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관(睨觀) 신규식(申圭植)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숙화(Sookhwa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4 No.-

        본 논문은 예관(睨觀) 신규식(申圭植)의 순국 100주년을 맞아 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동안 신규식을 주제로 발표된 국내 학계의 연구 논문은 대략 38편이 있다. 이 가운데 신규식의 생애와 독립운동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고, 대종교와 관련된 연구가 4편, 신규식의 저술서인 『한국혼』과 여러 시문(詩文)에 관한 연구가 5편정도 있다. 상해에서 독립운동기지 건설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큰 발자취를 남긴 신규식의 업적에 비해 지난 연구 성과는 적은 수에 미미하지만, 이러한 선학들의 연구는 그의 업적을 규명하고 알리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신규식의 생애와 그의 항일독립운동의 성과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신규식에 대해 잘못 알려진 내용들이 후속 연구를 통해 수정된 사실들, 그리고 연구자들의 견해에 따라 쟁점이 되었던 주제들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신규식의 업적을 조명하는데 기여했지만, 신규식의 사상과 독립운동에 관하여 심도 있는 연구로 나아가지는 못했다. 성과로는 출생 시기, 망명 시기에 대한 오류들이 수정되었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신규식의 역할은 고찰되었지만, 일부 주제는 여전히 논쟁점으로 남아있다. 향후 신규식에 관한 연구는 대종교와의 관련성, 독립운동에서의 역할 및 업적, 중국 혁명가들과의 연대활동 등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며, 신규식의 시문(詩文)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xisting academic research and present future research tasks about the life and ideology of Shin Kyusik, an anti-Japanese activist. We find this is a fitting way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death. Around 38 research theses about Shin Kyusik have been published to date. Among these theses, the majority focus on Shin’s independence struggles, while four studies are related to Daejonggyo religion, and five studies are about his book, 『Korean Spirit』 as well as the various poems he also authored. The impacts of these theses may seem minor when compared to his accomplishments, which left a large footprint in the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however they are still valuable to inform us of his views and achievements.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facts about Shin’s acts are first introduced by classify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ir subject. Second, this study then examines some generally misunderstood facts about Shin’s life and his anti-Japanese activists, but those that were corrected through follow-up studies were also summarized. The views of the researchers on the contents of the issues are also expressed in this study. While previous studies have contributed to illuminating Shin Kyusik’s accomplishments to further Korean independence, researchers have not sufficiently delved into Shin’s ideology and his life as an independence activist. Errors concerning the date of Shin’s birth and the time of his exile to Shanghai have also been corrected through the follow-up studies, but his historic roles in establish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till remains controversial. In the future, when conducting in-depth research on Shin Kyusik,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focus on his ideology, his historic role and ideas in Daejonggyo Religion, and his solidarity with Chinese revolutionaries. It will also be worthwhile analyzing and discussing his poems to have a complete body of research about his life and ideology.

