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 사학(韓國思想 史學) : 독일 세창양행과 구한말 조선의 근대화 현실

        이영관 ( Young Gwa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1876년 강화도조약 이전까지 조선은 유교적 이념에 바탕을 둔 농업중심의 자립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조선은 교역을 국가의 중요한 업무로 여기지 않았고, 반드시 필요한 정부의 역할이라고도 보지 않았다. 국내에서도 유교적 관념에 의해 조정의 관리 하에 정치적, 사회적으로 엄격하게 상업 활동을 통제하고 있었다. 조선은 근대적 경제 개념조차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치적, 외교적 고려에 의해 준비 없이 타의에 의해 문호를 개방했고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조선의 유교적 농경 자립 경제체제는 급속한 속도로 서구화되던 19세기 말의 국제적 경쟁에 참여하기는 부적절한 상태였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던 시장에서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개항 이후에도 경제체제를 적절하게 개혁하거나 서구적 교역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지원에 소극적인 자세를 유지했다. 이는 정신적으로 건국 이후 이어온 조공관계의 틀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구적 체계로의 문호개방은 조선이 지금껏 경험했던 정치적 의미가 아니라 경제적 의미가 더 크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했던 것이 조선을 총체적 의기로 이끄는 시발점이 되었다. 이렇듯 조선은 19세기 말 국제정세에 참여해 살아남을 수 있는 기반이 물질적으로는 물론 정치적, 정신적으로도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 1883년 조독조약과 함께 세창양행은 조선에서 가장 활동적인 서양 회사 중 하나가 되었다. 초기에는 묄렌도르프가 세창양행을 근대화 작업에 착수한 조선 조정과 계약을 맺게 해 초기 상업적 발판을 견고히 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후로 세창양행은 조선 조정과 상인들에게 차관 및 대출도 제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갔다. 세창양행이 저돌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려 할 때 독일 총영사관은 외교 통로를 이용해 청과 일본으로부터 이 회사의 이익을 보호해 주었다. 세창양행을 통해 조선은 서구의 경제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었고 좋은 후발주자 모델로 삼을 수도 있었다.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조약으로 조선은 동양적 조공관계에서 벗어나 서양의 체제를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에 들어섰다. 1882년 미국과의 제물포조약과 뒤이은 영국, 독일과의 조약관계 수립은 조선은 더 이상 서구적 체제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청과 일본의 야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독일은 세창양행을 통해 조선에게 대안을 제공하고 새로운 체제로서의 전환을 배울 기회로 삼을 수 있었다. 그러나 재정적 궁핍, 무능한 국가 관리체계와 지도자들로 인해 위기를 극복해 기회로 삼는데 실패했다. Joseon dynasty remained as a self-sufficient agricultural state with Confucian ideology before the Treaty of Kanghwado in 1876. It did not consider trade as an important task of the government. Internally, Joseon controlled business activities as tight as possible under the concept of Confucianism. Joseon opened the door because of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consideration without understanding modern economic system with pressure, therefore, she fail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impacts of the future. Joseon was not ready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became a victim of the market economy ruled by imperialism. However, Josern failed to reform its economic structure while passively reacted to set up a trade system. It was not easy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tributary system. Joseon failed to understand that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late 19th century not only political consideration was important, but economic concerns were crucial, too. It was one of the fundamental reasons why Joseon ceased to disappear. Joseon was not ready to face the challenge physically, politically and psychologically. Heinrich Constantin Edward Meyer & Company of Germany was one of the most active Western companies in Korea. With its aggressive business strategy and the assistance of Geroge von Mollendorff, a high official German in Joseon court, the company established successful business platform in Korea. It engaged in many government projects as well as loan business. Joseon could learn from the company as a model for adopting modern system since Germany was one of the latest comers as a unified modern state. Instead, Joseon failed to reform the system and collapse because of th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s well as the incompetent government system and leader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성리학에 대한 호머 헐버트의 견해

