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수업에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활용한 관찰학습이 학생의 관찰능력,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시은 ( Shi Eun Lee ),최선영 ( Sun Young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1단원 ``식물의 세계``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관찰학습을 적용하기 위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을 개발하여 과학수업에 관찰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초등학생들의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원 차시별 관찰 대상 및 주제를 선정하고 다중지능 활용 교수?학습 방법 중 적합한 방법을 추출하여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관찰전략을 활용하는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를 구상하였으며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마다 개발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 중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수업에 투입하였다. 수업 실시 후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관찰 능력을 검사에서 학생들의 관찰 능력 수준을 상위단계로 발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관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인 진술문 구별하기, 정량관찰, 정성관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관찰 전략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으며 초등 과학 생물 영역 성취도 검사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은 점수를 받도록 하였다. 셋째,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는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자진성,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은 과학적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을 적용한 결과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은 초등학교의 과학 수업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으며 의미있는 과학수업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on observation skill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is study, the observation learning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was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examine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4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J located in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is study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pil`s enhancement of the observation ability(p<.05). Specifically, analysis of elements of the observation abilities, it was effective to increase abilities of classification of statements, qualitative observation and quantitative observation. 2.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roup using this developed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3. there were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arison and experimental groups in term of the scientific attitude.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s in the openness, spontaneity and creativity that are the elem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conclusi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bservation Training was useful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servation ability,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openness, spontaneity and creativity) an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설정에 관한연구

        이시은(Shi-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 초등학생의 정서적 목표 설정을 밝히고, 초등미술의 상상 표현에서 정서적 목표 설정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논의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생 103명(남 53명, 여 50명)이 참여하였고, 학년 구성은 2학년 48명(46.6%), 6학년 55명(53.4%)이었다. 연구 자료는 초등학생이 자신의 상상 친구를 표현한 그림 및 질문지이며 분석 방법은 본 연구에서 마련한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분석 준거에 의한 내용 분석이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및 교차 분석도 하였다. 결과 미술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상상 친구 표현에 드러난 정서적 목표 설정은 정서 유지, 정서 개선, 자기 보호 및 자유 환상 등 4가지다. 초등학생은 상상 표현에서 주로 정서 유지 및 정서 개선을 정서적 목표로 설정하였고, 자기 보호 및 자유 환상을 설정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2학년은 상상 친구 표현에서 정서 유지를 정서적 목표로 설정하는 경우가 현저히 많았고, 6학년은 정서 유지와 더불어 정서 개선을 목표로 설정하는 경우도 많았다. 결론 본 연구는 미술 활동을 통한 상상 표현에서 초등학생이 설정하는 정서적 목표를 정교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상상 표현에서의 정서적 목표 설정이 정서의 시각화, 정서 이해, 정서 조절 등에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e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goal-setting through imaginative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motional goal-setting in el-ementary art. Methods A total of 1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53 males, 5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rising 48 students (46.6%) from the 2nd grade and 55 students (53.4%) from the 6th grade. The research data consisted of drawings and questionnaires in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ed their imaginary companions.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emotional goal analysis criteria in imaginary expressions through art activities established for this study. T-test and cross-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by grade. Results Four emotional goal settings were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ions of imaginary companions through art activities: emotion maintenance, emotion repair, self-protection, and free fantas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inly set emotion maintenance and emotion repair as emotional goals in their imag-inary expressions and rarely set self-protection and free fantasy. In expressing imaginary companions, 2nd grad-ers focused on emotion maintenance as an emotional goal, while 6th graders emphasized emotion repair in addi-tion to emotion maintenance.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 emotional goal-setting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magi-native expressions through art activities and suggests that emotional goal-setting in imaginative expressions has educational effects such as visualization of emotio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음주와 음주동기

        이시은(Shi-Eun Lee),정혜경(Hae Gyung Chung),이수영(Soo Young Lee),소형석(Hyung Seok So),정문용(Moon Yong Chung),최진희(Jin Hee Choi),김태용(Tae Yong Kim)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0 중독정신의학 Vol.14 No.2

        Objectives: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a mental disorder that develops in response to catastrophic life events. Alcohol abuse or dependence is the most common co-occurring disorder among men with PTSD, and possible functional correlations are suspected.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rinking patterns and motives between patients with PTSD and a combat exposed control group. Methods:We recruited 92 veterans patients with PTSD and 79 veterans without PTSD for a control group, who had all experienced combat trauma in the Vietnam War. A detailed history of alcohol use,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Combat Exposure Scale (CES) and Drink-ing Motive Questionnaire were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Results:Patients with PTSD consumed alcohol longer and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TSD group, the AUDIT scores and coping mot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1). The difference in coping motive was still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UDIT score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hancement, social, and conformity motives between groups. Conclusion:Our data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atients with PTSD drink to cope with the negative affects including symptoms of PTS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of symptoms of PTSD may be important for optimizing the outcomes for patients with comorbid PTSD and alcohol use disorders.