      • KCI등재
      • KCI등재

        경북인의 大倧敎 수용과 국외 항일운동-1910~1920년대 초 서간도에서 활동을 중심으로-

        이숙화(Lee, Sook-Hwa)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2 No.-

        1910~1920년대 초 국외 항일운동의 핵심 지역은 북간도와 서간도였다. 북간도는 주로 함경도・평안도와 서울・경기 지역 출신들이 이주하여 한인사회가 형성된 반면, 서간도는 신민회와 연결된 경북인들의 집단 이주를 통해 한인사회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서간도에서 항일운동 은 주로 신민회와 경북인들의 관계를 통해 조명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간도의 항일 세력은 대종교와 긴밀한 관계에서 형성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경북에서 이주한 ‘혁신유림’들이 대종교인으로서 혹은 대종교와 관계 속에서 1910년대 서간도의 독립군기지 건설을 추진했고, 나아가 이들이 3・1만세운동 이후 항일무장 세력으로 전환한 뒤에도 북간도의 대종교계 무장세력과 연결되었던 점을 밝혔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북지역의 대종교 수용과 확산의 주도세력은 근대적 신교육을 받은 ‘혁신유림’들이었다. 또한 경북 지역의 특성상 문중의 일가친척 중심으로 대종교 교인이 형성되었다. 둘째, 서간도에서 환인・유하・통화현 세 곳은 1910년대 독립운동기지가 건설된 곳이다. 그 배경에는 만주가 역사적으로 ‘한국인의 고토 지역’이라는 인식이 작용했다. 이와 관련하여 환인현에서는 동창학교가, 유하현에서는 신흥무관학교가 설립되었고, 그 위에 군사교육과 민족교육이 이루어졌다. 여기에 참여했던 주요 인물들은 대종교 본사에서 윤세복, 그리고 경북 대종교인으로서 김동삼, 김정식, 류인식, 이동하 등과 신민회 출신이자 대종교를 신앙했던 이회영, 이시영, 이동녕, 이장녕 등이었다. 셋째, 3・1만세운동 이후 항일무장세력이 형성되는 가운데 서간도에는 서로 군정서가, 북간도에는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가 양대 독립군 단체로 부상하였다. 두 단체는 사관학교를 둔 정예 독립군부대라는 동질성과 대종교 신앙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 결과 두 단체는 청산리전투 직전 서・북간도 독립군단체들 가운데 유일하게 통합을 이루었다. The main region of abroad anti-Japanese activities in the early of 1910~1920s were North-Kando and West-Kando. The Korean community of West-Kando was formed through the group resettlement of North-Kyeongsang provincials who were related with Sinminhui, while the community of North-Kando was generally formed through it of the people from Hamkyeong-do, Pyeongan-do,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his background has mainly spot-lighted the anti-Japanese activities of West-Kando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inminhui and North Kyeongsang provincials. However, this study starts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 anti-Japanese forces of West-Kando was formed through its close relationship with Daejonggo. Especially, the ‘Innovative Confucianists’ from North Kyeongsang province drove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of independence movement in West-Kando in 1910s as people who believed Daejonggyo or had the close relationships with Daejonggyo. Futhermore, this study proved the fact that those were related with Daejonggyo of North-Kando when they developed as anti-Japanese forces after 3・1 Independent movement.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follows ; Firstly, the leading group of acceptance and expansion of Daejonggyo in the North Kyeongsang province was ‘Innovative Confucianists’ who had been educated modern. And the believers were tended to be mainly formed by the relatives of family clans which were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yeongsang province. Secondly, Hwanin, Yuha and Tonghwa were the places in which Strategy of independence Movement in 1910s in West-Kando. The back-grounded reason of it was the conscious that those places were historically old districts of Koreans. Howev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Dongchang school and Sinheung Military Academy were respectively established in Hwanin and Yuha and on the baises of them, the military educa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were disciplined. Thirdly, West Route Army(서로군정서) and North Route Army(북로군정서) emerged respective in West-Kando and North-Kando as the two main independent army groups while independent forces had been established after 3・1 Independent movement. The two army troops had a same characteristic of the independent troop of elites and a cognate conscience about Daejonggyo belief. As a result, they are the only ones who achieved integration just before Chongsanri battle among the army troops in West and North-Kando.

