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conic Phenomena in Language

        李淵植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 1986 人文論叢 Vol.12 No.-

        童詩를 쓰는 국민학교 3학넌 짜리는 개미가 行列을 지어가는 모습을 3이라는 숫자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열함으로써 표상할 수도 있겠다. 3 3 3 3 3 3 3 3 3 3 3....... 이같은 '원초적인' 模寫法의 類型을 한국의 현대 시나 시조에서 찾아 본다면 다음과 같은 표현 형식이 그 전형적인 예가 될만하다. 群鐘이 울리는 音樂의 전사가 되어 고운 갈매의 하늘 포롱 포롱 포롱 날고있다. (박남수 「종달새」) 눈보라 비껴 나는 -全-群-街-道- 퍼뜩 車窓으로 스쳐 가는 人情아! 외딴집 섬돌에 놀인 ┌────┐ │ 하나 │ │ 둘 │ │세 켤레 │ └────┘ (장순하 「고무신」) 위의 詩와 時調의 표현 형식을 보면 琅琅하게 朗讀함으로써 韻律美·音樂美의 律格을 찾는 이보다는 눈으로만 默讀(看讀)함으로써 造型美·繪畵美의 image를 집을 수 있도록 기교를 부린 것들인 바, 이는 언어의 표현형식이 非言語的인 實相한 模寫한 단적인 예들이다. (영국의 시인 G.Herbert도 그의 시 'Easter Wings'에서 詩行을 날개 모양으로 전개하여 독자의 시각적 반응에 호소하는 技法을 쓰고 있다.) 이와 같은 비교적 직접적인 방법에 의한 外的인 實在物의 표상을 圖像(icon)이라고 함을 우리는 안다. 미국의 철학자 C.S. Peirce(1931, vol.2)는 icon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An icon is a non-arbitrary intentional sign-that is, a designation which bears an intrinsic resemblance to the thing it designates. '원시적인' 언어 기호일수록 pictogram이 많으리라는 것을 우리는 추찰할 수 있다. 일례로 Crete의 상형문자 가운데는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있으니-'house'의 뜻을 나타내는 기호(合)가 그것이다. 漢字 가운데 「내천」(川)자나 「오목한요」(凹)같은 글자도 icon의 좋은 예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icon의 '보다 발전된' 형태라면, 외적인 實相을 모사하는 단계에서 進一步하여 '내적인' 의미(idea)를 표상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漢字중, 원래 pictogram을 合成한 것이지만, 「좋을호」(好)자 같은 ideogram이 손쉬운 예로 제시될만 하다. 英詩에서 색다른 icon의 예를 들어 보기로 한다. techical invention으로 악명(?)이 높은, 한국의 시인 李箱과 一脈 통하는 바가 있는 E.E.Cummings의 詩行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The poorbuthonest working man (Italic는 필자의 加筆임 대담한 '合成語'를 鑄造함으로써 의미의 單一槪念化를 꾀한 것으로 이 또한 icon의 일종이다. (의미의 '癒合'이 형태의 癒合을 결과한 셈이다. ) 이처럼 표현이 내용의 analog를 이루는 관계, 곧 iconicity는 詩語·日常語를 가릴것 없이, 그리고 音韻·語形·統辭 등 언어의 모든 측면에서 form을 결정하는 중요한 變數로 작용하고 있는 바, 두드러진 예로 syntax 특히ㅠㅛ6條적인 표현형식(語順)을 '보기'로 내놓을 수 있다. (1) 他在湘房惠做飯了(He cooked in the kitchen.) (2) 他掉在水과?了(He fell in the water.) (1)의 경우 「부엌에 들어간 것」이 먼저 일어나는 일이고 「밥을 짓는 것」은 그 다음에 생기는 일임을, (2)에서는 「물 속으로 향해 털어지는 것」이 선행하는 동작이요 「물 속에 잠기는 것」은 후손적인 '사건'임을 실상 그대로 표현해 준다. (이같은 신통한 어순에 있어서 중국어는 영어의 경우와 대비를 이루고 있다.) 영어에서의 예를 들기도 어렵지 않을 것이니, (3)(4)의 어순을 생각해 보자. (3) He came in and sat down. (4) He sat down and came in. 두 문장에서의 conjoined element들의 나열 순서, 즉 syntactic sequence는 바로 events의 sequence, 환언컨대 behavioral fact그 자체를 반영하고 있다. 같은 이야기가 (5)(6)의 경우에도 통용될 것이다. (5) Bill invested in stocks and became a millionaire. (6) Bill became a millionaire and invested in stocks. word order 이야기는 여기서 접어두기로 하고, 이번에는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密着度가 외적인 實相을 圖像的으로 반영하는 표현 형식에 눈길을 돌려 보자. (7) He shot at the General (but missed). (8) He shot θ the General (and killed him). (7)에서는 동사 shot과 the General 이들 사이에 전치사 at이 끼어 있음으로 인해 간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뿐인데 반하여, (8)의 경우에는 兩者가 바로 이웃해 있고 보니 직접적인 접촉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볼 수 있다. 