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시열의 ‘춘추필법’ 실행 양상: 비문(碑文)과 전(傳)을 중심으로

        이송희(Song-hee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8 OUGHTOPIA Vol.33 No.2

        송시열은 분명한 춘추필법의 의식을 가지고 압도적인 분량의 전기자료를 저술했다. 본 연구는 송시열의 인물 포폄 행위를 당대의 언어와 도덕적 개념들로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고 담론장을 재구성하고자 한 하나의 성공한 시도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명의 멸망 이후 조선이 중화 문명권에서 자신의 위치를 재정립해야 했던 시기에, 송시열의 가장 강력한 전략은 춘추의리를 서인-노론계의 학통과 접합시키는 것이었다. 그가 춘추필법을 자처하며 斯文을 재구성한 결과, 儒者라면 춘추대의의 명분에 따라 존왕양이를 실천해야 한다는 논리구조가 만들어졌으며, 그 결과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대명의리를 포기한다는 것은 곧 사림의 일원으로서의 자기정체성에 핵심적인 부분을 버리는 셈이 되었다. 한편, 구체적인 현실에서 벌어지는 상황들에 대한 가치판단이 필요한 경우 송시열은 다른 무엇보다도 의도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결국 조선후기 윤리의식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하게 되는 듯하다. 두 가지 모두 유가적 언어장에 속한 구성원들이 쉽사리 논파하기 어려운 언어 전략으로, 그 결과 송시열은 당대에 경합하던 여러 ‘명분’들간의 대립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Song Si-Yeol, the most influential Confucian scholar and notorious doctrinarian in 17th Century Joseon, left extraordinarily huge volume of biographies under the name of Chunqiu bifa[春秋筆法], or indirect moral criticism. This paper analyzes the act of Song’s writing biographies as linguistic games to reorganize and manipulate rhetorical and conceptual resources for his own purpose in the boundary of moral limits of the contemporary Joseon. Facing the urgent need to rebuild its legitimacy in the Sinocentric world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Song’s main strategy was to establish the orthodox genealogy of Joseon Confucians under the name of Chunqiu, and argued that those who didn’t belong to this lineage are enemies of Sinocentric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Song emphasized the purity of moral motif of one’s act when judging someone in specific situation, and this attitude seems to become one of the key elements of moral standard of late Joseon. Those two aspects of Song’s political and moral language was strong enough to triumph over other rival causes of the time.

      • KCI등재

        단결정 실리콘에서 산소농도에 따른 산소석출결함 변화와 태양전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

        이송희,김성태,오병진,조용래,백성선,육영진,Lee, Song Hee,Kim, Sungtae,Oh, Byoung Jin,Cho, Yongrae,Baek, Sungsun,Yook, Youngji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4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4 No.6

        최근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경우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소재로써 고효율 태양전지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으로 Czochralski(Cz)-Si 성장 시 산소농도를 다르게 하여 산소석출결함의 변화와 그에 따른 셀효율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산소불순물은 Cz법으로 성장시킨 실리콘의 주된 불순물이다. 산소불순물 존재 시 태양전지 공정에서 산소석출결함이 생성되며 발생된 산소석출결함은 셀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고효율 태양전지를 위한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한 산소석출결함 밀도와 셀효율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산소농도에 따른 산소석출결함을 분석하여 산소석출결함이 발생되지 않는 잉곳 내 산소농도 범위를 연구하여 14.5 ppma 이하에서 Bulk Micro Defect(BMD)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Recent studies have shown methods of improving solar cell efficiency. Especially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wafer which is high-efficiency solar cell material that has been widely studied. Interstitial oxygen (Oi) is the main impurity in the Czochralski (Cz) growing method, and excess of this can form precipitates during cell fabrication. We have demonstrated the effect of Oi impurity and oxygen precipitation concentration of the wafer on Cz-silicon solar cell efficiency. The result showed a decrease in cell efficiency as Oi and oxygen precipitation increase. Moreover, we have found that the critical point of [Oi] to bring higher cell efficiency is at 14.5 ppma in non-existent Bulk Micro Defect (BMD).