      • KCI등재

        1920년대 大倧敎세력과 北滿洲지역 독립운동

        이숙화(Lee, Sook Hw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2

        ‘庚申慘變(일명 간도참변)’ 이후 만주의 항일운동 세력은 일본군에 의한 물적 · 인적 피해를 극복하고 새로운 항전기지 구축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남만주에는 正義府와 參議府가 설립되었고, 북만주에는 新民府가 설립되어 1920년대 중반 남 · 북만주를 대표하는 3부의 성립을 이루었다.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하여 신민부는 대종교 무장세력과 북만주 民團 대표들이 함께 결성한 독립운동단체라는 점에서 1920년대 중 · 후반 대종교 세력의 독립운동을 파악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 세력의 활동을 크게 두 계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나는 대종교총본사를 중심으로 종교활동 및 항일운동을 전개했던 金敎獻 · 尹世復 등 핵심인물들이다. 경신참변 이후 제2대 도사교김교헌은 寧古塔에서 대종교부흥운동을 전개하여 대한군정서 재건을 뒷받침했다. 한편 윤세복이 주도하던 1926년의 대종교총본사는 奉天省長 張作林이내린 ‘대종교금지령’에 따라 모든 활동을 금지당했다. 그 원인으로 대종교 세력의 국내 특파작전이 추진되고 있었던 사실을 본 논문에서 새로 밝혔다. 또 다른 계열은 대한군정서 및 신민부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무장세력이다. 대한군정서는 1921년 9월 총재 徐一의 사거로 해체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부총재 玄天默이 계승하여 金赫 · 金佐鎭 · 曺成煥 · 鄭信 등과 함께 재건에 성공하였다. 이후 대종교 세력은 독립군 통합운동을 추진하면서 ‘夫餘族統一會’를 거쳐 신민부 성립을 이끌어냈다. 대종교와 대한군정서 · 신민부의 연관성은 주요 인물들의 역할, 종교적 배경, 이념의 정합성, 활동 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1920년대 후반 대종교 세력은 ‘대종교금지령’ 이외에도 주요 간부들이 고령으로 사거하거나 일제에 피체되고, 신민부 해체까지 겪으면서 점차 약해졌다. 더욱이 1920년대 중 · 후반 북만주에 확산된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도 대종교 세력의 약화에 주요한 원인이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20년대 후반이 되면 김좌진, 정신 등은 대종교 이념에 무정부주의를 수용하여 한족총연합회를 결성했는데, 그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1920년대 중·후반 대종교의 독립운동은 연구 공백으로 남아있었다. 그 배경에는 먼저, 1926년 ‘대종교금지령’으로 대종교에서조차 1920년대 중 · 후반의 시기를 ‘단절의 시기’로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료의 미발굴로 청산리전투 이후 대한군정서와 대종교 무장세력의 명멸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1920년대 대종교 세력의 항일운동은 결코 단절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친일배 척결, 자치기구 결성, 무정부주의 수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항일운동을 지속했던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After ‘Kyeongsin Massacre(1920)’, Korean independence groups in Manchuria had overcome the damages committed by Japanese troops, and tried to build a new resistance base. The result of the trial wa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ce groups in Manchuria in 1920s by building Jeongui-bu and Chamui-bu in South Manchura and then Sinmin-bu in North Manchuria. Sinmin-bu is considered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later half of Daejonggyo’s anti-Japanese activities in that it was an established by Daehan-Gunjeongseo originated Daejonggyo. This paper studies two activities of Daejonggyo forces in the later half of 1920s. The one is a lead group of Daejonggyo, Kim Kyo-heon and Yun Se-bok who supported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anti-Japanese activities. They promoted forces with revival movement of Daejonggyo centered on Kim Kyo-heon. After the death of Kim Kyo-heon, they centered around Yun Se-bok, deployed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supporting the Sinmin-bu. With these, this paper proves the fact that the operation of dispatch into Korea was promoted by Daejonggy and Sinmin-bu, and it caused ‘the bans on Daejonggyo’ in 1926. The other Daejonggyo forces promoted centered around Daehan-Gunjeongseo and Sinmin-bu. Daehan-Gunjeongseo succeeded by Hyeon Cheon-mook vice president. Sinmin-bu was constructed with the helps of Kim Hyeok · Kim Jwa-jin · Cho Seong-hwan · Jung Sin who were the leaders of Daehan-Gunjeongseo after the crisis of dissolution by the death of Seo Il. They built ‘Buyeo People’s Unification Association’ and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Sinmin-bu. The relation of Daejonggyo and Daehan-gunjeongseo · Sinmin-bu is understood around the rolls of leading figures, religious backgrounds, consistency of ideologies and directivity of organizations. In the later half of 1920s, Daejonggyo forces became weak by ‘the bans on Daejonggyo’ by Chinese local government and arrest by Japanese and death of old leaders. Moreover, it had to manage against the proliferration of communism in North Manchuia in the later half of 1920s. As the management against the communism, ‘All-Korean Association’ is established by Kim Jwa-jin and Jeong Sin accepted Anarchism. Daejonggyo’s activities in the later half of 1920s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has not been studied exactly until now.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religious activities of Daejonggyo were banned by ’the bans on Daejonggyo’ in 1926. The later half of 1920s is defined as ‘period of severance’ even by Daejonggyo people.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interest in the perishment of Daehan-Gunjeongseo and Daejonggyo Armed forces has not been sufficient because of a lack of historical sources. This paper proves that anti-Japanese activities of Daejonggyo in 1920s had never been stopped but severely developed with cooperation with Armed forces.

