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참여몰입 및 관찰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애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긍정심리학의 대표적 주제인 몰입과 행복은 Csikszentmihalyi(1982, 2002)를 비롯하여 많은 심리학자들로부터 연구되었으며, 나아가 몰입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김귀례, 2013; 김두기, 2011; 김희정, 2009; 이현정, 2008; 정혜원, 2010; 조금이, 박현숙, 2011; Csikszentmihalyi & Hunter, 2003; Mihalko & McAuley, 1996; Wells, 1988)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몰입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하는지를 확인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리고 능력주의 사회로 변화해 나가는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능력이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자기유능감을 변인으로 한 국내연구 또한 많지 않다. 그래서 몰입이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서만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몰입이 유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김옥주(2012), 서동균(2007), 안경일, 서동균(2012), 정승환(2009)의 연구들과 유능감이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동호(2012), 박상혁(2012), 송영명(2011), Levesque, Zuehlke, Stanek, & Ryan(2004)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이라는 변인이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덧붙여 보는 활동을 통한 몰입을 주변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몰입연구의 수는 적으며, 몰입개념의 확장에 도움이 되고자 관찰몰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참여몰입 및 관찰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해 볼 필요성을 가지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자기유능감이 참여몰입 및 관찰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참여몰입 및 관찰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K대학교 학부생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Waterman, Schwartz, Goldbacher, Green, Miller, & Philip(2003)이 제작하고 장훈(2010)이 번안하여 사용한 참여몰입척도, Waterman, Schwartz, Goldbacher, Green, Miller, & Philip(2003)이 제작하고, 장훈, 김우정, 이애리, 허태균(2012)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관찰몰입척도, Hills & Argyle(2002)이 제작하고 장훈, 김우정, 이애리, 허태균(2012)이 번안하여 사용한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short scale, 그리고 Harter(1982)의 ‘지각된 유능감 척도(perceived competence scale)’와 Harter(1985)의 ‘아동용 자기 지각분석표(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를 수정·보완하여 송주환(2011)이 사용한 자기유능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113명(남자 54명, 여자 5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참여몰입과 관찰몰입, 참여몰입과 행복, 참여몰입과 자기유능감, 자기유능감과 행복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관찰몰입과 행복, 관찰몰입과 자기유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다. 둘째, 참여몰입은 자기유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여몰입은 행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유능감은 행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자기유능감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행복에 미치는 참여몰입의 영향력은 감소하여, 자기유능감이 참여몰입과 행복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찰몰입, 행복과 자기유능감은 각 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기 때문에, 관찰몰입과 행복의 관계에 있어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 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실제경험인 참여몰입경험을 통해 자기유능감을 느낄 경우 행복을 추구할 수 있으며, 참여몰입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이 부분매개 한다는 것과 관찰몰입이 행복 및 자기유능감과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어떠한 활동을 무조건 열심히 수행하는 것보다는, 수행할 도전의 수준과 자신의 기술수준을 적절하게 균형지어 직접적인 실제경험을 통해 몰입경험을 한다면, 수행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자기유능감을 느낌으로서 행복을 추구할 수 있지만, 보는 활동을 통한 몰입은 자기유능감 및 행복과 관련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적을 높이기 위해 공부하는 학생, 기록을 향상시키기 위해 훈련하는 선수 등 능력평가가 중요시 되는 사람들에게 간접적으로 보는 대리경험이 아닌 실제경험이 보다 커다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부부친밀감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이애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이 겪고 있는 중년기 위기감의 존재와 수준을 파악한다. 나아가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변인으로서 부부친밀감을 중심으로 이러한 변인들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중년기 위기감에 이들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분석하여 중년기 위기감 극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 극복 및 일상생활 적응 뿐 아니라 이들이 속해 있는 가정의 건강한 가족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40-59세에 해당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217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연구목적에 맞는 203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 progra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nbach'a 계수, 기술통계분석,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조사대상자의 중년기 위기감을 살펴보면, 중간 수준으로 중년기 위기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위기감을 보는 두 가지 관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기를 일시적 적응을 요하는 전환기로 보는 연구자들의 견해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중년기 여성들이 인지하는 '중년기 위기감'에 대한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여 그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본다. 둘째, 중년기 위기감에 대한 변인들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독립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자아존중감과 부부친밀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부친밀감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부부친밀감의 정적인 상관관계는 자아존중감에 대한 성차에 대한 연구결과로 설명되어질 수 있는데, 중년기 여성의 경우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대인간의 관계를 중시하므로 부부관계를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중년기 위기감의 4가지 하위변인들에 따라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보았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 위기감을 겪는 중년기 여성들에게 어떠한 변인이 중년기 위기를 적응하고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보다 중년기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Mid-life crisis existence and level that middle-aged women undergo is figured out in this study. Moreover, focused on middle-aged women's crisis influenced by self-esteem as personal variable and marital intimacy as family relations variable, looked into whether these variables have difference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ried to search specific plans used for overcoming mid-life crisis, analyzing relative influence among these variables in middle-aged crisi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overcome middle-aged women's crisis and adapt daily life through this, but to provide useful data to lead healthy family life that they belong to. 217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aged women aged 40-59 for this study in Busan and 203 copies of them which is adequate for the purpose is used for final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orrected data using SPSS 2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ecking on the mid-life crisis, it is shown as middle level. Looking at each sub-area, individuation and the loss of will for life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dissatisfaction with work and emotional crisis was measured slightly lower than the middle.