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두천 악취관리지역 지정 타당성 연구

        이양주,윤은주,이현이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8

        동두천시는 (주)마니커, 지방산업단지, 상패동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 양주 하패리 지역으로 인해 악취민원이 3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2007년 경기개발연구원은 해당지역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관리의 필요성은 있으나 관리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은 타당성이 낮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유영성, 2007). 동년 악취관리지역의 지정기준이 다소 완화되었다. 악취관리지역 지정요건은 본래 악취민원이 3년이상 지속되고 악취가 배출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로 규정되어 있었으나, 악취방지법 일부개정에 의거 2008년부터 악취 민원이 1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지정기준이 완화되었다. 동두천시 악취 민원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결국 시는 경기도에 악취관리지역 지정 및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적용을 요청하였으며, 경기2청사는 이를 근거로 2008년 8월 경기개발연구원에 정책과제로 요청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두천시 일원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 악취 민원 자료 검토 및 현장 조사를 통해 (주)마니커, 지방산업단지, 상패동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 양주 하패리 지역 4곳을 악취관리지역 지정 타당성 검토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그동안의 악취 민원의 추이, 관리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된 대상지에 대해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악취오염도 검사를 2월에서 7월까지 매달 1회씩 6회 이상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지방산업단지는 2월, 3월, 4월, 5월 모두 기준 이내이었지만 7월의 3변의 검사 중 1번 기준을 초과하였다 즉, 지방산업단지는 “간헐적으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로 해석할 수 있다. 상패동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 (주)부림텍은 2006-2007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2008년과 2009년에는 모두 기준 이내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에덴농산은 과거에도 초과한 경우가 있었고 2009년에도 3월, 4월, 6월에 기준을 초과하였다. 즉, 일부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일부 업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악취오염방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양주시 하패리는 과거에 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이 있었지만, 2009년 6월까지는 초과하지 않았다. 다만, 2009년 8월 조사에서는 초과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최근에는 동두천시가 EM 사업을 관내뿐만 아니라 하패리에도 적용하는 등 많은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하패리의 축산시설로 인해 인근 주민의 민원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악취관리지역 지정여부 판단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마니커, 상패동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는 단위시설로서 이를 악취관리지역으로 개별적으로 지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나, 지방산업단지와 양주시 하패리 축산시설에 대해서는 악취관리지역으로서 지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지방산업단지는 인근에 아파트 건설 등의 현장 여건 그리고 악취방지법에 의한 법적 조건, 기존의 악취관리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할 때,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최근 아파트 건설업체의 부도로 인해 사업이 중단되어 지금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기 보다는 좀 더 시간을 두고 판단하였으면 한다. 셋째, 양주시 하패리 축산시설로 인해 수년간 지속적인 민원이 제기되어 왔으며 더 이상 악취로 인한 주민의 피해를 간과 할 수 없으며, 인근 신천 수질의 오염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위해서는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하패리와 상패동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는 계속되는 민원 및 시정요구에도 불구하고 일부 업체의 경우 계속적으로 악취오염도 측정 기준을 초과하고 있어 개별업체도 함께 지정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동두천 (1)지방산업단지와 (2)상패동과 양주시 하패리의 축사 및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는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는 있다. 다만, 어디부터, 어떻게, 언제부터 그리고 어느 정도 규모로 지정하여 관리할 것인지를 신중하게 판단하고 지역의 여론을 수렴하여 결정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동두천시는 작년부터 악취와 수질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EM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악취 개선을 위해 동두천시 관내뿐만 아니라 양주시 지역에도 본 사업을 적용해오고 있다. 아울러 대상지역 근처는 신천을 통해 양주시와 동두천시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여건을 감안하여 세 가지 정책을 건의하고자 한다. 첫째, 동두천시와 행정협의회를 구성하여 상호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이를 근거로 도비를 확대하고 국비지원 또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환경부가 두 개의 행정구역 이상이 수질처리시설을 협의하여 추진할 경우 국비를 더 지원해주는 정책을 집행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즉, 동두천시는 EM 사업을 통한 악취와 수질오염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양주시는 동두천시와 함께 EM 사업을 확대하고 신천의 수질 관리를 담당하는 것이다. 둘째, 지방산업단지의 경우 악취의 발생원에 대한 보다 정밀한 조사와 측정이 필요하다. 현재는 “단순히 특정 업체에서 간헐적으로 악취가 발생한다.” 수준인데, 실제 중요한 것은 악취발생의 인과관계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사업장의 최근 악취경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정책 의사결정에 유효한 기초자료가 추후 확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지방산업단지 전체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악취발생의 문제가 되는 개별사업장에 대해 악취중점관리사업장 지정 고려를 통한 적합한 관리방향을 선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악취 발생 사업장에 대한 악취중점관리사업장 지정ㆍ관리제도에 대한 도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경기도 조례 제정을 통해 악취중점관리사업장의 지정ㆍ관리 및 사업장 기술ㆍ재정적 지원의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 즉, 시설단위로 관리대상을 설정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 즉, 경기도 조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복싱선수의 경기스트레스, 심리적 자원 및 사이버불링의 관계

