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림굿의 굿거리 형성 과정과 특징 -광주지역 강신무굿을 중심으로-

        이영금 ( Young Geum Lee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1 No.-

        이경화의 굿에서는 판소리뿐만 아니라 민요나 가요들이 많이 차용된다. 또한 그녀는 4박자의 곡조나 판소리 곡조에 자신이 직접 지은 가사를 창작하여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이경화 굿패의 내림굿에서는 <안당> 과정이 중복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무의식 연행자들은 자신이 모시고 있는 몸주신들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자신들이 맡은 굿거리 첫머리에서 각자의 몸주신을 청배하여 굿 내력을 아뢸 수밖에 없다고 한다. 무무는 대체로 여러 신들을 청배하거나 오신(娛神)할 때 연행되는데, 이경화의 무당굿에서는 세습무의 춤과 강신무의 춤이 혼재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경화와 이장단이 한 거리씩 맡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무의식을 진행하기 때문에, 전체 굿의 흐름이 조화롭지 못하다는 한계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세습무굿과 강신무굿의 부조화를 그나마 해소시켜주는 것이 악사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악사들은 장구·꽹과리·피리·대금·아쟁 등의 숙련된 연주와 구음·추임새·바라지창∼살대답 등으로 강신무굿과 세습무굿을 통합시켜 나가고 있다. The Lee, Kyeong Hwa’s ritual group was organized in combination of hereditary shamans, spiritualistic shamans and Buddhist priests but since the shamanistic rite covered in this study was the rite supervised by a spiritualistic shaman, Lee Kyeong Hee, the key performer of the rite must be the shaman, Lee Kyeong Hee. The shaman, Lee Kyeong Hwa presides over the processes of gutgeori for the spiritual God in her body and shamanistic rite in which the client of rite receives a spirit possession of the whole gutgeori. Since Lee, Kyeong Hwa believes that the spiritual rite is done well when she invites and worships the spiritual God in her body, she perceives that the rite for the spiritual God in her body is the most important gutgeori of the whole gutgeori. Sometimes, Lee Kyong Hwa puts a part of pansori in the shaman’s rite to sing pansori when she performs her rites. In <Hanryang Gut>, she appears in male attire of a hanryang(man about town) and sings ‘Gogocheonbeon’ as a part in the Jeokbyokga Song with a folding fan in her hand. In the riot by Lee, Kyeong Hwa, not only pansori but also many folksongs or popular songs are borrowed. Also, she sings often songs in quadruple tunes or pansori tunes with her own created lyrics. In the shamanistic rite in combination of hereditary shamans, spiritualistic shamans and Buddhist priests, it appears the phenomenon to show the overlapped process of <andang> repeatedly. Those performers of ritual ceremony have each different spiritual God in their body and it is said that they have no way but to inform the history of rite while inviting and worshipping their own spiritual God in the body in the beginning of gutgeori. Shaman’s dance is performed normally when shaman worships or praises many Gods and it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dances of hereditary shaman and spiritualistic shamanare mixed in the shaman dance by Lee, Kyeong Hwa. Since Lee, Kyeong Hwa and Lee, Jang Dan perform the shamanistic rite in different ways each other taking each one part, it shows the limit of which the whole flow of rite is disharmonious as well. It is considered that musicians play the role as the function to settle a little bit such disharmony between the rites by hereditary shaman and spiritualistic shaman. Musicians are integrating the hereditary’s rite and the spiritualistic shaman’s rite by their skilled performances of janggu, ggwenggari, piri, daegeum and ajaeng as well as gueum, chuimsae, batajichang and saldaedab.

