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재성의 형이상학으로 본 앙리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

        이아름 ( Lee Aru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본 논문은 들뢰즈-과타리가 『철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주장하는 내재성의 철학을 본질주의 · 비판철학 · 현상학의 구도와 비교하여 정의하고, 들뢰즈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한 사람인 베르그손의 저서 『창조적 진화』에 등장하는 생명철학을 내재성의 형이상학으로 분석, 이를 통해 내재성이 의미하는 바와 내재성을 사유하는 철학의 고유성을 규명하는 논문이다. 우선 생명 개념을 전체성과 잠재성의 차원에서 파악해 보고, 이 생명철학이 제시하는 경험의 지평과 존재의 지평 사이의 관계, 사유의 지평과 존재의 지평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 본다. 이를 통해 내재성을 사유하는 철학이 제시하는 새로운 철학적 구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내재성의 지평을 사유하는 철학이 제시하는 삶의 이미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결국, 이 논문은 베르그손에 이어 들뢰즈로 이어지는 새로운 철학적 경향은 ‘생명이라는 이름의 내재성을 사유하는 형이상학’으로 규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이 새로운 형이상학은 더 이상 신도 인간도 아닌 생명의 철학이다. 이 철학에서 우리의 삶은 더 이상 ‘외관’에도 ‘현상’에도 머물러 있지 않은, 전체 생성에 참여하는 ‘표현’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철학이 곧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선언 이후 초월성을 배제한 철학적 지평으로서, 신의 죽음 이후에 등장한 부조리의 문제는 이전의 본질주의적, 비판철학적, 현상학적 구도를 벗어나게 되면 해소되는 문제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article tries to show what the philosophy of immanence means and what philosophical characters define it properly, by analyzing the concept of life in Creative Evolution by H. Bergson as a metaphysics of immanence. First of all, the meaning of Life in Creative Evolution doesn’t indicate simply the sum of the living organisms. It means the Totality and the Virtuality as the intrinsic sources of its universal creation. Thinking the Life as Totality, Virtuality and Productivity is a metaphysical task beyond one’s empirical area. But Bergson’s philosophy of life shows us how we can think metaphysical things from and beyond the condition of human experience and how the experience can be constructed as we know in the evolutionary formation. This new metaphysics proposes a new way of thinking with regards to the relation between the empirical and the ontological level, not opposed. Our own life indicates no longer “appearance” opposite to “essence” in the scheme of essentialism, no longer “phenomenon” corresponding to its transcendental condition. Our life relates to and participates in universal Life Becoming. In this sense, it means “the expression”. This new metaphysical thinking is neither the philosophy of God nor of human, but of Life. We can call it as the philosophy of immanence as a philosophical plan without transcendence after the famous philosophical manifestation of Nietzsche: “God is dead.”

      • y경쟁역학내의 경쟁행위양식

        이아름(Lee Arum),최승호(Seungho Choi) 한국전략경영학회 2014 한국전략경영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4 No.4

        본 연구는 경쟁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기업 간 경쟁 행위를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경쟁 기업 간 경쟁 행위는 단편적이고 일시적이기 보다는 일정한 양식 (action pattern)을 이루고 있으며, 경쟁 행위 양식은 디스플레이 산업내의 다른 제품군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됨을 보여준다. 또한 각 제품군의 경쟁행위양식을 구성하는 행위 요소와 그 배열은 해당 시장에서 기업이 시장에서 가지는 위치에 따라 (시장 추격자 vs.시장 선도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쟁 기업의 행위는 경쟁자와 자신들의 과거의 경쟁행위 경험에 대한 학습을 통해 경쟁행위의 일정한 양식으로 나타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itive action patterns of firms in the display industry. This study consider firms’ competitive actions as regular and continuous events rather than punctuated o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firms have competitive action patterns that is a repeated form of competitive behaviors as the outcome of learning about their and the competitive behaviors of their rivalries over time.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status of firms as market leaders or followers affects the components and arrangement of their competitive action patterns.

