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교육용 프로젝트기반 웹사이트 개발

        이승수,유정수,Lee, Seung-Soo,Yu, Jeong-Su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4

        In spite of the fact that project-based learning ha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creation power and expansion of the spirit of inquiry, the project-based learning lesson was difficult to carry out in the classroom. The web overcomes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raditional schools.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online project-based website of children's education, based upon the extensive classroom use of multimedia materials to further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projects of discovery. The developed website shows the entire process used through out the project. This paper presents the project's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using multimedia and web.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for a mon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ffects of using the project-based website were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and generation of new ideas.

      • 한반도 주위 화산재해위험성과 연구동향

        이승수,Lee,Seung-Su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로 유럽 전역에 항공 장애가 발생하였고, 2011년 일본 남부 큐슈의 신모에다케 지역의 사쿠라지마 화산이 폭발하였다. 또한 2002년 이후 백두산의 화산활동 재개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화산 폭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화산재해는 화산재, 화쇄류, 화산홍수 및 이류, 화산지진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재해 요인이 다양한 시간과 공간 범위에 걸쳐 발생하는 복합재난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백두산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에 대한 극히 일부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화산재해에 대해 거의 연구된 바 없으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도 매우 소수인 실정으로 화산재해 대응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거의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화산재해에 대비한 사회적 요구 증대 및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우려가 논의되어 2012년 소방방재청 및 국립방재연구원의 재난안전기술개발 R&D사업으로 `백두산 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단(Volcanic Disaster Preparedness Research Center)`이 출범되었으며, 2012년 8월 1일부터 `화산재해 피해예측 기술 개발`, `화산재 피해 예방 및 관리기술`,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개발`, `화산재해 대응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구축`과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화산재해 피해예측 기술 개발`과제는 화산재 피해 예측 기술개발, 화쇄류-화산성 홍수 및 화산이류 피해예측 기술개발, 화산재해에 따른 사회 경제적 영향 예측 기술 개발, 화산성 지진으로 인한 국내 피해 예측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으며, `화산재 피해 예방 및 관리기술`과제는 화산재 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사회기반시설, 환경, 보건 및 산업분야에 대한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낙하 화산재 처리 및 활용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화산재해 대응 시스템 개발`과제는 화산재해 피해 예측 기술 통합 및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화산재해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화산재해 발생 시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체계적인 현장 대응 능력 확립에 활용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화산재해 대응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구축`과제는 화산재해 선진 기술 조기 도입을 위한 국제 전문가 그룹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 연구를 통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을 구축하여 관련 연구 분야 기술 지원 및 국제협력 창구의 일원화를 위해 활용될 계획이다.

      • KCI등재
      • KCI등재

        『西北界圖』의 만주지역 底本 연구

        이승수(Lee, Seung-su)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0 한국고지도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서북계도』 ‘만주지역’에 사용된 저본 자료를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그 지도의 보다 구체적인 제작 연대를 밝히며 지도가 특히 강조하고자 한 정보가 무엇인지 등을 확인했다. 『서북계도』는 복수의 자료를 종합·가공한 편찬 지도로, 지역과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저본을 사용했다. 흑룡강 일대를 그린 1첩은 옹정본 『성경통지』의 「흑룡강장군소속형세도」를 바탕 지도로 사용했고, 2-5첩은 강희 『황여전람도』를 사용해 성경·길림·닝구타 지역을 그렸다. 또한 이 두 지도의 바탕 위에 옹정본 『성경통지』에서 역참·행정 지명을 보충했으며 조선에서 사용해 온 소수의 지명을 추가로 기입했다. 『서북계도』는 만주의 교통·행정·군사 체계를 밝히는 것에 특히 주력하여 각 역참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고 역참의 노선을 그려 넣었으며 그것을 다시 조선의 교통망과 연결하여 양국의 교통 체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행정 지명과 군정 지명을 구분하고 각 지명들의 위계를 구분하여 당시 만주에 구축된 ‘旗民 복합 통치 구조’를 드러냈다. 특히 그 과정에서 부도통과 성수위로 구분되는 八旗駐防 체계를 표현한 것은 『서북계도』의 주요한 특징이다. 『서북계도』는 복수의 자료를 종합·편집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오류가 발생하고 완성도는 떨어졌지만, 만주 지리 정보의 질과 양 측면에서 동시대 다른 지도들과 비교할 수 없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This article tracked the original materials used in Seobukgyedo s Manchuria and identified more specific production dates and certain information that the map tried to emphasize. This map is a compilation map made by compiling and processing multiple materials, and so the original materials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ype of information. The first piece, which depicts the Amur River area, used a map in Shengjingtongzhi s Yongzheng edition and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piece, which depict Mukden and Girin Ula, used the Huangyuquanlantu as a main origin. On the basis of these two origins, this map supplement posts station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hengjingtongzhi and some old place names used in Chosun were also added finally. This map focuses especially on defining the transportation, administrative, and military systems of Manchuria, display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station and drawing a new red line, and connecting them with the Chosun s one to give a glimpse of the two countries transportation systems. Moreove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military fortresses were distinguished each and the respective hierarchies were represented. In this process it revealed the Manchu Eight Banners system and that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is map. Although Seobukgyedo was reduced in completeness due to various errors in the process of compiling various material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geographical information in Manchuria are incomparable to other maps of the same period.

