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이숙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중재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공변량 구조 분석 연구이다.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해 모형의 부합도와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 제시된 이론변수는 건강지각,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외로움, 우울, 건강관련 삶의 질 등 7개 이다. 외생변수는 건강지각,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내생변수는 외로움, 우울이며, 최종 결과변수는 건강관련 삶의 질이었다. 이러한 7개의 이론변수들을 측정하는 측정변수는 15개였으며,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된 경로는 총 15개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5개시, 즉 순천, 여수, 광양, 고흥, 구례에 거주하고, 한국거주 1년 이상인 동남아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278명을 임의 선정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9월 19일부터 11월 4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건강지각을 측정하기 위해서 Lawton, Moss, Fulcomer & Kleban(1982)의 건강지각 측정도구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Sandhu and Asrabadi(1994)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도구를,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하여 Russell, Peplar & Cutrona(1980)의 외로움 측정도구를,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Radloff (1977)의 CES-D 우울 측정도구를,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Dunbar 등(1992)의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program(9.13)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서술적 통계, 신뢰도,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LISREL Program (Version 8.53)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및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를 검정한 결과, 전반적 부합지수는 χ² 통계량 (252.04, p=.000), 기초 적합지수(GFI) 0.92, 조정 부합지수(AGFI) 0.89, 원소간 평균잔차 제곱근(RMR) 0.03, 표준화 평균잔차 제곱근(RMSR) 0.04, 표준 적합지수(NFI) 0.91, 비표준 적합지수(NNFI) 0.97, CN 194로 나타났다. 세부적 부합지수는 표준화 잔차가 최저 -4.134에서 최고 3.824이었으며 Q-plot 기울기가 1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모형 수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 가설적 모형에서 제시한 15개의 경로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외로움으로 가는 경로, 사회적 지지에서 외로움으로 가는 경로, 자아존중감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사회적 지지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외로움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자아존중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로 가는 경로, 우울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로 가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설적 모형에서 제시한 가설검정 결과,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γ13=0.13, t=3.32)와 사회적 지지(γ14=-0.16, t=-2.54)가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아존중감(γ22=-0.12, t=-2.30)과 외로움(β21=0.26, t=3.60)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직접적(γ23=0.20, t=4.24), 간접적(γ23=0.03, t=2.45))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γ24=-0.21, t=-2.87), 간접적(γ24=-0.04, t=-2.12)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건강지각이 총효과(0.13, t=2.21)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직접효과(γ32=0.29, t=2.84)와 총효과(0.34, t=3.25)에서 유의한 영향을, 우울도 직접효과(β32=-0.41, t=-3.46)와 총효과(-0.41, t=-3.46)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간접효과(γ33=-0.08, t=-2.21)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외로움은 간접효과(β31=-0.11, t=-2.49)와 총효과(-0.24, t=-3.43)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적 모형의 예측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정도는 34%로 나타났다. (4) 간명하면서도 부합도가 높은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가설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은 3개의 경로, 즉 건강지각에서 외로움으로 가는 경로, 자아존중감에서 외로움으로 가는 경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로 가는 경로를 제거함으로써 최종 수정모형을 확정하였다. (5) 제시된 수정모형의 부합지수는 χ² 통계량(231.65, p=.000), 기초 적합지수(GFI) 0.92, 조정 적합지수(AGFI) 0.90, 원소간 평균잔차 제곱근(RMR) 0.03, 표준화 평균잔차 제곱근(RMSR) 0.04, 표준 적합지수(NFI) 0.92, 비표준 적합지수(NNFI) 0.90, CN 217로 나타났다. 세부적 부합지수는 표준화 잔차가 최저 -3.05에서 최고 2.84이었으며 Q-plot 기울기가 거의 1과 유사하여 모형과 자료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수정모형에서 제시한 12개의 경로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외로움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γ13=0.13, t=3.32)와 사회적 지지(γ14=-0.15, t=-2.47)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는 자아존중감(γ22=-0.12, t=-2.27)과 외로움(β21=0.26, t=3.63)이 직접적인 영향을,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직접적(γ23=0.20, t=4.18), 간접적(γ23=0.04, t=2.45) 영향을, 사회적 지지도 직접적(γ24=-0.19, t=-2.39), 간접적(γ24=-0.04, t=-2.07)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서 건강지각과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총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γ32=0.29, t=2.84)과 우울(β32=-0.42, t=-3.64)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γ33=-0.08, t=-2.31)와 외로움(β31=-0.11, t=-2.56)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정도는 34%이다.

