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 GaN의 성장 온도에 따른 에피택셜 GaN의 stress relaxation 효과

        이승훈,이주형,오누리,이성철,박형빈,신란희,박재화,Lee, Seung Hoon,Lee, Joo Hyung,Oh, Nuri,Yi, Sung Chul,Park, Hyung Bin,Shin, Ran Hee,Park, Jae Hwa 한국결정성장학회 2022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32 No.3

        이종 기판과 GaN의 물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함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동종 물질을 완충층으로 사용하는 LT-GaN 방법을 사용하여 완충층과 성장 온도의 상관성을 자체 제작한 성장 장비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장 온도에 따라 표면에 형성된 LT-GaN 결정성에 변화가 있었으며, annealing 후 LT-GaN가 나타내는 결정성에 따라 epiGaN의 응력 완화 효과에 차이점이 있었다. 반면 LT-GaN의 높은 결정성은 다결정을 형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그 위에 성장하는 epi-GaN의 결정질을 저해하는 결과를 유발하였다.

      • KCI등재

        치아 기준의 악교정 수술용 석고모형 수술, 과연 가능하고 정확한가

        이승훈,오성섭,이충국,박경란,이상휘,Lee, Seung-Hoon,Oh, Seong-Seob,Yi, Choong-Kook,Park, Kyung-Ran,Lee, Sang-Hwy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1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3 No.2

        Purpose: Errors in orthognathic model surgery occur during the planning, measuring and/or moving of the model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to find ways to reduce these errors.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orthognathic model surgery technique (Yonsei method) which adopts the tooth point as the reference and the occlusal index as a moving vehicle for the model. Methods: The technique consists mainly of: 1)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lengths of model points, 2) fabricating and moving the occlusal index and 3) verifying the movement. Then we compared the accuracy of the Yonsei method to conventional methods, with special reference made to influencing factors. Results: Errors for the Yonsei method with the occlusal index were reduced to the range of 0.61~1.04 mm in three-dimension, providing a more accurate model surgery technique than conventional methods which have errors ranging from 0.77~3.11 mm. Conclusion: It provided us a more accurate model surgery techniqu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s onto the teeth and the use of occlusal index.

      • KCI등재

        HVPE 법을 활용한 GaN 성장 시 질화처리에 관한 연구

        이승훈,이주형,이희애,오누리,이성철,강효상,이성국,양재득,박재화,Lee, Seung Hoon,Lee, Joo Hyung,Lee, Hee Ae,Oh, Nuri,Yi, Sung Chul,Kang, Hyo Sang,Lee, Seong Kuk,Yang, Jae Duk,Park, Jae Hwa 한국결정성장학회 2019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9 No.4

        HVPE is one of the GaN single crystal manufacturing methods which has been commercially widely used due to its high growth rate. HVPE method consists of a number of processes, in particular the nitridation of the substrate prior to GaN grow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ystalline quality of the manufactured GaN single cryst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itridation for crystalline quality of GaN when it was grown on the sapphire substrate. The whole growth conditions except for the nitridation process were the same, and the gas flow rate supplied to the sapphire substrate was variously changed during the nitridation. Here, we examined the effect of nitridation via the surface characterization of GaN single crystal grown by HVPE. HVPE는 GaN 단결정의 제조 방법 중 하나로 빠른 성장 속도가 장점인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성장 방법이다. HVPE 법에 의한 GaN 단결정 성장은 여러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GaN 성장 전 기판의 질화 처리는 성장되는 GaN 단결정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사파이어 기판 위에 GaN 단결정 성장 시 기판의 질화처리가 성장되는 GaN 단결정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화 처리를 제외한 다른 성장 조건은 동일하게 하였고 질화처리 시 기판에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후 GaN 박막을 성장시키고, 성장된 GaN의 표면 특성평가를 통하여, HVPE 법에서의 질화처리 효과를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충청지역의 한국학생과 중국학생을 대상으로-

        이승훈(Seung-Hoon Yi)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한국과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내용은 t검정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다문화 유아 및 가정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전반적으로 한국 예비유아 교사들이 다문화 유아 및 가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이 더 긍정적이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자신감’은 중국 예비유아교사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과정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에서 이론중심 교육보다는 실습중심의 교육으로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childhood educators in Korean and Chines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interests in multiculturalism and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verall, Korean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multicultural children and famili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Kore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ir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it should be made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multicultural efficacy with practice-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theory-based education.