      • KCI등재

        일반논문 : 박제가(朴齊家) 삶의 두 출로, 우정(友情)와 연행(燕行) -조선 후기 조청(朝淸) 신교(神交)를 살피기 위한 예비 검토-

        이승수 ( Seung Su Lee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8

        1790년 여름과 1791년 봄 북경은 역사상 한중 지식인이 가장 활발하게 교유했던 현장이었고, 그 주역은 박제가였다. 이 시기 박제가는 거의 100명에 가까운 청나라 지식인들과 교유했는데, 그것은 인간적으로는 물론 학문과 예술의 차원에서도 상당한 폭과 깊이를 갖춘 것이었다. 이는 이후 북경에서 유행한 한중 지식인 교유의 토대가 되었다. 도대체 이 시기 왜 박제가는 이토록 북경 지식인들과의 교유에 적극적이었으며, 역사상 유례없는 교유를 가능하게 했던 북경의 사회문화적 상황은 어떤 것이었을까? 윤리라는 외피 속에 감추어져 있는 우정의 심리적 기원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박제가의 우정은 조선의 주류 사대부에 대한 우월감과 열등감, 혐오와 동경, 적대감과 공포감 사이에서 탄생한 다분히 병리적인 것이었다. 박제가의 우정은 조선의 동류(서얼 지식인)와 청나라 지식인과의 관계에서 형성되었는데, 이는 ``조선·사대부``를 배제하면서 만들어진 안티테제이다. 박제가의 우정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조선의 중인 및 청조 지식인들과의 동일성이 아니라, ``조선 사대부``와의 불화와 갈등이다. 박제가는 홍대용과 만나면서 淸人과의 교유라는 삶의 새로운 출로를 발견했지만, 1778년 1차 燕行에서 청나라 지식인들과 거의 교유하지 않았다. 1777년 과거에 급제하고 정조 임금을 만나면서 세계와의 동일성이 회복되었기 때문이다. 박제가는 1차 연행의 전 기간을 『北學議』 저술 준비에 전념했다. 이후 박제가는 규장각 검서관 시절을 시작하는데, 40세에 가까워지면서 박제가는 관리로서 심각한 동일성의 균열과 회의감에 사로잡히게 된다. 박제가는 심각한 상실감과 회의감의 상태에서 1790년의 2,3차 연행을 맞이하게 된다. 1790, 1791년의 북경 교유는 이러한 박제가의 개인적인 처지 및 심리상태와 긴밀하게 관련된다. In summer in 1790 and spring in 191, Beijing was the site where the Korean and Chinese intellects deployed the most dynamic activities in the academic aspects. It was Bak Jega who led such dynamic activities. At that time, Bak Jega met around 100 intellects in Qing dynasty. The meeting was not one-off courtesy thing, but profound and extensive in the aspects of academics and arts as well as human relationship. Why was Bak Jega so progressive in exchanging with the intellects in Beijing at that time and what kinds of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in Beijing enabled such unprecedented exchange? As the preliminary work to solve such questions, this study traced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special friendship was formed by examining the life and career of Bak Jega. To this end, the psychological origin of friendship hidden in the ethical form was firstly discussed. The friendship of Bak Jega wa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s of Qing dynasty and the intellects in the same class(child of a concubine) in Joseon dynasty. It was the antithesis created by excluding Joseon and the nobility. What we have to consider first in the friendship of Bak Jega was the conflict and discord with the nobility in Joseon Dynasty, not the identity with the hereditary class of technical specialists in Joseon dynasty and the intellects of Qing dynasty. While Bak Jega who entered in government service in his late 20s devoted himself to the official duties for about 10 years, his position didn`t satisfy his ambition. As getting close to 40, Bak Jega was captivated by the serious crack in the identity and pessimism as the government officer. With severe sense of loss and pessimism, he had to visit Beijing as an envoy in 1790, the 2nd and 3rd visit to Beijing. The exchange with Beijing in 1790 and 1791 wa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of Bak Jega described above.

