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

        이승민,이종욱,Lee, SeungMin,Lee, Jongwook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3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정보요구 해결에 활용하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렇지만 기존의 정보행태 연구에서는 정보원으로서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14명의 설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식 및 이용률이 높았으며, 다양한 정보요구를 정보, 오락,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특히 정보요구 영역에 따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의 선호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은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는데 있어 무료, 쉬움, 개인정보 정책, 타인의 평가, 품질, 비영리단체, 디자인, 미디어 추천 등을 고려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가치는 정보원으로서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역할을 확인한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정보, 미디어, 모바일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어플리케이션 개선과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youth smartphone users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use smartphone applications to satisfy their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eds. Nevertheless, few researchers have addressed youth information behavior on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application use behavior of youth in response to their work- and everyday life- information needs. The author collected 114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enrolled in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usage and percep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were high, and they were us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applications to meet their information needs. In particular, their preference for application use differed by the type of information needs. Also, participants were considering cost, easiness, privacy policy, review, information quality, providers, interface design, and recommendation to choose applications. This study confirms the role of smartphone applications as an influential information source, and it also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for application developers.

      • KCI등재

        레이저 박리용 선형 빔 광학계의 빔 변환 모듈과 단축 형상에 대한 연구

        이승민,이광진,김대용,이상현,정진호,Lee, Seungmin,Lee, Gwangjin,Kim, Daeyong,Lee, Sanghyun,Jung, Jinho 한국광학회 2021 한국광학회지 Vol.32 No.6

        본 논문은 디스플레이용 OLED의 제작 공정에 사용하는 레이저 박리(laser lift-off, LLO) 장비의 선형빔 광학계에 대한 연구로서, M<sup>2</sup>가 큰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단축의 선폭을 작게 만들면서 공정심도를 깊게 유지하기 위한 빔 변환 모듈(beam transformation unit, BTU)을 포함한 광학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단축 형상을 슈퍼 가우시안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과 flat-top 분포로 만들 수 있는 광섬유를 사용하는 빔 변환 방식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is paper reports the study of the line-beam optical system of the laser lift-off (LLO) equipment used in the OLED manufacturing process. To obtain both a long process depth and a narrow width of the line beam, even with the poor M<sup>2</sup> value of the laser source,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optical system, including the beam transformation unit (BTU). We also propose optical configurations for the super-Gaussian distribution and the fiber-based BTU for the flat-top distribution.

      • KCI등재

        정보격차의 패러다임 전환과 지적 정보격차

        이승민,Lee, Seungm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1

        ICT 환경의 정착 및 넷 미디어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는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왔으며, 인터넷 상에 엄청난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의 진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지적 정보격차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정보격차의 요인들을 기반으로 정보에 대한 지적 능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함을 실증하였다. 특히 정보격차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되어 온 교육수준과 경제적 수준은 여전히 양적, 질적 정보격차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에 있어서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Due to the settlement of the ICT environment and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Net media, the quantitative digital divide based on access to information has evolved into the formation of a qualitative digital divide.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where enormous amounts of information exist on the Internet, there is a deeper intellectual digital divide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gital divide.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nges in digital divide resulted from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environment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 digital divide. It also demonstrated that the intellectual digital divide is not distinct from the exis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gital divide, but from differences in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ors of the existing digital divid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and economic levels, which have been the key factors of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still form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gital divide, and also act as the key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 digital divide.

      • KCI등재

        소셜미디어가 이용자의 정보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승민,Lee, Seungmin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1

        소셜미디어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이나 의견, 정보 등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는 반면, 무분별한 정보의 생성 및 전달로 인해 오히려 정보 환경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있다는 주장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가 사람들의 정보공유에 실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는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거나 이에 대한 의견이나 피드백을 입수하는 등 전반적인 정보활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의 신뢰도 저하, 불필요한 정보의 과다한 생성 등으로 인해서 정보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도구로써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도를 보이고 있다. 결국, 소셜미디어는 정보의 다양화와 양적 증대라는 장점과 함께 입수 가능한 정보의 신뢰도 저하라는 문제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Although social media is recognized as a Web service that allows people to share and utilize their own opinion, experience and information, it is also faced with some problems such as indiscreet information creation and sharing, which resulted in the decline of reliability of information. This research statist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information sharing. As a result, social media is an efficient information tool that can support information sharing and allow people to get feedback from other people. It also brought a positive effect on the entire information behavior. In contrast, it still has weaknesses in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decline of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xcessive creation of inaccurate information. Eventually, social media is an information tool that can support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and also incurs the decline of reliability of information.

      • KCI등재

        대체자료 서지레코드 연결을 위한 BIBFRAME 기반 연계 구조 구축

        이승민,Lee, Seungmi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3

        Bibliographic records for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using a flat bibliographic structure based on unit recor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be linked with other related resources in record leve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access to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research constructed a linking structure which adopted FRBR-based BIBFRAME structure to establish a bibliographic structure that can interrelate the bibliographic records with flat structure and the multi-level BIBFRAME structure. This research proposed a linking bibliographic structure that enables interlinking between bibliographic records for related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by composing upper-level linking property categories and interconnecting them to classes and properties of BIBFRAME. 단위저록 방식의 평면적인 서지구조를 통해 생성되는 대체자료 서지레코드는 레코드 수준에서 관련된 대체자료와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들이 대체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충분하게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BR 기반의 BIBFRAME 구조를 적용하여, 평면적인 대체자료 서지레코드와 다면적인 BIBFRAME 구조를 연결시킬 수 있는 연계 속성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 수준의 연계 속성 카테고리를 구성하고 이를 BIBFRAME의 클래스와 속성에 연결시킴으로써 레코드 수준에서 관련된 대체자료 사이의 상호 연계가 가능한 서지 구조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교육 기반 초등학교 수업 사례 분석