      • KCI등재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계승과 단군운동

        이숙화(Lee, Sook-Hwa) 고조선단군학회 2018 고조선단군학 Vol.39 No.-

        이글은 한말에서 임시정부수립에 이르기까지 단군민족주의 인식의 동향을 추적하면서 ‘단군 자손’의 주체적 의식이 근대적 민족의식의 성장을 주도하고 단군운동, 독립운동과 밀접하게 결합되어있음을 분석하였다. 단군은 한국사의 오랜 부침을 함께 했다. 특히 한국인이 ‘근대적 민족’으로 거듭날 때 핵심적 매개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단군과 단군사상은 항일민족운동 및 독립전쟁의 논리를 제공하고, 국내외 한민족의 결집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로서 기여하였다. 이 글에서는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계승과 운동을 세 단계로 살펴보았다. 첫째, 한말 역사교과서 저술과 교육을 통한 국민계몽의 단계, 둘째, 민족적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단군문화운동으로 항일의식을 키워가는 단계, 셋째, ‘단군 자손’과 ‘배달민족’의 이름으로 재탄생한 근대적 한민족이 3・1운동의 주체가 되어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성장하는 단계이다. 민족은 탈민족주의적 관점에서는 ‘상상의 공동체’로서 배척되지만, 이 글에서 한민족은 근대 민족국가 건설과 독립운동에 투신했던 ‘역사적 실체’로서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향후 단군의 문제가 평화운동의 원리로서, 통일운동의 이론으로 제시될 충분한 가능성과 연결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is about recognition tendency of Dangun Nationalism between late Korean Empire a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recognition of Dangun Nationalism led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and is related with independent movement. Dangun was a mediator when Korean people became a modern nation people. Moreover Dangun and Dangun’s thought offered a logic to the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and made an important role to gather Korean people together. The succession and movement of Modern Dangun Nationalism has four stages. Firstly, national enlightenment through writing and education of history books. Secondly, re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of anti-Japanese consciousness. Thirdly, the modern Korean people which had a rebirth as “Dangun’s descendant‘ and ’Baedal Nation‘ led 3・1 Independence Movement, establish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se all stages, they became a leading role of Independent Movement. A nation is rejected by Post-nationalism as an imaginative community, but Korean was analyzed in this article as a historical entity which went in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 state and independent movement. It means that Dangun’s thought could be used as a theory of peace-movement and unification-movement.