      • KCI등재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이영금(Lee Yeong Geum)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91 No.-

        Korean shamanism, an organic integration with gods, human beings and nature closely bound, forms a world view. That is, it, not separating the relations between heaven and earth, man and woman, man and god, and man and nature by means of dichotomy, regards them as organic coexistence-relations. Furthermore, it looks upon mediumistic spirit as a key link to the whole creation, and that mediumistic spirit can be categorized into yang energy and yen energy. Heaven, man and human being belong to the former and earth, woman, god and nature the latter. In other words, these two energies lie in the organic relation where these two energies interact with each other very closely. They may conflict or concord with each other. When they conflict to break the balance, the shamanistic exorcism is needed to recovering their harmonious relation. Korean shamanism thinks of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as that of yen and yang along with emphasis of their harmony and balance. God and mand are considered to be yen and yang respectively. When yen and yang conflict to reach an incompatibility, the discord between man and god causes an inharmony. When the yen energy of god is powerful enough to suppress man's energy,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gets unbalanced. If yen energy is so strong that it stunts yang energy to generate the incompatibility, the yen energy of god becomes the energy of killing.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ause of killing energy lies not in the yen energy itself but in the feeling of anger which belongs to the yen energy. When any god happens to have the feeling of anger. it becomes the killing energy which causes human beings disasters. The way of healing by shamanistic exorcism is Shinmyungpuri. Originally god and man have healthy Shinmyung,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murkier due to god's grudge. Since it is caused from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Shinmyungpuri is applied to both god and man. That is, the yen energy of god gets murky enough to generate the killing energy and also the yang energy of man which has been suppressed by the killing energy, both god and man are trying to recover the intrinsic wholesome Shinmyung through Shinmyungpuri. Shinmyungpuri by shamanistic exorcism is the way to get rid of the grudge between man and god by the emotion of crying and laughing. The shamanistic exorcism employs a singing method and melody inducing cry and laugh, when god and man cry or laugh in the course of expressing their emotion of grudge which has been accumulated so that they may be healed. Through this ritual, god and man recover their wholesome shinmyung.

      • KCI등재

        법성포 단오제의 수륙재 수용 가능성