要諦인즉, (8)에서 동사가 그 목적어와 인접해 있음은 shooting the General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입혔다는 사실을-언어 외적인 實相을-繪畵的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 對比와 雙을 이루고 있는 (9)와 (10)을 보아도, (10)에서 동사와 목적어가 보다 긴밀히 묶여져 있는 것은, chewing이 the food에 보다 직접적인 힘을 미치고 있음을 寫像的으로 비쳐 준다. (9) The baby chewed on the nipple. (10) The boy θ the food. constituent 사이의 proximity는 바로 real world의 그것과 相通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언어 표현의 길이는 말을 주고 받는 interlocutor들 사이의 심리적 내지 사회적인 거리와 비례 관계에 놓여 있음을 포착할 수 있으니, (11)과 (12)의 대조가 이 사실을 드러낸다. (11) I want to see you for a moment. (12) I wondered if I could possibly see you for a moment. 格式體〔공손體〕의 표현이 非格式體의 표현보다 더 길어지는 것은 linguistic universal이 아닌가 싶다. 다음과 같은 불어에서 얻을 수 있는 두 개의 표현 형식이 간단한 supportive evidence를 제공해준다. (13) Tu es le professeur. (14) Vous etes le professeur. Tu 대신에 Vous를 썼다고 해서 (13)과 (14)가 '眞理條件"에 차이가 있음을 표상하는 게 아님을 우리는 안다. longer expression은 'respectful distance'를 유지시키는 묘한 장치다. (formal occasion에 알맞은 luncheon lunch보다 긴 것도 우연 현상을 넘어선 표현 형식일 것이다.) 동사의 時相과 관련된 iconicity를 포착할 수도 있으니, 다음 두 표현을 견주어 보자. (15) Do you want to see me? (16) Did you want to see me? 이 두 가지 헝식의 표현은 똑같은 情況에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16)에서 '現在'와 떨어진 '과거' 시제형을 씀으로써 話者가 聽者와 어느 정도의 隔을 두고 있음을 표상하는 효과를 얻는다는 것이 우리의 主眼點이 되겠다. temporal distance는 곧 socio-psychological distance와 相應한다는 이야기다. 時制에 관심하다 보면 (17)(18)과 같은 문장에서의 종속절의 tense form 역시 iconic expression임을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17) It is time you were in bed. (18) I'd rather we had dinner norm,. speaker의 내면의 세계에서는 이미 '잠자리에 들어있음'과 '식사를 하고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가 were와 had로 形象化된 셈이다. 모든 사물이 極性(polarity)또는 兩面性(two-sidedness)을 지니고 있듯이, 언어는 恣意性을 띠고 있는가 하면 非恣意性을 여려 局面에서 드러내고 있음이 사실이다. 우리는 音相에서도 iconic phenomenon을 엿 볼 수 있으니, 다음 두 문장에 쓰인 동사 spill의 과거형에 첨가된 어미의 音形을 보자. (19) The water spilled/d/drop by drop over the rim (20) The milk spilt/t/ all over the floor when she dropped the pitcher. Bolinger-Sears(1981)에 따르면, 英·美人을 가릴 것 없이 양쪽이 다 /d/音에서 relatively gradual process임을, /t/音에서 relatively abrupt happening임을 感知한다고 한다. 일찌기 Jespersen(1922)은 high front vowel-口腔을 작게 벌려서 이루는 모음-을 포함하고 있는 낱말은, 여러 언어에 있어서, '작음(小)'을 暗示한다는 사실을 지적한 바 있다. 다음 對比의 쌍들이 이를 예증할 것이다. chip vs. chop, tip vs. top, nib vs. knob 이러한 vocalic iconism의 예를 더 찾기는 어렵지 않다. 끝으로 iconicity의 例를 한 가지만 덧붙인다면,'iconic gesture'를 생각할 수 있겠다. 영어 사용자들이 默從的이요 懷柔적인 태도로 다음과 같은 말을 할 때에 고개를 숙였다가 들어 올리는 gesture를 쓰는데 이와 동시에 그들의 intonation도 '절을 한다'는 사실은 우리의 상식이 일러주는 바다. 즉, pitch와 head movement가 서로 어우러져 '和合'을 하는 셈이나 이는 'audibl language'와 gesture 사이에 iconicity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언어는 음운·어형·구문 등 어떤 層位에서 보아도 그 형태와 내용 사이의 관계가 전적으로 상징적이요 자의적인 것으로 본 구조주의 언어 학자들의 성급했던 가정을 뒤엎는 듯, 이처럼 언어는 세세한 部面 이르기까지 non-arbitrary feature를 드러내고 있다. 언어 구조를 '매정스럽게도' 圖式化 내지 形式化함으로써 분석하려드는 Chomsky와는 다른 視覺에서 언어 현상을 考究할 때, 언어란 非言語的인 세계를 어지간히 잘 비쳐 주는 거울임을 看取할 수 있는 것이다. 個個의 낱말들이야 그 형태가 자의적으로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낱말보다 더 큰 단위들이 구성되는 양상을 살펴 보면, 언어의 표현 형식과 그 의미 내용 사이에는 그럴법한 圖像的인 관계가 숨어 있음을, 영어를 주된 자료로 삼아, 예증²? 하자는 것이 이 굳이 겨냥하는 과녁이라 하겠고, 아울러 Flaubert의 一物一語을 證하자는 것이 본 논문이 적으로 노리는 標的이다.