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researcher's view that regards mid-life as turning point which requires transient adaptation at two different perspectives in mid-life crisis. However, since there is lack of specific information concerning 'mid-life crisis' recognized by middle-aged women, various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pports for them are solely needed. Second,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of self-esteem and marital intimacy on the correlation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r self-esteem is, the higher marital intimacy becomes.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women is explained with findings on gender difference about self-esteem. As middle-aged women put more emphasis on interpersonal relations to improve self-esteem, efforts for marital relation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ir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4 sub-variables of mid-life crisis is looked into and the marital intimacy is verified as the most beneficent variable to overcome the mid-life crisis for middle-aged women undergoing emotional crisis, health condition for individua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work, the self-esteem for the loss of will for life is shown as the most helping variable to overcome the mid-life crisis. By showing which variable supports to adapt and overcome mid-life crisis for the middle-aged women undergoing each sense of crisi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regarded as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middle-aged women life.

      • 응급실 의료환경개선을 위한 정보 서비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애리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emergency rooms in which recent medical service designs were applied, focusing on information services among medical service designs in order to solve various emergency room medical problems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emergency room.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design and the medical environment.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basic concepts of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service design were explored and considered, and detailed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improving the medical environment of emergency rooms according to the customer journey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service industry, the medical environment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reatment services, and classified into medical information delivery, hospital environment, and service. Through the approach from the aspect of information service design, the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c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medical environment in the emergency room were presented.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and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which ar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belonging to superior general hospitals, and Seoul Medical Center and Boramae Hospital, which ar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belonging to general hospitals, mainly for emergency rooms applied with domestic medical service design within the last 10 years. Selected. For evalu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focusing on the target of this case, it is divided into before emergency room service, emergency room service status, and after emergency 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journey.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through evaluation of nine detailed factors and interview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ults, an approach to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improvement of emergency room medical space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ase target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evaluation scale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was high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service design, service elements were applied evenly, and the medical environment was sufficiently improv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several factors. Therefore, the information service approach for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requires an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design as an approa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environment. Efficient, converged, and complex information services must be provided with sufficient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according to customer journeys for the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us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should reduce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patients, guardians, and medical staff by applying information service design in ord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use and function of each space by providing accurate and prompt information It requires active efforts from stakeholders. Since the emergency room is transforming into a space that has the function of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not just the function of treatment, the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ervice design of the emergency room is difficult to access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part from subjec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various experienced persons engaged in professional occupation. As a method, the information service desig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did not follow the existing service design process, but analyzed through the elements and items derived from the research, and after conducting an interview and evaluation with the overall bluepri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journey map of the emergency room users. The result was derived and a plan was sugges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effici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suggests guidelines in terms of information service design for improvement of the emergency room medical environment. From a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o be valuable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information service design to improve the medical environment of emergency room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overall medical service design beyond information service design in cooperation with all stakeholders using emergency rooms, and research on a more holistic and detailed approach.

