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주 지역 지석묘 문화의 특징과 종말기의 양상

        이수홍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4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omb culture in the Gyeongju region during the Bronze Age, and also examine the patterns of dolmens during their end phase.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18 tomb relics from the Bronze Age and nine from the early Iron Age. Gyeongju belongs to the Geomdan-ri cultural zone. Approximately 120 tombs from the Bronze Age have been excavated in the Gyeongju region. There are fewer tombs than dwellings in the region, which i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Geomdan-ri cultural zone. Although the number of tombs is small,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ead body is varied. During the Bronze Age, tombs in the Gyeongju region were characterized by more prolific construction of pit tombs,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than were the cases in other areas.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pit tombs in the Gyeongju region were influenced by their counterparts in the northeastern parts of North Korea, given the spindle whorl artifacts buried at the Dongsan-ri sites.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are usually distributed in the Songguk-ri cultural zone, and it is peculiar that instances of these are found in large numbers in the Gyeongju region as part of the Geomdanri cultural zone. Even in the early Iron Age, the building of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continued in the Gyeongju reg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Bronze Age. A new group of people moved into the area, and they crafted ring-rimmed pottery and built wooden coffin tombs. In the early Iron Age, new rituals performed in high places also appeared, and were likely to provide venues for memorial services for heavenly gods in town-center areas. The Hwacheon-ri Mt. 251-1 relic and the Jukdong-ri relic are ruins that exhibit the aspect of rituals performed in high places well. In these rituals performed in high places, a stacked stone altar was built with the same form as the dolmens with boundaries, and a similar rock to the cover stone of a dolmen was used. People continued to build and use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while sustaining the Bronze Age traditions, even into the early Iron Age, because the authority of dolmens was maintained. Some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known as being Bronze Age in origin, would have continued to be used in ritual practices until the early Iron Age. Entering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wooden coffin tombs began to propagate. This was the time when the southern provinces, including the Gyeongju region, were included in the East Asian network, with the spread of ironware culture and the arrival of artifacts from central China. Around this time, dolmen culture faded into history with a new era beginning in its place.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문화를 검토하고 지석묘의 종말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무덤 유적 18곳, 초기 철기시대 이른 시기 즉 종말기의 무덤 유적 9곳을 분석하였다. 경주는 검단리 문화 분포권에 포함된다. 현재까지 경주 지역에서 청동기시대 무덤은 약 120기 조사되었다. 주거지 의 수에 비해 무덤의 수가 부족한 편인데, 검단리 문화권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무덤의 수는 부족해도 매장주제부의 구 조는 다양하다.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은 토광묘와 묘역식지석묘·적석제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축조 된다는 점이다. 토광묘는 동산리유적 부장품인 방추차를 통해서 볼 때 북한 동북 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은 송국리 문화권에 주로 분포하는데, 특이하게도 검단리 문화권인 경주 지역에서 많이 확인 된다. 초기철기시대가 되어도 청동기시대의 영향이 이어진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된다. 새롭게 이주한 점 토대토기 문화인들은 목관묘를 축조하였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새로운 고소의례가 등장하는데 국읍(國邑)에서 주재하는 천신제사(天神祭祀)의 장소일 가능성 이 있다. 화천리 산251-1유적과 죽동리유적은 고소의례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이러한 고소의례에도 묘역식 지석묘와 동일한 형태의 적석제단이 축조되고 지석묘의 상석과 유사한 바윗돌이 이용되었다. 초기철기시대에도 청동기 시대 전통을 유지한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 이용되는 것은 새로운 시대가 되었어도 지석묘가 가진 권위 가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청동기시대로 알려진 묘역식지석묘나 적석제단 일부에서는 초기철기시대까지 의례 행위 가 지속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이 되면 목관묘가 군집하기 시작한다. 철기 문화가 확산하고, 중국 중원의 유물이 유입되는 등 경 주 지역을 비롯한 남부 지역이 동아시아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시점이다. 이때 지석묘 문화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새로 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

      • KCI등재

        《침구태성(鍼灸大成)》<책(策)>편(篇)의 분석(分析)을 통(通)한 양계주(楊繼洲)의 의학사상(醫學思想)에 관(關)한 연구(硏究)

