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 나노 물질의 형상에 따른 구리/탄소나노물질 하이브리드 필러의 전도성 향상 거동 분석

        이연주,홍성욱,최현주,Lee, Yeonjoo,Hong, Sung-uk,Choi, Hyunjoo 한국분말야금학회 2018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5 No.5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 a conductive copper/carbon nanomaterial additiv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rphologies of the carbon nanomaterials on the conductivities of composites containing the additive. The conductive additive is prepared by mechanically milling copper powder with carbon nanomaterials, namely,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and/or few-layer graphene (FLG). During the milling process, the carbon nanomaterials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surfaces of the copper powder, such that electrically conductive pathways are formed when the powder is used in an epoxy-based composite. The conductivities of the composites increase with the volume of the carbon nanomaterial. For a constant volume of carbon nanomaterial, the FLG is observed to provide more conducting pathways than the MWCNTs, although the optimum conductivity is obtained when a mixture of FLG and MWCNTs is used.

      • KCI등재

        대학 소양교육 영역의 현황과 발전 방안

        이연주(Lee, Yeonjoo),전종희(Jeon, Jonghe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동서양의 교육사에서 유래가 깊은 소양교육이 제4차 산업혁명과 AI 시대에 새롭게 조명되 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대학 소양교육의 역할과 의미를 검토하고 소양교육 영역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미 국내 여러 대학에서 소양교육 관련 교과들을 필수 교과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등 소양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교양기초교육 원에서는 소양교육 영역을 두어 교양기초교육 표준모델로 제시하였으나 아직 소양교육 영역의 개념 및 의미가 충분히 공유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소양교육영역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방향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소양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대학 교육 현장의 교양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교양교육정책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소양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대학에서 소양교육은 주로 해당 분야나 전공의 기본 혹은 실무 능력 함양과 관련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인성교육을 지향하는 소양교육 영역과는 괴리가 있었다. 그러나 국내 대학 교양교육 담당자에게 조사한 결과 이미 31.4%가 소양교육 영역을 적용하고 있었고 이전 조사보다 7% 증가하였다. 또한 소양교육 영역의 필요성에 대해 34.3%의 담당자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교양교육표준안’의 교양교육 과정의 기본 틀이 적지 않은 대학에 이미 수용되고 정착 단계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교양교육 정책전문가 FGI 결과는 소양교육의 중요성에는 공감을 하였으나 소양교육 영역으로 구분하는 데는 찬반 의견이 분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서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양교육 영역의 자세한 현황 및 교과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In this study, character education, which has a deep origin in the educational history of both the East and West, began to be newly illuminat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I era.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study to review the role and meaning of university character education and to redefine its status. The demand for character education is on the rise, with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already opening and operating subject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s essential subjects. The Center for Liberal Arts Education has established a literacy education area and has presented it as a standard model for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But there is a sense that both the concept and meaning in the education area have not yet been sufficiently disseminated. In light of this problem,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that the newly established status in the character education field is taking.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of university character education was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y’s education field.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for nine liberal arts education policy exper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of literacy education, universities perceive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mainly related to cultivating basic or practical skills in the chosen fields or majors of the students. Thus, it proved to be different from the area of character education that aims for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as a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by a person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domestic universities, 31.4% were already applying to the area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is number increased by 7% from the previous survey. In addition, 34.3%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basic framework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Standards Plan” was already accepted and had entered the settlement stage at many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FGI, a liberal arts education policy expert sympathized with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but there were divided opinions for and against classifying it into character education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both the details of the current status and a subject analysis in the area of character education being conducted at domestic universities need to be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 KCI등재