      • 쇼팽의 'Andante spianato and Grand Polonaise brillante Op.22' 분석 및 연구

        이애리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쇼팽(Frederic Francois Chopin, 1810-1849)은 낭만주의 음악을 피아노로 가장 잘 표현한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낭만주의 정신에 조국 폴란드에 대한 정서를 담아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세계를 구축한 쇼팽은 자신의 섬세한 내면을 피아노 음악으로 표현하였고, 피아노를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악기로 부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쇼팽은 스케르초, 에튀드, 즉흥곡 등 다양한 장르의 피아노곡을 작곡하였다. 존 필드(John Field, 1782-1837)의 피아노곡에서 처음으로 소개 되었던 녹턴은 쇼팽의 작품에서 그 서정성이 더 한층 고양 되었고, 발라드는 쇼팽이 처음으로 그 이름을 피아노 곡에 사용하여 중요한 장르로 부각시켰으며, 폴로네이즈와 마주르카는 그의 애국적 정신이 예술로 승화된 작품이다. 쇼팽은 폴란드의 민족정신을 예술적 악곡으로 표현한 폴로네이즈를 총 16곡 작곡하였는데 그 중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그랜드 폴로네이즈 브릴란테, Andante spianato and Grand Polonaise brillante Op.22>는 피아노 독주용인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관현악을 위한 <폴로네이즈>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두 부분 모두 피아노로 연주할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오늘날 독주회용 악곡으로 많이 연주된다. 본 논문에서는 쇼팽 피아노음악의 전반적인 특징과 폴로네이즈의 역사와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고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그랜드 폴로네이즈 브릴란테>를 분석하였다. 서정적이면서도 고요하고 아름다운 분위기의 안단테 스피아나토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며, 화려하게 빛나는 선율과 박진감 넘치는 폴로네이즈 리듬의 폴로네이즈 역시 3부 형식이며 긴 종결부를 가지고 있다. 쇼팽은 서정적인 아름다움의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폴로네이즈의 대비를 통하여 큰 연주 효과를 내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Frederic Francois Chopin (1810-1849)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to express the romanticism music with piano. Incorporating the sensibilities of his mother land Poland into the spirit of romanticism to make his own unique music, Chopin expressed his delicate insight through his music and his own unique music with piano and played a critical role in making piano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usical instruments in romantic deriad. Chopin composed various piano music including those titled 'scherzo', 'etude' and 'impromptu' etc. Chopin was deeply impressed by John Field's nocturne and composed his own Nocturne. Chopin was the first to name ballad to explore a new genre. Polonaise and mazurka are his music that sublimated his patriotism into an art. Chopin composed total 16 polonaises that transformed his patriotism into artistic music, among which Andante spianato and Grand Polonaise briilante Op. 22 consists of Andante spianato for piano solo and Polonaise for orchestral music. However, both of the two parts can be played with piano, which is frequently played for solo in recent years.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opin's piano music and the history and musical features of Polonaise; an analysis of Andante spianato and Grand Polonaise brillante Op.22 is also provided.

      • 저소득층 학생들의 창의적 음악활동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애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음악활동에 참여한 저소득층 3학년 초등학생들의 활동 과정을 탐색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다양한 경험적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육을 학습하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징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주관적 경험의 해석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는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 안에서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독특성과 복잡성에 대하여 이해하며 경험이 전개되는 방식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K구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의 저소득층 아동으로서 5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연구자는 창의적 음악 활동 지도 교사로서 연구에 참여하여 총 18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창의적 음악 활동 과정은 녹화 자료로 기록한 후 참여관찰일지를 작성하였고 활동 결과물은 포트폴리오와 영상자료로 정리하였다. 매회 음악 활동이 끝난 후에는 연구 참여자들의 그룹면담을 실시하였고 18회의 모든 활동이 종료된 다음에는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 공익근무요원, 그리고 센터장과의 면담을 실시하여 창의적 음악 활동 시간 외의 생활에서 나타나는 연구 참여자들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얻었으며 센터 내에서 기록되고 있는 과목별 개별아동평가서를 참고하여 타 과목에서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활동 결과물 중 음악 감상을 표현한 그림은 미술치료사에게 분석을 의뢰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자료정리, 읽기와 메모, 범주화, 해석, 제시와 시각화의 다섯 단계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단계는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나선형으로 연결된 전체로서 사용되었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 수집과 출처를 사용하는 삼각측정 방법을 사용하였고, 동료 연구자의 조언과 지적을 통해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해석 결과에 대한 참여자 확인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가 실제의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매회 참여관찰일지 기록 후에 반성적 연구 저널을 함께 작성하여 연구의 객관성의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방해 요소를 미리 제거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창의적 음악 활동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정해진 하나의 정답이라는 제한 없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며 자신과 다른 의견의 차이를 인정하고 개성을 존중하게 되었으며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발전적인 교우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둘째, 다양성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 연구 참여자들은 음악을 주제로 한 대화 안에서 일종의 토론 형식을 구축하게 되었고 자신과 다른 새로운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서로가 서로의 아이디어를 자극하는 촉매역할을 하며 사고를 확장시키게 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흥미가 음악으로 전환되면서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게 되었고 결국 음악적 흥미가 수업상황의 주의집중력 강화의 매개체로 적용되며 학습의 흥미를 높이게 되었다. 넷째,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쌓게 되었다. 기존의 결과물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정답이라고 인정받는 제한된 사고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자신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의견이 음악적 결과물로 산출되는 과정을 경험하며 성취감과 자신감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는 곧 자아 존중감의 향상으로 이어지며 의사표현력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다섯째, 다양한 음악 활동 경험을 통하여 얻은 음악적인 성취감은 긍정적인 시각으로 현상을 바라보는 결과로 이어지며 발전적 가능성을 마련할 수 있는 내적인 동기 요소를 형성하게 되었다. 여섯째, 음악의 즐거움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들은 음악을 즐기고 이를 생활화 하며 일생상활에서 음악을 통한 기쁨을 찾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지니게 되었고 정서적 안정을 취하게 되었다. 그러나, 연구 후반부에 합류한 참여자의 경우 기존의 연구 참여자들과 달리 행동 결과의 문제에 대한 원인을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주변 환경 요소로 해석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형성하고 있었고 기존의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 초반에 나타내던 공격적인 성향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연구 참여자들의 참여 시기에 따라 경험의 결과가 다르게 해석된다는 연구 결과는 지속적인 음악 활동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음악에 대한 효과가 발현될 수 있으며 연구 후반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도 지속적인 음악교육을 경험한다면 충분히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의 바탕으로 음악 활동 참여와 경험 과정에서의 효과를 탐색하는 음악활동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창의성의 발현 과정에서 지적인 능력, 성격, 동기요소, 사회적 환경과 같은 하위 요소들이 관계 맺는 과정을 연구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요소를 투입하며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study mus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activities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music activities and analyzing their various empirical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 case study was used within a social constructionism paradigm which understands phenomenon through subjective empirical interpretations and the process of how distinctiveness and complexity of the participants were underst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 elementary 3rd grade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t local children’s center which is located in K-Gu, Seoul. A researcher is currently working as an instructor for creative music activities and she/he conducted 17-sessions program for this study. To collect the data, process of creative music activities was recorded, participants observation journal was written and the activity results were filed as portfolio and video feed. The participants’ group discussion after each music activity was performed and after all 17 session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made. Also, by interviewing with social worker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the head of the center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information of other aspects of the participants that are presented in other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creative music activities was acquired and their attitudes in other subjects by referencing individual chil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that has been recorded at the center was monitored. An art therapist was involved to interpret their mental states with their drawings while listening to the music.