        이영관 ( Young Gwa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는 1885년 육영공원 교수로 한국에 첫발을 디뎠다. 한국에 채류하는 동안 그리고 미국에 돌아가서도 헐버트는 한국인에 대한 사랑과 한국 독립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지속했다. 그는 한국의 미래를 위해 한글사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한다고 믿었고 한국의 독립과 근대화를 위해 기독교를 바탕으로 근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있었다. 그는 한국의 현실은 유교를 바탕으로 권력을 장악한 사대부와 관료들에 의해 초래되었다고 믿었다. 결국 헐버트는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조선은 개혁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대다수 민중들을 개화시켜야 한국의 미래가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헐버트의 이런 가치관이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보기 위해 1905년 최초로 발간된 그의 History of Korea를 분석해 서양인의 눈에 비친 성리학 왕국인 조선에 대한 분석을 한다. 특히 성리학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중앙집권화에 성공한 조선의 모습을 가장 성공적인 2명의 왕인 세종대왕과 영조를 통해 헐버트의 관점을 분석한다. 세종대왕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가장 성공적인 개혁을 완성했고 제도적 개혁을 추진해 명실상부한 중앙집권을 완성했다. 동시에 한글창제를 통해 한국적 아이덴티티를 제공한 인물이기도 하다. 영조 역시 다양한 개혁을 통해 전쟁으로 피폐한 조선을 재건한 왕이다. 헐버트 역시 자신의 책에서 세종과 영조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한글 창제에 대해서는 대단히 높은 평가를 하고 있다. 영조 의 사회개혁에도 깊은 감명을 받은 느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유교에 대한 편견은 이 두 와의 업적을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조선의 시스템에 두지 않고 두 뛰어난 개인의 능력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서양인이 바라 본 한국사는 어떤 시각을 갖고 있는지를 제시한다. 물론 헐버트 역시 진실한 기독교인이며 서양의 시각을 가진 사람이지만 이런 다양한 시각에 대한 연구와 이해는 한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보다 객관적 역사관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헐버트의 저작을 통해 본 세종과 영조는 우리에게 한국의 역사를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연구이고 그의 책은 여전히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남게 될 것이다. Hulbert’s History of Korea was published in Seoul, Korea in 1905. His book is significant in many ways. First of all, it was a history book on Korea at the time of Korea losing it diplomatic sovereignty to Japan. Also, this book reflects a view-point of a Westerner on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In addition, Hulbert’s book is a good historical source to understand the Korean condition while he was serving for the Korean government. Besides the various historical significances of his book, this paper focuses on the subject that what was a Westerner’s view point about the kingship of Joseon. Joseon was the dynasty established based on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Although Neo-Confucianism was born in China, Joseon was the only kingdom adopting this ideology as a national creed. Although Hulbert understood Asia and especially Korea well, as a Westerner, he reflect unique view on the kingship of Joseon. It is important to analyze his view because Joseon’s kingship was very effective and well-functioning for him. His view-point with Western influences, he provided interesting analyses on the kingship of Neo-Confucian dynasty of Joseon. Although some scholars criticize his book, it is worth to analyze his book to see what a Westerner see of history of Korea.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different viewpoints on the history of Korea at the era of globalization. Understanding various viewpoints and historical approaches give more objective view in writing and understanding history. Achieving this goal, this paper analyzes the descriptions on the parts of Sejong and Yeongjo in Hulbert’s book. Throughout the 600 years of Joseon history, Sejong and Yeongjo were two king who exercised the centralized kingship than any other kings of the dynasty. The system of centralized kingship is the political aim of the Neo-Confucianism. Doing so, this paper will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subject of Neo-Confucian political system as well as the political nature of Joseon. In addition, seeing this subject through an eye of Westerner provides the different viewpoi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Joseon as well as Neo-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뭴렌도르프 ; 조선 최초 고문관의 역사적 역할