        이영금(Lee Younggeum)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7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무속 수륙재에 주목하여 전북지역 전씨무계의 수륙재 연행 사례 및 전금순의 제보를 바탕으로 수륙재의 성격, 수륙재의 분포지역, 연행 절차 등을 살펴본 뒤, 법성포 무계와 전씨 무계와의 상관성과 법성포 단오제에서의 무속 수륙재 수용 가능성 그리고 무속 수륙재의 복원 전략 등을 모색해보았다. 수륙재는 물이나 뭍에 떠도는 원혼들을 달래서 천도시키는 고을 단위의 마을 공동체굿이다. 다시 말해, 수륙재는 물과 뭍 즉 마을 곳곳에 있을 이러한 모든 원혼들을 해원시켜 마을의 재앙을 물리치고자 하는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수륙재가 연행되는 곳은 강 또는 강줄기가 있는 육지나 바다가 있는 해안지역이다. 바닷가에서 연행되는 수륙재에는 풍어와 안전을 비는 선주들의 참여가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륙재의 한 굿거리인 용왕굿이나 뱃굿이 육지지역의 수륙재보다 더욱 풍성하게 연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륙재는 총 18거리로 구성되어 연행되는데, 이들 굿거리 가운데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굿은 용왕굿ㆍ배연신굿(뱃굿)ㆍ씻김굿ㆍ중천멕이놀이다. 수륙재는 주로 바다라는 공간에서 연행되기 때문에, 어업을 생계 수단으로 삼고 있는 어민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용왕굿이나 뱃굿이 수륙재의 중요한 굿거리로 조직되었다고 하겠다. 또한 수륙재의 목적이 억울하게 죽은 영혼들을 천도시켜 마을의 재앙을 막고자 함에 있기 때문에 씻김굿과 중천멕이놀이도 매우 중요한 굿거리로 작용하고 있다. 법성포 단오제에서는 무주고혼(無主孤魂)을 위로하는 한제라는 의식을 새롭게 고안하여 제사를 올리고 있는데, 이러한 의식은 용왕굿의 성격과 일부분 중첩되어 있어 논란의 여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용왕굿과 한제의 성격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무속 수륙재를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무속 수륙재는 다양한 제의적 요소와 놀이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고 또 고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마을공동체굿이기 때문에, 지역 축제인 법성포 단오제에 가장 적합한 굿이라 할 수 있다. 무속 수륙재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무가 텍스트 정리 작업과 전금순 단골이 주재한 수륙재 시연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남지역 세습무들을 동원하여 전금순의 수륙재를 전수받게 해야 하고 악사와 무당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굿패가 형성되어야 하며, 무당굿을 연행할 때에는 반드시 열린 굿판이 마련해야 한다. 또한, 무속 수륙재의 핵심과정이자 놀이마당이라 할 수 있는 중천멕이놀이 과정을 강화시켜 지역 축제에 걸맞는 놀이판을 형성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hamanist custom, Suryukje, which has never been researched before. This research searched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Bupsungpo and Jun shaman lineage, and the accommodation possibility and restoration strategy for the shamanist custom Suryukje,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 region,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of Suryukje, based on the Suryukje examples of Jeonbuk Jun shaman lineage and the information on Jun Geumsoon. Suryukje is a ritual that overcomes the disasters of the town by relieving the vindictive spirits around the town. Suryukje is composed of 18 parts, and the main ones are Yongwang-gut, Bat-gut, Sitgim-gut, and Joongchunmeginori. Suryukje is mainly implemented near the sea and it reflects the needs of fishermen, thus the Yongwang-gut and Bat-gut are deemed important. Also, because the purpose of Suryukje is to prevent disasters from harming the town by delivering the wrongfully dead souls to after life, the Sitgim-gut and Joongchunmeginori also work as very important exorcisms. Shamanist custom Suryukje is a combination of various proposal and recreational elements. Also, because it is a town community exorcism that is implemented in Goeul units, the Bupsungpo Danoje, which is a regional festival, is the most adequate. In order to restore the shamanist custom Suryukje, firstly, the dancing and singing text needs to be organized, and the Suryukje trial performance needs to be implemented by a Jun Geumsoon Dangol. Also, the Jeonnam hereditary shamans need to be trained in the Jun Geumson Suryukje, and a Gutpae needs to be formed for the musician and shaman to collaborate well with each other. When the shaman exorcism is performed, an open gutpan needs to be provided. Also, the Joongchunmeginori, which is the core recreational part of Suryukje, needs to be strengthened to develope a Noripan that is right for a successful regional festival.