        이승민,Lee, Seungmin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AI education by analyzing cases of classes related to AI education in actual school settings. For this purpose, 19 classes were collected as elementary school class cases based on AI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lass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 was designed in a hybrid aspect of learning content and method using AI.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goals, action verbs related to memor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were found in 8 classes using AI from a tool perspective. When class was divided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rearrangement stages, the AI education element appeared the most in the development stage. 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ratio of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method of AI education elements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learning time for approaching AI education as a learning method was overwhelmingly high. Based on th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when designing the curriculum for schools and grades, it should be designed to comprehensively deal with AI as a learning content and method. Second, to supplement the understanding of AI,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number of hours in practical subjects 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secure information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AI 교육과 관련된 수업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AI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 교육 기반의 초등학교 수업 사례로 19개의 수업을 수집하였다. 수업 사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AI를 학습내용과 방법의 혼합적 측면에서 수업을 설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성취기준과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AI를 도구적 관점에서 활용한 8개 수업에서 기억, 이해, 적용에 관한 행동 동사가 발견되였다. 수업을 도입, 전개, 정리단계로 나누었을 때, AI 교육 요소는 전개 단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한편 전개 단계에서 AI 교육 요소의 학습내용과 학습방법의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학습방법으로 AI 교육을 접근하는 학습시간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 학년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학습 내용과 방법으로의 AI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둘째, AI에 대한 이해를 보완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실과 교과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시수 확보가 요구되며, 장기적으로는 정보 교과의 확보가 필요하다.

      • KCI등재

        흐릿함 농도 평가기를 이용한 국부적 안개 제거 방법

        이승민,강봉순,Lee, Seungmin,Kang, Bongs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0

        안개는 매우 작은 물방울이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국지적인 기상현상으로 지역에 따라 안개 양과 특성이 다를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안개로 인해 가시거리가 줄어들어 항공 교통 방해와 차량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보안용 CCTV 등 의 화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최근 10년간 안개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안개제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개가 없을 경우, 안개가 고르게 분포한 경우, 그리고 안개가 국지적으로 다른 경우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흐릿함 농도 평가기를 이용한 가중치 생성을 통해 국부적인 안개 제거를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 영상에 안개가 있다고 가정하고 안개를 제거하는 기존의 정적인 방식의 안개제거 방법의 한계점을 개선시킨다. 또한 벤치마크 알고리즘과의 정량 및 정성적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Haze is a local weather phenomenon in which very small droplets float in the atmosphere, and the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haze may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In particular, these haze reduce visibility, which can cause air traffic interference and vehicle traffic accidents, and degrade the quality of security CCTVs and so on. Therefore, in the past 10 years, research on haze removal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reduce damage caused by haze. In this study, local haze removal is performed by weight generation using a haziness degree evaluator to adaptively respond to haze-free, homogeneous haze, and non-homogeneous haze cases. And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atic haze removal method, which assumes that there is haze in the input image and removes the haze. We als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s with benchmark algorithms.

      • KCI등재

        문화자본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이승민,Lee, Seungm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1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ultural capital is construct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the cultur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lthough public libraries foster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support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ere is controversy about whether public libraries still affect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in the current evolved cultural environment. This research empirically verified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As a result, public libraries as cultural institu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access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and to experienc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which ar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different types of cultural capital. In addition, public libraries function to close the cultural divide and social disparities by providing equal opportunities to construct cultural capital for community members.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가 스마트 디바이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승민,Lee, Seungmi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2

        이 연구는 스마트기기 이용이라는 맥락에서의 다변화하는 정보격차인 스마트 디바이드의 형성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대부분의 요인들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해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적, 사회적 활동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입수한 정보의 가치 평가능력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확보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는 스마트기기의 활용을 통한 정보적, 사회적 이익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심화된 사회적 격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 디바이드를 유발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the smart divide, which is a multi-faceted digital divide that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use of smart devices. As a result, most of the factors of media literacy affec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relations and social network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which, in turn,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inform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In addition, media liter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etence to evaluate the value of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can be social disparity between those who have secured media literacy and those who do not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al and social benefits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which can function as a mechanism to generate the smart divide.

      • KCI등재

        디지털 자본의 형성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이승민,Lee, Seungmi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자본의 형성 요인을 디지털 접근과 디지털 역량으로 구분하고, 디지털 자본의 형성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참여와 정보서비스의 이용, 디지털 장서의 이용은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디지털 자본 형성과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장서 이용은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이나 온라인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디지털 자본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지식정보의 제공 역할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반 협력체계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해야 한다.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factors of digital capital accumulated both in personal and social level into digital access and digital competence, and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use of public libraries effects on the formation of digital capita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public library programs, the use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collections had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digital capital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In contrast, it was analyzed that the use of digital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reation of digital contents or reciprocal collaboration based on online networks. Therefore, in order for public libraries to fully support the formation of digital capital, they should not only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s a traditional role of public libraries, but also play a role as a digital-based coopera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