      • KCI등재

        경쟁행위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아름(Arum Lee),최승호(Seungho Choi) 한국전략경영학회 2014 전략경영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경쟁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벌어지는 기업들의 경쟁행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와 달리 경쟁 기업 간 경쟁행위를 연속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경쟁행위유형(competitive action pattern)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개념을 소개한다. 기업들은 일정한 기간 동안 동일한 경쟁사들과 여러 제품군에서 지속적으로 경쟁행위를 교환함으로써 경쟁행위에 대한 학습을 하게 되고, 이러한 학습은 기업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경쟁행위유형의 형성을(competitive action pattern) 가능케 한다. 본 논문은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내용 연구를 통해 기업의 경쟁행위는 일정한 유형을(action pattern) 이루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기업의 경쟁행위유형은 디스플레이 산업내의 다른 제품군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제품군의 경쟁행위유형을 구성하는 행위 요소와 그 배열은 해당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위치가 시장 추격자 또는 시장 선도자 인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This study examines competitive action patterns in the display industry. This study considers firms’ competitive actions as regular and continuous events rather than punctuated o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firms have competitive action patterns that is a repeated pattern of competitive behaviors as the outcom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bout the competitive behaviors of their rivalries while competing the same rivalries over time across multiple product markets.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status of firms as market leaders or market followers affects the components and arrangement of their competitive action patterns.

      • KCI등재

        창조적 진화에 대한 두 개의 시선

        이아름(Arum Lee)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3

        본 연구는 베르그손과 종합진화론에 따른 ‘창조적 진화’ 개념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베르그손의 ‘실증적 형이상학’의 이념을 해명하고 실증적 형이상학과 실증과학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실증적 형이상학은 경험과학들로부터 사실에 관한 자료들을 참조하여 이러한 사실들이 수렴하는 ‘사실의 선’을 따라 경험을 설명하는 가설을 제시한다. 그런데 실증적 형이상학은 이 주장 내에서 고찰된 과학이론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근거로 제기되는 반론과 종종 마주한다. 이러한 반론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우리는 ‘창조적 진화’를 둘러싼 베르그손과 도브잔스키의 두 가지 다른 시선을 비교 고찰해 볼 것이다. 첫째로,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 1장에서 전개된 엘랑 비탈 가설의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 도브잔스키의 『진화에 관한 시론』 마지막 장 〈창조적 진화〉에서 그가 제시하는 ‘창조적 진화’란 무엇인지, 진화의 ‘창조성’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어서 앞서 분석한 두 텍스트의 내용을 중심으로 ‘창조적 진화’에 관한 서로 다른 두 관점의 대립지점을 분석한다. 베르그손에게서 ‘창조적 진화’란 개체를 관통하는 흐름인 생명이 진화의 역사 속에 펼쳐지는 끊임없는 창조적 활동인 반면, 도브잔스키의 ‘창조적 진화’란 생식과정의 결과로서 생겨난 각 개체의 유전자의 고유한 조합의 창조를 의미한다. 창조적 진화에 관한 두 이론은 과학의 발전에 따른 시대적 격차의 문제를 넘어서서 “진화론적 창조는 요소들의 종합으로 이루어지는가?”, “자연선택은 진화론적 변이의 심층적 원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서 근본적으로 대립한다. 실증과학은 생명의 유기화 작업을 구성 요소들의 조립과 같은 제작의 작업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관점은 실용적인 영역에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익한 것이다. 베르그손이 과학에 대해 주장하는 요지는 실용적 영역의 논리를 순수 인식의 영역으로 확장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과학적 진화이론들은 상당한 수의 사실들에 적용된다. 그러나 실재는 과학이론이 취하는 부분적 관점으로 포착되지 않으며, 이러한 실재가 철학의 고유한 대상이다. 베르그손과 도브잔스키의 대립은 지속하는 실재에 대한 절대적 접근방식인 ‘직관’과 상대적인 접근방식인 ‘분석’의 대립이자, 넓게는 형이상학과 과학 간의 근본적 차이이다.