      • KCI등재

        오구 씨끔굿의 구조와 기능

        이영금(Lee Youngkeum)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씨끔굿은 대체로 궂은 굿이라 인식되기 때문에, 산 사람의 복을 기원하는 굿거리들이 약화되거나 축소되고 죽음 의례와 관련된 굿거리들은 크게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여러 씨끔굿 가운데 오구 씨끔굿의 경우에서는, 비록 이 굿이 죽음에 관한 의례라 하더라도, 산 사람의 재수를 보기 위한 굿거리들이 추가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궂은 굿이라고 인식되는 대부분의 씨끔굿에서는 죽음 의례와 관련된 굿의식에 더 비중을 두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칠성풀이나 제석풀이 등의 굿거리가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오구 씨끔굿에서는 칠성풀이나 제석풀이가 삽입되어 공연되는데, 그 이유는 오구 씨끔굿이 망자로 인한 집안의 우환에서 비롯된 굿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굿은 집안의 우환으로 작용하고 있는 망자를 조상신과 통합시켜, 망자로 하여금 조상신으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오구 씨끔굿이 집안에서 큰굿 형태로 공연될 경우에는, 가택신을 위한 굿은 크게 강화되고 칠성풀이와 제석굿 등도 삽입되어 굿의 구조도 복잡해지며 제의적 행위들도 다양하게 곁들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큰굿 형태로 공연된 전금순의 '오구 씨끔굿'을 분석 텍스트로 삼아 전북지역 씨끔굿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구 씨끔굿 각 '개별 굿거리' 단위들은 대체로 '청신-오신-축원-송신'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각 개별 굿거리에서는 해당 신들을 청배하여 음식·무악·무무(巫舞)·놀이 등으로 오신하고, 축원을 한 다음 개별 굿거리 말미에서 이들 신들을 배송한다. 둘째, 이러한 개별 굿거리 단위들이 모여 오구 씨끔굿의 전체 구조를 형성하는데, 전체 구조는 크게 전반부ㆍ중반부ㆍ후반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반부는 재가집의 재수를 보기 위한 굿거리들이 중심을 이루고, 중반부는 망자의 죽음 의례와 관련된 의식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후반부에서는 재가집의 액살 제거와 복을 기원하고 굿판을 마무리한다. 셋째, 오구 씨끔굿은 망자가 집안의 우환으로 작용할 때 집안의 우환을 제거할 목적으로 공연되기 때문에, 전체 굿 가운데 망자를 천도시키는 '오구 씨끔굿' 과정이 핵심 굿거리로 작동하고 있다. 넷째, 오구 씨끔굿은 대체로 산 사람들의 복락을 기원하는 굿거리들이 굿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 망자의 죽음 의례와 관련된 중반부 굿을 제외하면, 전반부의 굿이나 후반부의 굿은 대체로 산 사람의 액살 제거와 복락을 기원하는 굿거리들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망자의 죽음 의례와 관련된 '오구 씨끔굿' 과정도, 따지고 보면 산 사람들의 안녕을 도모하고 현세적 복락을 누리려는 목적으로 공연되는 굿이라 할 수 있다. When Ohgoo Ssikkeumgut is performed in form of large Gut in a household, the Gut for house-protecting Gods are intensified, Chilseongpoolee (interpretation of stars) and Jeseokgut are included as well, and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Gut becomes complicated and suggestive actions would be variously added. Therefore, this research took a look a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hgoo Ssikkeumgut of Jeonbuk area, by using 'Ohgoo Ssikkeumgut' as its analysis test that was performed in form of large Gut. The summarized content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Units of 'separate Gut' from Ohgoo Ssikkeumgut are generally in the structure of 'Cheongshin-Oshin-Chookwon(praying)-songshin(transmission). These units of separate Gut gather and form a total structure of Ohgoo Ssikkeumgut, the total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as the first part, mid part and latter part. Ohgoo Ssikkeumgut is performed in order to eliminate the trouble of a household when a deadman acts as trouble of a household, therefore among all Guts, the process of 'Ohgoo Ssikkeumgut' which transfer the deadmand to heaven, acts as the core gut. Ohgoo Ssikkeumgut is usually dominated by other Guts that pray for living people's happiness and welfare. Except the mid part Gut that's related with death ceremony of deadman, Gut of both first and latter part are usually consist of Gut that wish happiness and welfare of living people and also wish living people to stay away from bad lucks. Process of 'Ohgoo Ssikkeumgut' that's related with ceremony of deadman, could be interpreted as Gut that performed by purpose of praying happiness and welfare for living people otherwise. From now on, through the concrete structure analysis work of Moodang(sorceress) Gut from various regions, we expect that exclusive trait of Moodanggut and its value would be appealed.