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with 5-step process, filing data, reading and memos, categorization, interpretation, presentation and visualization, and each step was connected to each other spirally circulating repeatedly. To obtain reliability of the study in relation to the derived results through analysis, triangulation method that uses various data and resources was used, adequacy and feasibility through peer debriefing was verified and analyzed results were confirmed by conducting member checks for the interpreted results to see if the analyzed results are actually understood correctly. Furthermore, any interference that can result in error to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is removed in advance by recording reflective research journals after each session’s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 The result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ho attended creative music activities show 6 distinguishing marks. Firstly, participants now share their thoughts with others without constraints of thinking that there is only single answ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veryone’s thought and individuality and formed constructive peer relationship based on diversity. Secondly, the participants who now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diversity formed a discussion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a subject of music and each participant played a role as catalyst which stimulates each other’s ideas during the process of sharing own thoughts with others and expend their thoughts. Thirdly, the participants became interested in music personally and now pay more attention on the lessons, and their interests played a role as a mediator which reinforces their concentration and raise their more interests in learning. Fourthly, they were able to go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at show them how to express themselves. They now have confidence to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unbridling themselves from constrained thoughts without just following existing results. And they formed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turning their opinions into the musical results, and this leads to the improvement of self-respect and improve an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Fifthly, sense of musical achievement gained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made them to look at the phenomenon more positively and form internal motivational factors that provides developmental potential. Finally,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s joy of the music now enjoy music in their everyday life and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o their lives with emotional stability. However, the participants who attended at the end of the study had negative views by pointing out their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ason for their problems of behavioral outcomes. Also, they showed aggressive personality that the existing participants had at the start of the study. The results that different participation time shows different outcomes addresses a possibility that continuous music activities will finally have the musical effects and if the participants who joined the study at the end could develop themselves if they experience continuous music education. Thus, based on this study, a future qualitative study about sustainability of the music activities, that investigate the effects during the music activities attendance and experience process is suggested. Furthermore, at the process of manifestation of creativity, it is expected that studies for the process of interactions among sub-elements such as mental faculties, personalities, motivational factors, social environment shall be conducted, and methods to improve creativity by applying proper elements, if necessary, shall be developed.

      • 울산지역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이애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recognised how important musical for children and research which kinder garden is teaching western and korean's music but understand the part of korean classical music program basically in the Ulsan kinder garden children. This essay is a goal with how teach the korean classic music course and be groped for acting their play. This research is revised before study's and is used the survey(Total 27Q). The surveys are analyzed in percentage and frequency. The result is this below. First, practices an instrument, sing and listen the music and educator teaches a folk song, th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 with drums and Jan-gu following the Ulsan music curriculums. Second, needs children can feel our culture and emotions form infant but they are not well their study because educator lacks knowledge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Third, notices that some of educator need to training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takes a short raining courses now, we have had a piano in child care field it means also when we teach the korean classical music must have Jang-gu, too. Forth, kinder garden keeps a percussion instrument are Jang-gu, drum, Jing, Kweng-qwu-li and So-go but those instrument are not served level of children purpose for teach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Fifth, not perform an incidental music for class and length of education is not following music curriculum for example they teach like this Good-ge-li, Se-ma-chi and Ja-jin-mo-li even 30%of teachers are not educate length. In sing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is most of teachers not teach received mode, vibration, raked in tone, and changing sound those practices are a special feature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listen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is most student is giving ear transmission of children's song and hearing creative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folk song, but some of teachers not turn on music, student can not listen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daily routine or naturally. Sixth, children are interested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achieve their studying is higher. Seven, also children's parents think their child effect learn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conclusion, this survey result is kinder garden educator knows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our area but education way, workship, instrument is indicated stage in the reality, and this survey shows us restraining for teacher, arranging music curriculum details is developing level.