        이영관 ( Lee Young G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8 No.-

        뭴렌도르프 (Paul Georg von Mollendorff)는 1882년 12월 한국에 첫발을 내딛고 조선의 근대화와 외교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는 서양인 최초의 고문으로 조선에 초빙되었고 고종의 신임을 받아 외교부 참판은 물론 해관의 수장으로 조선 해관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했다. 이뿐만 아니라 전환국의 수장으로 임명되어 조선 최초로 서양의 기술시스템을 독일로부터 도입해 당오전을 주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뿐만 아니라 묄렌도르프는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전신사업은 물론 교육사업에도 뛰어 들었고 서양 열강과의 조약을 채결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묄렌도르프는 구한말 조선의 근대화의 중심인물이 되었고 그의 노력으로 인해 조선은 근대화의 서막을 열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묄렌도르프는 오랜 동안 조선을 위기로 몰아넣은 서양인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 이유는 묄렌도르프가 근대화의 중심에 서 있던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수구 민씨 일가와 정치적인 연합 관계를 형성해 개화파의 개혁을 좌절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시에 갑신정변 이후 친아정책을 추진해 조선을 열강의 각축장으로 만들고 결과적으로 조선이 멸망으로 가는 서곡을 여는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묄렌도르프는 민씨 일가와의 정치적 연합은 개화파의 일본식 개혁이 조선에서는 불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택한 고육책이었고 계파정치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권한을 확대하려는 의도는 찾아 볼 수 없다. 동시에 조선의 상황을 판단해 볼 때 아시아의 외교체제를 잘 이해하고 있던 그로서는 친아정책 만이 조선의 독립을 유지하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믿었던 것이다. 동시대를 살았던 헐버트도 조선이 독립을 유지하려면 묄렌도르프 같은 사람이 10명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던 것처럼 그는 조선을 위해 최선을 다한 독일에서 온 외교 및 근대화 작업의 고문이었다는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ul Georg von Mollendorff came to Korea in December 1882 as the first Western adviser to Joseon court and made great impacts on Korea`s diplomacy and modernization. With the confidence of Gojong, he became the vice-minister of the Foreign Office. he also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Korean Maritime Customs Service to establish the institution and operate it. In addition, he also took charge of Jeonhwanguk and transferred a German technology system to Joseon for the first time. With this technology, he directed to mint Dangojeon. Mollendorff also involved in the various modernization projects including telegraph industry and education while he assisted Joseon court in signing treaties with other Powers. He became the center of the Joseon`s modernization and he made a good start for this projects. However, Mollendorff received a negative views from many Koreans due to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collapse of Joseon. Those criticism generally came from the views that Mollendorff was responsible for the failure of the reform proposed by the Progressive Party by maintaining political alliance with the conservative Min faction. At the same time, his diplomatic project of the pro-Russian policy was the prelude for the collapse of Joseon. Still, Mollendorff took the position of pro-Mins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massive reform program of Japanese style could not work in Joseon. Mollendorff did not keep the alliance with Min faction for his political gain. Also, he believe that the pro-Russia policy was the best option for Joseon to maintain its independence since he understood Asian diplomatic system well. Hulbert Homer, who lived same period stated that Joseon needed ten people like Mollendorff to achieve its goal. Like Hulbert, Mollendorff needed to be viewed more objectively as a German advisor who did his best for the diplomacy and modernization of Joseon.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미국신문을 통해 본 1970년대 한국 -Los Angeles Times와 New York Times를 중심으로-