      •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전복류로부터 유전자원의 수집 및 분석과 전복의 종구별·유전적 다양성 분석·친자확인을 위한 분자마커 개발

        이숙경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대표 전복으로는 둥근전복(까막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북방전복(참전복, H. discus hannai), 왕전복(H. madaka), 말전복(H. gigantea)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일반해면에서의 포획보다는 천해양식을 통해 대부분의 전복이 생산되며 중국 다음의 세계 2위로 전복을 양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전복 양식 규모는 점점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도 전복이 창출하는 부가가치는 점차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나 앞으로의 전복 양식에서 속성장, 환경내성, 질병저항성 등의 특징을 가진 우량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국가의 차별적인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국가 또는 기업 차원의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 왔다. 우리나라도 전복 양식과 품종 개발을 위해 여러 노력을 진행에 왔으며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되는 Golden Seed Project (GSP) 사업이 대표적인 예이다. 우량의 전복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복 모패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종에 대한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가 선행되어야하며 종과 개체에 대한 분자유전학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교배 또는 교잡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우리나라의 서식하는 대표 전복 4종중에서 왕전복과 말전복에 대한 유전자원을 수집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전복 종을 구별 또는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교배 또는 교잡대상종인 전복 모패에 대한 유전학적 다양성과 친자확인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MS) 마커를 탐색 및 선별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MS 마커를 활용하여 수집된 전복 모패를 대상으로 유전자 다양성을 분석하고 모패와 그로부터 생산된 치패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복의 유전자원을 수집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에서 수집된 왕전복과 말전복의 조직으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여 RNA library를 제작하고 Miseq 기법으로 각 전복의 발현유전체 정보를 습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왕전복에서는 62,314개, 말전복에서는 62,769개의 transcripts 서열을 확보할 수 있었다. 각 서열에 대한 기능분석은 BLAST를 통해 이루어졌다. 왕전복과 말전복의 유전정보는 둥근전복의 유전정보와 비교분석하여 11,506개의 ortholog genes을 선별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앞서 확보된 전복의 유전자원을 토대로 종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Ortholog의 염기서열 차이를 보이는 부분을 토대로 둥근전복, 왕전복, 말전복에 특이적인 gene specific primer 40쌍을 제작하고 4종 전복 genomic DNA에 적용하여 PCR로 증폭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말전복 유래 프라이머쌍인 Horse14-4, 6, 10 만이 다른 전복과 말전복을 구별할 수 있는데 유효하였다. IGR, intron, ORF, ITS 서열을 증폭시키는 프라이머쌍으로 PCR를 하여 각 전복 종에 대한 증폭산물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였을 때 IGR과 ITS 서열들을 종간 차이가 크게 없었고 Intron-4와 ORF-1에 대한 다른 전복과 말전복만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각 전복의 calmodulin-intron 내의 MDKS 서열을 증폭시켜 MunI와 AclI 제한효소와 반응시켰을 때 일본에서 발표한 결과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말전복은 두 제한효소 반응부위가 보전되어 있었고 다른 전복의 경우 DNA 절단 부위가 뚜렷하지 않았다. MS 마커인 JH20과 JH34에 대하여는 말전복만의 특징적인 대립유전자형이 확인되었고 다른 3종의 전복은 차이가 없었다. SNP 마커를 활용한 실험에서도 말전복의 SNP는 다른 전복과 뚜렷하게 보존되어 있었고 3종의 전복은 균일하지 않았다. 종구별을 위한 분자마커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으나 수집된 4종의 전복 중에서 유전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말전복뿐이었다. 이는 수집된 전복이 순수한 종이 아니거나 선별과정에서 패각에 붙은 해양생물로 인해 형태학적으로 구분이 모호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세 번째, 전복 교잡을 통한 새로운 품종 개발의 첫 단계로 전복의 유전자 다양성과 친자확인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MS 마커 후보를 탐색 및 선별하였다. 후보 중에서 multiplex PCR에 적합한 MS 마커군을 개발하였고 전복 MS 마커군에 맞는 multiplex 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최종적으로 형광표지된 14개의 MS 마커를 포함하는 그룹을 구성하였고 Type-it Microsatellite PCR kit(Qiagen)으로 PCR를 진행하였을 때 14개의 마커가 제대로 증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MS 마커군으로 종구별을 할 수 있는지 적용하였을 때 말전복을 다른 전복과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었고 둥근전복과 북방전복, 왕전복도 개체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구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MS 마커군을 활용하여 4종의 전복 모패 1,467마리에 대한 유전자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MS 마커 locus에 대한 대립유전자의 유형과 빈도를 기반으로 이형접합성, 다형성정보지수, F-통계값, Shanon’s information index, 요인대응분석(FCA) 등을 분석 및 산정하였다. 또한 전복 모패와 이로부터 생산된 자식세대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고자 MS 마커군을 활용하였으며 14개의 마커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높은 친자감정확률이 추정되었다. 