      • KCI등재

        대종교 설립초기 일제의 탄압과 대응 양상

        이숙화 ( Sook Hwa L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이 논문은 대종교 초기(1909∼1911)에 일어난 ‘교명개칭’과 ‘공주시 교당 사건’을 통해 일제의 탄압에 대응한 대종교 교단의 변화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이 두 사건으로 나철의 대종교는 국수적 단군숭봉사상을 가진 백봉집단과 달리 보편적 천신관의 신앙단체로서 변화를 추구하였다. 백봉이 선포한 「檀君敎佈明書」의 정신위에 국권회복을 목표로 설립했던 대종교는 단군숭봉이라는 강력한 國粹的 성향으로 인해 초기부터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받았다. 경술국치를 당하여 대종교는 교단과 교인들을 보호하고자 점진적 계몽운동을 택했다. 1909년 9월 경술국치 직후에 단군교에서 대종교로 교명을 개칭하고 대황조단군 숭봉론에서 한인·한웅·단군을 天神으로 개념화한 三神壹體 신관을 채택했다. 고조선 건국일을 기념하던 開極節도 천신탄생일을 상징하는 開天節이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교명개칭’은 시조 단군을 숭배하는 국수적 신앙론에서 천신 숭배라는 보편적 신앙체제로 변화함으로써 교단존속을 도모했던 첫 사건이다. 1911년 1월에 일어난 ‘공주시교당 사건’은 일제 탄압에 대응하여 「五宗旨」를 변경함으로서 교단의 존속을 꾀했던 두 번째 사건이다. 이 사건은 친일파 박정양에 의한 감시와 탄압이지만 크게는 일제탄압의 사례로 규정된다. 박정양은 공주지역에서 포교활동을 하던 대종교인을 감시하고 「檀君敎佈明書」와 『五大宗旨佈明書』를 압수하여 총독부 앞으로 대종교가 배일불온 독립운동단체라고 밀고하였다. 「오종지」는 대종교의 설립이념에 대한 실천적 교리로써 ‘고토회복’과 ‘민족단결’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 사건으로 대종교는 다섯 개의 종지 가운데 네 가지 종지를 변경했다. 강력한 국수적 민족주의에서 세계평화의 실현과 심신 수행을 골자로 한 것이다. 이 두 사건을 겪은 이후 대종교와 백봉집단이 교류한 정황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다. 이 무렵에 대종교 조직도 나철중심의 지도체제로 완전히 확립되었다. 나철은 교단 존립을 위해 단군숭봉을 내면화시키고 외형적으로는 신관과 교리를 바꾸며 일대 변혁을 시도했지만 일제총독부는 1915년 8월, 「포교규칙」을 통해 ‘종교유사단체’로 규정하며 종교 활동을 금지했다. 1916년 8월 15일, 나철은 구월산 삼성 사에서 순교함으로써 일제의 탄압에 항거하였다. This is about the suppressions on Daejonggyo by Japanese imperialists and the reactions of Daejonggyo. The suppressions and reactions were developed with both of the ‘renaming’ of Dangungyo(Daejonggyo) in 1910 and ‘the case of Gongju chapel’. This reviews the separation of Baekbong group and Patriot-Enlightenment Movement group and the subsistence of a religious order by enlightenment movement ; Baekbong`s Shingyo group had an ultranationalistic Dangun ideology. Dangungyo was founded by Nacheol on the basis of 『The Manifestation of Dangun`s lecture』proclaimed by Baekbong. It had been sup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ts since its foundation. 1910`s National Humilation made Daejonggyo, its nationalistic tendency to avoid suppression of Japan and choose a gradually progressive way of enlightenment movement instead of Baekbong`s Shingyo group. Daejonggyo renamed Dangungyo as Daejonggyo and chose Trinitarian as its faith theory ; they respected Trinitarian God of Hwanin, Hwanwoong, and Dangun. Gaegeukjeol(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Gojoseon Dynasty) was renamed as Gaecheonjeol to celebrate the birth of Heavenly God and the national foundation. The renaming was the first case which changed its nationalistic faith theory with a universal faith order respecting Heavenly God. In January of 1911, Daejonggyo faced with the second crisis of its existence with ‘the case of Gongju chapel’. This case should be classified as one of the Japanese suppressions. It was a supervision by a pro-Japanes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order. The pro-Japanese Park analyzed records about Dangun in the 『Manifestation of Dangun`s lecture and Manifestation of Five Principles』 and made an anonymous report for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on that Daejonggyo is not a religion, but an anti-Japanese disturbing national movement group. The essential parts of 「Manifestation of Five Principles」 as a practical doctrine are ‘Regaining the native land’ and ‘National solidarity’. The reaction of Daejonggyo was that changed its faith doctrine to show that it is a Sundo discipline realizing world peace and excluding an aggressive nationalistic ideology. These two cases resulted in a termination of Baekbong`s Shingyo group and Nacheol`s Daejonggyo and an establishment of Nacheol`s leadership system. Nacheol, for the existence of the religious order, changed the concept of God and doctrine. And he took a concept of ‘Shindo (Shintaoism)’ deifying Dangun as ‘Heavenly God’. However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proclaimed a ‘missionary regulation’ in Aug, 1915, and ordained Daejonggyo as a pseudo-religious group not a religion. Nacheol died a martyr to oppose Japan at Samseong temple on the 15, 8, 1916.