        이양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6

        이 연구는 중학교 복싱선수의 경기스트레스와 심리적 자원 및 사이버불링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중학교 복싱선수 240명을 표집을 하였고, 불성실한 자료 24부를 제외하고 21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오윤경, 이강헌(2005), 이양주(2018)의 경기스트레스, 김치범(2020), 박우영, 이양주(2021)의 심리적 자원, 그리고 김영희(2016)의사이버불링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복싱선수의 경기스트레스는 심리적 자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학교 복싱선수의 판정스트레스는 사이버불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학교 복싱선수의 심리적 자원은 사이버불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학교 복싱선수의 심리적 자원은 경기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과는 중학교 복싱선수들의경기스트레스는 심리적 자원과 사이버불링에 관여되고 있으며, 심리적 자원이 높을수록 사이버불링은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stress, psychological resources and cyberbullying of middle school boxer.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purposive sampling from 240 of middle school boxer. After excluding 24 data because partial part of the survey was missing or insincere responses were included, this study analyzed 216 data with SPSS WIN 24.0 through descriptive, facto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nalysis used the competition stress scale of Oh & Lee(2005) and Lee(2018), the psychological resources scale of Kim(2000) and Park & Lee(2021), and the cyberbullying scale of Kim(2016).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on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resources of middle school boxer. Second, the competition stress had positive influences on cyberbullying of middle school boxer. Third, the psychological resources had negative influences on cyberbullying of middle school boxer. Fourth, the psychological resources of middle school boxers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stress and cyberbully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etition stress was related to psychological resources and cyberbullying, and that higher psychological resources was associated with lower cyberbullying.

