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품 중 국가공정 잔류농약 분석법의 실무 이론

        이영득 한국환경농학회 2010 한국환경농학회 워크샵자료 Vol.2010 No.2

        본 발표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잔류농약 분석법의 기초 이론 및 실질적 기술을 식품공전 분석법을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즉 추출, 정제, 기기분석 및 재확인 과정에 대하여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이론 및 기술을 과정별로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향후 적용될 최신 분석기술 및 잔류농약 분석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형수도재배구중(小型水稻栽培區中) Carbofuran 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특성(殘留特性)

        이영득,박형만,박영선,박창규,Lee, Young-Deuk,Park, Hyung-Man,Park, Young-Sun,Park, Chang-Kyu 한국환경농학회 198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6 No.1

        수도재배환경중(水稻栽培環境中) carbofura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양상(殘留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소형수도재배구(小型水稻栽培區)를 이용(利用), carbofuran 입제(粒劑)를 2수준(水準)으로 살포(撒布)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질(水質), 수도체(水稻體),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면살포(水面撒布)한 carbofuran 입제(粒劑)는 빠른 속도(速度)로 용출(溶出)되어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일이내(日以內)에 최고치(最高値)에도 달하였다. 용출(溶出)된 carbofuran은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어 처리(處理) 1∼3일(日) 후(後)에 최고치(最高値)에 도달하였으며 그 이후(以後) 완만한 감소(減少) 경향(傾向)을 보였다.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의 반감기(半減期)는 4일(日)이었고 토양중(土壤中)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처리수준(處理水準)에 따라 8∼12일(日)이었다. 수확물중(收穫物中) carbofuran 잔류량(殘留量)은 현미(玄米)의 경우 0.01∼0.02ppm이었으며 볏짚에서는 0.37∼0.07ppm의 범위(範圍)였다. A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arbofuran in a miniature paddy agrosystem simulated for paddy field. Carbofuran applied onto the paddy water was rapidly absorbed and translocated into rice plants. Carbofuran concentration in rice plant reached its maximum level between 1 to 3 days after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Half life of carbofuran concentration in paddy water was 4 days in both application rates of 0.12 and 0.24Kg a.i./10a. Carbofuran residue in paddy soil was gradually dissipated with the half life of 8 and 12 days in 0.12 and 0.24㎏ a.i./l0a respectively. Range of carbofuran residue in brown rice and rice straw harvested from the paddy agrosystem was 0.01∼0.02 ppm and 0.37∼0.57 ppm irrespective of the two application rates respectively.

      • KCI등재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14}C$-Carbofuran의 행적(行跡)에 관한 연구(硏究)