        대학 말하기 수업의 효과와 평가연구

        이연주(Lee Yeonjoo),이동욱(Lee Dong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대학의 말하기 교육은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목표와 내용 및 교수법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의 평가나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말하기의 휘발적 속성과 화자와 청자의 변수로 어려움이 큰 분야 중 하나이다. 이 연구 는 말하기 수업의 효과적 운영과 평가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참여 학생의 말하기 능력을 본인평가와 청중평가로 실시하고 이를 사전-사후 검증하였다. 측정결과, 말하기 영역의 특성과 평가 주체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말하기 영 역 중에서 ‘내용구성영역’이 ‘표현 및 전달영역’보다 높은 평균의 증가가 있었다. 본인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평균이 증가하였으나 청중평가에서는 표현 및 전달역량에서 약간의 감소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말하기 수업에서 내용구성 영역에 비해서 표현 및 전달영역의 향상이 어려우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업구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평가 시에 본인평가와 청중평가의 비중을 달리 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와 같은 전문가의 평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말하기 수업과 평가를 위하여 평가자의 특성을 고려해야하고 말하기의 영역에 따라 수업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데 의의가 있다. Speaking education in college has grown rapidly in quantity, and discussions on goal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re actively underway.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evaluation and effects of speech are difficult because of the volatile nature of speech and the variables of speaker and listener. For the evaluation of the speaking lesson, the participant s speaking ability was evaluated by the self - evaluation and the audience evaluation, and it was pre - post - verifi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ing area and also according to the audience and audience evaluation. In the speaking area, there was an average increase of content composition area higher than expression and delivery area .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elf-evaluation, but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capacity in the audience evalu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expression and delivery area compared to the contents composition area in the speaking lesson, and suggests that the lesson composition is needed to supplement it.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ratio of self - evaluation and audience evaluation should be different at the time of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f experts such as professors should be supported.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or for effective speaking lessons and evaluation, and to fi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varies according to the area of speaking.

      • KCI등재

        체육시설 주변 주거지 빛공해 특성에 따른 저감방안 연구

        이연주(YeonJoo Lee),이규선(Kyu-Sun Lee),박형규(Hyung-Kyu Park),구진회(Jinhoi Gu)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국내 체육시설은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문체육시설, 생활체육시설, 직장체육시설로 사용목적에 따라 구분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법률에서 체육시설은 편의 · 안전 · 운동 등의 기준만으로 관리될 뿐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은 고려되지 않아 체육시설 주변 소음 및 빛공해에 대한 민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체육시설 조명은 빛공해방지법의 관리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아 관련 연구 및 현황 정보가 부족한 실정으로 주변 주거지 침입광등 빛공해 피해가 발생하여도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육시설에 대한 빛공해 현황 및 발생 특성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빛공해 저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체육시설 조명은 조명타워설치 방식과 구조물 설치방식으로 구분되며 조명타워 방식은 구조물 설치방식에 비해 주변 침입광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입광은 조명기구의 설치 방향에 따라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조명기구 설치 후 기구 방향을 조정하거나 차광체를 설치하는 등 저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바이다. Domestic sports facilities are categorized into Specialized Sports Facilities, Lifetime Sports Facilities, and Workplace Sports Facilities depending on use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According to the act, sports facilities are managed only in terms of convenience, safety, exercise, etc., bu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surroundings. For this reason, civil complaints about noise around sports facilities and light pollution have continued to be raised. In particular, sports-facility lighting is not subject to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For this reason,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 and information, and light pollution enters into a neighboring residential a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e up with management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light pollution of domestic sports facilities to find problems and to propose a plan for reducing light pollution. Sports facility lighting is divided into high-mast lighting and structure lighting. In terms of light trespass, high-mast lighting wa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han structure lighting. The influence of light trespass can be decreased grea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Therefore, the proposed plan for reducing light pollution is to adjust the lighting direction after installation or to install a light shield.

      • KCI등재

        국내 DISC 행동유형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4년부터 2019년 국내 학술지 기준