      • KCI우수등재

        들뢰즈에게서 ‘선험적인 것’의 의미

        이아름(Arum Lee)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7

        본 논문은 들뢰즈의 철학에서 ‘선험적인 것’에 대한 탐구가 어떻게 주관의 아 프리오리한 형식이라는 칸트적 의미에서 벗어나 존재의 구체적인 발생의 조건을 설명하게 되는지, 그 논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들뢰즈가 칸트적 경험의 가능조건에 대비해 제시한, 베르그손의 지각이론에서 경험의 실재조건을 분석한다. 베르그손은 경험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가운데 ‘실재와의 접촉’에 해당하는 조건으로부터 경험의 원천을 사유하는 데 이르며, 형이상학의 단초를 제시한다. 칸트의 인식이론에서 경험의 가능조건을 구성하는 감성, 상상력, 지성이라는 선험적 인식능력들의 ‘일치’에 관련한 문제를 제기한 뒤, 들뢰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실재 조건들을 탐구하는 선험적 연구를 전개한다. 베르그손적 분석에 비추어, ‘실재와의 접촉’과 관련한 들뢰즈의 분석은 들뢰즈의 감성론, 즉 강도론에 해당한다. 들뢰즈는 칸트의 설명에 따르면 ‘지각의 예취’에 해당하는, 우리 경험 안에 실재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그 ‘실재적인 것’을 발생시키는 원천인 ‘강도’를 제시하는 새로운 선험적 연구를 보여준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연구가 1인칭적 경험세계를 넘어서 3인칭의 존재론적 사유로 전개되는 논리를 목격하게 된다. This article aims at clarify the Deleuze’s logic of the transcendental investigation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which reached at the ontological level beyond the subjective a priori conditions of experience. Deleuze interpreted Bergson’s theory on perception as transcendental analysis of what makes possible our experience. Rather than Kant’s ‘possible condition’ of experience, Bergson proposes the real condition of experience and extends the study on the condition to that of source of experience, considering the real condition which concerns ‘the contact to the reality’ in our perception. After criticizing Kant’s possible condition of experience on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harmony among transcendental abilities, for example, sensibility, imagination and entendement, Deleuze suggests the new direction for transcendental study which inquires on what makes possible the experience. Comparing to Bergson’s analysis, Deleuze’s one about the contact with reality in our experience is developped as the theory of intensity, which is the source of genesis from which generates what we feel in the level of sensibility. In this sense, ‘the transcendental’ investigation has a meaning as ontological assertion.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감성조명 특성에 관한 연구 - 시지각 체험을 중심으로 -

        이아름 ( Arum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커피전문점 과포화 시대에 사람들은 차별화된 문화적 체험이나 시각적, 심리적으로 즐거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감성 공간을 선호하게 되었다. 현대인들은 인공광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빛공해에 시달리고 있지만 빛과 떨어져서 생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감성조명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인간에게 시각은 가장 발달된 감각기관으로 사물인지에 큰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외부 정보를 시각을 통해 얻어서 그 정보로 공간 속에서 시지각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 에게 감성적으로 차별화를 줘야 하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 감성조명의 역할이 크다고 보며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가 시지각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자료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 3가지와 시지각 체험 요소 3가지를 세부적으로 추출,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브랜드커피전문점 4곳 중 감성조명이 적용된 스페셜 매장 위주로 선정하여 현장 조사를 하였고 구조화한 분석 모형을 통해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와 시지각 체험 요소의 관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 후 종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각 커피전문점들은 일률적인 매장 구성의 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스페셜 매장을 통해서 다른 지점에서 경험 할 수 없는 감성조명으로 시지각 체험이 가능한 감성공간을 연출하려고 한다. 브랜드 마다 추구하는 감성공간의 연출이 다르지만 감성조명의 다양한 특성 요소들을 통해 다른 매장에서 할 수 없는 시지각 체험을 하여 경쟁 커피전문점과의 차별화를 추구하려한다. 감성공간을 구성하는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 중 밝기 대비와 형태는 공간의 시지각 체험 요소인 공간감, 투명감 그리고 흥미를 유발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요소인 쾌적함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색채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요소였다. (결론) 커피전문점에서 감성조명의 특성 요소들이 시지각 체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게 되었고 본 연구가 감성조명을 활용한 시지각 체험공간 연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차별화된 감성공간을 요구하는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감성조명을 통해 시각적,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생겨나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age of oversaturated coffee shops, people have begun to prefer spaces where they can experience different cultural interactions or feel visual, emotional, and mental pleasure or comfort. Although modern people suffer from light pollution due to injudicious use of artificial light, emotional lighting is still important factor, and humans cannot live without light. Also, vision is the most developed sensory organ of humans, and plays a major role in recognizing people, places, and objects. People obtain external information mostly by vision and experience visual perceptions of the spaces around them. This study shows that emotional ligh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rand coffee shops in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to customers. Its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on the visual perception of experience. (Method)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and reference material, this study extracted and classified three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and thre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elements in detail. It then conducted field survey focusing on special shops that applied emotional lighting among four brand coffee shops with a high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Then, using a structured analytic model, it 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emotional lighting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experience on a Likert scale of 5 points and made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each coffee shop tried to create an emotional space to create a specific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using emotional lighting different from what customers see in other coffee shops, specifically to attract those who want to deviate from uniform-brand coffee franchises. Each brand seeks a different display of emotional space, but they all chose differentiation from competitors of coffee shops by providing visual perception experienc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emotional lighting that create an emotional space include brightness, contrast, and shape, all of which have a strong influence on one`s sense of space and transparency, and all of which ar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elements of space and comfortability, the factors that cause interest and ease (whereas color appeared to have little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factors on the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a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display using emotional lighting. Such a reference could help more spaces to emerge where people can enjoy visual and mental comfort thanks to emotional lighting in the age that demands differentiated emotional space.

