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건강 검진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아형에 따른 빈도 및 연관 인자

        이수연 ( Su Yeon Rhie ),최창환 ( Chang Hwan Choi ),이현웅 ( Hyun Woong Lee ),도미영 ( Mi Young Do ),이승현 ( Seong Hyun Lee ),한상표 ( Sang Pyo Han ),허채 ( Chae Huh ),김형준 ( Hyung Joon Kim ),김정욱 ( Jeong Wook Kim ),김재규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기질적인 원인이 없이 상복부의 통증 혹은 불쾌감이 만성적이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로 정의한다. 연구자는 건강 검진자를 대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증 및 그 아형의 빈도를 조사하고, 이와 연관된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중앙대학교병원에 2006년 4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내원한 건강 검진자 8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상부소화관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지는 로마기준 II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질문형식으로 바꾸었으며 세부적인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 등을 포함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인자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기능성 소화불량증 빈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30명의 대상자들 가운데 설문지 작성을 거부하거나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을 제외하고 총 708명(85.3%)의 대상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 중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소화불량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167명(23.6%)이었다. 소화불량증 환자 중 로마기준 II에 합당한 95명(13.4%)을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하였으며, 남자에서 9.0% (24/266), 여자에서 16.1% (71/442)로 여자에서 빈도가 높았다(p<0.05). 아형별로 분류하였을 때 궤양형이 24.2% (23명), 운동이상형이 69.5% (66명), 그리고 미분류형이 6.3% (6명)이었으며, 임상 증상의 빈도는 상복부 통증이 61.1%로 가장 흔한 증상이었고, 이어서 식후 포만감 57.9%, 상복부 불쾌감 55.8%, 조기 만복감 49.5%, 상복부 팽만감 45.3%, 트림 45.3%, 구역 29.5%, 구토 12.6%의 빈도를 보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연관된 인자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성별과 흡연 여부에 따라 여자와 현재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높았으며, 체질량 지수에 따라서는 과체중 수검자에서 정상체중에 비해 유의하게 빈도가 낮았다(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흡연과 체질량 지수만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p<0.05). 그 외 연령, 음주력, 질병력(고혈압, 당뇨),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 그리고 소염제 복용 여부에 따라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로마기준 II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건강 검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빈도는 13.4%였고, 아형은 운동이상형이 69.5%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상복부 통증(61.1%)이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빈도는 현재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과체중인 사람에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and symptom pattern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at satisfied the ROME II criteria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frequency in South Koreans. Methods: A total of 708 (85.3%) subjects from among the 830 subjects who visited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or health check ups from April 2006 through September 200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vered the demographic features and symptoms, depending on the ROME II criteria, for FD. Results: Among the 708 subjects, 167 subjects (23.6%) complained of chronic or recurrent dyspepsia. Among them, ninety-five subjects (13.4%) were diagnosed as FD and the frequency of FD in males and females was 9.0% and 16.1%,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subtype of FD was dysmotility-like dyspepsia (69.5%).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upper abdominal pain (61.1%), followed by fullness after eating, upper abdominal discomfort, early satiety, upper abdominal bloating, belching, nausea and vomiting. The frequency of F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current smokers, and the normal weight subjects (BMI<25). Smoking and BMI were independently related with the presence of FD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5). The frequencies of FD were not different in terms of age, alcohol intake, diabetes mellitus, a history of hypertensi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NSAID use.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FD was 13.4% according to the ROME II criteria in health check up subjects of our region. FD was more common in the current smokers and in the normal weight peopl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31-37)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프로톤펌프억제제 포함 표준요법 실패 후 Helicobacter pylori 감염 구제요법

        서영환 ( Young Hwan Seo ),이수연 ( Su Yeon Rhie ),박범준 ( Bum Joon Park ),김형준 ( Hyung Joon Kim ),김재규 ( Jae Gyu K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1

        목적: 국내에서 Helicobacter pylori를 제균하기 위해 사용되는 PPI 표준 삼제요법과 bismuth 포함 사제 요법은 적지 않은 제균 실패율은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일차제균 치료에 실패한 환자에서 이차 치료로 bismuth 포함 사제요법과 삼차 치료로 rifabutin 포함 삼제요법의 H. pylori 제균율을 분석하고, 구제요법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중앙대학교 필동병원과 용산 병원을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H. pylori 감염 진단을 받고 PPI 삼제요법 치료에 실패한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차 bismuth 삼제요법을 시행하였다. 또한 이차 제균에 실패한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rifabutin 포함 삼제요법으로 삼차 구제요법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 성별, 질환, 음주, 흡연, 그리고 NSAIDs 복용력에 따른 제균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Bismuth 포함 사제요법의 제균율은 84.6%였으며, rifabutin 포함 삼제요법의 제균율은 100%였다. 연령, 성별. 질환, 음주, 흡연, 그리고 NSAIDs 복용력에 따른 의미있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Bismuth 포함 사제요법은 PPI 포함 일차 삼제요법 실패 후 이차 치료로 여전히 효과적이며, rifabutin 포함 삼제요법도 국내에서 이차 치료 실패 시 삼차 구제요법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Proton pump inhibitor (PPI)-based standard triple therapy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s widely used, but it has a considerable failure ra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rescue therapies with a quadruple regimen and a rifabutin-based regimen for patients who experienced failure with PPI-based standard triple therapy. Methods: From July 2004 through October 2006, 52 patients for whom first-line triple therapy (PPI,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had faile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treated with a quadruple regimen for 7 days (PPI, bismuth, tetracycline and metronidazole) as a second-line therapy. For third?line therapy, a rifabutin-based regimen (PPI, rifabutin and amoxicillin) was prescribed for 14 days. The H. pylori status was determined before and at least 4 weeks after therapy by the 13C urea breath test or by endoscopy with antral and corpus biopsies for a rapid urease test,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culture. Results: The mean age was 52.6 years. Thirteen patients (25%) of the 52 patients were dropped. The eradication rate of the quadruple therapy was 84.6% (33/39). Three patients of the 6 failures with quadruple therapy were then treated with the rifabutin-based regimen. The eradication rate of the rifabutin-based therapy was 100% (3/3). Adverse effects (10.2%) were reported in 4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quadruple regimen. Conclusions: The quadruple regimen is still an effective second-line therapy for Korean patients who experience failure with PPI-based standard triple therapy. The rifabutin-based regimen could be used as a third-line rescue therapy in Korea. (Korean J Med 74:23-29, 2008)