      • KCI등재

        호남 세습무계의 횡단적 관계망과 그 문화적 영토의 종합성

        이영금(Lee, Young-Gum)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0

        한국 전통예술의 핵심 전승 세력은 재인 / 광대와 기생이라 할 수 있는데, 호남지역 예인들은 대체로 세습무 집단과 관련이 있다. 세습무(世襲巫) 집단이 전문 예능인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주요 토대는 신청(神廳)과 기생 조직이었다. 즉 세습무계 재인 / 광대들은 신청을 기반으로 예능활동을 펼쳤으며, 여자 무계들은 교방청(敎坊廳)ㆍ기생조합ㆍ권번과 같은 기생 조직을 기반으로 예능 활동을 펼쳤던 것이다. 특히 여자 무계들은 무부들이 개발하고 전승한 예능 상품들을 기생 조직을 통해 다양하게 전수받았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무부들의 기예는 대부분 무부(巫夫)들 간에만 전승되어 왔으나, 일제강점기가 되면 기생 조직에 몸을 담았던 여자 무계(巫系)들도 무부들의 기예를 전수받았던 것이다. 따라서 호남지역 세습무 집단은 한국의 전통예술을 전승한 핵심 예능 세력이라 할 수 있다. 세습무계 출신의 예인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 이외에도 무악을 비롯한 판소리ㆍ기악ㆍ춤 등의 다양한 예능을 두루 섭렵한 종합 예능인이었다. 세습무계 예인들이 종합 예능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은, 세습무 집단이 전승한 예능 상품들이 가(歌)ㆍ무(舞)ㆍ악(樂)의 총체성을 지향했기때문이었다. 무당굿은 노래ㆍ타악ㆍ기악ㆍ춤ㆍ무당굿놀이ㆍ재담(才談) 등이 융합된 총체 예술인데, 무당굿을 모태로 하여 태동된 예능 상품들에서도 이러한 총체적 특성이 그대로 나타난다. 이처럼 세습무 집단의 예능 상품들이 대체로 총체성을 지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예인들은 다양한 기예를 연마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세습무계 출신의 예인들은 한 종목의 전공자가 아니라 종합 예능인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The key forces inheriting Korean Traditional Arts are entertainers / clowns and kisaengs (Korean geishas) and most of them in Honam Ares are related to the groups of hereditary shamans. The principal foundations on which they could become professional entertainers were Sinchong and kisaeng-organizations. That is, the hereditary entertainers / clowns performed their shows on the basis of shrines while female shamans on the ground of such organizations as Gyobangcheong, kisaeng organization and Kwonbeon. In particular, female shamans inherited the entertainment products developed male shamans through the kisaeng organization. Until the ear of Chocun Dynasty, the accomplishments of male shamans had been passed down only to male shamans, bu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female shamans who committed themselves in the kisaeng organization could inherit the accomplishments of male shamans. Accordingly, the groups of hereditary shamans in Honam Area can be said to be the key entertaining forces which inherited the Korean traditional arts. The entertainers from the circle of hereditary shamans were equipped with the talents for Pansori (Korean one-person performed opera), musical instruments ans dance as well as their own fields to be multi-functional entertainers. The reason that they could have the nature of multi-functional entertainments was that those entertaining products passed down to the hereditary shamans were oriented toward the totality of dance, song and musical