      • 20세기 채묵화의 발전과 조형적 방법 연구

        이애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t clear that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which established its own creative techniques and styles, is a genre of Korean paintings. Th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possibility of forming new styles which can be an adequate alternative to existing styles of indian ink and color paintings for Korean painters who find it difficult to categorize due to the abundance of media and a variety of techniques will be considered.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is the term coined in the modern times, and it is a reasonable concept presented while the use of unclear terms such as Indian ink painting, color painting, oriental painting, and Korean painting, all of which refer to a traditional painting were mixed with one another. Thus, it is an objective term that reflects the flow of the contemporary art in which a variety of genres and techniques are mixed. In addition,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erm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the willingness to reject the separation between an Indian ink painting and a color painting and bigoted views about them as well as an effort to change perception of them and to reestablish the traditional painting is reflected. From the issues about the succession and reforms of traditional painters raised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possibility of gaining the quality of contemporary visual art with indian ink paintings and color painting mixed together can be discovered. Japan, the first country which started the course of modernization, was influenced by western modernism, and it developed its own coloring styles unique to Japanese paintings, and then the styles were harmonized with western modernism. In China, the values of the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were rediscovered internally, the realistic techniques of western art were used in indian ink painting, and a whole new quality of visual art was gained forming the term "Indian ink and color painting" and much more developed styles by encouraging coloring through changes of the art educational system. In Korea,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styles unique to Korea since it started to be modernized by Japan, there was a shift in the styles of visual art in modern times due to the end of the era of paintings and writings. After the liberation, with color paintings being excluded, the conflict between indian ink painters and color painters escalated. While indian ink painters were seeking the quality of comtemporary visual art by focusing on abstract paintings to emphasize spirituality, color painters were incapable of establishing national styles and modernizing them. the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which spread during this period demonstrated a new possibility of visual art in the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round the turn of 1980s. However, although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swam with the tide showing the harmony of indian ink and color, which can be expressed by mixing stone powder, chinese white, or various materials used in western paintings such as acrylic paint, acrylic medium, gouache, watercolors with indian ink, its own identity crisis couldn't be ignored. In this situation, to search for alternatives, the quality of visual art as contemporary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was estimated by exploring works of indian ink paintings and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s.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tarted the artist’s career in the late 1990s and has been absorbed in working on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s keeping pace with the current trends. The researcher has been striving to secure the quality of contemporary visual art while approaching to oriental artistic views of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fundamentally based on spiritual and visual artistic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In searching for modernity through the painting work with indian ink, which is essential for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the researcher experimented with a variety of techniques such as Kebi, Cabi, Jeokmuk, Pamuk focusing on Pomo. In addition, by using glue as an element of modernity, the visual artistic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presented by concentration, diffusion, and repellency of ink were discovered. Secondly, in the work with indian ink and color, restoral expressiveness of indian ink was shown through an extended technique of adding transparency of marble dust and quartz to indian ink to create colored indian ink and a complex technique of mixing indian ink and color and of overlaying many different types of stone powder to express multi-colored texture. Thirdly, indian ink and color separately composed the picture in the proportion of 8 to 2, 7 to 3, 5 to 5 to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hile the usual method in which indian ink is mixed with colors was not used. In addition, in terms of textures and