community, dominance was high in Boeun (0.73), Eumseong (0.75), Seonsan (0.76) and Goseong (0.77) and species diversity was high in the region of Eoron (2.079) and Geoje (2.168). Evenness value was 1 in Moseulpo and richness was the highest in Geoje (3.114).

      • 韓國産 地表性 거미類(Ground Dwelling Spiders)의 目錄

        이영보(Lee Young-Bo),유정선(Jung-Sun Yoo),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03 한국거미 Vol.19 No.2

        본 연구는 제주도를 포함한 한국의 55개 지역의 산림생태계에 서식하는 한국산 지표성 거미류를 채집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동정한 결과 한국산 미기록 낙엽층접시거미(Micrargus herbigradus(Blackwall, 1854)) 1종을 포함하여 총 21과 57속 68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on the ground dwelling spiders in South Korea, based on material of 1,015 individuals collected in 55 sites during the period of 2001-2002, 68 species belonging to 57 genera of 21 famili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8 species are endemic and one linyphiid spider, Micrargus herbigradus (Blackwall, 1854) is new to Korea. Linyphiidae show the highest diversity with 19 species, and Theridiidae. And Salticidae are considered to the dominant families.

      • 지표성 거미의 분류군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영보(Lee Young-Bo),유정선(Jung-Sun Yoo),정종우(Jongwoo Jung),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05 한국거미 Vol.21 No.1

        우리나라 산림생태계 내 55 개 지역에 대한 지표성 거미의 연구 결과 종명이 확정된 분류군은 총 21 과 58 속 69 종이었다. 토양 샘플링을 통해 동정된 분류군을 과 수준에서 살펴보면, 접시거미과가 20 종, 꼬마거미과 12 종, 깡충거미과 10 종, 늑대거미과 4 종, 수리거미과와 밭고랑거미과가 각각 3 종이었으며, 그 외의 분류군은 각각 1 종씩 조사되었다. 따라서 주요 우세과는 접시거미과, 꼬마거미과, 깡충거미과 등으로 전체 채집 종수의 62.7%를 차지하였다. 산림생태계 내 유체를 포함한 지표성거미의 유체와 성체의 동정결과 전체 채집 개체 수 3,913 개체 중 유체가 3,090 개체로(79%), 암수 모두 교접 기관 및 생식기관이 분명하게 발달된 성체 823 개체 (21%)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종명까지 확인 동정된 개체 중 우점종은 먹눈꼬마거미(Stemmops nipponicus)로 전체의 채집 개체수의 23.3%를 차지하였고, 그 외의 종 수준에서 높은 밀도를 갖는 주요 우점종으로는 십자삼지거미(Orthobula crusifera) 13.0%, 어리개미거미(Synagelides agoriformis) 11.2% 등이었고, 뿔꼬마접시거미(Nippononeta projecta) 6.3%, 땅접시거미(Doenitzius pruvus) 5.9%, 길좁쌀접시거미(Microneta viaria) 5.8% 등은 주요 종으로 조사되었다. 과 수준에서 볼 때 정주성거미 총 10 과 41 종 접시거미과(20 종), 꼬마거미과(12 종) 등 2 개 과가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나머지 과에서는 각각 1 또는 2 종씩 조사되었다. 한편, 배회성거미는 총 11 과 28 종 중 깡충거미과가 10 종으로 37.0%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의 주요 과로는 늑대거미과(4 종), 수리거미과·밭고랑거미과(3 종) 등 이었으며, 나머지 과에서는 각각 1 종씩 조사되었다. As a result of study on ground dwelling spiders in Korea, we identified 69 species of spiders which belong to 58 genera and 21 families. From the point of familial category, they are composed of 20 sp. of linyphiid, 12 sp. of theridiid, 10 sp. of salticid, 4 sp. of lycosid, 3 sp. of gnaphosid and liocranid respectively and one species of other families. Consequently, major predominant species are linyphiid, theridiid and salticid, which form 62.7% of total species collected. Juveniles (79%) appeared obviously more frequent than adults (21%) in individual number. Dominant species among identified ones was Stemmops nipponicus (23.3%) and the following species were Orthobula crusifera (13.0%), Synagelides agoriformis (11.2%), Nippononeta projecta (6.3%), Doenitzius pruvus (5.9%), and Microneta viaria (5.8%).

      • 일본납작진딧물(Ceratovacuna japonica)의 야외 생태특성 조사

        이영보 ( Young Bo Lee ),윤형주 ( Hyung Joo Yoon ),이경용 ( Kyeong Yong Lee ),김남정 ( Nam Jung Kim ) 한국잠사학회 201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2 No.2

        We carried out an ecological survey for Ceratovacuna japonica, which lives in bamboos,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and the several natural fields in Korea from 2010 to 2011. The releasing methods of C. japonica on Pseudosasa japonica was more effective at the brushing-off method than the pining- attached method. The successful rate of releasing was the highest at green house than others such as at outdoor, vinyl green house and in a insects net conditions. The survival limit of C. japonic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owest temperature (-10oC) of vegetative limit of P. japonica for over wintering because of two fields of Ilsan lake park and Guri ecological park showed falling down below -15oC two times in January. It provides for a reasonabl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C. japonica that is restricted to south of Han River. However, the middle of Korea has rarely fallen down below -10oC. Therefore, we consider that a successful rearing of C. japonica may be the most suitable in green house condition to overcome winter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