        이영관 ( Young Gwa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한국 현대사에 대한 평가는 정치사회적으로는 물론 이념적으로 접근하여 매우 감정적인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통과 서양문화와의 충돌에 대한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으나 그 토대가 1970년대 한국에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당시 생존을 위해 서구문명의 유입은 경제발전이라는 구호 아래 전 분야에서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졌다. 물론 이제 선진국 문턱에 들어선 대한민국에서 이런 논란이 정점을 치닫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서구 문명의 유입을 넘어서 이를 한국화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선진화를 이룩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변화의 배경과 그 색채를 이해한다면 작금의 논란이 더욱 생산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1970년대 한국은 경제와 정치의 총체적 문제를 안고 미래를 개척하던 시기였다. 생존을 위한 일상은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없게 만들었고 자신에 대한 성찰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러면서도 하루하루 나아지는 상황을 느끼면서 막연하나마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시기였다. 이런 막연함은 우리가 스스로의 모습을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시기였음에 분명하다. 본 논문은 우리의 모습을 보다 객관적으로 보기 위해 미국의 대표적 신문인 『뉴욕 타임즈』와 『로스엔젤레스 타임즈』를 통해 한국의 1970년대가 어떻게 보여 지고 평가되고 있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한다. 물론 미국의 눈으로 본 대한민국은 왜곡되고 편파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시각을 제공해 당시 한국의 모습과 문제점을 보고 당시를 평가해 한국 현대사회의 토대가 형성되는 시기를 조명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The assessments of the Korean comtemporary history are still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socio-polit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s. The disputes on the clash of tradition and foreign culture are also continued although many did not understand that the historical foundation of this issue was set up in the 1970s. During this decade, Western culture was adopted by many Korean without criticism for the survival under the slogan of economic development. At the moment of entering into the developed country, those disputes and arguments are meaningful and positive when we understan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to Koreanize the phenomena. In the 1970s Korea faced the challenges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For the daily survival, it was impossible to look ourselves. Still, Koreans prepared the future by witnessing the progress little by littl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nd analyze the objective views of Korea in the 1970s through the reports of the New York Times and Los Angeles Times. They would not be biased. Still, it is meaningful to know how the foreign mass media saw Korea and how they predicted the Korea’s future.

      • KCI등재후보

        베트남 문화와 도이 머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 발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

        이영관 ( Lee Young-g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7 No.-

        베트남은 한국의 3번째 교역국이며 베트남에 대한 한국의 투자는 1위로 자리잡으면서 양국 간의 관계는 날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베트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동시에 베트남을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시킨 도이 머이 정책에 대한 이해는 물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베트남 정부의 노력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1986년 시작된 도이 머이 정책은 베트남의 내부적 실패를 발판 삼아 도입한 경제정책으로 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이 국가 경제발전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이 정책의 성공적 결과가 여러 곳에서 목격되기 시작했다.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한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기 시작했다. 30,000개 이상의 개인 사업체가 만들어져 경제를 이끌기 시작했고 경제성장률 역시 연 7%에 도달하면서 긴 가난과의 전쟁을 끝내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끌어 내고 있다. 개방정책의 일환으로 베트남 정부가 추진한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참여는 베트남 경제가 세계경제체제와 연결되어 예상치 못한 변화를 초래할 수 없도록 만들어졌다. 이 뿐만 아니라 초기 경제발전에서 야기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인 빈부격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간의 균형발전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베트남 정부의 껀터시 발전 마스터플랜은 베트남의 현실을 정확히 판단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여전히 농업이 주요 산업임을 감안할 때 농업생산 중심지인 베트남 남부의 껀터시를 핵심으로 하는 발전전략은 베트남전체의 지역 발전을 위한 선도모델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베트남의 전국적인 경제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베트남의 미래는 밝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게 베트남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 기업체가 진출해 질 높고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1억 명에 육박하는 한국 상품 시장이 유지되고 발전한다는 의미도 갖는다. 이를 위해 베트남에 대한 바른 이해는 반드시 필요하다. Vietnam is the third largest trade partner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outh Korea is the number one foreign investor of Vietnam. From this development, both countries develop their relations tighter and it is necessary for Koreans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Vietnam. At the same time, Koreans must understand the nature of Doi Moi policy that achieves the current economic development of Vietnam. In addition, the efforts of the Vietnamese central government to reach a sustainable development are needed to be understood. The adoption of Doi Moi in 1986 was the results of the failed experiences of 20 years and it became proof of the fact that the market economy is essential for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late 1990s, the successful results were witnessed not just in agriculture but in many areas. More than 30,000 enterprises began to lead the economy and the national growth rate reached 7% to end the long poverty of the Vietnamese people. Doi Moi policy emphasized the globalization of Vietnamese economy that reduced the risks of the government policy change with a globally interconnected economy.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government tries to overcome the socio-economic problem of mal-distribution of wealth that is the common phenomena of the early stage of fast economic develop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entral government launched a special project to overcome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s. "Decision Approval Master Plan of Economic-Social Development of Can Tho City to 2020, with a Vision to 2030" is a good example and it can be a leading mode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ntire Vietnam. The succes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Vietnamese government is important to Korea, too.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untries depended on the Vietnamese future. This is why the better understanding of Vietnam is necessary for Korean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국가적 위기와 역사, 문화의 중요성 -『뉴욕타임즈』 3,1 독립운동 관련 친일 기사와 대응을 중심으로-