instrument. The Shamanistic Ritual (Gut) is a sort of composite arts with song, percussion, instrumental music, dance, shamanistic ritual and punning. Those entertaining products originating from shamanistic ritual shows the features of this kind of composite arts. Like this, as the entertaining products of those hereditary shamans were oriented toward that totality, those entertainers seem to have practiced various kinds of accomplishments. As a result, the entertainers from hereditary shamans need to be acknowledged as multi-functional entertainers not just specialists with only one kind of art.

      • KCI등재

        위도 띠뱃놀이의 연행 구조와 제의적 특징

        이영금(Lee Younggeum),김세인(Kim Saein) 한국무속학회 2009 한국무속학 Vol.0 No.18

        위도 띠뱃놀이는 원당제ㆍ작은 당제ㆍ주산돌기ㆍ용왕제ㆍ도제 등이 복합되어 있는 마을 공동체굿이다. 위도 띠뱃놀이는 대리 마을을 한 중앙에 놓고 대리 마을의 서쪽, 동쪽, 북쪽, 남쪽 지역을 오고 가며 산과 마을 그리고 바닷가나 바다에 깃든 마을 공동체 신격을 대접하고 마을의 풍어와 제액소멸을 기원하는 공동체 제의라 하겠다. 위도 띠뱃놀이의 구조는 공간에 따라 상당제ㆍ중당제ㆍ하당제로 설명될 수 있다. 상당제는 당젯봉이나 도젯봉과 같은 산에서 연행되고, 중당제는 대리 마을 사람들의 거주 공간에서 연행되며, 하당제는 마을 사람들의 생업 터인 바다나 바닷가에서 연행된다. 상당제가 금기에 엄격히 매여 있고 일상의 공간에서 제의 공간으로 대리마을이 변화하는 분리 의례적 성격이 강하다면, 중당제는 그러한 토대 위에서 제의효과를 전 지역으로 확산하는 전이 의례적 성격이 강할 수 있겠고, 하당제는 원당에서 맞이한 배서낭을 선주의 배에 모셔놓고 용왕굿을 연행한다는 점에서 통합 의례적 성격이 강한 제의라 하겠다. 위도 띠뱃놀이의 가장 핵심 제의 단위인 원당제와 용왕제는 서로 연속적 관계에 놓여 있는 제의이다. 원당제가 서낭을 맞이하는 의식이라 한다면, 용왕제는 풍어 기원을 본격화하는 의식인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산꼭대기 당집에 안치되어 있는 서낭을 뱃기/서낭대로 맞이하여 모셔오게 한 뒤 용왕님까지 청배하여 풍어 기원을 좀 더 구체화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위도 띠뱃놀이는 풍어 기원적 성격이 강한 제의지만, 액을 막아 무탈하고자 하는 제의 단위들이 다분히 내포되어 있다. 특히 바닷가나 바다에서 연행되는 유왕굿, 줄밥 뿌리기, 띠배 띄우기에서는 무탈을 기원하는 액막이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액막이 의식이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 과정은 역시 ‘띠배 띄우기’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마을의 모든 재액을 물리치기 위한 상징물, 즉 다섯 개의 제웅을 만들어놓고 액을 물리치는 과정을 구체적이면서도 가시적으로 연출해낸다. The ttbaennori in Wido is the communal maeul-gut mixed the complex processes of performance. The processes are classified with Won-dangje, Jageun-dangje, Jusandolgi, Yongwangje, Doje, and so on. This study organized the process of performance in Wido-ttbaennori and examined the features of ritural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The process of performance in Wido-ttbaennori are structured as Sang-dangje, Jung-dangje, and Ha-dangje. Sang-dangje is composed of those are Won-dangje, Jageun-dangje, and Doje. Jung-dangje consists Dangsanje, Jusandolgi, and so on. And Ha-dangje is made up Yongwangje and Ttbaettiugi. Wido-ttbaennori is the ritual of a rich haul. However, it consists many ritual processes keep off evil fortune. Especially, such a ttbaettiugi as a performance process has a strong sense of features to avert evils.