      • KCI등재

        해방 후 남한 거주 일본인 송환문제를 둘러싼 갈등 -조선총독부와 남한사회의 인식 및 대응과정을 중심으로-

        이연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3

        그동안 근대 한일관계 속에서 양 민족(국가)의 만남에 관한 연구는 많았으나, 이별에 관한 연구는 소략했다. 불행히도 양자의 만남이 지배와 피지배 관계 위에서 이루어진 만큼, 본고는 이러한 관계의 해소과정을 다루었다. 특히 일본의 조선 지배를 가능케 한 인적 기반이었던 일본인들이 본토로 돌아가는 과정, 즉 조선 거주 식민자의 소멸과정을 통해 구 일본제국의 붕괴와 남한의 신국가건설 사이의 상관관계에 주목하고자 했다. 본고는 크게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귀환대책과 일본인 송환문제에 대한 남한사회의 인식과 대응으로 나뉜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일본 중앙정부의 해외 거류민 정책기조를 먼저 살핀 후, 조선총독부가 중앙정부와 점령군 사이에서 일본인 귀환과 관련해 취한 일련의 조치를 살폈다. 구체적으로는 조선군 활용을 통한 치안확보, 통화증발을 통한 모라토리움 위기 극복, 귀환원호기구로서 각 도 일본인세화회 결성과 조선인 징용ㆍ징병 피해자를 위한 위무대책을 다뤘다. 한편 남한사회의 일본인 송환문제 인식과 대응과정은 크게 건준의 자주호양론과 응징ㆍ추방론의 강화과정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해방 후 남한 거주 일본인 송환문제가 단순히 이들을 일본열도로 돌려보내는 문제가 아니라, 신국가건설 과정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중대 사안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began to repatriate to their mother land just after the defeat of World War Ⅱ.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flicts betwe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South Korean Society on How the japanese settlers should be repatriated to their mother land. Japanese Government-General made use of japanese army for public order, and over-issued plenty of bank-notes to prevent the crisis of moratorium. And then it made some leaders of japanese community organize Relief Society(Nihonjin-Sewakai) all over the province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repatriation of japanese settlers in korea. AS for South Korean Society, at the time of liberation, the korean political organization called Kon-Jun, insisted mutual concession between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in order to protect the koreans abroad including japanese islands. But most of koreans wanted to expel the Japanese as soon as possible, because of their illegal conducts, for example, illegal shipping, smuggling, destruction of vested plants, and intentional discard of grains and so on. This paper intends to make clear that the japanese settlers repatriation was crucial matter to make a new country in Korean Peninsula, and the futur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화태청(樺太庁) 자료를 통해 본 일본제국의 사할린 한인 동원 실태 연구