        이영관 ( Young Gwa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1919년 3·1 독립운동은 한국 근현대 정치사는 물론 문화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3·1 독립운동의 여파는 일본을 당황하게 만들었고 2명의 친일 미국인이 일본을 옹호하는 자신들의 입장을 『뉴욕타임즈』에 기고하면서 재미 한국인들의 강한 반박을 받았다. 그 결과 미국인들의 인식을 변화시켜 역사적, 문화적 정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자주독립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당시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던 『뉴욕타임즈』 역시 3·1 독립운동과 한국의 자주독립을 지지하는 모습으로 논조를 바꾸게 된다. 물론 3·1 독립운동 자체가 가진 정당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이를 미국인들에게 전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건은 바로 이 신문 지면을 통한 논란을 통해서다. 3·1 독립운동에도 불구하고 드류 신학대학교 교수였던 소퍼(E. D. Soper) 목사와 예일대학교의 라드(G. T. Ladd) 교수는 한국에 대한 일제의 만행을 옹호하려 했다. 동시에 3·1 독립운동 자체의 의의를 무시하려 했다. 그들은 3·1 독립운동을 잘못된 사실에 바탕을 둔 소수 불만세력에 의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일본의 입장을 옹호하려고 노력했으나, 이들의 기사는 재미 한국인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기에 충분했다. 이승만과 헨리 정 그리고 ``한국의 아들``이라고 가명을 쓴 이가 사실과 역사적 당위성에 바탕을 둔 반박 기사를 기고해 일제 만행의 실상을 미국인들에게 전달했다. 역사적, 문화적으로 자주독립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다수의 미국인들도 2명의 친일 미국인과 달리 한국의 입장을 옹호하면서 일본을 규탄했다.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반박을 통해 두 명의 친일 미국인은 더 이상 일본의 입장을 옹호하려는 주장하지 못하고 지면에서 사라졌다. 이 사건은 3·1 독립운동과 한국 독립의 문화적, 역사적 정당성을 성공적으로 제시해 미국인들의 호응을 받는데 성공한 적지만 비폭력, 평화적 3·1 독립운동의 정신을 외국 땅에서 계승한 매우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not only in the modern and comtemporary political history of Korea, but in the cultural history. Because of its impact, a couple of pro-Japanese Americans expressed their thoughts on the New York Times and they received strong criticism from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that resulted the change of American views on Korea to more favorable for her independence based on their cultural and historical justification. It was a successful continuation of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a foreign land. Dr. E. D. Soper of Drew Theological Seminary and George T. Ladd of Yale University attempted to justify Japanese control over Korea. At the same time, they tried to ignore the significance of the peaceful, non-violent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y insisted that it was caused by the small number of secret societies with false information. Even Ladd accused that it was a violent revolt that caused the Japanese reactions. Although Ladd changed his stands little in his second article, he tried to protect the Japanese position again. These report and articles faced the strong reactions from the Koreans in America. Rhee Syngman and Henry Chung as well as a ``son of Korea`` reacted in the same newspaper with factual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f Korea under the Japanese control since the annexation as well as th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tself. Also, they provided historical information to attack false information by the Soper and Ladd. Some Americans joined this effort to express the sympathy on Korean causes while accusing Japan. Objective and logical refutation made those two pro-Japanese Americans to give up their effort to protect Japanese interests in the United Stat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justification of the movement received sympathy of American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한글 창조의 의의에 대한 재고찰