      • KCI등재후보

        중국유학생의 의무가입 의료보험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이아름 ( Lee Arum ),신재호 ( Sin Jae Ho ),장경헝 ( Zhang Jing Heng ),임기억 ( Ren Ge ),김민정 ( Kim Minjeung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9 금융소비자연구 Vol.9 No.3

        교육통계서비스에 의하면 2019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은 16만 165명으로 전년대비 1만 7,960명이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늘어나는 유학생 숫자만큼 외국인 유학생들이 국내에 거주하는 동안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일환 중 하나는 국내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입학과 동시에 ‘유학생 질병 상해보험’에 가입을 의무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유학생 보험(혹은 질병 상해보험)’은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으로써 국내유학생활 중에 발생하는 사고나 질병으로부터 경제적인 손실을 보장하는 보험이다. 연구에서는 과연 외국인 유학생들이 이 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가 어떠한지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이용 현황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체류 중인유학생들 중 대표적인 유학생 집단인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면접조사를 진행하였고,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보험용어 이해도, 보장내용이해도, 보험청구방법 이해도, 보험청구서류 이해도 모두 2점대로 대부분 보험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병이나 상해로 인해 보험금을 청구한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79.0%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보험 가입 시 충분한 정보제공을 받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71.0%로 높게 나타났고, 유학생 보험의 정보전달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서는 54.8%가 학교상담이 가장 좋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유학생들이 보험보장 내용 등과 같은 정보제공에 있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서 내용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언어지원서비스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2021년 2월말까지 한시적으로 유예된 외국인 유학생의 국민건강보험 의무가입이 시행되었을 때, 외국인 유학생들이 보험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점을 생각하여 제도시행 전 이러한 부분을 보완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2019 was 16,165, an increase of 17,960 from the previous year.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s, a system are in place to ensure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an live in a safe environment while living in Korea. This is that international universities are obliged to enroll in the International Student Disease Accident Insurance upon admission to Korean universities. International Student Insurance is a foreigner who is staying in Korea to guarantee economic loss from accidents or illnesses while studying in Ko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overall recognition of foreign studen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surance system, and how they are used. Among the international students staying in Korea,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interview with a representative group of Chinese studen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insurance terms, understanding of insurance contents, understanding of insurance claims method, and understanding of claims documents were 2 points. Second, 79.0%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did not claim insurance due to illness or injury. Third, 71.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y received sufficient information when they signed up for insurance, and 54.8% said that school counseling was the best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on international student insur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uggestion is as follows. In order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nsurance coverage, it should be easily solved and delivered, and various language support services should be activated. In particular, when foreign students who are temporarily deferred until the end of February 2021 are required to enroll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y should be able to make up for these areas before implementing the system, considering that they do not understand the insurance.