        이수홍,윤종화,김갑성,Lee, Su-Hong,Yoon, Jong-Hwa,Kim, Kap-Sung 대한침구의학회 2000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7 No.2

        We have known that $\ll$Zhen Jiu Da Cheng, 鍼灸大成$\gg$ had been written by Yang Ji Zhou(楊繼洲) in Ming(明) dynasty. And it had been the only textbook of acupuncture & moxibustion for over 300years. This book is composed of 10 chapters dealing almost all the medical theories of that times. This book is so enormous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essential ideas of the author. But, Yang Ji Zhou revealed his ideas and medical theories in some parts of this book. This part is named <Ce, 策> that composed of 4 small subjects. These are <Zhu Jia De Shi Ce, 諸家得失策>, <Tou Bu Duo Jiu Ce, 頭不多灸策>, <Xue You Ji Zheng Ce, 穴有奇正策> and <Zhen You Shen Jian Ce, 鍼有深淺策> In this study, I analyze the relation of $\ll$Zhen Jiu Da Cheng, 鍼灸大成$\gg$ and $\ll$Wei Sheng Zhen Jiu Xuan Ji Bi Yao, 衛生鍼灸玄機秘要$\gg$ and then I study <Ce, 策> further by comparing with other parts of $\ll$Zhen Jiu Da Cheng, 鍼灸大成$\gg$ and other important oriental medical textbooks.

      • KCI등재

        Solution growth of polycrystalline silicon on Al-Si coated borosilicate and quartz glass substrates for low cost solar cell application

        이수홍,Lee, S.H.,Queisser, H.J.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1994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4 No.3

        보로실리케이트 유리기판과 석영기판을 사용하여 $800^{\circ}C~52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용액 성장법에 의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성장에 관해 조사 하였다. 기판상에는 용애과의 젖음성을 좋게 해주기 위해 박막의 알루미늄츠오가 실리콘층이 증착되었으며, 용매로는 알루미늄과 실리콘옥사이드와의 반응에 의해서 일어난다. 결정립 크기가 수백 마이크론까지 이르는 실리콘을 얻을 수 있었으며, 석영기 판의 경우에는 보르실리 케이트 유리기판보다 강한 (111) 우선 성장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We investigated solution growth of silicon on borosilicate and quartz glass substrate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0^{\circ}C~520^{\circ}C$. A thin Al-Si layer evaporated onto the substrate serves to improve the wetting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l/Ga solvent. Nucleation takes place by a reaction of Al with $SiO_2$ from the substrate. We obtained silicon deposits with a grain size up to a few 100 $\mu\textrm{m}$. There was a perferential (111) orientation for the case of quartz glass substrates while there is a strong contribution of other orientations for the deposition of Si on borosilicate glass substrates.

      • KCI등재

        蔚山地域 靑銅器時代 終末期의 地域相

        이수홍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4 No.-

        In this article, the appearance of the end of the Bronze age in Ulsan area was examined. By reviewing the ruins of the last stage of the Geomdan-ri type in the Ulsan area and the ruins of the early Iron age, it’s examined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of these aspects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eomdan-ri type has been continued until the time of appearance of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 and the soft grayish pottery. The features of the end of the Bronze age in Uls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terminus of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 base on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site of the people who used the pottery with clay strip was the place where people who used the patternless pottery lived. In other words,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relatively weak. Third, iron mine was discovered and used. And fourth, active external activities such as exchanging with Naklang and Japan have been carried out. While keeping the original way of life, the people who used the patternless pottery naturally accepted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 based on a new point, until the time of appearance of the soft grayish pottery. There were many archaeological facilities that maintain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The elements that represent the Bronze age in the early Iron age have disappeared completely as soon as the culture of wooden tomb craft is built up. That’s the time when the end of the Bronze age and the opening of a new era. It’s also the time whe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incorporated into the cultural approach order of East asia.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종말기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단리유형의 마지막 단계 유적과 초기철기시대유적을 검토하여 울산지역의 양상이 한반도 다른 지역과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검단리유형은 새롭게 유입된 점토대토기문화와 함께 와질토기 등장시점까지 존속한다. 울산지역은 지역적인 특성상 한반도 점토대토기의 종착지이다. 달천철장에서 알 수 있듯이 철광상을 발견하여 이용하였으며, 그 철을 매개로 낙랑, 일본 등과 활발한 대외교류 활동을 하였다. 점토대토기인의 생활터전이이미 무문토기인들의 점유지였던 것으로 볼 때 양 집단의 갈등이 상대적으로 미약했다고 할 수 있다. 무문토기인들이 와질토기 등장시점까지 원래의 생활방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점토대토기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우리가 청동기시대의 유구라고 인식하였는데 실제 초기철기시대에 존속하였던 것이많을 것이다. 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시대적 요소는 목관묘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완전히 소멸한다. 이때야말로 청동기시대 종언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시점이다. 한반도 남부지역이 동아시아 질서에 편입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진주 대평리유적 옥방 1지구의 미시적 검토