        이영관 ( Young Gwan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2012년 12월 24일 국무회의에서 한글날을 다시 국경일로 지정하고 공휴일에 포함시켰다. 이를 환영하는 입장이 대다수지만 한글날이 정치 사회적 상황에 따라 그 중요성이 변화한다는 것은 실로 개탄스러운 일이다. 이는 한글이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독보적인 가치와 그 문화, 역사적 의의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 것이다. 정치사회적으로 볼 때 한글의 역사적 의의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확립한 것을 들 수 있다. 천년 이상을 지속해 온 불교문화를 중국의 성리학체제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조선은 정치적 부담을 갖고 시작했다. 특히 성리학의 정치적 이념이 중앙집권체제의 구축에 있었기에 이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했다. 역사적, 정치적 당위성을 위해 백성과의 소통이 필요했고 그 결과가 한글창제였다. 동시에 국가 창건의 주역들을 정치 중심에서 배제하기 위해 새로운 글자체계로 한자를 통한 기득권층에 쇄신을 추구했던 것이다. 자신들의 기득권을 포기하고 새로운 문자체제를 받아들여 군주에게 충성심을 보인 새로운 세력으로 지속 가능한 중앙집권체제를 유지하려 했던 것이 한글의 정치사회적 의의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한글창제의 문화적 의의이다. 천 년을 넘게 이어져온 한자의 사용은 구전문화에서 한국문화가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생각과 정서를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한자에 맞추어 변형하거나 포기해야 하는 문제가 지속되었다. 한글로 인해 한국인의 언어를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기록해 진정한 기록문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이 한글의 문화적 의의이다. 동시에 성리학적 체제 구축을 완성한 중국문화 수용이 정점에 다 달았던 세종대왕 시기에 한글이 발명되면서 한국적 문화 정체성이 구축된 것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글은 한국의 문화를 한국적으로 구축하는 기본 토대이다. 현대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문화적 정체성은 선진국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이를 가능케 한 한글의 의의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On December 24, 2012 the Cabinet decided to re-designate the Hangul Day as a national holiday with day-off. It has been excluded from the national holiday since 1991. It is shame that Hangul Day has been a socio-political issue. It was the result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Hangul are not well recognized. Socio-politically, Hangul made possible that Korea created centralized kingship faster than any other major state around the world in the fifteenth century. Replacing century-old Buddhism with Neo-Confucianism from China was a major risk Joseon started with. For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justification, Joseon court needed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commoners and Hangul was the major tool for the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Sejong the Great needed to replace the powerful yangban class who helped the creation of the new dynasty. Breaking the monopoly of power from the domination of use of Chinese characters, Sejong invented a new writing system. A new group of yangbans who were ready to sacrifice the monopoly to support the government made it possible for Sejong to create the sustainable centralized government.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invention of Hangul is the creation of true written tradition of Korean civilization. Koreans began to write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ith alteration and limitation by using Chinese characters. At the same time, the invention took place at the peak of Chinese cultural influence. With Hangul, Korea was able to create the cultural identity. It is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ce of the invention of Hangul. Hangul is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culture. At the time of globalization, cultural identity is the key element of the civilized country. Korea became a major country in the world and Hangul made it possible.

