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시열의 ‘춘추필법’ 실행 양상: 비문(碑文)과 전(傳)을 중심으로

        이송희(Song-hee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8 OUGHTOPIA Vol.33 No.2

        송시열은 분명한 춘추필법의 의식을 가지고 압도적인 분량의 전기자료를 저술했다. 본 연구는 송시열의 인물 포폄 행위를 당대의 언어와 도덕적 개념들로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고 담론장을 재구성하고자 한 하나의 성공한 시도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명의 멸망 이후 조선이 중화 문명권에서 자신의 위치를 재정립해야 했던 시기에, 송시열의 가장 강력한 전략은 춘추의리를 서인-노론계의 학통과 접합시키는 것이었다. 그가 춘추필법을 자처하며 斯文을 재구성한 결과, 儒者라면 춘추대의의 명분에 따라 존왕양이를 실천해야 한다는 논리구조가 만들어졌으며, 그 결과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대명의리를 포기한다는 것은 곧 사림의 일원으로서의 자기정체성에 핵심적인 부분을 버리는 셈이 되었다. 한편, 구체적인 현실에서 벌어지는 상황들에 대한 가치판단이 필요한 경우 송시열은 다른 무엇보다도 의도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결국 조선후기 윤리의식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하게 되는 듯하다. 두 가지 모두 유가적 언어장에 속한 구성원들이 쉽사리 논파하기 어려운 언어 전략으로, 그 결과 송시열은 당대에 경합하던 여러 ‘명분’들간의 대립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Song Si-Yeol, the most influential Confucian scholar and notorious doctrinarian in 17th Century Joseon, left extraordinarily huge volume of biographies under the name of Chunqiu bifa[春秋筆法], or indirect moral criticism. This paper analyzes the act of Song’s writing biographies as linguistic games to reorganize and manipulate rhetorical and conceptual resources for his own purpose in the boundary of moral limits of the contemporary Joseon. Facing the urgent need to rebuild its legitimacy in the Sinocentric world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Song’s main strategy was to establish the orthodox genealogy of Joseon Confucians under the name of Chunqiu, and argued that those who didn’t belong to this lineage are enemies of Sinocentric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Song emphasized the purity of moral motif of one’s act when judging someone in specific situation, and this attitude seems to become one of the key elements of moral standard of late Joseon. Those two aspects of Song’s political and moral language was strong enough to triumph over other rival causes of the time.

      • KCI등재

        유자과즙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이송희,이무성,Lee, Song Hee,Lee, Moo 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유자의 과즙을 $50^{\circ}C$ 의 열수 추출물과 70%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과 항균효과를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실험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모두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총 polyphenol과 Tannin함량은 70%에탄올 추출물에서 $7.8{\pm}0.02mgGAE/g$, $9.9{\pm}0.01mgTAE/g$으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DPPH radical의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역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10000 ppm일 때 각각 $46.1{\pm}4.76%$, $37.1{\pm}1.23%$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균효과에서는 C. albicans를 제외하고 모든 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25 mg/disc에서 E. coli는 $50^{\circ}C$ 열수추출물에서 $18{\pm}1.73mm$, S. epidermidis와 S. aureus는 70% 에탄올 추출물 에서 $17{\pm}4.36mm$, $19{\pm}2.86mm$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았을 때 유자과즙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누, 샴푸 또는 두피개선제등 미용 또는 피부 관련 향장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Citrus junos. Theextracts were obtained in both 70% ethanol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at a distillation temperature of $50^{\circ}C$.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November 2016 and March 2017. The averag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results wer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7.8{\pm}0.02mgGAE/g$ and $9.9{\pm}0.01mgTAE/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s in the water extracts. Furthermore, the ethanol extracts scavenged $46.1{\pm}4.76%$ of DPPH radicals and $37.1{\pm}1.23%$ of ABTS radicals. The scavenging capability of the ethanol extrac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s. However, the scavenging capability of both types of extracts depended on their concentrations.All the extracts showed active antibiosis effects against every bacteria tested except for C. albicans. E. coli at 25 mg/disc showed antibiosis with $18{\pm}1.73mm$ for the water extracts, while S. epidermidis and S. aureus showed antibiosis with $17{\pm}4.36mm$ and $19{\pm}2.86mm$ for the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is antibiosis rate is considerably higher. Th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 from Citrus junos could be useful as a primary material for beauty or skin-related products such as soaps, shampoos, and scalp enhancers.