expression techniques, both uniqueness and diversity were sought by using stone powder(marble dust and quartz). In this way, the visual artistic beauty of indian ink and color was shown the technique of mixing oriental materials and western ones to construct space in the picture. Lastly, the researcher aimed to establish pictorial imaginal expression of indian ink and color by using various techniques experimented with indian ink and color. As shown in the researcher's work, 'Another nature', the liberation of the human spirit which can be gained through nature is based on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In terms of brushing techniques, the researcher made the best of traditionality in brush and ink by expressing lines of literary paintings, eclectic lines, drawing lines as well as trying to verify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art by using the western techniques. Futhermore, with imaginal expression of blank space which stands for inner mental image and space which is filled with indian ink or colors, implicative space for indian ink and color which retains visual artistic value. Thus, by exploring the researcher's work, the misconception that indian ink and color painting is the process of painting with colors added to indian ink was cleared up, and the definition of it was taken a step further as a painting which can generate the effect of showing off materiality by using both techniques of color painting and indian ink painting and by mixing traditional ink with materials used in western paintings and can express the spirit of indian ink only with materials in western paintings. Therefore, it has been proved that the technical diversity and the visual artistic characteristic in extended imaginal expression of Korean ink and color painting can be a new alternative style for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본고는 채묵화가 현대미술에서 독창적인 기법과 양식을 확립하고 있는, 한국화의 한 장르임을 분명히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채묵화에 대한 집중 연구가 미비하기는 하지만, 오늘날 다양한 매체와 기법 실험으로 인해 범주화가 어려워진 한국화단에서 수묵과 채색의 적절히 조화시킨 채묵화의 기법들은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중·일을 중심으로 채묵화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채묵화의 현대적 조형성과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채묵화(彩墨畵)’는 근대에 들어와 형성된 용어이다. 전통회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수묵화와 채색화, 동양화, 한국화 등이 혼용되는 가운데 제시된 합리적인 개념으로서 여타 장르와 기법이 혼재하는 현대미술의 흐름을 반영한 객관적인 용어라 할 수 있다. 또한 ‘채묵화’라는 용어의 형성과정에는 수묵화와 채색화에 대한 오래된 이원적 분리와 편협된 시각을 지양하고 수묵과 채색에 대한 인식변화 및 전통회화의 재정립이라는 고민이 반영되어 있다. 근대에 한국과 중국, 일본 등에서 발생한 전통화단의 계승과 혁신 과정을 살펴보면 수묵과 채색이 공존하는 가운데 현대적 조형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먼저 근대화를 시작한 일본은 서구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으면서 일본화 고유의 채색양식을 더욱 발전시켜 서구 모더니즘과 조우할 수 있었다. 중국에서는 내부적으로 치열했던 전통의 계승과 혁신의 치열한 논쟁으로 인해 문인화의 가치가 재발견되었고, 수묵화에 사실적인 서구미술의 기법을 사용하는 미술교육체제의 변화를 통한 채색의 장려로 ‘채묵화’라는 용어의 성립과 함께 발전된 양식으로서 새로운 조형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근대화 자체가 일본에 의해 시작된 만큼 고유의 특수한 양식의 성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서화시대의 종말과 일본에서 유입된 동양화의 영향으로 근대적인 조형양식을 형성하였다. 해방 후 왜색적이라는 이유로 채색화단이 배척되면서 수묵과 채색의 이원론적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다. 수묵화단이 정신성을 강조한 추상을 내세워 현대적 조형성을 추구하는 동안 민족적 형식과 현대화가 부진해지자 채묵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들어와서 수묵화가와 채색화가들에 의해 채묵화는 현대 한국화의 조형미를 형성하는 새로운 양식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채묵화는 수묵과 채색의 조화, 즉 기존의 수간채색을 넘어서 수묵에 석채, 호분, 서양의 재료인 아크릴 물감, 미듐, 과슈, 수채화물감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그 고유의 정체성에 대한 위기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안을 모색하고자 연구자의 수묵과 채묵 작품 분석을 통하여 현대 채묵화로서의 조형성을 가늠해 보았다. 그 분석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채묵화 작업에 몰두하였다. 전통회화에 대한 정신적, 조형적 재해석을 기본으로 채묵화의 동양적 예술관에 근원적으로 접근하면서 현대적 조형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해왔다. 채묵화의 기본이 되는 수묵작업을 통해 현대성을 모색하고자 제작기법 면에서 발묵을 주로 하여, 갈필, 찰필, 적묵, 파묵 등의 다양한 기법을 실험하였다. 그리고 현대성의 한 요소로 아교를 사용하여 응집, 번짐, 반발 등의 효과가 지닌 조형적 특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채묵작업에서 채묵의 물리적 생성으로 수묵 위에 방해말, 수정말의 투명성을 활용한 수묵 표현의 확장된 기법과 다양한 석채를 사용한 다색의 재질적 표현으로 중첩된 석채의 발색과 수묵과 채색의 복합기법 등 수묵의 재생적 표현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기존의 수묵채색의 방식에서 하는 혼합식이 아니라 수묵과 채색 구성을 8대 2, 7대 3, 5대 5 등으로 구분 적용하여 그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 석채(수정말, 방해말)를 사용하여 독특한 재질감과 표현기법 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이처럼 동양의 재료를 넘어선 서양재료의 혼합기법으로 화면의 공간을 구축하는 채묵의 확장된 조형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이와 같은 다양한 실험의 채묵기법으로 채묵의 회화적 심상 표현을 더욱 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또 다른 자연’이라는 작업에서 볼 수 있듯이 자연을 통한 인간 정신의 해방은 동양의 전통사상에 기본을 두고 있다. 필법 면에서 문인화적 필선, 절충된 필선, 드로잉적 필선 등 심상 표현의 매개체로서 필묵을 구현하여 전통성을 살렸으며, 현대적 서구의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적 조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비어있는 여백의 사의적 공간과 색으로 채워진 색 면 및 묵 면을 통하여 심상의 또 다른 공간을 표현함으로써 조형적 가치를 지닌 함축적인 채묵 공간을 창조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자의 작품을 고찰하여 기존의 수묵에 채색을 곁들인 작품이라는 채묵화에 대한 오해를 극복하고, 채색기법과 수묵기법의 병용, 전통의 먹과 서양화 재료를 혼용하여 물성을 살리는 효과, 서양화의 재료만으로도 수묵의 정신을 살릴 수 있는 회화라는 보다 확장된 정의를 내릴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채묵화의 기법적 다양성과 심상 표현의 확장된 조형성은 현대에 맞는 한국화의 새로운 양식적 대안이라는 점을 입증해주고 있다.