개발된 MS 마커군은 앞으로 전복 교잡이나 육종에 있어서 개체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고 가계도를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까지 분석되지 않았던 우리나라의 왕전복과 말전복에 대한 유전자원을 수집 및 분석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자마커를 개발할 수 있었다. 특히 MS 마커군은 전복의 종구별과 유전자 다양성 분석, 친자확인을 수행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이번 연구로부터 산출된 data는 앞으로의 전복 육종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alones are a commercially important invertebrate species in Asian aquaculture industry due to their good taste and nutritional value. There are four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found in Korea such as Haliotis discus discus, H. discus hannai, H. madaka, H. gigantea. Korean abalone aquaculture industry is placed in the second rank in the world abalone production which shows an increasing trend. Current research trend in abaloone aquaculture is mainly focusing on to develop good seed with the fast-growing and environment-tolerance characteristics. On this regard, the Korean government granted several projects including ‘Golden Seed Project (GSP)’.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candidate for systematic or hybridization breeding, species collection form different location, molecular genetic analysis and data analysis using genetic resources database have been utilized. In this study, we have first contributed to the genetic resources database of H. madaka and H. gigantea then have developed the molecular markers used for abalone species distinction,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parentage. Furthermore, we have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among the collected abalone species including H. discus discus, H. discus hannai, H. madaka, H. gigantea. Also, parentage relationship was confirmed for H. discus discus from China and Korean aquaculture. First, total RNA was isolated from the collected H. madaka and H. gigantea and utilized in the RNA library construction and Miseq sequencing. Based on that, the transcriptomic databases consisted of 62,314 transcripts of H. madaka and 62,769 transcripts of H. gigantea were established. Functional analysis of transcripts was done by BLAST program. By comparing the transcripts of H. discus discus, H. madaka and H. gigantea, we have identified 11,506 ortholog genes. Second, molecular markers for species distinction were developed based on species specific sequences, intergenic region (IGR), intron, open reading frame (OR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microsatellite (MS)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rkers: Horse14-4, -6, -10, Intron-4, ORF-1, JH20, JH34, HaliotisDiscus03811, HaliotisDiscus08959, HaliotisDiscus10277 and HaliotisDiscus04686 were specific for H. gigantea. Our results deviate from the previous results based on restriction enzyme sites at MDKS sequence in calmodulin-intron by Japanese researchers. We tried to develop the species specific-specific markers for all four species, however, could not be able to develop specific markers except H. gigantea. This could be due to the absence of pure strains or difficult to distinguish those species in external morphology. Third, multiplex PCR-MS marker set was developed for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parent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14 MS markers (1 set) were located in all four species with different allele types. Type-it Microsatellite PCR kit (Qiagen) was identified as suitable for Multiplex PCR with abalone genomic DNA and our MS markers. This multiplex PCR-MS marker set was applied to distinguish four abalone species. Finally, the genetic diversity and parentage analysis of collected abalones were performed using the multiplex PCR-MS marker set. Heterozygosity,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F-statistics, Shanon’s information index and factorial correspondence analysis (FCA)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identity and exclusion about MS markers were also calculated. In this study, we have contributed to the abalone genetic resource database, distinguished and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and parentage of collected abalones based on the developed molecular markers.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in abalone molecular or selective breeding.