      • KCI등재

        특집논문 : 제도로서의 "독자" ; 1950년대 "전문 독자"로서의 비평가 집단의 형성

        이시은 ( Shi Eun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1950년대는 남한 사회가 신생 독립 국가로서의 제도적 정비에 몰입하게 된 새로운 출발이었다. 문단적인 측면에서는 등단제도의 안정화로 문인의 재생산 구조가 확립되어 문단 규모의 급격한 팽창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비평가의 수 역시 급격히 증가하여, 비평의 장르적 독자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시도된다. 1950년대 비평과 비평가에 대한 제도적 접근의 일환으로 이 글은 먼저 대학제도 내에서 근대적 `학`으로 문학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과 문학장에서 비평이 독자적인 활동 영역을 확보해가는 과정이 상호 영향관계 아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새로 마련된 문인 생산 시스템을 통해 등단한 신세대 비평가들이 비평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며 비평의 고유한 지위를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이렇게 확립된 `전문 독자`로서의 비평가는 이후 월평의 형식과 내용 및 작품 이해의 방법론 등을 고민한다. 월평은 비평의 장르적 독립성과 창조성, 전문성 및 비평가의 역할과 지위, 특히 작가와 독자와의 관계에 관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소재가 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비평가 집단은 안정적인 재생산이 가능한 제도적 환경을 마련함과 동시에 작가나 일반 독자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지위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e basic framework of Korean society was established in 1950`s after the Korean war had ended the ideological conflic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quite anti-communistic way. The literary circles of the nation has expanded at that time, reproducing new writers on the basis of the stable platform system. The number of critics also increased, which leaded to strivings for the independence of criticism as a literary genre. The focus of this writing 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as a study in universities and the criticism as an independent activity in literary circles in 1950`s. The new generation of the critics have established their position and obtained the professionalism and the independence in the scene of Korean literature of 1950`s. The critics as `professional readers` considered form and content of monthly-review and took pains to find the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The monthly-reviews gave opportunities of discussing the independence and creativity of the criticism as a literary genre, the role and the position of cri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and writers. In this way, Korean critics have obtained the unique, different position from readers or writers as well as establishing a stable institutional self-reproducing environment.

      • KCI등재

        초등학생 상상의 과정 분석

        이시은 ( Lee Shi-eun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상상의 재개념화(이시은, 정영주, 박병기, 2014)에 기반 하여 초등학생의 상상 글쓰기 내용을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상상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의 상상 글쓰기에서 환기, 구성, 인식의 상상 과정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학년 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의 상상 글쓰기에서 환기의 하위요소인 ‘양’, ‘자기관련성’, ‘빈도’, 구성의 하위요소인 ‘시점’, ‘범주 변형’, ‘장애물’, ‘결말’, 인식의 하위요소인 ‘바람’, ‘의문’, ‘현실직시’, ‘계획’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학년 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3월부터 7월까지 초등학생 83명이 상상 글쓰기에 참가하였고, 이 중 상상 글쓰기 자료 75개에 대하여 내용분석 및 학년 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상상 과정으로 ‘구성’, ‘환기-구성’, ‘구성-인식’, ‘환기-구성-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였고, 학년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상상 과정의 환기, 구성, 인식의 각 단계에 포함된 하위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환기에서 빈도, 구성에서 범주 변형과 장애물, 인식에서 바람, 의문, 현실직시, 계획은 유의하였고, 환기에서 양과 자기관련성, 구성에서 시점과 범주 변형은 학년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이 상상하는 일련의 연속된 과정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것은 상상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차이를 반영하여 상상교육의 방법을 제안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ination, of which processes had been modeled as a three step of ‘attention’, ‘composition’, and ‘evaluation.’ This purpose was differentiated into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in the attention, composition, and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ination writings, and meaning, what are the content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ination, and how are they different by school grades? Second, in the ‘attention’ sub-components of amount, self-relevance, and frequency, in the ‘composition’ sub-components of time-point, category transformation, obstacle and ending, in the ‘evaluation’ sub-components of wish, suspicion, face reality and plan, what are the contents, and how are they different by school grades? A total of 83 data were collected from 83 students. The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for the quantitative data, The ANOVA procedure in IBM SPSS 21 was utilized to compare means of school grad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rocesses of imagination was ‘composition’, ‘attention-composition’, ‘composition-evaluation’, ‘attention-composition-evaluation’, which were significant and were not differently represented by school grades. Second, in the attention sub-components of frequency, in the composition sub-components of category transformation, obstacle, in the evaluation sub-components of wish, suspicion, face reality and plan, which were significant. And in the ‘attention’ sub-components of amount, self-relevance, in the ‘composition’ sub-components of time-point, category transformation were differently represented by school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usual information for th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imagination education, because this study displayed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a serial imagination precesses.