      •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안

        이승훈(Seung Hoon Yi),이성용(Seong-Yong Yi)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4 미래교육통합연구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심리안정실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특수학교심리안정실에 관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는 교육부의 협조를 통해 전국 182개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업무담당자들이 K기관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설문 시스템을 통해 2020년 9월 28일부터 10월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265명이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ver. 25.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안정실에 대한 설치 목적에 대해 237명(89.4%)의 교사들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심리안정실의 필요성에 대해 245명(92.5%)의 교사들이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효과성에 대해 232명(87.6%)의 교사들이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심리안정실 운영 방안에 대해 문제행동 학생의 휴식 공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심리안정실의 운영의 문제점은 심리안정실 설치 공간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심리안정실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심리안정실 관련 예산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일곱째, 심리안정실 설치 기준 모델에 대해 다양한 표준안을 제시하되, 학교의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심리안정실에 관한 정책적 제안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bout multisensory environment room(snoezelen)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method is survey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program(ver. 25.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37(89.4%)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knew about purpose of establishment of MER(snoezelen). Second, 245(92.5%) teachers answered yes about the need for MER(snoezelen). Third, 232(87.6%) teachers answered y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using MER(snoezelen). Fourth, the MER(snoezelen) was a resting place for students of problem behavior. Fifth, the problem with the operation of the MER(snoezelen) was the lack of space. Sixth,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MER(snoezelen) was budget support. Seventh, the installation model of MER(snoezelen) should be presented as a standard but school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policies.

      • KCI등재

        게임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재인과 주의지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승훈 ( Seung Hoon Yi ),이태수 ( Tae Su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게임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것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재인과 주의지속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의 음성인식 기술과 문장 읽어주기 기능 등이 포함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게임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 27명을 실험집단(14명)과 비교집단(1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게임 기반 언어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4주 동안 일주일에 4번 총 16회기의 중재를 투입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전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그림 낱말 카드를 활용하여 중재를 투입하였다. 실험 결과, 게임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중재를 받은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단어재인과 주의집중에서 더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어재인의 하위영역 중 유의미단어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유사단어와 무의미단어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게임 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재인과 주의집중의 유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game based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word recognition and the attention spa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and was consisted of 8 stages which contained 5 words in each stage. The validity of this application was reviewed by 10 special school teachers in terms of design, content appropriacy, and field applicabilit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this study selected 27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14 students) and a control group(13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language training with application, but the control group received language training with picture-word cards for 4 days in a week.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word recognition test and attention span.