      • 청소년수련관의 실내디자인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이숙경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full-blown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adolescen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eisure hours, various activities outside school, and meaningful time with others to establish the right self-identity and vision. Spending most of their leisure hours on watching TV or playing games in the Internet, they need a new space for activities. Youth centers provide them with space for cultural, exercise,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there is a trend of setting up a youth center among local governments. Thus i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spatial composition and interior design that promote convenient use for adolescents. Seongnam City changed its size, status, and spatial structure as a city by developing a new town called Bundang. It is predicted there will be physical and psychological gaps between the old and new town, which raises a need for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youth centers according to locations as well as those gap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youth centers, understand the current design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and facility,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them. Th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function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youth centers and differentiating youth center desig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include five youth centers located in Seongnam City, namely Sujeong, Jungwon, Bundang Seohyeon, Bundang Jeongja, and Bundang Pangyo Youth Center. As for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conducted literature study, visited those youth centers to examine their facilities, and administered a survey to investigate and analyze user satisfaction.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Seongnam's youth centers, they were running youth programs and eve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and opened those programs to the residents including you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As for the types of building forms, three of the youth centers were independent buildings, while two had a separate building for certain purposes with one having a separate gym and the other having a separate library. As for the types of path of action according to the main entrance, three had two or more entrances, and two had two or more buildings in addition to two or more entrances. All of the five youth centers had a common path of action inside. As for the types of external facade, two had a canopy made of metal and glass. The five youth centers shared no common features in internal spatial composition as they all showed a unique internal spatial composition. The survey results reveal that 39.2% of the respondents used a youth center three to four times a week. The highest 36.6% spent one to two hours on average per visit. The highest 44.6% used a youth center for cultural activities. As for user satisfaction with a youth center, the respondents recorded mean 3.338 points on program satisfaction, mean 3.724 points on space and facility satisfaction, and mean 3.437 points on satisfaction with the design of space and facility. However, it is required to collect dissatisfying opinions as well when making a developmental plan for a youth center. As for preference for design elements, the respondents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shapes of space in cultural space and on materials in social and exercise facilities. They also said that shapes of space(style)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facilities and colors in other spaces. It was forms(styles) that scored high consideration points in each space. Given that adolescents are easily influenced by environments, it is needed to make space plans that will influence their mental health and vitality with the shapes of space, materials, and colors. In addition to the designs preferred by adolescents, it is also required to conduct research on their activitie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to organize good space for their activities. Ongoing research efforts are in need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with interior design by analyzing the interior space areas of youth centers and investigating spatial compositions, forms, materials, and colors preferred by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serve as useful data for examining the current states of youth centers and enhancing their interior designs. 청소년들의 주5일 수업제의 전면실시로 청소년들의 여가시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아정체성과 비전의 확립을 위하여 학교 밖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거나 사람들을 만나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는 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여가시간을 TV 시청이나 인터넷 게임으로 보내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활동의 공간이 필요하다. 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들이 문화 활동, 체육 활동, 교육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지방자치단체 별로 설립을 계속적으로 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이용하기 편한 공간구성과 실내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성남시는 분당이라는 신도시를 개발하여 도시의 규모나 위상, 공간구조가 변화한 도시이다. 아울러 구도시와 신도시와의 물리적 격차뿐만이 아닌 심리적 격차까지 예상되고 있기에 청소년수련관 또한 위치에 따른 특성과 격차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수련관의 디자인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공간과 시설의 디자인 특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청소년수련관의 기능과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계획되어질 청소년수련관의 디자인 차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성남시에 위치한 청소년수련관 5개관, 수정 청소년수련관, 중원 청소년수련관, 분당서현 청소년수련관, 분당정자 청소년수련관, 분당판교 청소년수련관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청소년수련관을 방문하여 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남시 청소년수련관의 프로그램 특성으로는 유아,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청소년관련 프로그램 뿐 아니라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지역 주민에게도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남시 청소년수련관의 건물형태 유형은 단독건물형이 4개관, 기능분리형이 1개관으로 구분되었다. 기능분리형은 체육관이 분리되어 있었으며, 주출입구로 본 동선 유형은 입구가 2개 이상인 사례는 4개관, 입구가 2개 이상이며 건물이 2개 이상인 사례는 1개관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례에서 내부 동선은 공통 형태로 나타났다. 