      • KCI등재
      • KCI등재

        전북지역 세습무의 삶과 무업

        이영금(Lee Young-Keum)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2

        본 연구는 현재 전북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아 무업을 실행하고 있는 전북 정읍지역 단골 전금순의 무계와 굿 절차를 구체적인 ‘민족지(ethnography)’로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금순의 계보를 추적해본 결과 전북 정읍지역의 주요 단골들 및 민속 예능인들 상당수가 전금순의 친정 무계(巫系)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도농악의 중심 역할을 했던 전이섭ㆍ전사섭ㆍ전사종은 물론이고, 무용ㆍ대금ㆍ정악ㆍ양금ㆍ가야금ㆍ거문고 등에서 당대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던 전계문, 단소 산조의 창시자이며 정읍을 중심으로 한 ‘향제 풍류’의 중시조라고 할 수 있는 전추산, 판소리 5명창 중의 한 사람이었던 전도성 등은 모두 이 전씨 단골 집안 출신이었다. 이들은 굿판에서는 악사로 활동하면서도 굿판을 일탈하지 않은 채로 무속과는 다른 민속 예술을 창안하고 세련화시키는 작업을 병행해왔다. 이와 같은 사실로 본다면, 정읍 전씨 무계의 굿은 이 무계 출신 공연자들의 뛰어난 기량으로 인하여 더욱 더 훌륭한 굿으로 가다듬어지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로부터 호남지역의 주요 민속예능의 큰 줄기가 형성되었음이 확인된다. 전금순 씨끔굿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씨끔굿 전체 과정을 전반부ㆍ중반부ㆍ후반부로 나누어볼 때, 전반부에서는 굿판을 정화하는 부정풀이, 가택신을 위한 안당굿, 굿판에 초대된 여러 신들을 위한 굿 등이 공연된다. 중반부에서는 씨끔굿의 핵심 거리라 할 수 있는 망자굿이 공연된다. 후반부에서는 굿판에 정식으로 초대되지 않은 중천 손님들을 위한 중천멕이, 거리중천을 위한 중천풀이 및 퇴송굿 등이 공연된다. 각각의 개별 굿거리들은 그 나름의 여러 부속 거리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개별 굿거리는 모두 ‘청신-오신-축원-송신’ 구조를 이루고 있다. 둘째, 전금순의 세습무 복색/의상을 통해서 우리는 이 지역의 세습무 복색에도 소복(素服) 계통 뿐만 아니라 색옷 계통의 신복/‘신입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전금순의 굿에서는 기본적인 복색인 흰옷 한복 이외에도 색옷의 무복을 입고 몇 가지 특색 있는 의상과 분장을 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셋째, 각 굿거리의 서두에는 단골 전금순이 모시는 제반 신령들에게 기원하는 기원 무가가 들어간다는 점도 새로 밝혀진 이 지역 무당굿의 특징이다. 전금순은 굿을할 때, 각 거리의 서두에서 자신이 모시고 있는 제반 신령들을 청배하여 굿하는 장소와 굿 하는 사람의 성명, 굿의 목적 등을 아뢰고, 제가집의 소원이 잘 이루어지도록 기원한다. 넷째, 서사무가가 매우 발달되어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이 굿에서는 칠성풀이ㆍ장자풀이ㆍ제석풀이ㆍ바리데기 등 무려 네 편이나 되는 서사무가가 구송된다. 다섯째, 전금순의 씨끔굿에서는 ‘고풀이’ 의식이 매우 확장ㆍ강화되어 있다. 전남지역 단골의 씨끔굿에서는 고풀이가 망자의 한을 풀어주는 대목에서만 공연되고 있는데 비해, 전금순의 씨끔굿에서는 망자를 위한 ‘씨끔’과정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굿거리마다 고풀이 의식이 공연되고 있다. 여섯째, 무극(巫劇)이 상당히 발달해 있다는 점이다. 중천멕이에서는 5~6명의 무녀들이 참여하여 연극적인 놀이를 공연하는데, 이때 무당은 해산중천ㆍ피부중천ㆍ봉사중천 등의 역할을 차례로 분장하고 나와, 악사들과 재담을 주고받으며 희극적인 행동들을 펼쳐나간다. 이 연구는 제보자 전금순의 삶과 무업에 관한 일차적인 민족지 정리 작업이다. 이러한 민족지적 연구 자료에 대한 좀 더 본격적인 분석과 해석은 앞으로 이어지는 후속작업에서 수행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the shamanist custom genealogy of Jeon Geumsun(as a only Jeonbuk Jeongeup area’s regular shaman ) and procedure of gut into specific ‘ethnography’. As a result of tracing Jeon Geumsun’s lineage,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most of Jeonbuk ethnic artistes and Jeon Geumsun’s family. On this, the gut is getting more and more great by performer’s distinguished skill. On the other hand, it makes sure that main ethnic accomplishments in Honam area were bulit up from this. It examines carefully the features of Jeon Geumsun’s ssikkeumgut as follows. 1) It can be divided whole course of ssikkeumgut into front-part, mid-part, latter-part. 2) Through Jeon Geumsun’s hereditary shaman’s attire, we can know that there are colorful-hereditary shaman’s attire as ewll as white color in this area. 3) In the beginning of each gutgeori, here comes song of shaman to pray for gods. 4) The best feature is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song. 5) The ‘gopuri’ rite is very expanded and reinforced. 6) The shamanic drama is developed very well.