        이연식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2

        The Koreans in Sakhalin was the tragic victims of forced labor groups during the Japanese empire era, and those of detained by USSR after the second world war. Korean society came to have interest in these Koreans in Sakhalin just after 1990, the year of korea-russian treaty of amity and successive repatriation of the koreans who was born before August 15th of 1945. But this issue is still current one until now So far the main interest of korean society is the responsibility of Japan and USSR, and Why the Koreans in Sakhalin was not able to return to homeland, korea. On the other hand, it neglected the reason why the koreas came to be mobilized to Sakhalin and how they lives there. And it did not try to verify the process from mobilization to detention in abroad by historical documents or materials. That’s why this paper was made for, and tried to study the historical documents in Sakhalin Archives(GIASO), which is composed of 3 sections(Karahutocho official documents, police supervision documents, and civil companies documents), 915 files with over 10,000 images. In this study records which include korean mobilization and forced labor was abstracted and sorted from 1,260 images of documents, which are about Karahutocho’s policy for koreans, the way how the local police control the koreans, and labor conditions and reward in workplace. After the study it is verified that Karahutocho itself was the loyal agent of central government of japanese empire, local police took more drastic oppression steps about koreans, and civil companies kept the same steps with Karahutocho and local police, the cooperation among them got stronger for the more exploitation of koreans in the negative process of the war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identified we can restore the various historical facts by way of those documents produced in Sakhalin during the japanese era. If those historical documents should be linked oral history of the victims or lawsuit documents produced In japan in 1970s, we can find new images of Koreans in Sakhalin issues. 사할린 한인은 식민지배와 남북분단, 그리고 냉전이라는 시대의 비극을 강제동원과 집단억류라는 극단적인 형태로 체험한 집단이었다. 한국사회에서 이들의 존재는 1990년 한소수교와 영주귀국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 문제는 아직도 전후보상 및 배상문제라든가 영주귀국으로 인한 2차 가족이산이라는 형태의 현재진행형 사안으로 남아있다. 그 동안 국내의 관심은 주로 일본과 구 소련의 책임문제를 중심으로 이들이 왜 해방 후 돌아오지 못했는가 하는 점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정부와 학계 모두 이들이 어떻게 사할린으로 동원되었고, 그곳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원사료를 통해 검증하기보다는 일본이 강제로 동원했고, 소련이 귀국을 막았다는 선험적인 논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할린주역사기록보존소(GIASO)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문서들을 화태청 공문서, 경찰관계문서, 기업관계문서로 나누어 915개 파일, 약 1만 매의 국내 수집자료를 통해 그 내용을 소개하고 한인의 동원 및 거류실태와 관련된 기록을 살펴 화태청의 동원 관련 정책, 경찰조직의 감시와 통제 방식, 개별 기업 및 작업장의 노동조건과 처우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경찰관련 기록은 매우 상세하게 한인들의 신상을 파악하고 있었고, 국책에 따라 시기 별로 감시의 대상과 방법을 바꾸어 가며 한인들을 관리하고 있었다. 또한 화태청의 한인 정책은 해당 지역의 독자성 보다는 일본 중앙정부의 정책을 시행하는 대리인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그리고 기업은 한인을 직접 관리하기보다는 각종 구미(組)라는 하청업자를 통해 간접 관리하고 있었고, 전황이 악화됨에 따라 한인의 통제와 관련해 화태청-경찰-기업 간의 공조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화태청의 정책, 경찰의 감시와 통제, 기업 및 단위 작업장의 노동환경과 처우를 층위별로 입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사료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일단 경향적으로 이들 3자간의 연계성이 포착된 만큼 향후 사료를 기반으로 한 대단위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사할린 한인의 동원 및 거류실태를 보다 입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일말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문헌기록을 조선총독부자료, 기 수집 구술자료, 1970년대 이래 일본에서 축적된 사할린재판자료와 교차 검증해 나간다면 사할린 한인문제에 관한 새로운 역사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3-tier모델 기반의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DIMS) 설계

        이연식,김태우 군산대학교 정보통신기술연구소 2000 情報通信技術硏究論文集 Vol.4 No.-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and using the long-term data which are produced during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propose th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DIMS). For the efficient design of the system, we apply the object-oriented design techniques with web-based 3-tier environment, and use Java Swing Applet, Oracle DBMS/JDBC and CAD system. The proposed system supports the consistency and security of data simultaneously.