      • 제 3 부 한국인의 효문화 : 한국 교육의 현실과 해결방안

        이영관 ( Young Gwan Le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4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3 No.-

        한국의 교육은 제도적으로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우수한 시스템을 갖고 있다. 또한 국민의 교육열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대단하다. 이런 현실은 외국의 평가를 통해서도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을 받고 있는 청소년들이 행복한가에 대해서는 당혹스런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또한 교육에 대한 결과 역시 만족도가 떨어진다. 산업화 과정이 너무 짧았기에 사회적 적응기간이 부족했던 한국은 도덕성 상실은 물론 과정은 등한시 하고 결과만을 중시하는 사회풍조를 초래했다.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책임은 없고 권리만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청소년들은 성적순으로 줄을 서도록 강요되었고 그 순서에 의해 자신의 미래가 결정되고 있음에 좌절하고 있다. 학교의 성적이 사회의 성공과 연결되면서 대다수 청소년들에게 교육은 희망이 아닌 좌절로 다가오고 있다. 직장의 서열화는 대학의 서열화를 부르고 대학의 서열화는 청소년 교육의 비정상화를 부추기고 있다. 그렇다고 지도층이 도덕적이지도 못한 현실에서 성공한 사람에 대해 인정하지 않으려는 풍토가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기성세대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사회 전반에 걸친 부조리를 단기간에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교육을 통해 다음 세대를 변화시키고 한발 한발 바꿔 나갈 수는 있다. 우선 교육을 학교에서만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할 것이다. 효교육을 통해 가정을 교육의 기본 단위로 끌어들여야 한다. 가족 간의 소통이 이웃 간의 소통으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상대방을 존중하는 사회로나갈 수 있도록 효의 가치를 전통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에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가치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조선의 선비정신 같은 전통적 가치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에 접목할 수 있는 가치판단 기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최고의 교육 인프라를 갖고 있다. 또한 세계 최고의 교육열을 유지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상고시대부터 유지되어 온 교육 전통을 갖고 있다. 전통은 옛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현실에 맞게 변형해 유지하는 것이다. 한국에는 이 모든 것이 있다. 이제 시대에 맞게 공공의 선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때 난관을 다시 한 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은 성과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기본으로 돌아가기 위해 5,000년을 이어온 뛰어난 전통을 시대적 요구에 맞게 다시 부활시켜 개념의 근간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Korean education syste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in the world. Also no one surpasses the Korean people’s passion for the better education. However, the question that are students happy makes Korean people embarrassed. Since Korea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Korean society lost its traditional moral standard and emphasizes the results not the process socially. Corruption prevailed and people demand their rights without accepting the responsibilities. At the same time, young students fell lost while their futures are determined by their grades. Korean education system was in trouble since Korean society lines up the companies from top to bottom as well as universities. Furthermore, the corruptions of haves makes people not respect the successful people. Still, education for youths is a duty and responsibility of the old generation. It is impossible to change entire system, but it’s possible to improve the condition through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is is why the education reform is so needed in Korea. First of all, the fixed idea of education as the roll of school onlymust be discarded. As a solution, Korean education system may adopt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Through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it creates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that cam be developed in a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s a result youth can develop a sese to respect common good of the society. Achieving this, the concept of filial piety needs to be developed to work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value of Seonbi(gentry) spirit of Joseon must transform to suit for the comtemporary moral standards. Korea has one of the best educational infrastructure with passion for the better education. Most of all, Korea has a long tradition of education since the epic era. Tradition is not an old thing, it is a system based on old but universal values and developed by embracing the comtemporary values. Korea has all. As Korean people cooperate and share the value and responsibilities together, Korea can overcome the crisis again and provide new and better educational system.

      • 2016년 국가 위기 극복을 위한 제안 - 전통적 가치의 재고를 통한 국가 가치관의 재정립 -

        이영관 ( Lee Young-gw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6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8 No.-