      • 모차르트(W. A. Mozart)의 <레퀴엠(Requiem)>(d minor, K. 626) 분석 - 원전연주(Historically-Informed Performance)와 현대적 연주의 비교

        이애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헤르만 다누저(Hermann Danuser, 1946-)의 분석적 해석론을 근거로 하여, 실제로 연주된 작품의 ‘연주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가 미완으로 남긴 마지막 작품 <레퀴엠(Requiem)>(d minor, K. 626)은 그의 제자들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이후 많은 편집자들에 의한 판본이 출판되었다. 그 가운데 프란츠 바이어(Franz Beyer, 1922-)에 의해 편집된 판본으로 연주한 원전연주(Historically-Informed Performance)와 현대적 연주를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주 비교를 위해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Nikolaus Harnoncourt, 1929-)와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 1918-1990)의 음반을 선택하였으며, 연주 분석은 큐베이스(Cubas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악을 수량화 할 수 있는 템포(tempo)와 셈여림(Dynamic)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연구로 원전연주의 이론적 배경과 음반 해석의 역사를 제시하고, 큐베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였으며, 편집자가 제시한 모차르트 레퀴엠의 템포와 셈여림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소프트웨어 분석을 통한 템포는 그래프로 수치화 하였으며, 셈여림은 연주 진폭으로 나타내어 연주와 연주, 판본과 연주를 비교하였다. 필자의 연구 방법은 다양한 해석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wo actual performances of Mozart’s Requiem on the basis of Hermann Danuser (1946-)'s analytic interpretation theory. The Requiem (d minor, K.626), the final masterpiece of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was left unfinished and completed by his pupils. I compare, by using a computer software program, a historically informed performance by Nikolaus Harnoncourt (1929-) with a contemporary performance by Leonard Bernstein (1918-1990): both of them were played according to Franz Beyer (1922-)’s score. The comparison is concentrated on tempo and dynamics, which can be quantified by a Cubase program, a music sequencer software application for music recording, arranging, and editing. This thesis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istorically informed performance,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musical recordings in general, and the Cubase program. It also discusses the features of tempo and dynamics as interpreted by Franz Beyer. The digitalized analyses of tempo and dynamics were made into bar graphs in order to compare the historically informed and contemporary performances, and between the performances and the score of Franz Beyer.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new way of analyzing performances using the Cubase program.

      • 여성 소비자를 위한 프리미엄 흑맥주 브랜드 라벨 디자인 전략 : 하이트의 ‘스타우트’를 중심으로

        이애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맥주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마시는 술이다. 국내 다양한 주류 제품들 속에서 맥주는 주류 시장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맥주 브랜드와 제품이 한정 되어 소비자의 선택 폭이 좁았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하고 국민 일인 소득이 높아지며 윤택한 생활을 누리게 되었고 해외 여행객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다양한 맥주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났다. 이에 국내 맥주 시장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위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중심 시장으로 끊임없이 변해왔다. 하지만 맥주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 비해 한정적이며 그에 따른 한계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0년도에 20여종에 불과했던 수입 맥주는 현재 2000여종이 넘게 국내에 진출해 있으며 수입 맥주 전문점까지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맥주 시장은 두 브랜드로 전 세계의 맥주 브랜드와 경쟁 하는 구도가 형성 되었다. 이에 소비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시장에서 접하게 되었고 국내 맥주와 달리 제품의 디자인과 맛에서 인지도가 높고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외국 맥주를 소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2011년 현대 사회의 다양한 소비 형태는 소비자의 의식 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는 시장 환경에서 더 좋은 상품 선택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과 소비 생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소비 시장에서 여성은 가장 강력한 소비자로 떠오르고 있다. 대부분의 소비 생활에서 여성이 소비를 주도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주류 시장에서의 입지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주류 시장에서 국내 흑맥주 시장의 경우 하이트의 스타우트가 유일함에도 불구하고 강한 이미지와 맛의 특성 때문에 ‘남자들이 마시는 맥주’ 라는 인식이 대부분이다. 생산자는 소비자의 욕구 충족 및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최종 목표인 판매 증대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디자인의 중요성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패키지 디자인을 구성하는 한 요소인 라벨은 시각적 조형 요소로서,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실제적이고 즉각적인 의미 파악이 가능한 메시지를 선호하는 현대 소비자에게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유일 흑맥주 제품인 스타우트의 메인 타겟이 20대~30대 남성임을 알고, 새로운 주류 소비 계층으로 각광받고 있는 여성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한 흑맥주 제품의 라벨 디자인 전략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라벨 디자인을 통해 흑맥주 시장에 여성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국내 유일 저관여 제품의 강점을 살려 소비 촉진을 목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첫째, 국내 맥주 시장과 세계 맥주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흑맥주 브랜드 사례를 살펴본다. 둘째, 여성 소비자를 분석하여 본다. 여성 소비자들의 개념 및 중요성, 여성들의 주류 소비 환경, 주류 소비 시장에서 여성들의 니즈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여성 소비자 계층 중 본 연구의 타겟과 일치하는 콘트라섹슈얼의 라이프 스타일을 의생활, 식생활, 여가 소비 생활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셋째, 라벨 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 라벨 디자인의 기본적인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알고,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에 맞춘 라벨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본다. 라벨 디자인 방법에는 컬러, 타이포, 분위기, 유머, 미니멀리스트를 이용한 라벨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연구한다. 