      • KCI등재

        해방 직후 남한 귀환자의해외 재이주 현상에 관한 연구-만주 ‘재이민’과 일본 ‘재밀항’ 실태의 원인과전개과정을 중심으로, 1946~1947-

        이연식 한일민족문제학회 2018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4 No.-

        The liberated korea has the estimated population 16 million in 1945, and added 2.5 million just after an year. The korean repatriates returned by way of 2 main routes. The returnees, Wol-Nam-Min(former residents in north korea), and repatriates from Manchuria came into south korea over the 38th division line. The other repatriates from japanese islands and pacific areas came into Busan port and the vicinity. The repatriates who returned from the China and the Japanese islands made up about 80% of the total added population. However, the influx of overseas repatriates who explosively increased between 1945 and 1946, declined abruptly in April of 1946, and at last illegal re-emigration group to Manchuria and Japan Appeared, who had repatriated from those areas. This study deals with the “re-migration phenomenon of 1946” in korea, mainly focuses on 1) the motivation for those who decided to remigrate, their prospects of resettlement in Manchuria and post war japan after re-migration, 2)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Korean society in 1946-1947, and 3) the social recognition for the people who letf for Manchuria and Japan. This study proved the cause and background of re-migration phenomenon. The Manchuria case, the local authorities wanted farmers and peasants who could cultivate the abandoned land which had been originally pioneered and reclaimed by korean poor peasants, who repatriated to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repatriates had a hard time in tenanting farmland, and so much difficulty in getting farming tools including fertilizer. That’s why they left korea for Manchuria again. The Japanese case, the korean repatriates had a tough life owing to the restriction of properties left in japan, while the inflation and food shortage in korea got worse and worst. Accordingly, many koreans tried illegal entrance into post war japan. This study is a part of clarifying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post war repatriation and migration issues developed in the south Korea.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how difficult it is for newly liberated areas to accommodate repatriates and make them ordinary nationals in harmonic way with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and we can observe the social aspect and administrative ability of newly liberated south korea in detail, Because the present korea has faced with so many problems connected with immigration workers and re-setting with korean communities abroad, we should introspect these historical experience of our own. 解放直後における韓国の人口は、約1,600万人であったが、わずか1年の間 に、海外から約250万人が流入し、急激な社会的な増加を経験した。海外帰 還者は、38度線を越えて南下した帰郷民·越南民·中国帰還者と、釜山と付 近の沿岸地域に戻ってきた、日本をはじめアジア·太平洋地域の帰還者に分 けられるが、中国大陸と日本列島から帰ってきた帰還者が、全体流入人口の 約80%を占めた。ところが、1945-1946年の間に爆発的に増加した海外帰還者 の流入は、1946年3-4月を基点に急速に減少し、ついに母国に背を向け、満 州や日本に再移駐する人々が現れた。 この研究では、解放の後、海外帰還者の「再移住現象」に関するものである が、再移住を決めた人が、母国を離れていった動機と移住地での展望、再移 住者が発生した、1946-1947年における韓国社会の構造的問題、再移住者に 対する社会的認識などを考察した。その結果、満州移住の場合は、日本植 民地時代に農地を開拓した韓人が、解放後北朝鮮や韓国に帰り、満州の中 で閑村が発生した反面に、韓国と北朝鮮は、1946年米軍政の南北間の交易 断絶措置により、肥料や農機具の調達をはじめ、農地改革の遅延により、小 作地が得られなかった南部地域の帰還貧農が再び移住したことが分かった。 一方、日本の場合は、1946年に入り、アメリカが、在日朝鮮人の財産搬入 規制を強化し、日貨預金領を断行することにより、すでに搬入した円貨さえ使え なくなった状況のなかで、物価高·就職難·食糧難などで生活が不可能になっ た大勢の人々が、日本に在留中である知人や親戚にたより集団密航したことが 明らかになった。 この研究では、全世界的に行われた前後人口移動が、韓半島の南部で、 どのように展開されたか、その普遍性と特殊性は何かという問題を解明する基礎 作業であったが、帝国解体の以後、旧植民地において、海外帰還者の受け 入れと社会的統合を通じた「国民形成」の過程が、どれぐらい難しい課題であっ たのかを実証した。また、帰還者の再移住という、「人の移動」という現象を通じ て、占領期における韓国社会の社会像と国家運営能力を、さらに多面的に眺 望した。また、世界的な移民排出国·ディアスポラ国家でありながらも、移住 労働者の主な流入国として現在の韓国が、直面している多民族·多文化状 況、変化する国民の概念と構成、在外同胞社会との関係の再設定問題など について、解放空間の歴史的経験を反芻するきっかけを提供し、それから知恵 を絞る契機を与えたことも研究史的な意義と言えよう。