        이수홍 한국청동기학회 2017 한국청동기학보 Vol.20 No.-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유적 중 옥방 1지구를 10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충적지에 형성된 유적으로 당시의 생활면이 그대로 잔존하는 곳이다. 옥방 1지구 검토대상구역은 하촌리식주거지 단계, 휴암리식주거지 단계, 송국리식주거지 단계로 구분된다. 휴암리식주거지 단계가 대평리유적의 중심시기이며 세부적으로 세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대평리유적의 중심시기는 비파형동검를 패용하고 돌을 이용한 대형묘역지석묘가 축조될 정도의 강력한 지도력이 나타나기 직전이지만 남강 일대 최대의 거점취락이다. 이러한 에너지가 이후 송국리식주거지 단계에 대형 묘역지석묘나 대형굴립주 등이 등장 확산되고 비파형동검을 패용하는 유력개인이 등장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대상유구(帶狀遺構)는 구와 노지가 결합된 세트로 파악하여야 하며 내부에서 공동 취사가 이루어진 의례 행위의 장소로 파악하였다. 검토대상구역에는 약 28~32세트가 분포한다. 무덤은 25기가 조사되었는데 검토대상구역에는 약 2그룹으로 분리되어 분포한다. 야외노지는 약 30~40기가 분포하는데 개별 주거의 야외 취사시설로 파악하였다. 가마는 대상유구가 폐기된 이후에 전용된 예도 있으며 직경 2m내외의 수혈을 굴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52기가 분포한다. 굴립주는 8기가 분포한다. 동시기에 10동 내외의 주거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5기의 무덤을 축조하고 5세트의 대상유구에서 의례활동을 하였다. 가마는 개별 주거별로 사용하였고 창고로 이용된 굴립주는 3주거당 1기를 이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송국리문화분포권은 비분포권에 비해 취락에서 개별 가옥의 범위를 벗어난 공동행위가 더 많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It’s reviewed and divided the Ok-bang Ⅰ district in Bronze Age into ten sections. The stratum that lived at the time remains as historical site that it’s formed in alluvial land. It’s divided the Ok-bang Ⅰ district into three steps: - Hachon-ri, Hyuam-ri and Songook-ri dwelling site. The Hyuam-ri step is the center time of the Daepyeong-ri site, the largest base settlement in Namgang River area and also divided into three times in detail. The Hyuam-ri step has been set, just before the appeared strong leadership to own the Liaoning bronze dagger, to built the large boundaries of dolmen as much. The motive would have been a driving force to emerge a leading person who owned the Liaoning bronze dagger in the Songook-ri step that the large boundaries of dolmen,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etc. were spread. The strips of remains should know that the ditch and the fire pot marks were set. It’s identified as a place to hold a memorial service, to cook at a community kitchen in the remains. There were the distribution of 28-32 set within the site. 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the excavated 25 tombs was spread into two groups separate. The outdoor fire pot marks those are distributed about 30 to 40, regarded as an outdoor cooking facilities of individual housing. There was an example that it’s been converted into kiln after wasting the strips of remains. It was also used a hole which it’s dug in diameter of 2M instead of kiln, as many as 52 spots have been identified with 8 ruins those are distributions of the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The inhabitants who live in about 10 houses in the same time, had built 5 tombs, had held the memorial service in 5 sets of the strips of remains. It’s estimated that the kiln was used in individual housing, that’s about 1 ruin that the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regarded as warehouses in every 3 houses. There were the corporate action out of range of individual houses in settlement. Compared to the other area, it should be the distribution of the Songook-ri culture in frequ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