      • KCI등재
      • KCI등재

        대한군정서의 성립과 독립군단 통합운동 * -총재 서일의 활동시기를 중심으로-

        이숙화(Lee, Sook-hwa)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3 No.-

        이 논문은 대한군정서의 성립과정과 조직의 특성을 밝히고 독립전쟁의 일환으 로서 대한군정서에서 추구했던 독립군단 통합운동을 다루었다. 대한군정서는 대종교 교단에서 설립한 독립군단체이다. 선행연구들은 이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나 대한군정서 인물들의 대종교 신앙 유무만 지적하였고 대한군정서의 성립과정 및 무장활동에 있어서 대종교 교단의 실질적인 지원활동은 충분히 논의되지는 못했다. 또한 청산리전쟁 승리의 요인을 독립군단체 통합 운동과 관련하여 재조명한 연구들도 있지만 통합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대한군정 서의 활동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과 함께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규명하였다. 첫째, 대종교는 1910년대부터 대종교 교단에서 전개한 ‘민족의 역량강화’·‘외 교독립’·‘무장투쟁노선’이라는 일련의 대일정책과 그에 따른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먼저 1911년 3월 중광단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운동을 중점사업으로 전개하였다. 1918년 미국 윌슨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가 제창되자 국제사회에 대한 외교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서일 등을 중심으로 동원당을 조직하고 파리평 화회의에 대표파견을 지원하였다. 1919년 3.1만세시위운동 전후 「대한독립선언 서」를 발표하여 최종적으로 독립전쟁을 선포하고 본격적인 무장단체로서 대한정 의단을 설립하였다. 둘째, 대한정의단은 대한군정부로 재편된 뒤 북간도 최고의 독립군단체 대한군정서로 성장하였다. 대한정의단은 1919년 5월에 공교도·기독교와 연합으로 설립하였다. 1919년 9월 대한군정부로 재편하고 ‘통일주의’에 따라 북간도 독립 군단체의 통합을 전개하였다. 대한군정부는 1919년 12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 부의 결의에 따라 대한군정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대한군정서의 중앙조직은 서일을 중심으로 하는 군무 중심의 총재부와 김좌진을 중심으로 장교양성 및 군부 대를 지휘·운영하는 사령부 조직으로 구성되었다. 지방조직에는 대종교 신도와 연계한 39개의 경신국을 조직하여 간도 전 지역의 통신과 경찰업무를 관할하며 북간도 최대 최고의 독립군단체로 성장했다. 셋째, 대한군정서의 독립군단 통합운동은 통합의 주체, 통합의 성격에 따라 청산리전쟁 이전과 이후로 구분했다. 청산리전쟁 이전의 통합운동은 임정에서 주도 하여 민단과 군단의 이원화된 체제로 결정되었다. 군단은 대한군정서와 홍범도 부대가 양립했다. 이원 체제는 대한군정서가 추구했던 통일주의에 못 미치는 결과였다. 그렇지만 홍범도 부대와 연합에 의한 청산리전쟁의 승리는 통합운동의 영향으로 평가된다. 청산리전쟁 이후 러시아로 이동과정에서 대한군정서는 서로 군정서·홍범도 부대와 삼단연합을 추진하며 대한통의부를 조직하였다. 대한군정 서는 다시 독립군단 전체와 재통합을 이루고자 자유시로 이동했으나 자유시참변을 맞아 재통합의 결실을 이루지 못했다. 서일 총재의 이후 1922년 부총재 현천묵은 대종교 간부들과 대한군정서 재건에 노력하여 1923년 김좌진의 대한독립군단과 통합하였다. 통합운동은 1925 년 신민부 설립까지 이어졌다. This paper proves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of DaehanGunjungseo and writes on the military consolidation which was pursued by them as a way of Independence War. The followings are examined. Firstly, Daehan-Gunjungseo was organized during a long term anti-Japan policy and its execution by Daejonggyo. Daejonggyo founded Junggwangdan in March of 1911 and proceeded National Education Movement as a main misson. When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proclaimed by Wilson, the president of USA in 1918, Daejonggyo proceeded Diplomatic movement to international societies by organizing Dongwondang with the leading member Seo-il and dispatching representatives to Peace Conference at Paris. On the other hand, Daejonggyo proclaimed Anti-Japanes Armed Struggle with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round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in Manchuria and established Daehan-Junguidan as a substantial armed corps. Secondly, Daehan-Gunjungseo was initiated from Daehan-Junguidan,turned to Daehan-gunjeongbu and had grown up the best Independence Corps in North Chientao. Daehan-Junguidan was established by association of Gonggyo and Christian. However, there were members who were opposed when Daehan-Junguidan pursued Republicanism. Therefore Daehan-Gunjeonghoi was reorganized after separating the opposition. Daehan-Gunjeongbu attempted to unify military corps. However, Daehan-Gukminhoi asserted its leadership over Independence Corps so that Daehan-Gunjeongbu changed its name again as Daehan-Gunjungseo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DaehanGunjungseo grew up to be the biggest troop in North Chientao by Kim Jwajin and military strategists from Sinheung Military School. Thirdly, military consolidation of Daehan-Gunjungseo is examined on the epoch of Battle of Qingshanli. Before the Battle of Qingshanli, military consolidation movement was planned and lead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So it was dual system composed of Mindan(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Gundan(military). The Gundan was composed of Daehan-Gunjeongseo and Hong Bumdo‘s military unit. But the dual system was not the result pursued by Daehan-Gunjungseo which wanted a total consolidation. After the Battle of Qingshanli, Daehan-Gunjungseo pushed military unit again and organized Daehan-Tongeuibu. The members of Daehan-T ongeuibu moved to Svobodnyi to reconsolidate all of Independence Corps. However it was failed by ‘the Tradegy of Free City’. Daehan-Gunjungseo failed to make total consolidation of Military Corps. But it struggled to prepare Independence War and pushed military consolidation forward. As a result,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Qingshanli was possible. However, after the Battle of Qingshanli, the result of consolidation could not be succeeded to anti-Japan resistance. Nevertheless, the struggles to make a consolidation of Military Corps is enough to be evaluated as a way of Independence Korean history for National Movement.