      • KCI등재

        유자과즙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이송희,이무성,Lee, Song Hee,Lee, Moo 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유자의 과즙을 $50^{\circ}C$ 의 열수 추출물과 70%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과 항균효과를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실험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모두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총 polyphenol과 Tannin함량은 70%에탄올 추출물에서 $7.8{\pm}0.02mgGAE/g$, $9.9{\pm}0.01mgTAE/g$으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DPPH radical의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역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10000 ppm일 때 각각 $46.1{\pm}4.76%$, $37.1{\pm}1.23%$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균효과에서는 C. albicans를 제외하고 모든 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25 mg/disc에서 E. coli는 $50^{\circ}C$ 열수추출물에서 $18{\pm}1.73mm$, S. epidermidis와 S. aureus는 70% 에탄올 추출물 에서 $17{\pm}4.36mm$, $19{\pm}2.86mm$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았을 때 유자과즙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누, 샴푸 또는 두피개선제등 미용 또는 피부 관련 향장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Citrus junos. Theextracts were obtained in both 70% ethanol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at a distillation temperature of $50^{\circ}C$.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November 2016 and March 2017. The averag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results wer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7.8{\pm}0.02mgGAE/g$ and $9.9{\pm}0.01mgTAE/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s in the water extracts. Furthermore, the ethanol extracts scavenged $46.1{\pm}4.76%$ of DPPH radicals and $37.1{\pm}1.23%$ of ABTS radicals. The scavenging capability of the ethanol extrac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s. However, the scavenging capability of both types of extracts depended on their concentrations.All the extracts showed active antibiosis effects against every bacteria tested except for C. albicans. E. coli at 25 mg/disc showed antibiosis with $18{\pm}1.73mm$ for the water extracts, while S. epidermidis and S. aureus showed antibiosis with $17{\pm}4.36mm$ and $19{\pm}2.86mm$ for the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is antibiosis rate is considerably higher. Th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 from Citrus junos could be useful as a primary material for beauty or skin-related products such as soaps, shampoos, and scalp enhancers.

      • KCI등재

        『成仁錄』 계열 간행물의 변개 양상과 그 의미

        이송희(Song Hee L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成仁錄』은 尹斗壽(1533~1601)가 정몽주와 문천상을 동렬에 위치시키려는 의도로 편찬된 두 인물의 초상과 遺墨, 관련 기록을 간략히 실은 짧은 시문첩이다. 1581년 처음 출간된 이 책은 윤두수의 대표작으로 꼽혔으며, 1608년 재간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 정몽주 현양의 주요 텍스트로서 20세기 초까지 거듭 변주되며 다양한 판본과 필사본으로 발견된다. 본고의 분석 대상 텍스트는 규장각 소장 『성인록』(奎3204), 고려대학교 소장 만송문고본 『성인록』(만송 B12 A86A),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송병선서본 『성인록』(古朝57),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남주원본 『증수성인록(古152-28-2)이다. 규장각본(奎3204)이 선본이다. 고려대학교 소장 『성인록』은 1608년 황해병영에서 김덕겸의 발문과 함께 간행되었다. 송병선의 1903년 서문이 붙은『성인록』(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57-7)은 20세기 초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판본으로 민응수의 「장충편」이 합본되어 있다. 『증수성인록』은 남주원의 편집으로 1924년 간행된 석인본(石印本)으로 정몽주보다 오히려 의령 남씨 집안에서 南乙珍(?~?)을 현양하기 위해 편찬된 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정몽주에게서 斯文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는 의도로 편찬된 윤두수의 『성인록』이 이후 노론계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구한말과 일제기까지 재호출되고 변주되는 현상을 추적함으로써 조선후기에서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정몽주를 기념하는 시문첩이 재출간되고 활용되는 한 가지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Seonginrok 成仁錄 is a commemorative booklet which collects the portraits, calligraphy, and records of Jeong Mong-ju and Wen Tianxiang, edited by Yun Doo-soo (1533~1601) in mid-Joseon Korea. After was first published in 1581 and re-printed in 1608, it had been one of the major texts for commemorating Jeong Mong-ju, circulated in multiple editions and manuscripts till early 20th century. The editions under discussion include Seonginrok (奎3204)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Seonginrok (만송 B12 A86A) at Mansong Collection of Korea University Library, Seonginrok (古朝57), with a preface of Song Byeong-sun and Jeungsu Seonginrok (古152-28-2) at Korea National Library. The Kyujanggak edition preserves the most original form. The Mansong edition was published in Hwanghae military base in 1608 with a preface written by Kim Duck-kyum. The one with the preface of Song Byeong-sun written in 1903 is a wooden printed edition of early 20th century, combined with Jangchungpyeon 奬忠編 edited by Min Ung-su in 18th century. Jeungsu Seonginrok is a two-volume lithograph edited by Nam Ju-won and published in 1924.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commemorate Nam Eul-jin, the editor's ancestor, rather than Jeong Mong-ju. The thesis explores various editions and the editor's intention of Seonginrok over time, from Noron's political texts to ornament for family honor in the colonial era.

