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반정육면체 알고리즘 및 단결성 성장로의 열해석에의 응용

        이승복,정진수,고상근,Lee, Seung-Bok,Jeong, Jin-Su,Go, Sang, Geun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2 No.7

        View factor determin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rmal analysis problems with surface radiation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view factors for complex geometries. Exact calculation of view factors for crystal growth furnace is essential due to not only its high surface temperature but the radiation shield, complicated heating system. In this study, view factor calculation algorithm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cylindrical crystal growth furnace. This algorithm is based on the Hemi-Cube Algorithm and the results obtained with this algorithm show good agreements with those of analytical solution. As an application of this algorithm, temperature profiles and heating value distributions for various furnaces are calculated and the shape criteria for better furnace are suggested.

      • 졸업영상에 나타난 영상의미 전달 효과

        이승복,전병호,Lee Sung-Bok,Jeon Byeong-Ho 한국콘텐츠학회 2006 게임&엔터테인먼트논문지 Vol.2 No.3

        교육에서의 영상매체 활용은 교수학습의 방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인성교육 측면, 학교문화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영상을 통한 정보의 전달이 갖는 적용 범위의 보편성, 전달속도, 정보 전달량의 효율성 때문이다. 이러한 영상매체의 효율성을 새로운 졸업문화를 만드는데 이용하고자, 졸업생의 3년간의 생활모습을 담은 졸업영상을 졸업식에서 보여 준 후, 영상에서 전달하는 의미가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로 생성되며, 졸업생의 행동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자신의 추억을 회상하고 다시금 기억하는 시간을 갖고자 하였던 졸업 영상의 기획 의도가 학생들에게 반영되었으며, 영상을 보면서 영상 메시지가 전달되는 동안 선생님에 대한 고마움과 친구들에 대한 우정이 깊어짐과 동시에 학교에 대한 애교심도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pplication of reflex media in educ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the aspects of teaching & learning method, humanitarian education and the culture of school lives. It has been resulted from the generality of the applicable scope within conveying the information, propagation veloc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amount of conveyable information through the reflex. To utilize this kind of efficiency of reflex media in producing new graduation culture, I intend to show students the graduate reflex including their 3years' school lives and try to find out its effect from them. And then with this result I have studied the changes of the students' behavior in the graduation ceremony.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intent of graduation reflex which aims to look back into their past and keep in mind it has been reflected to students. In addition it is prove ascertain their friendship and love for their school have been lifted while watching the reflex with transferring the media image message.

      • KCI등재

        이상화 시의 율격양상과 미적 특질 : 이상화 시의 전후기 구분문제와 관련하여

        이승복(Lee Sueng-B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8

        There are three types which meter of Lee sang-hwa's poems standing keeps. The first is based on stanza and emphasizes a form equivalence. The second is one stanza poem which cannot keep equivalence but systematic juxtaposition of part vocabulary leads. So this type creates units as repetition and context coat unit. And there is a type of prose poem at third. The general interpretation against poems of poet Lee sang-hwa was advanced and it was come above reconciliation that divided as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Usually the former term is recognized with symbolism tendency as poem <at my bedroom> and the latter term is recognized with the nationalism tendency as poem <does the spring come even in the field where it has taken away>. And like this opinion have two questions. The one is legitimate to divide as former and latter term. And the other is legitimate to interpretate the poem <at my bedroom> with only symbolism. In this study on metrics in poems of Lee, it confronts hereupon and approximately it observes a ratio standing aspect dividing actualness is meaningless and it divides even if but both are located it will be able to confirm inside scope of the former term. When trying to be like this, the poem <at my bedroom> is adopted the technique of symbolism from point it will be able to agree, but ultimate message of that work must be interpreted from nationalism background.