      • 강산벨트론 적용한 공간환경계획 연구 : 포천시와 과천시 사례 중심으로

        이양주,장누리 경기연구원 2022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이 연구는 작년(2021)에 정립한 경기연구원(이양주 외)의 강산벨트론을 적용해서 공간환경계획을 시도한 것이다. 공간환경계획은 말은 쉬운데 그 개념은 생소한 면이 많다. 환경계획을 공간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이다. 도시계획을 도면으로 하듯이 환경계획도 도면으로 하면 도시계획에 쉽게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 정의된 개념이다. 강산벨트(江山Belts)는 강줄기 산줄기에 일정한 폭을 부여한 생태망(Eco-network) 개념이다. 자연 지형에 기반한 생태망인 셈이다. 2018년 국토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제정한 국토-환경 통합관리 훈령은 7가지+∝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이 통합관리 사항을 강산벨트론을 적용해서 공간으로 표현 즉, 공간환경계획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포천시와 관련시를 사례로 한다. 훈령에 근거, 국토-환경의 통합관리사항 1은 생태계 보전과 복원인데 생태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2는 체계적 국토-생태적 연계인데 생태통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3의 에너지 절약과 전환에서는 통풍과 방풍을, 4의 온실가스 감축에서는 적재적소 탄소흡수원을, 5의 대기오염 감축에서는 통풍과 선형의 완충녹지를, 6의 물의 양과 질에서는 생태하천과 녹색 댐, 8의 경관에서는 통경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전문가들은 에너지는 바람길을 많이 언급하였다. 시간, 인력, 예산의 한계로 과천시와 포천시를 사례로 항목별로 예시로 제시하였다. (1) 강산벨트를 적용하면 서술에 머물렀던 환경계획을 공간으로 표현이 된다는 전문가 다수가 동의했다. 그러나 명확한 근거를 대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2) 체계적 국토-생태적 연계, 수량과 수질, 생태계 보호는 강산벨트를 골격으로 상호연결되어 보호하고 이용되어야 한다. 대기오염 감축 > 온실가스 감축 > 에너지 효율측면에서 공간환경계획에도 아주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3) 경관과 에너지는 다양한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바람길, 통경 등 지역의 여건에 따라서 지역의 환경문제를 잘 해결하는 주제를 잘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1번의 생태계 보전과 복원, 2번의 체계적 국토-생태적 연계를 같이 생각하고, 3번의 에너지, 4번의 온실가스, 5번의 대기오염을 같이 생각하는 것이 좋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경기도에 제안하는 정책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는 2022년 7월 현재 훈령에 의거, 계획수립협의회를 구성하고자 한다. 협의회는 훈령에서 규정한 7가지와 경관을 통합관리 사항으로 설정하고 내용을 계획하였으면 한다. 초기 단계이고 시군의 환경과 도시계획을 연계 추진하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접근할 것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생태계 보전과 복원) 생태축 계획을 대상으로 한다.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에 제안된 생태축으로 했으면 한다. (2-체계적 국토-생태적 연계) 1과 유사한 면이 많은데 생태통로 설치를 대상으로 했으면 한다. 일차는 경기도 도로에 의해 단절된 곳을 우선순위를 정하여 연간 3∼5개소 정도를 목표로 해서 사업을 추진한다. (3-에너지 절약과 전환) 바람길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별 바람길을 계획하는 것으로 한다. (4-온실가스 감축) 탄소흡수원을 확충을 포함하여 유역 내에서 생태계서비스를 높이는 사업을 하나 골라잡아서 시행한다. 생태계서비스를 높이면 결국 에너지를 덜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 탄소흡수원만 하게 되면 지속가능성에서 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5-대기오염 감축) 교통량이 많고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는 도로변에 선형의 녹지대를 조성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공기를 정화하도록 한다. 공간적으로 어려운 곳들은 녹색 커튼, 녹색 방음벽 등 다른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6-수량과 수질) 기존의 건강한 수생태계 복원사업을 계속한다. 특히 상류에 숲이나 저수지를 잘 보호하는 전략도 병행한다. 예를 들면 탄천, 포천천, 신천은 상류 숲이 절실하다. 각 지역 상황에 맞게 한 개의 사업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 (7-자원순환) 경기도 권역 관리 차원에서 매립장과 소각장을 통폐합이 필요할 것인데, 과제가 어려우면 더 쉬운 사업을 논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8-경관) 경관계획을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우선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경관 문제가 심각하여 다룰 주제는 많을 것인데 이 중에서 경기도가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를 하나 택해도 좋을 것이다. Study on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Using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Gang-San Belts) This study on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uses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gang-san belts) established by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Yangju Lee et al.) in 2021. The theory is an eco-network concept that assigns a constant width to river streams and mountain ridges, which form the basis of nature.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is the spatial expression of descriptive environmental planning. This study applies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to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for the eight matters subject to integrated management under the National Land-Environment Integrated Management Order. The two cities in Gyeonggi-do Province that serve as case studies are Pocheon and Gwacheon. The first matter subject to integrated management is ecosystem preservation and recovery, and the example given was ecological network. For the second matter of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national land and ecosystem, the example was ecological corridors. For the third matter of energy saving and conversion, the example was wind paths. For the fourth matter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example was carbon adsorption sources. For the fifth matter of air pollution reduction, the example was urban forests. For the sixth matter of quality and quantity of water, the example was up-stream forest. For the eighth matter of landscape, the example was landscape axis. Among the 40 exper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0% – 38.5% said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is possible if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is applied,” 2.6% – 33.3% said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is possible even without applying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and 56.4% – 88.9% said “applying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facilitates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is more useful when the theory of mountain range and riparian belts is applied. However, experts have pointed out the need for objective evidence, detailed analysis, and comparis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lans to conduct further research with more detailed planning and evidence using Gwacheon as a case study.

      • KCI등재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과 자아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이양주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sport confidence, self-resilience, and continue intention of high school boxer.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elected 213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rom high school boxer. With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analysis, factor,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WIN 21.0 & AMOS 21.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ort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boxer self-resilience. Second, the sport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 on their exercise continue intention. Third, the self-resilience had positive effect on their exercise continue intention. Fourth, the self-resilience partial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sport confidence and exercise continue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ort confidence and self-resilience increase exercise continue intention of high school boxer. 이 연구는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스포츠 자신감과 자아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213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은 자아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은 운동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자아탄력성은 운동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과 스포츠자신감과 자아탄력성은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운동지속의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