        이연주(Lee Yeo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DISC 행동유형의 국내 연구동향과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DISC 행동유형 연구의 학문적 확장과 시사점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9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일반현황 분석, 참고문헌과 측정도구분석, 연구 변인및 결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DISC 행동유형 관련 논문분석 결과, 2004년부터 2019년 1/4분기까지 매년 평균 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논문의 게재 학술지 분야는 의료와 관광분야, 아동 육아, 디지털 사이버, 미용, 소비자 등 전 학문 영역에 걸쳐 매우 다양하였다. 연구 대상자군은 대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직장인, 의료기관 종사자, 회식 호텔 서비스 종사자 순으로 다양하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연구 대상이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속 캐릭터, 쳇봇까지 그 영역이 다변화하고 있었다. 연구방법은 전체 87%가 실증연구로 이루어졌고, DISC행동유형의 비율은 주도형 18%, 사교형 35%, 안정형 27%, 신중형 20%의 비율로 수렴 하였다. 그러나 연구의 양과 질이 성숙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DISC행동유형 연구는 참고문헌의 확장과 측정도구의 정확한 사용의 과제를 남겼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rends of DISC behavior styles and to provide the academic expansion and implications of future DISC behavior styles research. To this end, 91 papers published in a local academic journal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general status, reference literature and measurement tools, and analyzing research parameters and results. An average of six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from 2004 to 2019 after analyzing papers on the types of DISC behavior. The academic field of the paper s publication varied widely across all academic areas, including medical and tourism, child care, digital cyber, beauty and consumer. The study group had the largest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office workers, medical workers, and dining hotel service workers.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targets were diversifying into animation, movie characters and Chatbot. A total of 87%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the proportion of DISC behavior styles was collected at a rate of 18% by Dominance style, 35% by Influence style, 27% by Steadiness style, and 20% by Conscientiousness style. However, despite the maturity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search, the domestic DISC behavior style study left the task of expanding reference literature and accurate use of measurement tools.

      • KCI등재

        투영 등위 집합을 이용한 다면체 모델의 부분 매개 변수화

        이연주(Yeonjoo Lee),차득현(Deukhyun Cha),장병준(Byungjoon Chang),임인성(Insung Ih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11·12

        컴퓨터 그래픽스를 비롯한 여러 응용 분야에서 3차원 다면체 모델에 대한 매개 변수화(parameterization) 기법이 중요하게 연구되어왔다. 매개 변수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3차원 다면체 모델을 2차원 평면으로 매핑 시켜주는 문제를 고려하는데, 이러한 매핑 과정에서 종종 다각형의 세밀한 형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텍스처 매핑 등의 기법을 적용할 때 일부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는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왜곡 처리 방법이 연구되었지만, 3차원 물체의 임의 영역에 대한 사각형 형태의 부분 매개 변수화(local parameterization)를 수행하기에는 종종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투영 등위 집합이라고 하는 수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3차원 다면체 모델의 특정 지역을 효과적으로 매개 변수화 해주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영역에 대해 등간격의 곡선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각형 형태의 영역에 대한 부분 매개 변수화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취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부분 매개 변수화 기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 후 실험 결과를 기술하도록 한다. Parameterization has been one of very important research subjects in several application areas including computer graphics. In the parameterization research, the problem of mapping 3D polygonal model to 2D plane has been studied frequently, but the previous methods often fail to handle complicated shapes of polygonal surfaces effectively as well as entail distortion between the 3D and 2D spaces.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especially to reduce such distortion, but they often suffer from the problem when an arbitrary rectangular surface region on 3D model is locally parameteriz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ocal parameterization scheme based on the projection level set method. This technique generates a series of equi-distanced curves on the surface region of interest, which are then used to generate effective local parameterization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new technique in detail and show its effectiveness by demonstrating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대학 말하기 교육 교수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수업운영방안

        이연주(Lee Yeonjoo),송영선(Song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최근 중요도를 더해가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에서 교수자가 퍼실리테이터로서 역할이 필요함을 인식하도록 돕고,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효과적인 수업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말하기 교육과 교수자의 특징을 이론적 배경으로 검토하고,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해 말하기 교육의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로서 역할 인식과 역량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수업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학의 말하기 교육은 암묵적이고 절차적 지식의 특성을 가지며, 교수자는 다양한 경험과 전공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촉진자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절차적 지식으로서 말하기는 참여 학생이 다양한 말하기 상황 속에서 반복적인 말하기 경험과 피드백을 통해서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효과적인 팀 활동을 촉진하는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퍼실리테이션 기법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고 효과적인 팀 활동운영 방안을 포함한다. 대학 말하기 교육에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팀 활동과 상호 협응과정을 통해서 암묵적이고 절차적인 지식이 명시적이고 선언적 지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말하기 교수자는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가져야 하며,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프로세스 설계, 프로세스 관리, 피드백과 평가 스킬을 활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was recently conducted to help professors recognize their roles as a facilitator in the increasingly important university s speaking education and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operate classes using facilitation techniques. To this end, It is reviewed the role of the professor and the speaking education in university through prior study and derived that for effective speaking education, the professor of speaking education needed role recognition and competency as a facilitator. It also proposed a plan for class operation using facilitation techniqu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ior study, the university s speaking education is taci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al knowledge, the professor is based on various experiences and majors and requires the role of facilitator. The nature of procedural knowledge that a participant has can improve his or her ability through repeated speaking experience and feedback in various speaking situations. Therefore, a professor needs to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to encourag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ffective team activities. The facilitation techniques also include ways to promote learning and effectively manage team activities for students. By applying the facilitation techniques to university speaking education, students can experience the transition of tacit and procedural knowledge to explicit, declarative knowledge through team activities and mutual co-ordination processes. Therefore, a speaking professor must have a competence of the facilitator and can apply a facilitation technique to a clas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y utilizing process design, process management, feedback and evaluation skills.