        이영득,이경휘,박창규,Lee, Young-Deuk,Lee, Kyung-Hwi,Park, Chang-Kyu 한국환경농학회 198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6 No.1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carbofuran의 행적(行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표면(土壤表面)에 $3-^{14}C-carbofuran$을 처리(處理)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도체(水稻體)로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양상(代謝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토양표면(土壤表面)에 처리(處理)한 carbofuran은 근부(根部)를 통(通)하여 수도체내(水稻體內)로 신속히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었으며 처리(處理) 후(後) 2일이내(以內)에 엽선단(葉先端)에 도달하고 축적(蓄積)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약제처리(藥劑處理) 20日 후(後)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된 방사능(放射能) 총(總) 처리방사능(處理放射能)20%이상(以上)었다. 수도체중(水稻體中)arbofuran의 주요(主要) 대사산물(代謝産物)은 3-hydroxycarbofuran이었고, 3-ketocarbofuran 및 3종(種)의 phenol성(性) 대사물(代謝物)이 검출(檢出)되었다. 수용성(水溶性) conjugates의 대부분(大部分)은 glycoside결합형태(結合形態)이었으며 주요 aglycon은 3-hydroxycarbofuran이었다. 토양중(土壤中) 방사능(放射能)은 처리(處理) 3日 후(後)까지는 빠른 속도(速度)로 감소(減少)하였으나 그 이후(以後) 거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보였다. 비추출성(非抽出性) 방사능(放射能)은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 처리(處理) 20일(日) 후(後) 총(總) 처리(處理) 방사능(放射能)의 50%이상(以上)을 차지하였으며 유기물(有機物) 분획별(分劃別) 분포(分布)는 humin>fulvic acid>humic acid 순(順)이었다. B두캐력무 ring의 개열반응(開裂反應)에 의한 $^{14}CO_2$방출(放出)은 처리(處理) 후(後) 20일(日)까지 1.8%로 미미한 수준(水準)을 나타내었다. A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of carbofuran in rice paddies. Ring-3-$^{14}C-carbofuran$ applied onto the paddy soil surface was rapidly absorbed and translocated into rice plants. Within 2 days after treatment, it was observed that carbofuran reached shoot tips and accumulated. More than 15% of total radioactivity was recovered in rice plant from 3 to 20 days after treatment. In organic soluble fraction of rice plant extract, 3-hydroxycarbofuran was the major metabolite recording 43% and 4% of total organic soluble radioactivity in shoot and root at 20 days respectively. 3-Ketocarbofuran and phenolic metabolites including carbofuran phenol, 3-hydroxycarbofuran phenol and 3-ketocarbofuran phenol were also detected in the organic soluble fractions. Some glycosidic conjugates of carbofuran metabolites were found in water soluble fraction of rice plant extract and 3-hydroxycarbofuran was the most abundant aglycone. Radioactivity in paddy soil was rapidly decreased until 3 days after treatment and then maintained almost constant level. A significant portion (42∼56 %) of the total radioactivity remained in soil as nonextractable residue from 5 to 20 days after treatment. The nonextractable radioactivity was mainly located in soil organic matter distributing in humin, fulvic acid and humic acid fractions with the decreasing order. Evolution of $^{14}CO_2$ from ring cleavage of $3-^{14}C-carbofuran$ was negligible recording only 1.8% of total radioactivity during 20 days after treatment.