외부 파사드 재료는 금속과 유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부 공간구성은 수련관마다 다르게 구성되어 있어 특별한 공통점은 보이지 않았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39.2%가 주3~4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회 방문시 평균 이용시간은 36.6%인 1시간~2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용목적으로는 문화 활동이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수련관 이용 만족도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만족한다는 의견이 평균 3.338점, 공간과 시설에 만족한다는 의견이 평균 3.724점, 공간과 시설의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 평균이 3.437점으로 대체로 만족한다는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불만족하는 의견도 수렴하여 발전적인 청소년수련관의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문화공간에 대한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서는 공간의 형태가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으며, 사회․체육 시설에 대한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서는 재료(소재)가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연수 시설에서는 공간의 형태(양식)가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고, 기타 공간에서는 색채가 가장 중요시 되어져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각 공간에서 상위의 점수를 차지하고 있는 고려 요소가 형태(양식)이라고 조사되었다. 각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도가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실내 공간 계획 시 공간에 맞는 이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청소년들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쉽게 받는 존재이기에 공간의 형태, 재료, 색채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활력에 영향을 주는 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디자인 뿐 아니라, 청소년의 활동 특성과 친환경 재료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이 활동하기 좋은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청소년수련관의 실내 공간 면적 분석과 청소년이 선호하는 공간구성, 형태, 재료, 색채 연구를 통하여 이용자의 실내디자인 만족도를 높이는 연구자들의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관 현황 파악 및 실내디자인 개선을 위하여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실업태권도선수의 은퇴환경과 은퇴 후 직업전환대비에 관한 연구

        이숙경 순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retirement environment and career transfer after retirement by the amateur Taekwondo athletes and to find out what careers to follow after retiremen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40 amateur Taekwondo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nationwide Taekwondo tournament from May 2008 to Oct . 2008. (men: 90, women: 50).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statistics package of SPSS16.0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data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and frequencies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o ver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tirement environment, career transfer preparation. For the significant difference factors, it performed Scheffe’s post verification rule. All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p<.05. Based on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The analysis on the retirement environments First, reviewing the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atisfaction by gender, women showed higher than men in the retirement transition preparation, while men showed higher in job satisfaction. In the satisfaction by education level, "above graduate" group showed higher in retirement transition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the satisfaction by income, the group above 35 million won income showed higher in job satisfaction and the more income, the higher satisfaction. In the satisfaction by career, the group over 15 year career showed higher in retirement transition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to learn Taekwondo, most of the athletes responded "starting as a hobby (self-defense, health improvement)". Third, in the retirement age of Taekwondo athletes, most of the athletes considered the age between 25 and 30. Fourth, in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retirement of Taekwondo athletes, most of the athletes considered the limit of physical strength. 2) The analysis on career transfer preparation after retirement First, when deciding the retirement timing, most of the athletes consulted with current coach and supervisor. Second, in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it showed high in "education". Third, the preferred job after retirement was "Taekwondo coaching and management" which ranked number 1,2, and 3. The major reason was "to prefer to work in Taekwondo related field". Fourth, the most difficult thing when changing to other job after retirement was "too hard to get employment information". Fifth, i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Taekwondo and other sports activity as volunteering after retirement, most of the athletes responded "Yes" in participation. Sixth, in the existence of retirement program in the athletes belonging team, most of the athletes responded "No" retirement programs in their belonging team.

      • 여말선초 여성의 고전머리에 관한연구

        이숙경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말선초는 중세와 근세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가 변천해온 첫 단계를 밝혀주는 중요한 기간이다. 더구나 중세는 불교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고, 마지막에 원의 간섭을 받고 있었다. 근세는 유교의 이념에 기반을 두면서 신흥국인 명과 선린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통념상 이질적이고 복잡다단한 관계 속에 있었다. 그로 인한 머리모양의 변화 양상이 어떠한지 밝혀내는 일은 고전머리 역사의 중심 부분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는 일에 해당된다. 그럼에도 고전머리 연구는 대부분 풍속화가 나온 후기에 치중해 있으며 이때를 기준으로 조선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의 필요성은 조선시대 의 머리모양이 대부분 영, 정조 시대 이후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을 알고 조선시대 초기의 고전머리의 실체를 알기위해서 대변혁의 시기였던 여말 선 초의 여성의 주요부분인 머리모양이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지를 고전머리의 기본적인 연구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요소라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목적은 여말선초의 불화에 그려진 당시의 여인들 모습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는 점을 중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여인들의 머리모양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여기에 벽화고분 두 군데와 초상화, 기록화, 출토 가체 등 유물자료를 포함시켜 여말선초의 모습을 가능한 한 유추해보고자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말 선초 여성의 머리모양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류층인 비빈을 비롯한 명부 층의 머리모양은 원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개성적이었으며 특히 조선 궁중 양식인 거두 미 형식의 관이 여말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의 전통 양식인 변발은 평민층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쪽머리, 얹은머리, 땋은 머리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것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변발이 있어야 가능했기 때문이다. 