      • KCI등재

        1609년 여름 유몽인(柳夢寅) 연행(燕行) 길의 몇 장면 -압록강에서 광녕(廣寧)까지

        이승수 ( Seung Su Lee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0

        1609년 5월초 유몽인은 세 번째 연행(燕行)에 나섰다. 직책은 정사(正使)였다. 그는 11월에나 돌아오는데, 그 사이에 250수에 달하는 시를 남겼다. 이 시들은 유몽인의 내밀한 정서에서부터 세계관까지를 보여주는 다채롭고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한다. 이 논문은 250수의 시 중, 압록강에서 광녕(廣寧)에 이르는 20여 일사이에 지어진 52수의 시를 텍스트로 삼아, 당시 유몽인의 내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미시적 고찰은 한 인물의 특정 시기 생동하는 면모를 포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유몽인 및 그 시대의 전체를 이해하고 재구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먼저 논의한 것은 시의 형식이다. 이 구간에서 그가 남긴 시는 모두 52수인데, 그 중에서 12구 이상의 장편시가 20수나 된다. 이는 매우 특별한 현상으로, 그 자체가 통제되지 않은 격정(激情)의 분출이라는 특징이 된다. 당시 유몽인의 심리나 미의식이 함축·절제보다는 범람 및 방출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정치 현실에 대한 혐오, 여행이라는 특수 상황, 조선과는 다른 요동의 광막한 지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대화체를 활용한 입체적 구성과 시상의 역동적 전환은 부수적인 현상이다. 당시 그는 정국의 변화로 말미암아 1년 남짓 강요된 실직 상태였으며, 이로 인해 그의 건강과 심리는 매우 위축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떠날 때부터 유몽인의 심사는 몹시 불편했으며, 이러한 심리 상태는 지속된다. 하지만 유몽인은 상투적인 자탄이나 유약한 감상에 마음을 맡기지는 않았다. 넓은 세계의 체험에 대한 열망과 의지가 남달랐던 유몽인은, 불편한 심사 가운데서도 새로운 문물을 체험하고 견물을 넓힐 기대에 부풀어 있었으며, 사신으로서의 포부와 임무를 재삼 다짐하였다. 유몽인에게 연행은 고통스러우면서도 가장 신나고 가치 있는 일이었기에, 그의 정신은 늘 적절한 긴장을 유지했다. Yu Mong-In started the third diplomatic trip to Beijing in early May 1609. His title was the chief delegate. He wrote about 250 poems until he came back in Nov. Those poems form a variety of extensive spectrum showing his inner emotion and the view of the world.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thoughts of Yu Mong-In at that time by analyzing his 52 poems written during about 20 days from Aprokgang River to Guangning among his 250 poems. The microscopic investigation will be useful to identify the vital aspects of a person in a specific period and will be the important basis to understand and reconsider Yu Mong-In and the times when he lived. The first discussion was the form of poem, He wrote 52 poems in the route from Aprokgang river to Guangning, Of them, there are 20 long poems with more than 12 phrases, It is very special case. It is characterized as the uncontrolled burst of passion itself. Those poems showed the tendency of overflow and release rather than implication and restraint of psychology or aesthetic consciousness of Yu Mong-In at that time. Hatred against political reality, specific situation ``trip``, and extensive geography in Liaoning different from Joseon would have influence on those characteristics in combination. The dimensional structure using dialogue style and dynamic conversion of poetic concept were collateral phenomenon. Yu Mong-In was the unemployed for about one year because of the political change at that time. Thus, his health and psychology were very intimidated. Moreover, he was in very bad mood when starting the diplomatic trip to Beijing, His such mental state continued, However, Yu Mong-In didn`t give his psychology to conventional self-complaint or weak feeling. With unique enthusiasm and wills for experience in broader world, Yu Mong-In was very excited to experience new culture and enlarge the experience in spite of uneasiness. He pledged his aspiration and mission as the delegate again and again. Diplomatic trip to Beijing was painful but the most exciting and valuable for him. Thus, he maintained the proper tension in his spirit and mind.