      • KCI등재

        단결정 실리콘에서 산소농도에 따른 산소석출결함 변화와 태양전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

        이송희,김성태,오병진,조용래,백성선,육영진,Lee, Song Hee,Kim, Sungtae,Oh, Byoung Jin,Cho, Yongrae,Baek, Sungsun,Yook, Youngji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4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4 No.6

        최근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경우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소재로써 고효율 태양전지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으로 Czochralski(Cz)-Si 성장 시 산소농도를 다르게 하여 산소석출결함의 변화와 그에 따른 셀효율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산소불순물은 Cz법으로 성장시킨 실리콘의 주된 불순물이다. 산소불순물 존재 시 태양전지 공정에서 산소석출결함이 생성되며 발생된 산소석출결함은 셀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고효율 태양전지를 위한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한 산소석출결함 밀도와 셀효율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산소농도에 따른 산소석출결함을 분석하여 산소석출결함이 발생되지 않는 잉곳 내 산소농도 범위를 연구하여 14.5 ppma 이하에서 Bulk Micro Defect(BMD)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Recent studies have shown methods of improving solar cell efficiency. Especially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wafer which is high-efficiency solar cell material that has been widely studied. Interstitial oxygen (Oi) is the main impurity in the Czochralski (Cz) growing method, and excess of this can form precipitates during cell fabrication. We have demonstrated the effect of Oi impurity and oxygen precipitation concentration of the wafer on Cz-silicon solar cell efficiency. The result showed a decrease in cell efficiency as Oi and oxygen precipitation increase. Moreover, we have found that the critical point of [Oi] to bring higher cell efficiency is at 14.5 ppma in non-existent Bulk Micro Defect (BMD).

      • KCI등재

        영·호남 시조문학의 전개 양상 - 현대시조를 중심으로 -

        이송희 ( Lee Song-h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이 글은 가람과 조운, 노산의 시조론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오늘에 이르는 영·호남 시조문학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하였다. 시조의 근대화 길목에서 우리는 호남을 대표하는 가람과 조운, 영남을 대표하는 노산과 이영도, 이호우를 먼저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외래문학의 범람으로 인해 민족문학의 말살 위기에 직면해 있던, 우리의 근대는 그야말로 전통적 장르를 유지하기 어려운 시기였다. 이 시기, 시조부흥운동을 통해 시조의 혁신을 주장하였던 인물들이 이들이기 때문이다. 현대시조는 1925년 최남선, 이광수, 정인보, 이은상, 이병기 등에 의해 주도된 시조부흥운동으로 이어진다. 이는 시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연작시도입, 다양한 현대적 감각 등의 실험을 통해 시조를 현대화하는 운동으로 확산된다. 이어 1920년대 후반에는 가람, 노산, 조운 등에 의해 시조가 혁신되어 시조 문학의 새로운 영역이 개척되었다. 노산 이은상은 역사의식을 강하게 드러냈고, 가람 이병기는 감각적 언어의 조탁으로 새로움을 꾀했으며, 조운은 서정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시조의 현대화에 부응하였다. 이러한 현대적 혁신은 오늘날 시조문학의 발전과 계승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현대시조로의 이행에는 앵·연 갈이의 변형과 같은 형식적 측면뿐만 아니라 문학 언어, 세계에 대한 인식적 측면에서도 현대적 요소들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노래하는 시조에서 읽는 시조로 변화된 시조가 시조부흥운동을 통해 신문 잡지의 적극적인 논의 대상으로 본격화되었던 시기, 현대적 감각, 연작시, 시어의 일상성, 음보의 변화 등을 선보이며 추구했던 현대성을 우리는 쇄신을 거듭하며 이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 the development of Sijo, one kind of Korean poetic form, looking into the theory of Sijo suggested by Cho Un, Garam Lee Byeonggi, and Nosan Lee Eunsang who intende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ijo beyond its regionality in Yeongnam and Honam regions in Korea. And prior to discussion about modernization of Sijo, it would be essential to discuss about the representative Sijo poets - Garam Lee Byeonggi and Cho Un who represent Honam region and Nosan Lee Eun-sang, Lee Yeoungdo, and Lee Hou who represent Yeongnam region - first of all. It the modern period of Korea, it was really hard to carry on its traditional genres due to the increasing crisis in national literature with the flood of foreign literature, and these people above made great efforts to promote the innovation pivoting around Korean tradition, insisting the innovation of Sijo through Sijo Revivals. Modern Sijo was led to Sijo Revivals spearheaded by Choi Namseon, Lee Gwangsu, Jeong Inbo, Lee Eunsang, and Lee Byeonggi in 1925. And this was soon led to a movement to modernize Korean Sijo,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experimental attempts, including new awareness on poetic diction, introduction of serial poetry, and a wide range of modern sensibility. In the late 1920s, Sijo became innovated by Garam, Nosan, and Cho Un, and a new field of Sijo literature was pioneered accordingly. In order to keep up with this modernization trend, Nosan Lee Eunsang expressed his strong historical consciousness, Garam Lee Byeonggi attempted novelty by elaborating words in a more sensitive way, and Cho Un tried to bring lyrical images through his works. There is no doubt that there are definitely tangible and intangible boundary lines between different nations, civilizations, religions, regions, and even individuals. However, human, as a social being, makes efforts in order to move in and out of the boundary line and break it for each other`s interest. Discourse in modern literature i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nd as literary persons, we are expected to keep our tradition through Sijo so that we could move towards the age of communication for modern Sijo of the 21th century.