      • SCIESCOPUSKCI등재

        건강 검진자에서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 및 연관 인자

        황상연 ( Sang Yon Hwang ),최창환 ( Chang Hwan Choi ),이수연 ( Su Yeon Rhie ),도미영 ( Mi Young Do ),이승현 ( Seong Hyun Lee ),김형준 ( Hyung Joon Kim ),김정욱 ( Jung Uk Kim ),김재규 ( Jae Kyu Kim ),장세경 ( Sae Kyung Chang ),박실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2

        목적: 우리나라에서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와 이와 연관된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기관에서 건강 검진을 받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윌부터 2005년 8윌까지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리 제작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설문지는 로마 기준 II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질문형식으로 바꾸었으며 설사형, 변비형, 혼합형의 아형과 세부적인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 인구통계학적인 항목 등을 포함하였다. 기본적인 문진, 말초혈액검사, 혈청생화학검사, 갑상선가능검사, 대변잠혈검사, 상부소화관내시경검사, 복부초음파검사 등의 건강 검진 자료를 분석하여 기질적인 질환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과민성 장 증후군 발생과 연관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083명의 대상자들 가운데 설문지 작성을 거부하거나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을 제외하고 총 2,345명(76.1%)의 대상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 중 남자는 1,298명(55.4%), 여자는 1,047명(44.6%) 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49.0±13.6세였다. 로마기준 Ⅱ에 따른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는 8.3%였다. 증상에 따른 아형은 설사형 30.8%, 변비형 23.6%, 그라고 설사-변비 혼합형이 45.6%로 혼합형이 가장 많았다. 35세 미만의 젊은 연령에서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가 13.1%로 유의하게 높았고, 또한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인 저체중에서의 빈도가 21.0%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러나 연령, 거주지역, 직업군, 흡연 및 음주력, 당뇨와 고혈압의 과거력, 빈혈의 유무, 혈액형, 역류성 식도염, 소화성궤양 및 지방간 유무, 그라고 헬리코박터 균 감염 유무에 따라서는 과민성 장 증후군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로마기준 II를 적용하여 건강 검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우리나라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는 8.3%이며, 35세 미만의 젊은 연령과 저체중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높았다. Background/Aims: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a common health problem affect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IBS that satisfied the ROME II criteria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IBS in subjects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in South Korea. Methods: We included a total of 2345 (76.1%) subjects among the 3083 subjec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Myongji hospital from March 2005 through August 2005.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a questionnaire that was comprised of the demographic features, the ROME II criteria and the probable associated factors. The frequency of IBS was analyz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ast history, the body mass indexes (BMI), blood tests and the endoscopic and abdominal sonographic findings. Results: The frequency of IBS was 8.3% (7.9% in males and 8.8% in females). Of the IBS patients, 30.8% had characteristics of diarrhea-predominance, 23.6% had characteristics of constipation-predominan while 45.6% had alternating symptoms.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a sense of incomplete evacuation (60.0%), followed by bloating or distention (54.9%), straining (36.9%), urgency (29.7%), and mucus in stool (9.2%). The frequency of IB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younger age subjects (age<35) and for the under-weight subjects (BMI<18.5), and these were the factors independently related with the presence of IBS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requencies of IBS were not different in terms of gender, area of residence, occupation, smoking, alcohol intake, the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histories, anemia, ABO blood groups,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presence of reflux esophagitis, peptic ulcer or fatty liver disease.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IBS was 8.3%, according to the ROME II criteria, in the subjects who underwent health-check ups in our region. IBS was more common in the younger age subjects and the under-weight peopl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36-143)

      • KCI등재후보

        사람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과 동반된 특발 혈소판감소성 자색반병 1예

        여범곤,이수연,최세호,이종현,선경윤,이성호,서창인,신형식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6

        사람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에 동반된 특발 혈소판감소성 자색반병은 약 4%에서 치명적인 출혈성 경향을 보이며 인체 면역기능의 변화로 치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prednisone과 IV immunoglobulm으로 치료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저자들은 항레트로바이러스제제와 prednisone을 병용투여하여 사람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에 동반된 특발 혈소판감소성 자색반병 1예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rombocytopenia is a common event in the course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The maior cause of HIV virus related thrombocytopenia is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Treatment options for HIV related ITP are steroids, immunoglobulin, other immunosuppressive agents, and splenectomy. In addition, Antiretroviral agents are reported as effective treatment options in the setting of HIV-associated ITP, by enhancing CD4^(+) T cell counts, and reducing HIV viral loads. We report a case of HIV related ITP treated with prednisone, immunoglobulin, and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