처녀들의 길게 땋은 머리는 원래 있던 땋은 머리가 원의 변발과 만나면서 더 커져 조선에 정착한 것이었다. 둘째, 평민층 여성들은 비교적 자유분방해서 상류층의 가체머리를 모방 하 므로서 신분상승이라는 간접적 효과를 노리기도 했다. 변발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머리는 얹은머리였다. 원래 얹은머리는 본머리로 하는 것이었는데 여말선초를 거치면서 굵은 변발로 가체를 만들어 씌우는 형식의 얹은머리로 변했기 때문이었다. 셋째, 하류층 여성들은 쌍계를 기본으로 해서 여러 형태의 변형 쌍계가 파생되었다. 귀 아래쪽으로 나란히 내려온 쌍계는 불화에 전체적으로 많이 보이며 머리 위에 똑같은 형식을 이룬 것은 예인들의 머리에서도 발견되었다. 원으로부터 온 변발은 그 영향이 의외로 크지가 않았다. 원 자신이 당과 송의 문화를 흡수했기 때문이고, 변발 자체가 한민족의 고유 머리 형태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이런 점은 무엇보다 여말선초에 크게 유행했던 관경변상도에 잘 표현되어 있었으며 감로탱 에도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고려 말의 머리모양은 오백년이 넘는 조선시대의 초기 단계이고 그것은 고려로부터 전통적인 맥과 함께 형성되면서 출발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조선의 머리 형태가 조선의 사회적, 문화적 토양 속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고려로부터의 전통 속에서 유지되고 발전해 왔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던 가체는 그 연원을 여말선초에서 밝혀낼 수 있었으며 그럼으로 인해 중기, 후기의 역사적 사실들은 자연스럽게 타당성을 지니고 연결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분별 머리모양이나 그 타당성에 대해서도 여말선초의 형성 과정을 보면 자연스럽다는 인상을 갖게 한다. 그것은 결국 고려의 제도에서 자연스럽게 변화된 양상이었지 인위적인 제재에 의해 정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The late Goreyo and early Josen Dynasties are the important period that makes clear the early stage that the hair form of women in the Josen Dynasty as the period connecting the medieval times and the modern times. Moreover, the Goryeo Dynasty at the medieval times was based on Buddhism and interrupted by the Mongol. At the modern times, the Korean dynasty was placed in heterogeneous and complicated relationship in which it should maintain a good-neighbor relationship to the Ming Dynasty while based on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There is a need to find out how it changed the hairdo of women, which pertains to making clearer the central part of the history of the classical hairdo. Nevertheless, studies on the classical hairdo were mostly concentrated on the later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in which the genre painting emerged, and dated back to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this period of time as a basis. That is, studies on the hairdo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have mostly been focused on that of women since the reigning periods of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So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of the classical hairdo of wom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viewed as the most essential element in the basic study of classical hairdo at what situation the hairdo, the principal part of women, was plac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period of a new de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irdo of women with a focus on the fact that the figure of the women was diversely portrayed on the Buddhistic painting in the late Goreyo and early Joseon Dynasties. Here it attempted to analogize the figure of wome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by including two mural, and such materials of relics as portraits, excavated gache, a kind of wig used to give body to th hair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hairdo of wome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First, the hairdo of the social classes of prestigious women including the queen and the royal concubine were personal despite the interference of the Mong Empire. The pigtail, the traditional hair style of the Mongol Empire was remarkably found in the common people. Round chignon, round braided hair and braids formed the mainstream of hair style, which is because they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basic existence of the pigtail. The long braided hair of the maiden took root in the Joseon Dynasty as the originally braided hair met the pigtail of the Mongols and became larger. Second, women belonging to the social class of the common people were comparatively free, so that they aimed at the indirect effect of upward social status by imitating the hairdo of 'gache' worn by women belonging to the upper class. It r class.round braided hair on which the pigtail had the greatest effect. Originally,lass.round braided hair r clmade by the original hair. It r clchanged into that in the form of making gache out of the thick pigtai and putting it through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Third, women belonging to the lower classes wore several forms of modified topknot with the double topknot as a basis. The topknot running side by side down the ears can be much found in Buddhist paintings, and the topknot worn over the head in the same form was found in the heads of entertainers. The pigtail originating from the Mongol Empire did not have a great effect. Seeing that the Mongol Empire absorbed the cultures of the Tang and Sung Dynasties, the pigtail was the hairdo proper to the Chinese people. This was greatly popular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among other things, which was well expressed in Kwankyongbyungsangdo and diversely expressed in Kamrotaenghwa. The hairdo of women in the late Goryeo was at the early stage of the Joseon Dynasty with more than 500 years of history, which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traditional context from the Goryeo Dynasty. This tells that the hair form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form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soil of the Joseon Dynasty but maintained and developed in traditions from the Goryeo Dynasty. It could be found that the origin of Gache,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dated back to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Thereby, the historical facts of the medium and late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could naturally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with their validity. In addition, a close look at the process of formatio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shows that hairdo by social status or its validity give use a natural impression. That is because it was an aspect naturally changed from the system of the Goryeo Dynasty but not determined by artificial sanctions.