      • KCI등재

        『대한독립선언서』 쟁점의 再論과 大倧敎와의 관련성

        이숙화(Lee, Sook-Hwa)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1 No.-

        올해 「대한독립선언서」 100주년을 맞이했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학계의 쟁점이 되어왔던 「대한독립선언서」의 ‘발표 시기’, ‘발표 주체’에 관해 재검토하였다. 또한 「대한독립선언서」와 대종교와의 관련성도 서명인 중심의 분석을 지양하고, ①독립전쟁에 대한 대종교의 입장, ②대한독립의군부와 대한군정서의 관련성, ③선언서에 담긴 대종교의 종교성 · 철학 · 사상 등을 중심으로 면밀하고 다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대한독립선언서」는 「2 · 8선언서」 이후, 혹은 늦어도 3월 2일 경에 발표되었다. 둘째, 「대한독립선언서」기초는 1919년 2월 27일 이전에 완성되었다. 셋째, 「대한독립선언서」는 일반 대중에게 선언한 것이 아니라 독립운동가들을 대상으로 하며, 독립전쟁에 의한 완전한 자주독립을 주문한 선언문이다. 넷째, 「대한독립선언서」의 작성 · 인쇄 · 배포의 주체는 대한독립의군부이다. 그러나 이 선언서가 지향하는 독립의 이념과 철학, 실천 방식은 대종교의 종교 이론 및 정신과 완전히 일치한다. 또한 이 선언서의 철학적 배경은 단군으로부터 비롯된 고유 주권에 근거한다. 이는 나철이 주장했던 일본 주도의 ‘동양평화론’ 한계를 극복하고, 동양평화와 한국의 독립은 한(韓)의 고유한 권리에 기반하고 있음을 선언한 것이다. 이 선언서는 ‘혈전’의 주체로 나선 독립운동세력의 독립전쟁을 위한 선언문이자 동시에 독립군단체가 설립되어야 하는 명분과 정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글이다. This paper reexamines the ‘declaration date’ and ‘declarant’ of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have been were the points at academic issue in the centennial of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reexamination i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ose days’ documents concerned the declaration such as 「Diary of Jisan」,『Jin Dan』(News paper), 「Diary of Lee Jong-il」 and the records left by Jo So-ang who drew up the declar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with Daejonggyo, refraining from the conventional analysis focused on the signers of the declaration, this paper analyzes Deajonggyo’s policy on the war of Independence, the relevancy of Daehan-Independence Righteous Army and Daehan-Gunjeongseo, and Daejonggyo’s religious aspect and idea included in the declaration. M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written and declared on the second of March at least after the declaration of 〈2·8 Declaration〉. Secondly,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for the independence activists, not for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it was a declaration insisting the complete sovereign independence through independent war. Thirdly, The declaration was printed and distributed by Daehan- Independence righteous Army. However, the desire, idea and practical pla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declaration were entirely accorded with the religious idea of Daejonggyo. Above all,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declaration is on the basis of the inherent sovereignty theory originated from Dangun. The declaration could be evaluated as the independence war declaration which was proposed by Deajonggyo and Daehan-Gunjeongseo which regarded themselves as main organizations of ‘Armed struggles’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 KCI등재