      • KCI등재

        <동유가>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이 글은 금강산 유람 체험을 다루고 있는 기행가사인 <동유가>를 대상으로 작자와 창작 배경, 서술방식, 그리고 작가의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유가>는 옥국재 이운영의 진외현손인 홍정유에 의해 1862년경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다시 조사한 결과 작자를 홍정유로 확정해도 무방하다. 홍정유는 병자호란 때 순절한 홍익한의 봉사손이고,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남겨 조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박규수ㆍ김윤식과 인척 관계에 있던 경화사족이었다. 홍정유가 가사를 창작하게 된 데에는 어릴 적 옥국재 가사를 익히도록 한 할머니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동유가>는 일기 형식을 통해 금강산을 오가는 여정과 견문에 대한 서술을 대폭 확대하였다. 유산 체험은 경물과 경물 사이의 시간이나 여정의 단절을 최소화하여 작자가 둘러본 모든 곳을 다소 빠른 호흡으로 제시하다가 인상적인 경물을 만나면 호흡을 늦추면서 그 모습이나 느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또 경물의 제시에 있어서는 감흥이나 주관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대체로 경물과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것의 묘사와 설명에 치중하고 있다. <동유가>에는 유교 이념이 탈색되어 있는데 이는 유자가 갖춰야 할 덕과 기상의 배양보다는 금강산에 대한 탐승 욕구와 낯선 곳에 대한 호기심이 여행의 동기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욕망과 호기심으로 인해 작자는 산수유기를 염두에 두고 일기 형식 속에 자기의 여행 체험을 모두 기술하려 하였는데 산수유기가 아닌 가사를 선택한 것은 다채로운 경험을 자유롭게 서술하고, 또 집안의 부녀자들이 읽도록 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작자가 이념적 환기를 거부하고, 경물과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것을 묘사ㆍ설명하려 한 것은 김창협과 그 문하에서 비롯된 사경적 사실주의 산수관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또 눈에 비친 모든 대상을 치밀하게 관찰하여 제시하려는 서술 태도는 주자학적 의리ㆍ명분론 일변도에서 벗어나 사회 현실을 직시하거나 모든 사물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본원과 이치를 궁구하고 해석하는 방향으로 학문적 관심의 폭을 확대했던 경화사족의 학문적 분위기와도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arrative method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Dongyuga, the Travel Gasa of Mt. Geumgang. This work was written by Hong, Jeong-yu in the mid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Hong, Jeong-yu is the descendant of Lee, Un-yeong who wrote the six pieces of Gasa in the 18th century. The writer narrates all the experiences of the travel by taking the diary form. He presents the most of natural features at a little fast speed. But when he encounters the very impressive sceneries, he represents them concretely at low speed. Mostly the natural features are described objectively. In this work the new literary view on the nature attaching importance to objective description is reflected. And this work was written in the inclination of knowledge concerned about social problems and the reasons of all things.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Dongyuga and the aspects of Travel Gasa written in th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정주가(定州歌)>의 구조와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1 No.-

        Jeongjuga is a work of Gasa written by Lee, Hi-hyeon in the early part of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It deals with Hong, Gyeong-rae's rebellion risen in 1811.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Jeongjuga. In Jeongjuga Hong, Gyeong-rae's rebellion is narrated from rising to being suppressed in order of time. But in this work the author did not pursue the detailed descriptions and organic relations of events and scenes. Instead of that the partial events and scenes are extended as occasion calls, and the related persons' attitudes or behaviors are represented critically. In this way it is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are to blame for Hong, Gyeong-rae's rebellion. Of course the author reproached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and their troops. But immediately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the author manifested that not only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but also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responsible for the pain and calamity of war, in spite of his social status belonging to the governing class. This author's consciousness provides Jeongjuga with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Jeongjuga and the aspects of Gasa in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순창가>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글에서는 옥국재 이운영이 창작한 가사인 <순창가>를 대상으로 그 창작 시기와 상황을 살피고, 작품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을 검토하였다. 이 작품의 창작 시기는 1760년 9월 이후부터 1761년 11월 사이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 작자는 부친의 임소인 담양에 머물면서 작품의 소재가 된 사건을 직접 보고 들었을 뿐 아니라 작품을 창작할 만한 심리적, 시간적 여유를 갖고 있었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인물의 발화와 서술자의 진술이 교대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작품 속에 집중적으로 제시된 인물의 발화 가운데에는 인물의 목소리로 여겨지지 않는 표현이나 진술이 있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의 주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작자가 인물의 발화를 집중적으로 제시한 이유는 작품의 대상이 된 사건에 대해 어느 정도 거리를 두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곧 작품의 대상이 된 사건이 작자 본인의 일이 아니라 작자와 신분이 현격히 다른 남들 사이에 벌어진 터무니없는 일이기 때문에 작자는 자신을 대변하는 서술자의 목소리로 그것을 재구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던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작자는 1인칭 독백적 표현이라는 가사의 장르적 관습의 영향을 받아 서술자의 목소리가 인물의 목소리에 개입하게 하기도 하고, 발화의 주체를 분명히 밝히지 않기도 하였던 것이다. 작자가 이 작품을 창작한 의도는 작품에 보이는 해학적 서술태도에서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작자는 작중 인물이 자기의 실수를 얼토당토않은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려 관찰사까지 나서는 송사가 벌어진 것을 한바탕의 해학적인 소동으로 바라보았고,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이 작품을 창작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arrative method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Sunchangga, one of the six pieces of Gasa written by Lee, Un-yeong in th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Sunchangga seems to be written between Sept. 1760 and Nov. 1761. In this work characters' utterances and narrator's narrations alternate. And occasionally the narrator's voices interfere in characters' utterances. The author wanted to see the characters and their happenings at a distance. So he represented the characters' utterances actively. But he was dragged into the custom of Gasa genre, namely the narrator's monologue. Accordingly the narrator's voices interfere in characters' utterances. The author recognized the happenings in this work humorously. In this point there is the writing intention of this work.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Lee, Un-yeong's works and the aspects of Gasa in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신도일록>에 나타난 유배체험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0 No.-