      • 2007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 중 악기 연주하기 부분에 관한 연구 분석

        이숙경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교과서는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과 생활의 변화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인격 및 가치 체계의 형성에 깊이 관련되기 때문에 음악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용 중 활동 영역의 기악 영역에 해당되는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의 악기 연주하기 곡을 비교 분석함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악 목표와 내용이 교과서에 어느 정도로 반영되었으며, 각 출판사별로 얼마나 다양한 기악곡과 기악 비율로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그 문제점 및 개선점을 찾아 교과서의 적합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먼저 각 음악 교과서 악기 연주하기의 특징을 분석하고, 활동학습을 위한 전체 제재곡의 수와 기악곡의 수를 조사하였으며, 기악 제재곡을 순수 기악곡과 가창을 겸한 기악곡, 한국 기악곡과 외국 기악곡으로 나누어 그 수를 조사 하였다. 그리고 7종 교과서의 악기 연주하기 제재곡들 학습내용이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고, 기악 제재곡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을 통해 주 활동인 기악이 몇 영역의 부수활동과 통합학습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악기 연주하기 곡의 형태 및 연주 형태, 각 제재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악기의 종류를 알아보고, 각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악기의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학교 1학년 7종의 음악 교과서는 학습을 ‘개념 또는 원리중심’으로 단원을 구성하여, 각 단원은 주제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통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해놓았고, 활동 영역에서 악기 연주하기 비중은 7차 교과서에서 보다 증가하였다. 그리고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와 국악 내용의 구체화 작업에 중점을 두어 기악곡의 구성을 한국 기악곡에 더 높은 비중을 두었다. 중학교 1학년 7종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전체 기악 제재곡의 악기 연주하기 활동은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와 바른 주법으로 연주하기 활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영역별 통합학습에서는 주 활동인 기악과 부수 활동 2개영역이 연계되어 통합 학습이 이루어지는 제재곡이 35.48%, 3개영역이 연계되어 통합학습이 이루어지는 제제곡이 27.42%로 나타나 균형 있는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기악 제재곡에 제시된 연주 형태와 악곡에서는 다양성이 부족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주형태와 악곡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악기 연주하기 활동을 위해 사용된 악기의 종류는 47종인데, 그 중 국악기가 9종, 서양악기가 23종, 기타리듬악기가 15종 차지하여 대체적으로 기악 학습 활동에서 서양악기의 사용을 선호하여 국악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였다. 마지막으로 7종의 음악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악기 중 악기의 연주법이 제시된 악기는 17가지였는데, 그 중 서양악기에서 리듬악기는 연주법이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 기악 연주에 지정된 악기를 중심으로 연주법의 소개가 정확하게 명시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상과 같이 교육과정이 목표로 하는 음악 교육을 학생들에게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연구와 더불어 교과지도 방법도 같이 개발하여야 교사가 학생들에게 정확히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Music textbooks play a vital role in music education not only because of its influence on students’ musical maturation and experience but also because of its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s’ character and values.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instrumental songs from middle school's 1st grade music textbooks from the 2007 revised course of study. It will determine how much of the instrumental goals and contents of the 2007 course of study are reflected in textbooks, how diverse instrumental songs are used, and how high is their degree of importance in music textbooks by different publishers. This will help analyze problem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extbooks and the ways on how to improve them.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al performance methods were analyzed for individual textbooks, the number of theme songs for active practice, and the number of instrumental songs were compared and categorized under instrumental songs for vocals, instrumental only songs, Korean instrumental songs, and foreign instrumental songs. The instrumental songs from 7 music textbooks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ir degree of conformity to the 2007 revised course of study. Meanwhile, the diversity of activities and study activities by the main instruments used were also studied through the learning goals and activities of the instrumental songs. Lastly, the structure of instrumental songs and performances, types of instruments used in songs, and the how-to play methods of individual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7 middle school's 1st grade music textbooks constructed units based on ‘concepts or principles’ and based integrated learning on each unit topic. The ratio of instrumental performance in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7th textbook. And Korean classical studies focused on improving quality and giving content to Korean classical music, and emphasizing Korean instrumental songs. The 7 middle school's 1st grade music textbooks’ instrumental performance activities were focused on correct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ieces and correct playing methods. Integrated learning theme songs that connected 2 instrumental and theme activities made up 35.48% of the textbooks while songs that connected 3 activities covered 27.42% of the textbooks. This manifested their efforts to teach balanced music activities. But the diversity of playing methods and pieces were limited to the instrumental pieces, and there was a need to propose pieces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through diverse instrumental pieces and activities. In addition, of the 47 instruments used in the texts there were 9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23 Western instruments, and 15 rhythm instruments, displaying a tendency towards western instruments and a need for sustainable interest and research for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Lastly, of the 17 instruments where how-to play methods were shown in the 7 music textbooks, western instruments and rhythm instruments play methods were almost nonexistent. This showed a need to introduce detailed how-to play methods for main musical instruments. To effectively teach students the standards of music education from the course of study, additional studies on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must be developed.