      • KCI등재

        문학 : 패수설(浿水說) 산고(散考) -요동패수설(遼東浿水說)의 흐름과 전망-

        이승수 ( Seung Su Lee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6세기 『水經注』의 기록 이래 浿水는 평양의 대동강이라는 학설에 별이견이 없었다. 16세기 이후 이러한 견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몇몇 학자들은 여러 문헌을 근거로, 浿水는 요동에 있었다는 견해를 내세웠다. 이러한 견해는 일제강점기 민족사학자에 의해 계승되었고,해방 이후 몇몇 학자들은 방대한 논거를 통해 이 학설을 더욱 정교하게 입증했다. 浿水의 문제는 고대사의 강역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매우 뜨거운 주제이다. 하지만 이 주제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이상할 정도로 냉랭하다. 출판시장이나 온라인상에서 ‘浿水’는 뜨거운 논란의 대상이지만, 이 단어로 검색되는 정기간행물의 학술논문은 5편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무엇을 의미할까? 첫째, 이 분야에 있어 지식 형성의 계보와 유통 과정을 추적하기 힘들 정도로 학문적 대화와 지식의 교류가 마비되어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둘째, 앞의 이유와 관련해서 학계가 제공하는 정보가 지식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패수가 요동에 있었다는 국내 학설의 근거와 계보를 따지고 향후의 전망을 예측해본 결과이다. 이 주제는 국제적으로는 일제의 식민사학 및 중국의 중화사학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의 학문 경향과도 연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설이 학문 외적인 영향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결과이다. 문헌기록을 근거로 할 때, 위만조선 이전의 패수는 지금의 요동 지역에 있었고, 향후의 논의는 이러한 전제하에 펼쳐질 것이 분명하다. Since “Shui Jing Zhu(Commentary to the Rivers Classic)” written in the 6th century, there was no objection against the theory that Pae River was Daidong river in Pyeongyang. However, the doubt against such theory was raised from the 16th century. Some researchers insisted that Pae River was originally located in Liaodong on the basis of several literatures. That insistence was continued by the Korean historian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fter the independence, some researchers proved the theory using extensive range of grounds more elaborately. Pae River is the hot issu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river areas in the ancient history. However, the discussion in the academic circle on this issue is frozen enough to be considered to be strange. While Pae River is the hot issue for discussion in publication market or online, there are only 5 academic theses published in the periodicals which can be searched by this word “Pae River.” What does this phenomenon mean? At first, it reflects the situation that the academic discussion and exchange of knowledge are stagnated to the extent that it is hard to trace the genealogy of knowledg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is field. Next, information from the academic circle related to the first reason doesn``t satisfy the needs of the intelligent public. This paper analyzed the grounds and genealogy in the theory in Korea insisting that Pae River was in Liaodong and made the outlook on them. The subject in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colonial history of Japan and Sinocentrism history of China in the global aspects and furthermore to the academic tendency in Korea. It``s because the theory is not free from the impact by the external relationship of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literatures and records, Pae River was in Liaodong before Wiman Joseon and the further discussion will be based on this prem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