        1930년대 만주지역 大倧敎 재건과 민족운동

        이숙화(Lee, Sook-hwa)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7 No.-

        이 논문은 1930년대 만주에서 대종교 재건과 민족운동에 대한 글이다. 1930년대 만주 대종교총본사의 재건은 국내 남도본사의 폐쇄에 따른 단군신앙의 부흥과 1930년대 초반까지 만주에서 활동했던 민족운동세력의 재결집이라는 시대적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만주국 아래 대종교 활동은 일본총영사관의 포교승인을 받고 시작되었다. 때문에 이 시기 대종교 민족운동은 항일정신이 약화되었거나 종교활동 중심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민족운동은 1926년 ‘대종교 해산령’ 이후 오랜 활동 공백으로 약화된 교단을 정상화시킨 다음 그 토대위에 본격적으로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양상을 보인 특수성을 살펴보아야 했다. 재만 대종교는 일제의 황민화정책이 한창이던 1937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북만주 전 지역에 52개의 시교당이 설립되었고 교인 수 16,764명에 달했다. 이러한 발전은 1920년대 북만주 항일투쟁에 참가했었던 민족운동세력의 적극적인 활동과 재만동포들의 민족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가능했다. 황민화정책에 대응했던 대종교의 1930년대 민족운동은 다음과 같다. 안희제가 東京城에 건설한 발해농장을 독립운동기지건설로 삼고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발해학교 및 대성학원을 건립하여 한글 및 역사교육으로 민족정신을 함양하였다. 단군 천진전 건립을 준비하여 일본신도에 저항했고 1940년에는 1만 5천권이 넘는 교적을 간행하여 한글과 역사서를 보급하였다. 개천절・어천절・중광절 등과 같은 정기적인 의례는 황민화정책에 대응하여 민족문화를 보전하고 저항하는 운동이었다. 대종교 민족운동은 일제의 전시동원통제가 심화되던 시기에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어 일제의 탄압을 받는 요인이 되었다. 1930년대 민족운동은 1942년 임오교변 사건으로 대탄압을 받으면 종식되었다. 이는 만주국에서 대종교인들이 일제의 황민화정책에 포섭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Daejonggyo in the 1930s and the Imo-gyobyeon Incident which was forcibly re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by the Japanese, the activities of Daejonggyo began under the approval of the Consulate General. The national movement of Daejonggyo in Manchukuo has been criticized to be weaker in comparing with its armed activities of the 1920s. However, unlike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Daejonggyo during the 1920’s, its national movement in the 1930s looked to keep its internal solidarity and national culture. In Manchuria of the 1930s,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Korean nationalist camps was ended by Manchuria Incident, and Koreans in Manchuria were directly controlled and ruled by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Manchukuo. Therefore, Daejonggyo’s anti-Japanese movement also had to change its deployment. The key concepts of religious policy in Manchukuo could be expressed with the words, “utilization” and “control”. The government allowed religious freedom only to whom conformed to the religious policy and weaved them in its ruling orders. In response to the policy, Daejonggyo worked out a dual strategy. Daejonggyo superficially followed the policy but maneuvered the national movement. North Manchuria in the mid and late 1930s, Daejonggyo came to have 52 churches and 16,764 members and deployed the national movements such as building a Dangun Hall ;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history at the Balhae and Daejong Schools ; and publishing religious and history books written in Korean. These accomplishments were achieve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Daejonggyo and An heeje, the founder of Balhae Farm. In addition, they held Gaecheonjeol,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on the 3rd of every October. Teaching Daejonggyo doctrine and Korean history was, in and of itself, against the Colonial policy. The national movement of Daejonggyo was a stumbling block to the wartime policies of the Japanese in Manchukuo. Daejonggyo tried to preserv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ven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Japanization polic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ese efforts, however, caused Japan to oppress Daejongg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