      • KCI등재

        『成仁錄』 계열 간행물의 변개 양상과 그 의미

        이송희(Song Hee L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成仁錄』은 尹斗壽(1533~1601)가 정몽주와 문천상을 동렬에 위치시키려는 의도로 편찬된 두 인물의 초상과 遺墨, 관련 기록을 간략히 실은 짧은 시문첩이다. 1581년 처음 출간된 이 책은 윤두수의 대표작으로 꼽혔으며, 1608년 재간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 정몽주 현양의 주요 텍스트로서 20세기 초까지 거듭 변주되며 다양한 판본과 필사본으로 발견된다. 본고의 분석 대상 텍스트는 규장각 소장 『성인록』(奎3204), 고려대학교 소장 만송문고본 『성인록』(만송 B12 A86A),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송병선서본 『성인록』(古朝57),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남주원본 『증수성인록(古152-28-2)이다. 규장각본(奎3204)이 선본이다. 고려대학교 소장 『성인록』은 1608년 황해병영에서 김덕겸의 발문과 함께 간행되었다. 송병선의 1903년 서문이 붙은『성인록』(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57-7)은 20세기 초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판본으로 민응수의 「장충편」이 합본되어 있다. 『증수성인록』은 남주원의 편집으로 1924년 간행된 석인본(石印本)으로 정몽주보다 오히려 의령 남씨 집안에서 南乙珍(?~?)을 현양하기 위해 편찬된 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정몽주에게서 斯文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는 의도로 편찬된 윤두수의 『성인록』이 이후 노론계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구한말과 일제기까지 재호출되고 변주되는 현상을 추적함으로써 조선후기에서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정몽주를 기념하는 시문첩이 재출간되고 활용되는 한 가지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Seonginrok 成仁錄 is a commemorative booklet which collects the portraits, calligraphy, and records of Jeong Mong-ju and Wen Tianxiang, edited by Yun Doo-soo (1533~1601) in mid-Joseon Korea. After was first published in 1581 and re-printed in 1608, it had been one of the major texts for commemorating Jeong Mong-ju, circulated in multiple editions and manuscripts till early 20th century. The editions under discussion include Seonginrok (奎3204)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Seonginrok (만송 B12 A86A) at Mansong Collection of Korea University Library, Seonginrok (古朝57), with a preface of Song Byeong-sun and Jeungsu Seonginrok (古152-28-2) at Korea National Library. The Kyujanggak edition preserves the most original form. The Mansong edition was published in Hwanghae military base in 1608 with a preface written by Kim Duck-kyum. The one with the preface of Song Byeong-sun written in 1903 is a wooden printed edition of early 20th century, combined with Jangchungpyeon 奬忠編 edited by Min Ung-su in 18th century. Jeungsu Seonginrok is a two-volume lithograph edited by Nam Ju-won and published in 1924.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commemorate Nam Eul-jin, the editor's ancestor, rather than Jeong Mong-ju. The thesis explores various editions and the editor's intention of Seonginrok over time, from Noron's political texts to ornament for family honor in the colonial era.