      • KCI등재

        국내 우수학생 지원프로그램 사례연구

        이연주(Lee, Yeonjoo),윤유진(Yoon, Eugen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ases of ‘Honors Program at University’ as a program for the distinguished students. The Honors Program is a caring community of talented students providing support to aspiring scholars. Stud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Honors curriculum and non-curriculum programs. Students can achieve their full academic potential by completing the coursework of university honors programs and satisfy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by engaging in research programs or creative endeavor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influence developing the ‘Honors Program at University’, the cases of 6 universities were us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document examination the programs of 6 universities, researches of preceding studies about ‘Honors Program at University’, and interviews with managers of the programs. As a result, a special agency for the program is highly recommended. It should accomplished unique purpose different from other organizations in the campu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established web-management system to control the programs, such as curriculums, non-curriculums, faculty members and consultation system. Most of all, it is important to lead students’ active involvement with less obstacles and quite a few motiv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 우수학생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수학생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점검하고, 모델개발 시 해결과제를 제시하여 참고가 되고자 한다. 국내 6개 대학에서 개분석결과, 국내대학의 우수학생프로그램은 전담기구의 설치가 절실한 상황이며, 대학 내 다른 지원사업과 우수학생프로그램이 차별화 될 수 있는 모델로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와 비교과, 멘토교수, 상담지원체제 등을 통합 ․ 관리할 웹관리 시스템이 개발 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우수학생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우수학생이 계속적인 참여와 인증과정을 지속하도록 불필요한 장애요인은 최소화하여야 한다. 운영책임자에게는 우수학생이 인증을 마칠 때까지 계속적으로 동기 부여할 수 있는 과정관리의 개입이 요구된다. 설 운영 중인 우수학생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우수학생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와 국내 6개 대학의 우수학생프로그램을 조사하였으며, 미국우수학생프로그램연합회의 우수학생프로그램 운영지침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담당자와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 KCI등재

        Rasch 모형과 요인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토론능력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이연주(Lee Yeonjoo),임경수(Lim Kyoungs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토론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토론능력과 토론능력의 평가요소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토론능력 평가요소를 ‘논리적 구성력’과 ‘표현전달력’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요소를 교수자가 관찰하여 평가가 가능하도록 토론자의 토론 언어와 행동을 측정하는 평가문항으로 수정하였다. 대학생의 토론능력 평가를 위해 논리적 구성력과 표현전달력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토론능력 평가도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Rasch 모형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최종 13문항으로 구성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자가 토론 교육현장에서 대학생의 토론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토론능력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으며, 논리적 구성력과 표현전달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discussion ability assessment tools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evaluation factors of debate ability.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expert consultation, the elements of the evaluation of debating ability were extracted as ‘logical composition’ and ‘expression delivery.’ The extracted evaluation elements were modified to measure the debater’s discussion language and behavior so that the professor could observe and evaluate them. To evaluate the debate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assessment tools were organized with questions corresponding to logical composition and expressive delivery. Preliminary surveys and main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ensure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tools for discussion abilit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s were secured through the Rasch model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assessment tools composed of the final 13 question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rofessor presented an objective discussion ability evaluation tools to evaluate the debate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t the debate education site and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logical composition and expressive deli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