      • KCI등재

        위기의 시대, 협력형 거버넌스를 통한 데이터 생태계의 새로운 역량: 회복탄력성 그리고 순환경제, Gaia-X의 사례

        이아름 ( Arum Lee ) 한독경상학회 2022 經商論叢 Vol.40 No.5

        디지털 경제 시대, 모빌리티·금융·제조·농업·에너지 등 다분야의 디지털 정보들이 소통할 수 있는 산업 데이터 생태계는 미래 산업의 근간이 될 전망이다. 그런데 이러한 데이터 생태계는 단순히 디지털 경제의 기술적 수순으로 추진되는 것이 아니라, 질병·기후변화·전쟁 등 불안정한 위기의 시대에 문명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적극적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지원 하에 설립된 산업 데이터 생태계 Gaia-X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 분야의 Catena-X는 독일의 유수 자동차 기업을 비롯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을 이루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 등의 참여를 통해 자동차 산업에서의 디지털 혁신을 모색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혁신은 정보의 기록 및 추적기능을 활용하여 탄소 배출량을 엄격하게 추적하고 이를 줄이는 시도, 생산 분야의 단계에서 이미 배출될 폐기물의 순환을 위해 순환 경제 촉진을 위한 데이터 연결을 의무화 하는 시도 등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 방식을 보여준다. 자동차 산업 내 가치사슬의 카탈로그를 형성하는 데이터 생태계는 기존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 시 기민하게 새로운 연결을 찾아주는 역량 또한 갖추고 있다.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시기, 산업 영역에서의 위기 대처 능력, 즉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디지털 기술의 새로운 잠재력에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 생태계의 형성과 새로운 활용은 이 생태계의 운영원리와 방향성을 기민하게 결정할 수 있는 Gaia-X가 가진 협력형 거버넌스의 역량 덕분이다. 이러한 점은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공공 분야 및 산업계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술적 표준의 마련과 더불어 생태계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요구와 자율적 결정을 보장하는 신뢰가 구축될 때 데이터는 흐르기 시작한다. 이 데이터 생태계라는 거대한 도구는 그것을 형성하고 활용하는 인간의 지혜가 성숙할 때 비로소 인간을 위한 모습을 갖추게 될 것이다. In the era of the digital economy, an industrial data ecosystem where digita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mobility, finance, manufacturing, agriculture, and energy can communicate is expected to become the foundation of future industries. However, this data ecosystem is not simply promoted as a technological procedure of the digital economy, but is emerging as an active alternative to solving problems faced by civilization in times of crises such as disease, climate change, and war. Based on Gaia-X, an industrial data ecosystem established with the support of the European Union, Catena-X in the automotive field is looking for digital innovation. The innovations being attempted in this area include attempts to rigorously track and reduce carbon emissions by using the ability to record and track information, and mandating data connectivity to promote a circular economy for the cycle of waste at the production stage. It shows how to a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 data ecosystem, which forms a catalog of value chain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lso has the ability to quickly find new connections when crises happen in global supply chains. In times of heightened uncertainty, it is worth noting the new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ies to increase resilience in the industry sector. The formation and new utilization of this data ecosystem is due to the cooperative governance capability of Gaia-X, which can quickly determine the operating principles and direction of this ecosystem. This point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data ecosystem policy of the public sector and industry in Korea. Data begins to flow when the trust that guarantees the demands and autonomous decisions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ecosystem is secured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technical standards. This data ecosystem, which is a huge tool, will only take shape for humans when the wisdom to fashion and use it matures.

      • KCI등재

        생명의 표현으로서의 삶, 내재성의 지평에서 전체와 경험

        이아름 ( Lee Aru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76

        본 논문은 내재성의 지평이라는 새로운 철학적 구도에서 하나의 삶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논의하며 이러한 해석으로부터 내재성 철학의 실천적 의미와 초등도덕교육에 함의하는 바를 모색한다. 들뢰즈가 제시한 내재성의 철학은 전체로서 생명 안에 우리의 삶을 다시 위치시키고, 인간을 자연 안에 통합하여 현상과 본체의 대립적 구도에서 벗어나, 삶을 전체 생성 운동에 참여하는 생명의 표현으로서 제시한다. 이러한 철학은 내재성의 지평에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조하는 윤리를 예고한다. 뿐만 아니라 전염병, 기후 변화 등 시대적 문제에 요구되는 인간과 공존하는 존재들에 대한 책임의식을 마련한다. 이러한 점에서 내재성의 철학은 미래세대를 위한 도덕교육의 기초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how a life can be interpreted in a new philosophical scope on the plan of immanence and seeks the practical meaning of philosophy on imman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philosophy of immanence integrates humans into nature and presents life as an expression of LIFE, participating in the entire creation movement. This philosophy implies the ethics of creating a new way of life in the plan of immanence. In addition, it presents a philosophy that deviates from the modern subject philosophy and rethinking the relationship humans have with all other coexisting beings, which create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oexisting beings necessary for contemporary problem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and climate change. In this respect, the philosophy of immanence could present the basic philosophy of moral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