      • KCI등재
      • KCI등재

        세습무 굿의 신명풀이 미학

        이영금(Lee, Yeong Geum)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1

        무속은 인간·자연·동물 등의 유형의 존재와 신인 무형의 존재가 하나의 망(Web)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유기적 통합관을 형성하고 있다. 무속은 서구의 지배 이념처럼 이분법적으로 분리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신?인간?자연이 한 몸통을 이룬다는 통합적 사유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영혼에는 ‘신성한 기운’인 ‘신기(神氣)’가 내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신기는 생명 활동을 가능케 하는 주요 에너지체로 작용한다. 즉 신기는 각 존재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소통케 하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하는 것이다. 인간 · 자연 · 동물 등과 같은 유형의 존재들은 신기를 매개로 서로 긴밀히 소통할 수 있으며, 신과 같은 무형의 존재들과도 소통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신기는 ‘생기(生氣)’와 ‘살기(殺氣)’의 두 가지 속성을 지니고 있다. 생기는 각 존재들이 본래 지니고 있던 원초적 신기로, 자신과 남을 살리는 상생의 기운 즉 맑고 건강한 에너지체이고, 살기는 자신과 남을 해치는 상극의 기운 즉 탁하고 건강치 못한 에너지체이다. 각 존재들이 생기를 지니게 되면 소통이 원활해지고 서로에게 복을 주는 상생의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각 존재들 간에 살기가 발생하면 소통이 막혀 서로에게 살/탈을 주는 상극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무당굿은 무가 · 춤 · 장단 · 놀이 등 다양한 양식들이 혼재되어 있는 종합 연행물인데, 각 양식들은 대체로 ‘신명풀이’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되고 있다. 신명(神明)은 밝은 신기로, 각 존재들이 본래 지니고 있던 생기라고 할 수 있다. ‘신명’과 ‘풀이’의 합성어에는 억눌려 있는 각 존재들의 신기를 풀어서 밝은 신기로 전환시켜준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따라서 무당굿의 신명풀이는 맺힌 원한의 감정 즉 살(殺)을 풀어서 생기(生氣) 있는 본래의 신기/신명을 되찾아주는 치유 방식이라 하겠다. 무당굿은 제의적 요소와 놀이적 요소가 혼재된 연행물이기 때문에, 무당굿에는 재미를 유발시키는 예술적인 요소들이 많이 함축되어 있다. 특히 비극적 인물의 서사를 다룬 서사무가에서는 울음을 자극하는 비장미가 강하게 연출된다. 청관중은 이런 비극적 서사를 통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억눌린 감정들을 씻어내게 된다. 또한 무당굿은 풍자와 해학 그리고 놀이 장치를 통한 희극미를 연출해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성한 제석신을 희화화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고, 중천신/잡신의 신체적 특징들을 우스꽝스러운 몸짓으로 흉내내기도 하는 것이다. 울음과 웃음을 유발하는 비극적 · 희극적 장치들을 통해 신을 비롯한 청관중은 억눌린 감정을 풀고 신명을 회복하게 된다. Shamanism forms an organic integration view that tangible beings such as man, nature and animal are linked to the intangible existences of gods through one Web. Accordingly, it is not considered to be separated by dichotomy as in the western ruling ideology but to have an integrated reason that god, man and nature are a body. In soul inheres a shamanistic spirit, which serves as key energy enabling vital activities. That is, this shamanistic spirit, building relationships with each existence, acts as a key medium for communication. By the medium of shamanistic spirit, such tangible existences as man, nature and animal can communicate with intangible beings as well as with one another. The shamanistic spirit has both properties of vital spirit and murderous spirit. The former, a primitive shamanistic spirit which has been inherent in each existence, is a coexistence energy saving one’s own self and others, in another words, a clean and healthy spiritual body, while the latter is an incompatible spirit or a turbid and unhealthy one. When any being comes to have the vital spirit, the communication will be smoother to form a coexistence relationship which will bring luck one another. However, when a murderous spirit is generated among existences, the communication will be tougher to form a incompatible relationship causing death and trouble to one another. Shaman’s exorcism is a general entertaining performance where such various patterns as shamanistic songs, dances, beats and games, and each pattern is usually focused on Shinmyoungpuri. Shinmyoung is a bright spirit,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vital spirit originally owned by each existence. The compound word with “Shinmyoung” and “Puri” mixed has a connotative meaning that the shamanistic spirit of each being is soothed to be changed into a bright shamanistic spirit. Therefore, the Shinmyoungpuri of shaman’s exorcism can be said to be a healing way to get rid of murderous spirit, feeling of resentment, to return the original shamanistic spirit/shinmyoung which is of vital energy. Since Shaman’s exorcism is a performance with ritual and entertaining elements mixed, it includes artistic elements inducing fun. In particular, Seosamuga, where a tragic character’s life is narrated, intensively produces the tragic aesthetics. The audience experiences a catharsis through the tragic narration to wash off their suppressed feelings. In addition, the shaman’s exorcism applies satire, humor and play apparatus to produce comic aesthetics. For example, the holy Jaesuk Spirit becomes an object for caricature or the physical features of Jungcheon Spirit/evil spirits are mimicked with funny gestures. Thanks to the tragic and comic elements inducing tears and laughs, the audience as well as spirits can get rid of their suppressed feelings and recover their exhil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