        이 글에서는 19세기 이세보가 지은 <신도일록>을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유배체험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세보는 당시 세도가인 김좌근과 김문근을 공적인 자리에서 비판하다가 신지도에 위리안치 되었는데 작자는 고통스런 내면 토로에 초점을 맞춰 자기의 유배체험을 서술하였다. 유배 여정의 서술에서는 매일의 날짜와 여정, 숙박한 장소, 그날 있었던 일과 감회 등을 자세히 제시하면서 질병과 추위, 부모와의 이별로 인한 아픔 등을 토로하고 있는데 자기의 유배가 부당하다는 생각, 그리고 과거와 대비되는 현재의 초라한 처지에 대한 인식은 그러한 고통을 한층 견디기 어렵게 만들었다. 유배 생활은 날짜를 밝히지 않고 유배지에서 겪은 일이나 느낀 감회를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있는데 유배지에 도착한 이듬해 여름까지만 다루고, 그 뒤에는 유배 생활 중에 느낀 감회를 92수의 시조에 담아 제시하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고립감과 외로움, 더욱 간절해지는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같은 심리적 고통, 그리고 병을 비롯하여 유배지의 열악한 환경에서 오는 육체적 고통 등을 토로하면서 해배에 대한 간절한 희망을 드러내고 있다. 시조 작품들에서도 마찬가지의 고통을 토로하고 있는데 한 가지 고통을 여러 작품으로 연작하여 형상화함으로써 그 심각성을 유배 생활의 일상과 관련지어 다양하게 구체화하고 있다. 이 작품은 빈번하게 시가를 삽입하는 방식을 동원하면서 작자의 고통스런 내면 토로를 중심으로 유배체험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작자가 스스로를 위로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작자는 자기의 유배가 억울하다고 거듭 해명하고, 마음속의 고통을 남김없이 드러내어 흐느끼듯, 넋두리하듯 쏟아냄으로써 고통을 가라앉히고자 하였다. 또 몸과 마음을 닦으면서 해배를 기다리겠다고 하여 해배를 갈망하던 조바심을 비롯한 고통을 달래려고도 하였다. 요컨대 이 작품이 스스로를 해명하면서 고통스런 내면을 토로하는 방식으로 유배체험을 서술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자기위로의 측면과 관련지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 마음의 고통을 흐느끼듯, 넋두리하듯 입에서 나오는 대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한문보다 국문이 더 적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국문으로 창작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cription of the exile experience and its meaning in Sindoilrok, written by Sebo Lee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Choseon Dynasty. The author was banished to a remote island because he criticized influential men of the time. Focusing on exposing his internal agony, he described his journey in exile, recounting the illnesses and cold, and anguish caused by parting from his parents. His thought that his exile was unfair, and recognition of the present circumstances, which were miserable, as compared to the past, made it difficult for him to bear the agony. He described his life in exile by narrating his psychological agony, and physical and material pain, as well as his earnest hope for his exile to be withdrawn. Including the works of Sijo at the end of this work, he clarified how painful the exiled life was by relating it to his daily life. Through the frequent insertion of poems and songs, the author described his exile experience while expressing his internal agony. This could be considered one way that he could comfort himself. The author tried to find relief by counting to explain that his exile was due to a false charge, by pursuing catharsis while fully expressing his internal agony, and by cultivating his inner peace.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should be understood as relating to self-comforting.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is work and other literary works related to ex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