      • KCI등재

        冲庵 金淨의 金剛山 紀行詩 硏究

        이송희(Lee Song-hee)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본고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되었던 충암 김정의 금강산 기행시를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한 것이다. 충암 김정은 기묘명현으로 도학자로서의 뛰어난 기량 뿐 아니라 盛唐詩에 빼어난 자질을 보여준 문학가이다. 충암의 금강산 기행시 주제 연구에 앞서 기행 동기 및 작품현황을 살펴본 후 30여 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나그네의 鄕愁, 淸澄한 세계로의 沈潛, 밝은 세상이 오기를 希求로 나누어 삶의 의식의 일단을 고구하였다. 나그네의 향수에서는 일찍부터 환로에 나갔다 유배와 해배의 아픔을 겪은 후 금강산 유람길에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시적 제재로 활용하여 시화하였음을 살폈다. 청징한 세계로의 침잠에서는 세속을 떠나 맑고 깨끗한 마음으로 살고자 염원하였던 충암 김정이 금강산에서 여러 스님들과의 만남을 통해 은자로서의 삶의 지향을 경물에 기탁하여 시화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현실 참여 의식에서는 금강산의 장엄한 경관을 보며 경물을 읊는데 그치지 않고 인생을 돌아보며 도학정치의 이상실현을 위한 앞으로의 마음가짐을 형상화하였음을 살폈다. 충암의 금강산 기행시는 1차 유배기 후 정계에 복귀하기 전 불의한 현실에 대한 정치적인 심경과 은자로 표출되는 삶의 지향점, 현실 참여 의지를 통한 미래에 대한 계획 등 내면 의식이 잘 드러난 작품임을 고찰하였다. 김정의 시는 후세의 평론가들에 의해 극찬을 받았으나 작품 자체에 대한 면밀한 고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아쉬움을 금강산 기행시 연구로 계기를 삼고자 한다. This thesis represents a topically categorized review of the poems that Kim Jeong with the pen name of Chungam created on his visits to Geumgangsan Mountain and which were previously less noticed by scholars. Kim Jeong was a man of letters who not only showed excellent qualities as a Dohak(Learning of the right path as a person) but also demonstrated superb skills for Tang Dynasty poetry. In this study, I explore a cross section of Kim Jeong’s perception of life by classifying his thirty or so Geumgangsan travel poems into traveler’s nostalgia, settlement into a world of cleanness and lucidity, and seeking the right world to come. In traveler’s nostalgia, as a person who began to work for the government early in his life and underwent banishment and return, he traveled to Geumgangsan, and his yearnings for hometown and mother that he felt on the occasion were adopted as the subject matter for his poems. As far as settlement into a world of cleanness and lucidity, I survey those poems that Kim Jeong who wanted to leave the mundane world and lead a life with a clean and clear heart created by tapping into the scenic views in Geumgangsan in a bid to express poetically his commitment to a life of a hermit through his meetings with several Buddhist monks. In social engagement, the poet did not stop at having zen meditation while contemplating the magnificent views of Geumgangsan; in retrospect, he described his determination toward realizing the ideal of Taoist politics. Kim Jeong’s Geumgangsan travel poetry excellently described his inner consciousness including his political musings on the unjustified actualities he had before he returned to the political arena following his first banishment, the objectives in his life as a hermit, and his future plans revealed through his commitment to social engagement. ’Kim Jeong’s poetry was highly acclaimed by later reviewers. As his works previously failed to receive a close examination to regrets, I want to try one on his Geumgangsan travel po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