      • 초청강연 1 : 농산물 중 잔류농약 허용기준 설정 및 분석법 체계

        이영득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최근 안전한 농산물을 섭취하는 것은 국민들 사이에서 건강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림부 및 식약처 등 정부기관에서도 안전한 먹거리 공급을 주요 국정목표 중 하 나로 설정하고 있다. 농산물 재배과정에서 작물 보호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농약은 정도 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필연적으로 수확물 중에 일부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농약은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잔류농약에 대한 관리 및 규제가 계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현재 농산물 및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확보 에 대한 가장 중요하면서도 실용적인 관리 체계는 잔류허용기준 (MRL)의 설정 및 운용이다. 먼저 작물 재배과정에서 농약을 사용을 하였을 경우, 수확물 중에 잔존하는 잔류농약에 의한 만 성독성학적 위해성 (risk)은 농약 자체의 만성독성 (chronic toxicity)과 노출량 (exposure)의 곱으로 표시된다. 만성독성은 실험동물에 대한 최대무작용량을 안전계수로 보정, 인간에 대하여 적용한 일일섭취허용량 (ADI)의 역수로 표시된다. 노출량은 식품 중 잔류농도에 식품 섭취량의 곱으로 표시되며 이 수치가 ADI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안전성 확보의 관건이다. ADI는 농약 고 유의 독성이므로 그 수치는 일정하다. 또한 노출량 항목 중 식품 섭취량도 거의 일정한 수준이므로 관리가 가능한 부분은 식품 중 잔류 수준에 한정된다. 농산물 중 잔류 수준의 실질적 관리는 농약 및 농산물별로 MRL을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정상적 경작조건에서 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사용은 허용하되 오남용을 방지하도록 수확물 중 잔류 수준의 상한선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농약 사용이 허가된 작물의 각 MRL에 농산물별 섭취량을 곱하여 합산한 이론적 최대섭취허용량 (TMDI)이 잔류농약의 섭취경로를 감안, ADI의 80%를 초과하지 않도록 농약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위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MRL 설정은 정상적 경작 형태 (GAP)에서 최대 농약 살포 조건으로 수행한 잔류성 시험 (supervised trial)의 실험적 결과와 통계학적 평가에 근거한다. 즉, 각 잔류성 시험으로부터 수확물 중 평균 잔류량을 실험적으로 얻고, 다수 잔류성 시험결과의 변이성을 통계학적으로 평가하여 상 위 95% 수준에서 설정한다. 통계학적 처리 방법 및 그에 요구되는 작물잔류성 시험 수는 국가 및 국제기관별로 상이하나 최근 OECD에서 제안한 MRL 설정법으로 통합되는 추세이다. 작물잔류성 시험에는 GAP에 근거한 표준적 포장시험과 더불어 신뢰성이 확보된 잔류분석 체계 가 요구된다. 잔류농약 분석법은 그 분석 목적 및 1회당 분석성분 수에 따라 다성분 동시분석법 (multiresidue method, MRM)과 개별 분석법 (individual method)으로 대별된다. MRM의 경우 분 석조작 1회당 검사가 가능한 농약수가 수십 가지 이상으로 분석효율은 매우 높으나 각각의 성분에 대한 분석의 정밀도나 신뢰성은 다소 열등한 단점이 있다. 즉 다성분 동시분석법에서는 대상성분 들을 물리화학적 특성범위별로 그룹핑하고 그룹별로 시료 추출, 정제 및 기기분석과정에 의하여 시료분석을 수행하므로 1개 분석 대상성분마다 최적의 분석법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 서 각 대상성분에 대하여 최적화된 시료 조제 및 기기분석조건이 적용되는 개별 분석법에 비하여 분석 감도, 정밀성 및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MRM은 적정한 분석기준을 만족하면서 분석효율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며 주로 잔류농약검색용 (screening) 목적에 적합하다. 개별 분석법은 개별 농약성분별로 최적화시킨 분석법으로 MR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분석의 효 율은 낮으나 최고의 분석 감도, 정밀성 및 신뢰도가 보장된다. 따라서 어떠한 시료의 다성분 검색 결과 검출된 의심성분을 보다 정확히 정성 및 정량하며, 특히 법적 및 행정적 목적으로 분석의 신뢰성이 요구될 때 이용된다. 또한 MRM에 포함시킬 수 없는 성분들에 대하여는 각각의 개별 분석 법 확립이 잔류관리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작물잔류성 시험에는 정확한 정량 및 재현성을 요구하므로 MRM 보다는 개별분석법을 적용하여 야 한다. 개별분석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분석법의 체계적 확립 및 실제 시료에 대한 분석법 검 증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하며 실제 포장 시료군의 분석 시마다 분석의 항상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추가의 회수율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농산물 중 잔류 농약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MRL 설정 체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MRL의 기본적 개념, 설정 이론과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국가/국제기관 별 평가법과 현재 국 제적으로 통합되고 있는 설정 체계를 소개함과 동시에 국내 설정 체계와의 비교 및 개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MRL의 설정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물잔류성 시험의 기본 요건 및 수행 과 잔류분석법의 확립, 검증 및 재현성 확보에 필요한 사항을 국제 기준과의 부합성과 연관하여 예시하고자 한다.

      • SCIEKCI등재

        Carbofuran 및 fenobucarb 를 예로 한 살충제 잔류연구 방향

        이영득 한국농화학회 199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4 No.2

        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농업환경중에 살포된 살충제의 잔류분은 약효와 위해유발가능성의 두가지 상반되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는 환경중에 투하되는 살충제 잔류분에 대한 전반적인 행동/행적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carbofuran과 fenobucarb를 대상으로 하여 약제특성을 감안, 약제 살포후 잔류분의 분포이동, 작물체 및 토양중 분해 및 대사, paddy agrosystem을 이용한 잔류성평가, 농산물중 잔류모니터링, 식품가공중의 잔류량 변화 등 일련의 행동/행적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표준적 살충제 잔류연구법과 연구결과 응용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