      • KCI등재

        언어와 논리 : 영어를 중심으로 with Special Reference to English

        이연식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1982 언어와 언어학 Vol.8 No.-

        It may safely be conjectured that no language is logical in every respect. We must not expect idiomatic usage to be guided always by strictly logical principles. Yet we often fall into the mistake of assuming that there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There is no point in arguing, for instance, that 'I don't want no cake' must be another way of saying 'I want a cake' on the grounds that two negatives make a positive. Usage prescribes that two negatives not invariably cancel one another in such a way that the result is identical with a positive. In substandard speech double negatives often reinforce a strongly negative color in an assertion. Now, what about three negatives seen in an expression like 'I don't want nothing from nobody'? This again is not a logical see-saw but a threefold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diomatic usage is very often at war with logic or fixed rules. Put briefly, usage overrides grammar. Our main aim in this paper is to call attention to, and emphasize, the fact that not infrequently the logic of facts or of the external world runs counter to the logic of grammar and that the English language has numerous sentences which are apparently anomalous or illogical. One such example is the sentence found in Quirk et al.(1972: 743): Are fast cars wise in cities? A grammarian who has too frequent recourse to form and logic would frown upon this construction holding with Chomsky that a car cannot be wise or foolish. In passing grammatical judgment upon the sentence in question it would not be of much help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ssigning the feature<+wise) to the noun car. Any stickler for logic ought to recognize that the adjective wise in our sentence makes reference to having fast cars, not to fast cars themselves. The seemingly odd sentence is a semantically elliptical expression. It is a good strategy to postulate the implied ellipsis of 'to have' after the adjective wise. Such a strategy alone could be a good antidote against any likely trouble. Needless to say, the 'understood' or latent elements of a sentence are no less important than the 'realized' ones. Indeed, there are many constructions in English for which neither knowledge of the world nor logic can provide any explanation. And a host of sentence structures are recognized which do not appear to have an acceptable reading unless the reader possesses the ability to fill in mentally the deleted portion of those structures. In this respect, the human brain is a filler of any logical or semantic gaps in linguistic forms. Accepting as it is the Quirk sentence which a narrow-minded pedant would justly condemn as bizarre or impossible, let us organization of a sentence may not give a true and full representation of the grammatical relations that play a role in determining its semantic content."

      • KCI등재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능동규칙 이동에이전트의 정 방향 이주

        이연식,이준호,Lee, Yon-Sik,Lee, Jun-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7

        이동에이전트의 노드 이주 방법은 분산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되므로, 이러한 이동 에이전트의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의 효율적 이주를 위한 방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서버, 싱크 및 센서노드들) 관련 데이터들을 수집 및 저장하여 일관된 네이밍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데이터 서버의 정보가 저장되는 MetaData와 싱크노드들과 그들에 연결되어있는 센서노드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SubMetaData 부분으로 나누어 메타테이블을 설계 구현하고, 이러한 메타테이블의 정보들을 이용한 RMI 기반의 네이밍 기법을 적용하여 능동규칙 이동에이전트의 정 방향 이주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인 센서 네트워크 응용 환경 구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네이밍 에이전트를 J2EE 모델 기반의 RMI-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 및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등록, 해제 및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Since a migration method of the mobile agent is a factor that affect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entire distributed system, it is necessary to find efficient migration methods of the mobile agent within the sensor network and to collect and store data related to various components(server, sink and sensor node) of the sensor network, thereby providing consistent naming services.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Table that is divided into MetaData where information on the sensor data server is stored and SubMetaData whe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sink nodes and data on sensor nodes connected with the sink nodes is stored. Moreover, the paper also presented the implementation of forward migration of an active rule mobile agent applying the naming method based on RMI that used the meta_table and propose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efficient sensor network application environment. In this paper, for registration, release and retrieval methods suitable for new sensor network environmen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naming agent by applying J2EE model based on RMI-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