넷째, 연구의 주제인 스타우트 브랜드의 배경과 특징,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아이덴티티 및 광고마케팅 전략 등을 분석한다. 1991년 출시된 이래 2011년까지의 라벨 디자인 변화를 살펴보고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한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여성 소비자를 위한 흑맥주 스타우트의 라벨 디자인 컨셉을 구성하고 디자인을 제안, 활용 방안을 연구를 한다.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라벨 디자인 사례를 연구하고 컨셉에 맞는 로고타입,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레이아웃 등을 이용한 라벨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찾는데 기초를 두고 연구할 것이다. 제품 패키지의 라벨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들은 정보를 얻고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며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진다. 이는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을 갖게 만들고 가장 중요한 구매 결정으로 이어진다. 국내 및 세계 맥주 시장과 여성 소비자, 디자인 방법, 스타우트 브랜드의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흑맥주 시장에 여성 소비자라는 새로운 타겟층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여성 소비자를 위한 라벨 디자인을 통해 스타우트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 제고를 기대해본다. Beer is the most favorite alcohol beverage consumed by Korean consumers, and it takes a big portion of market share in alcohol beverage market. In the 1990s there were only few kinds of beer brands, thus consumers’ choice was limited. But, as internet users are GDP per capita increase, more and more people began to enjoy a decent life style. Wider foreign beer brands were enjoyed by those people. As such, Korean beer market emerged as a ““Consumer Market”” from ““Producer Market””. However there are still a limited of choices for beer brand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urrently, there are over 2000 foreign beer brands available in Korea, while there were only 20 such in year 2000. Today we can easily see foreign beer specialty stores in Korea. Korean beer companys are only two brands which compete with foreign companys all around globe therefore consumers can experience wide variety of beers in the market. as a result, consumers became to prefer foreign brands over domestic ones, mostly because of their superior package design and better taste. In 2011, variety of spending patterns in modern society made a huge difference in consumers’ mind sets. There are various innovative ideas and forms of consumption to select better items in the rapidly changing markets. In these consuming markets, women have emerged as powerful consumers. Women take the lead in the most part of spending and as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increases, women’s position in alcohol beverages markets is growing. However, in domestic dark beer markets, Hite’s Stout is the only product and recognized as "Men’s Beer" because of its strong image and taste. Producers are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goods and to meet consumers’ needs. And as part of the strategy to increase sales, producers are enhancing the importance of designs. Label, which is one of components of package designs, is a visual element that greatly influences consumers’ spending decisions. This is a direct way of communication with modern consumers who prefer practical and immediately understandable mess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label designs of dark beers that can appeal to women. We know that main target for Stout, which is the only dark beer product in domestic market, is men in twenties to thirties. By suggesting new label design, we want to attract women consumers in dark beer markets and boost spending by making the best use of low involvement products in domestic market. In this study, first,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er markets and examine variety of dark beer brands’ cases. Second, analyze female consumers. Examine how female needs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the concept or importance of female consumers, women’s alcohol consumption, the environment, and the needs of women in the mainstream consumer market. Analyze contra sexual life style which targets this research in terms of clothing habits, dietary life, and leisure consumption. Third, research label designs. Be familiar with basic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bel designs and analyze label design cases which are applied to variety of design methodology. Study method of label design classifying its use of color, typography, atmosphere, humor, and minimalist. Fourth, analyze topic of this research, brand Stout, in conditions of i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marketing strategy of advertisement. Examine changes in the label design since its launch in 1991 through 2011 and study the problems on analysis and its improv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form the concept of label designs, suggest designs, and study its usage of Stout Black beer for female consumers. We are going to examine case studies applying the concept of the label design and find a new way of using the conceptof the label design for your logo, color, illustrations, and layout. Product packaging design of the label allows consumers to get their information, reminiscent of the brand, and increase on brand loyalty. It provides credibility to products and brands to create leads to the most important buying decisions. We will be able to attract new target of female consumers in domestic black beer market through leading study of domestic and global beer market, female consumers, design methods and brand Stout. We look forward to improvement on visual image of Stout through label designs for female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