      • KCI등재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이승훈(Yi Seung Hoon),장정애(Jang Jung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하여,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특수교사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전국장애학생 e 페스티벌(주최 국립특수교육원) 참석 교사 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은 3D 프린터에 관하여 대부분 인식하고 있으며, 3D 프린터의 특수교육 활용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3D 프린터는 특수교육을 위한 교수매체 개발과 직업교육에 활용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요구는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과 사례연구, 교사연수 및 세미나 등을 가장 요구하고 있고, 장애학생들의 직업교육과 교과수업용 교재교구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연구회 지원과 환경적 기반 구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특수교사를 위한 연수 및 세미나 확대와 교사 연구회 활성화가 필요하고, 학교현장에 관련 기기의 보급 및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장애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맞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적용을 위한 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special education use of 3D printer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results of the resear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stly aware of 3D printers and positive about the use of special education in 3D printers. And 3D printer recognizes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edia for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the demand for the special educational use of 3D printers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ase studies, teacher training and seminars. And to develop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tructional Media for Teacjing. To this end, it requires the support of Teachers Study Group and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3D printer in special education in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Teacher s training and seminar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revitalizeTeachers Study Group.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언어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승훈 ( Seung Hoon Yi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대표적인 사용자 편의 기술인 음성인식 기술과 문장 읽어주기 기능을 활용하여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것이 지적장애 학생의 빠르게 이름대기(rapid automatized naming: RAN)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음성인식 기술과 문장 읽어주기 기능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40개의 어휘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시에 5개의 어휘를 총 8차시에 학습하도록 개발한 게임 학습 이론 기반의 어휘학습 프로그램이다. 개발한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은 초등학교 특수교사 10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설계적인 측면, 내용 구성의 적절성, 현장 적용 가능성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지적장애 학생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 읽기능력이 부족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학생 27명을 실험집단(14명)과 비교집단(13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목표어휘를 학습하였고, 비교집단은 그림-단어 카드를 사용하여 목표어휘를 학습하였다. 두 집단에 적용한 언어훈련 프로그램은 1차시는 2회기로 구성하여 8차시 16회기(회기당 30분씩)를 주당 4회씩 4주간 실시하였다.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두 집단에게 RAN 검사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AN의 전체 점수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높아졌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향상되었다. 특히, RAN의 하위영역인 숫자영역과 색깔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 과제 수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스마트기기 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능력을 향상에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밝혔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students` RAN, using two representative user-friendly technologies of smart device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ext-to-speech technology. The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developed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consists of 8 periods, each period including learning new vocabulary words and playing games with them. The application program contains a total of 40 words, and 5 words are taught each period. The validity of this application program was reviewed by 10 spec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its design, content appropriacy, and field applicability. The review group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program was suitably designed and organized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at it is therefore applicable to other schools. The 27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who were not able to read properl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containing 14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containing 13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language training through the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4 days a week for 30 minutes each sess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language training with picture-word cards, 4 days a week for 30 minutes each session. The languag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8 periods, and each period has 2 sessions. In total, 16 sessions were provided for 4 weeks. Analysis of the data in this study included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test were a RA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reas of numbers and colors in RAN tests. Similarly,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areas of "words with meaning" in word recognition t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wa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students` RAN.

      • KCI등재

        청각장애 학생의 인터넷 게임 이용 실태 연구

        이승훈(Yi, Seung-Hoon),김정수(Kim, Jung-Soo) 한국게임학회 2014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 게임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청각장애 초 중 고등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각장애 초등학생들에 비해 중 고등학생이 될수록 방과 후 보호자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청각장애학생들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일반학생과 비슷하거나 많았으며,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과 인터넷 게임시간은 비장애학생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게임 사용 유형은 청각장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위험자 군으로 분류되는 학생의 비율이 많았고, 비장애학생과 비교했을 때 위험사용자 군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적 인터넷 게임 사용자 실태조사에서 장애학생들을 포함시켜야하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게임 과몰입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deaf students' use of Internet games by administering an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test to 201 deaf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left at home after school without their protector's presenc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daily sleep hours of deaf students were similar to or fewer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and the amount of their Internet access time and the one spent on Internet games were greater than that of non disabled students. As for the Internet user types, more male deaf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risk user type than female deaf students, and the number of deaf risk user typ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 disabled risk user type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n-going national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Internet game users should include disabled students an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s of computer games overindulge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 인식 비교

        이승훈(Yi Seu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예비특수교사들의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3, 4학년 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및 피셔의 정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관련 정보수집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공에 따라 반편견 교육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수교육 관련 과목 수강 경험과 장애학생 실습경험은 반편견 교육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과정에서 장애 관련 반편견 교육 활동을 확대하고, 교육봉사 및 학교현장실습에서의 장애학생 실습경험을 확대하여 두 집단 간, 반편견 교육의 인식 차이를 줄일 것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a plan to reduc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analysis, Fisher s Exact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of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anti-bias educa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depending on their maj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taking special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the hands-on exper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n effect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effect of anti-bias educa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reduc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nti-bias edu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y expanding the disability-related anti-bias education activities 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process and expanding the hands-on exper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and school fiel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