      • 수도권 인구 이동의 변화, 1990-2003

        이숙경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1990년에서 2003년까지의 전국 권역별 인구이동흐름을 살펴보고, 1995년부터 2003년까지의 수도권내의 전입전출의 이동상황을 서울 ,경기, 인천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우리나라의 인구이동은 시도간의 장거리 이동보다 동일 시도내의 단거리 이동의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에는 거리의 제약이 없다. 1990년에서 2000년까지 총인구수는 수도권만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권역별 총전입률은 수도권, 경상권, 전라권, 충청권, 강원권, 제주권순으로 나타난다. 1990-2003년의 순전입 인구 변화에서 꾸준히 양의 수치를 나타내는 곳은 수도권뿐이다. 따라서 전국의 인구이동은 '수도권전입초과, 타권역전출초과'로 압축된다. 최근에 이르러 수도권이외의 부산, 대구, 광주, 대전광역시와 충청도 일부 시도 지역으로 인구가 분산 집중하고 있다. 수도권지역의 순전입을 살펴보면 경기지역으로 꾸준히 전입 초과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신도시 개발이후 쾌적한 환경과 서울과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으로 본다. 서울로의 전입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인천을 포함한 경기도로의 인구이동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 서울의 광역화 및 교외화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2003년도의 서울주민의 경기도 주요전입지는 수원시, 성남시, 의정부시, 부천시, 광명시, 안산시, 고양시, 남양주시, 용인시,등 서울로부터 40㎞이내에 위치한 수도권지역은 수도권의 핵심적인 인구 이입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서울시에 인접해 있거나 경인선, 경부선, 의정부-동두천축으로 확장되어 있는 교통망을 따라 간선도로망이 연계되어 있는 지역으로 서울시 교외지역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수도권내의 인구이동을 보면 1995년에서 2003년까지 서울특별시의 전입·전출이 높은지역은 노원구, 강남구, 송파구로 나타난다. 인천광역시의 전입·전출이 높은 지역은 남구, 남동구, 부평구이고, 경기도의 전입·전출이 높은 지역은 수원시, 성남시, 부천시, 고양시이다. 마지막으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택의 수요와 공급과 수도권내의 취업문제, 기타요인으로 나타난다. 주택의 수요와 공급은 수도권 인구 이동의 주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주택신도시 건설은 주택증가에 따른 인구유입을 주도하고 있다. 이것은 신도시개발이 서울인구를 유인하고, 서울에서 신도시로 이주해 나간 자리에는 수도권 또는 지방으로부터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는 주택여과과정이 전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변화는 도시화를 가져왔고, 수도권으로 도시화가 극대화 되었다. 수도권의 인구집중은 산업화 특히 제조업의 수도권 집중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 최근 첨단산업 및 생산자서비스업의 수도권 집중은 수도권 인구이동의 새로운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경기도로 인구 분산을 유도한 정책적인 조처도 영향을 받는다.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교통로 확충과 중심도시의 확장 또한 교외지역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서울시보다 저렴한 지가와 쾌적한 환경 또한 경기도로의 인구이동을 만들게 한 요인이다. This report look into migration stream of metropolitan region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90~2003. The movement change of in-migration and out-mig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rom 1995 to 2003. The spatial pattern of the regional migration in Korea is found to be one of intraregional rather than interregional movement. But the migration to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sn′t restricted by the distance. The metropolitan whole inmigration show Seoul metropolitan region, Gyeongsang metropolitan region, Jeolla metropolitan region, Chungcheong metropolitan region, Gangwon metropolitan region, Jeju metropolitan region as this order. Net inmigration has taken place only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during the period of 1990~2003. So migration in Korea is summarized "Seoul metropolitan region in-migration excess" and "non-Seoul metropolitan region out-migration excess". Recently the population is increasing in the Busan, Daegu, gwangju, Daejeon metropolitan region and the some part of Chungcheong except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net inmigration the inmigration excess is constantly showed to the province of Gyeonggi. Because the province of Gyeonggi is located near Seoul and has comfortable circumstances after developing the new town. The migration into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s the suburbanization from Seoul to the province of Gyeonggi. Suwon city, Seongnam city, Uijeongbu city, Bucheon city, Gwangmyeong city, Ansan city, Goyang city, Namyangju city, Yongin city and etc is the province of Gyeonggi main inmigration from the Seoul dweller. These cities which are situated wity in 40km from Seoul is concentrated inmigration area. These area that lie adjacent to the Seoul or connect with principal road network almost accord with a suburb of Seoul. According to migration in the metropolitan, Nowon gu, Gangnam gu and Songpa gu is mentioned the inmigration and outmigration high area from 1995 to 2003. the high inmigration and outmigration area in the inchon metropolitan region is Nam gu, Namdong gu and Bupyeong gu and the high inmigration and outmigration area in the province of Gyeonggi is Suwon city, Seongnam city, Goyang city. Lastly the regional migration is result of metropolitan job opportunities, availability of housing, and the other factors including the availability of the transportation systems, the efficient regional policies, and the comfortable amenity. On account of the effects, the population of Gyeonggi province is incre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