      • KCI등재

        초등학생 상상의 구조 분석

        이시은 ( Lee Shi-eun ),김미애 ( Kim Mi-ae ),박병기 ( Bak Byung-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상상의 3차원 구조(이시은, 정영주, 박병기, 2014)에 기반 하여 실제 초등학생의 상상을 내용 측면에서 살펴보고,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자원 차원의 지각체, 맥락, 정서, 의미에서 초등학생의 상상이 어떻게 드러나며, 학년 간 차이는 있는지, 둘째, 조작 차원의 분해, 변형, 확장, 조합에서 초등학생의 상상이 어떻게 드러나며, 학년 간 차이는 있는지, 셋째, 결과 차원의 통합성, 일관성, 신기성, 구체성, 실현가능성에서 초등학생의 상상이 어떻게 드러나며, 학년 간 차이는 있는지 등 세 가지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145명에게 총 580개의 상상 글쓰기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상의 3차원 구조에 기반 하여 내용분석 및 학년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상상자료에 자원, 조작 및 결과의 3차원 구조가 잘 반영되어 있었으며, 이런 반영의 양상은 학년 간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 상상의 내용 특성과 발달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포괄적 정보를 제공한 것이다. 상상의 내용 특성과 발달 양상에 관한 정보는 상상교육의 구체적 실천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ination, of which structure had been proposed to have three dimensions of `resource`, `manipulation`, and `consequence.` This purpose was differentiated into three research questions corresponding to each dimension. First, in the `resource` sub-dimensions of perception, context, emotion, and meaning, what are the content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ination, and how are they different by school grades? Second, in the `manipulation` sub-dimensions of disassociation, transformation, extension, and combination, what are the contents, and how are they different by school grades? Third, in the `consequence` sub-dimensions of integrity, consistency, novelty, specificity, and feasibility, what and how? A total of 580 data were collected from 145 students. The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for the quantitative data, The ANOVA procedure in IBM SPSS 21 was utilized to compare means of school gra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imagination was represented i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ination, and that the sub-dimensions, under their higher dimensions of `resource`, `manipulation`, and `consequence`, were differently represented by school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for th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imagination education, because this study displayed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atterns of students´ imagination.

      • KCI등재

        상상의 재개념화

        이시은(Shi Eun Lee),정영주(Young Joo Jeong),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상상을 재개념화 하여 상상의 본질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자는 상상을 ``과거 일화의 실재적 요소를 정신적으로 다루어 새로운 일화로 구성하는 인지적 과정``으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상상의 재개념화는 구조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였다. 첫째, 상상의 구조는 ``자원``, ``조작`` 및 ``결과``의 3차원으로 제안하였다. 자원은 ``상상을 하기 위한 일화적 정보``로서 지각체, 맥락, 정서, 의미를 포함한다. 조작은 ``상상의 자원을 정신적으로 다루는 사고 과정``으로서 분해, 변형, 확장, 조합을 포함한다. 결과는 ``새롭게 구성된 일화의 속성``으로서 통합성, 일관성, 신기성, 구체성, 실현가능성을 포함한다. 둘째, 상상의 과정은 ``일화의 환기``, ``일화의 구성``, ``일화의 인식`` 등 3단계 순환과정모형으로 제안하였다. 일화의 환기는 과거 일화에서 추출한 ``상상의 자원들을 기억 속에서 특별히 선택하여 주의집중 하는 것``이고, 일화의 구성은 과거 일화에서 환기된 ``상상의 자원들을 조작하여 새로운 일화를 생성하는 것``이며, 일화의 인식은 ``상상된 일화를 동화 또는 대조하는 것``이다. 구조와 과정 중심으로 상상을 재개념화 한 작업의 의의는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더불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imagination focused on its structure and processes. In this study imagination was defined as "the cognitive processes by which a new episode is constructed by mentally manipulating the real elements of prior episodes." First, the structure of imagination was proposed as three dimensions of ``resource``, ``manipulation``, and ``consequence.`` The resource dimension involves percepts, context, emotion, and meaning of the prior episodes. The manipulation dimension involves the thinking operations of disassociation, transformation, extension, and combination. The consequence dimension involves five characteristics of newly constructed episode: integrity, consistency, novelty, specificity, and feasibility. Second, the processes of imagination was modeled as a three step recurrent cycle of ``episode attention``, ``episode composition``, and ``episode recognition.`` Episode attention is the process to extract resources from the prior episodes and to pay attention to them. Episode composition is the process to manipulate the resources and to generate a new episode. Episode recognition is the process to acknowledge the imagined episode by assimilation and/or contra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discussed in that the reconceptualization of imagination can be contributable to the practices of imagination education and imagination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