        2016년 겨울 대한민국은 국가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지금의 사태를 정치 적 문제로 볼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더 심각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몇몇 기득권층의 부패와 무능, 몰염치 등으로 단순화 한다면 대한민국은 유사한 사건을 또 다시 경험하게 되고 그 이전에 국민들의 좌절감은 국가에 대한 불신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막강한 기독교 사상으로 무장한 유럽 1,000년의 중세도 기득권층의 도덕성 상실로 인해 붕괴되었다는 점을 상기할 때 현재 벌어지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기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유하고 국민이 보여준 역동성을 새로운 발전의 계기로 삼는다면 기득권층의 부패를 제도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신적 공감대 없이는 개인이나 소수집단에 의해 제도도 언제든지 악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다수가 공유하는 전통적 가치 중 현실에서 적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선조들의 유산을 재정립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 잡게 해야만 한다. 이를 통해 상처받은 청소년들에게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다고 교육하고 발전된 인성을 바탕으로 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김익수 교수의 『동방소학』을 중심으로 전통적 가치 중 지금 가장 필요로 하는 가치를 선택했다. 우선 우리 전통적 가치 중 지금의 정치적 위기를 몰고 온 충(忠)의 개념을 재정립 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충의 개념은 개인에 대한 충성심이 아닌 국가 시스템에 대한 충의의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발전 되어 왔다. 이 개념을 다시 소개함으로 인해 한 개인에 대한 삐뚤어진 충성이 초래한 한국정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중 요한 전통적 가치로는 예(禮)를 들 수 있다. 율곡선생은 예를 통해 진정한 소통을 강조했고 부정부패를 방지하도록 가르쳤다. 동시에 전통적 도덕·윤리에 대한 재고도 필요하다. 인간의 본성을 천명으로 정의하고 있는 우리 전통에서 진정한 대의민주주의의 가치관을 재정립한 단 초를 찾을 수 있다. 윤리란 공동선(common good)을 찾아 공생·발전하는 인간사 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본적 원리로 동양에서는 접근했다. 마지막으로 정의 (正義)의 개념은 서양의 법적인 의미가 아니라 옳고 바름을 구분하는 인간의 마음자세의 개념으로 우리 전통에서는 접근하고 있다. 이렇게 시공을 초월하는 우리 전통적 가치는 서양의 한계를 넘어서는 기준 이 될 수 있다. 동시에 현재 서양의 정치, 사회, 교육체제를 도입해 발생한 한국 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물론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가치를 청소년교육 특히 인성교육의 중심으로 삼는다면 대한민국은 위기를 극복하고 보다 발전된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winter of 2016, Korea is experiencing a national crisis. Current crisis can be seen as a political problem, but it is a more serious fundamental problem. If we simply approach this crisis as the results of corruption, incompetence or impudence of a few haves, similar crisis would happen again, which will cause the distrust of the government with frustration of the people. 1,000 years of Middle Ages with mighty Catholic ideology collapsed by the corruption of haves, current crisis in Korea is very serious than the people realizing. Curing this problem and transforming the vitality of the people demonstrated, it is possible to set up a new regulation to prevent the crimes of the haves. However, without developing a common spiritual value, this regulations can be abused by a person or a small group easily. This is why we need to seek a common values in our tradition that can be applicable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make them as the social norms. With those norms, we can educate the youths to be read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 This paper selects some traditional values from Professor Kim Ik-soo`s Essential Learning of the East Asia. First of all, it deals with the traditional concept of patriotism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Traditionally, Korea developed the concept of patriotism not toward a person, but toward the system. Re-introducing this concept, the corrupted view of patriotism that causes the current crisis can be fixed. Another valuable traditionak concept is ye. With the concept of ye Yulgok emphasized the true communication and to taught the way to prevent corruption.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concepts of moral and ethics need to be re-analyzed. Fundamentally, Confucianism considers the human nature is good because it is a reflection the mandate of heaven. From this concept, we can find a clue for reestablishing true democracy. In Asia, ethics is a fundamental element to achieve a society of mutual development by seeking a common good). Las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justice. In the West, justice reflects the legal value. However, in Korea, a word justice is more moral value of distinguishing right and wrong. As a result, this paper introduces the timeless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at could overcome the limits of the Western system. At the same time, those values would provide the solutions to cure the ills caused by the adoption of the current Western political,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without proper consideration. Of course, they can be the solutions for the current crisis. If we develop those values as the essences of the education of youths and personality education, Korea`s future would be bright after overcoming the crisi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