      • KCI등재

        東華 李海應의 燕行詩 硏究

        이송희(Lee Song-hee)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6 No.-

        동화 이해응(1775-1825)은 1803년에 서장관 서장보를 따라 연행을 하고 견문기록으로 『계산기정』을 남겼다. 『계산기정』은 다른 연행록과 달리 권1에서 권4까지 견문과 체험을 445수의 한시로 포착하였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에서는 북경에서의 체험이나 견문에 대한 연희시와 관희시, 문화와 문인들과의 교류 등 지식과 정보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적인 정회와 심정을 표출한 서정적 한시에 대해서는 면밀한 고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해응은 쇠락한 가문의 사족으로 관직에 진출하지 못하였으나 해박한 지식과 시적 재능으로 문학적인 자부심이 대단하였다. 그는 연행노정에서 오는 견문과 체험, 객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연행시를 산문과 시의 구성으로 조화롭게 서술하였다. 시인이자 문학가로서 이해응의 면모를 살피기 위해 연행시를 壯遊의 시적 흥취, 懷古의 感慨, 對淸의식의 形象化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장유의 시적 흥취에서는 요동벌판과 연행노정에서 오는 기상과 설렘, 번민 등을 시적 흥취로 승화하였다. 회고의 감개에서는 연행노정에서 마주한 역사유적지에서 지명의 유래, 관련 고사를 시적재료로 활용하여 간결하게 형상화하였다. 송도를 지나며 고려의 성과 못, 누대 등을 둘러보고 영고성쇠의 역사를 회고하였다. 임·병양란과 관련된 유적지에서는 관련 인물들의 고사와 후세사람들이 보인 반응을 그렸고 대릉하를 지날 때는 영령들의 넋을 달래주기도 하였다. 대청의식의 형상화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이해응의 내면 의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폈다. 그는 청나라가 들어서자 중국의 문화와 풍습이 비루하게 변하였음을 예악과 의관, 백성들의 풍속 등을 들어 우리나라와 대조하고 불편한 속내를 드러내었다. 한편 은근히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청에 대한 반감으로 조공 바치는 사신이 된 자신을 전횡과 백이ㆍ숙제의 절의를 들어 부끄럽다고 표현하였다. In 1803, Donghwa Lee Hae-eung(1775-1825) traveled Yanjing following Seojangguan Seo Jeong-bo and left a record of his visit, 『Gyesangijeong』. Unlike other Yeonghaengrok(Yanjing Travelogue), 『Gyesangijeong』 captured his visits and experiences in 445 Chinese poems from Volume 1 to Volume 4.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such as Yeonhoesi and Gwanhoesi about experiences and visits in Beijing, and exchanges between culture and writers, and little careful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Chinese poems which express personal emotions and feelings. Although Lee Hae-eung was unable to enter the government office as a family member of a declining family, he had great literary pride with his extensive knowledge and poetic talent. He balanced Yeonghaengsi(燕行詩) with prose and poetry, which contain the knowledge, experience, nostalgia,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To examine Lee Hae-eung s aspect as a poet and writer, this study examined his poems by dividing them into the poetic excitement of great travel, the nostalgic feelings, and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against Qing Dynasty. In the poetic excitement of great travel, he sublimated high spirits, excitement, and anxiety from the fields of Yodong and the journey to Yanjing into poetic excitement. In the nostalgic feelings, he briefly depicted the origin of geographical names and related ancient history of historical sites encountered on the journey to Yanjing using poetic motifs. Passing through Songdo, he toured Goryeo s castle, ponds and towers, and looked back on the rise and fall of the history. At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two Manchu Invasions, he depicted old stories of the involved people and the reactions of the future generations, and when passing through the Daereungha, he comforted the souls of the dead. I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against Qing Dynasty, it was possible to look into how his inner consciousness of Qing Dynasty was embodied. Upon entering Qing Dynasty, he showed his discomfort about degrading changes in Chinese culture and customs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music, clothing, and customs of the people with those of Korea, and showed his pride in his own culture. He described himself as ashamed for becoming an envoy to pay tributes to Qing, citing the integrity of Jeon Hoeng, Baek Yi, and Sook 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