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소현의 작품 연구 :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This thesis is a study of four works included on the Master’s degree recital of Lee So-hyun on April 25, 2019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The works include: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for flute solo (2019), Twisted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 (2018), Whiteout for string quartet (2018), and The Empire of Light for flute, B♭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2017).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background and theme of each work, the composer’s intentions, and to examine how the musical language, including tone material, chord progressions, and musical form, were applied to each work.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2019) for flute solo, in three movements, expresses momentary emotional thoughts of the composer. The first movement describes ‘boredom’ in our busy daily routine. It utilizes melodic expansion and multiphonics to portray two contradictory images of contemporary society: ‘boredom’ and ‘complexity‘. The second movement depicts ‘nervousness.’ This is expressed through unidentified and vague tension caused by unexpected situations and extended playing techniques, such as key clicks, jet whistle, tongue ram, etc. The third movement-using the theme of ‘unpredictability’ and in addition, referencing ‘boredom’ and ‘nervousness’-embodies the confusion of various unpredictable emotions such as joy, sorrow and fear, which come in short bursts. In order to express the many complicated and subtle emotions in this third movement, many new performing techniques are added within musical elements from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The second work of the repertory, Twisted (2018)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consisting of two movements-describes ‘misunderstandings’ of emotions and words between people, as well as the situations and emotions resulting from this misunderstanding. The first movement, titled “Inextricable misunderstanding”, characterizes each instrument by expressing the stifling situation of impossible communication in time and space, while the second movement expresses the stifling emotions from ‘Insolvable, repetitive misunderstandings.’ In this first movement, the piano plays chords of long duration, portraying insolvable problems, while the clarinet and cello gradually expand a three-measure motivic progression to represent two people facing incommunicability. In the second movement, the piano symbolizes transpiring time, being perceived intermittently in part A, and then limitation, when reaching the end in part B.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contrast elements, such as note duration or tempo, in order to represent two distinct sensations created in the same situation. The third work, Whiteout (2018) for string quartet, represents being without foresight in an unexpected moment, via a variety of string techniques. To exhibit the crisis of the protagonist-a change in psychological aspect and the state of ‘Whiteout’-this work follows an A-B-C structure. The sustained sound and ricochet technique in part A embody a disconcerting feeling, like snow piling up, with harmonics and glissando in the part B representing an invisible foggy state; finally, with eventually a parti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hort rhythm motives in part C, it achieves the ultimate ‘Whiteout’ state. The fourth and the last work, The Empire of Light (2017) for flute, B♭ 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is inspired by the painting, The Empire of Light (L'empire des lumières) (1954), of the Belgian surrealist René Magritte (1898-1967.) It depicts the contradictory pictorial sensation of a house lit with only one street light, symbolizing ‘the Light’ in darkness that contrasts the clear sky. The main melody, which is the ‘Light’ theme, appears continuously in success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being in development of the this melody’s elements. In summary, both the atmosphere of these works, as well as the various intentions of composer Lee Sohyu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the music. Such ideas, like translating a subjective feeling melodically, reflecting a virtual situation or symbolizing a protagonist are essential elements. This research is devoted to examining the genesis of the composer’s idea and to demonstrate how this message is represented through various aspects of her musical language. 본 논문은 이소현의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 작품인 플루트 독주를 위한『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에 대한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작품별로 곡의 배경, 주제 및 작곡 의도 등을 밝히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한 음의 소재, 화성 진행, 음악 형식 등의 음악적 어법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었는지 알아본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은 작곡자가 느끼는 순간의 감정들에 관한 단상을 세 개의 악장으로 표현한 것이다. 제 1악장은 바쁜 일상 속에서 느끼는‘지루함’을 나타낸다. 현대사회의 복잡함과 지루함이란 상충되는 두 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선율의 확장, 멀티포닉스(Multiphonics) 등을 사용하였다. 제 2악장은 ‘긴장감’을 표현한 악장으로, 알 수 없는 막연한 긴장감과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한 긴장 등 다양한 긴장감의 형태를 키클릭(Key clicks), 젯휘슬(Jet whistle), 텅램(Tongue ram) 등 여러 현대 플루트 주법을 이용하여 색채적으로 나타내었다. 제 3악장의 주제는 ‘예측 불가함’으로 앞 두 악장에서 표현한 긴장과 지루함을 비롯해 기쁨과 슬픔, 두려움 등 짧은 시간동안 찾아오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한 감정들의 혼란을 형상화하였는데, 복잡하고 섬세한 여러 감정의 표현을 위해 1악장과 2악장의 음악적 요소들과 더불어 새로운 주법들을 함께 사용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작품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오해 (Twisted)』(2018)는 총 2악장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주고받는 감정과 말 사이에 생긴 오해, 그 오해로 인한 상황, 감정 등을 표현한 곡이다. 제 1악장은 ‘풀리지 않는 오해’로‘시간과 공간 내에서의 소통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을, 제 2악장은 ‘해결되지 않는 반복되는 오해’와 그로 인한 답답한 감정을 각각의 악기로 캐릭터화(Characterization) 하였다. 1악장의 긴 음가 화음의 피아노는 풀리지 않는 문제를, 3마디의 동기의 점차적인 확대 진행을 보여주는 클라리넷과 첼로는 소통되지 않는 두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2악장에서의 피아노는 흘러가는 시간을 뜻하는데 A부분에서는 간헐적으로 인지되는 시간, B부분에서는 끝에 다다른 제한된 시간을 나타낸다. 1악장과 2악장은 같은 상황에서의 다른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음가나 빠르기 등의 요소가 대조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번째 작품인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은 다양한 현악기의 주법들을 통해 예상치 못하는 순간에 맞닥뜨리는,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점점 변화하는 상황에서 가상의 주인공이 맞닥뜨리는 쌓여가는 위기와 그로 인해 고조되는 심리의 변화, 그리고 ‘화이트아웃’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A-B-C‘의 형식을 택하였다. A부분의 지속음과 리코쳇(Ricochet) 등은 점점 쌓여가는 눈 혹은 당황스러운 상황을, B부분의 하모닉스와 글리산도로 앞이 보이지 않는 뿌연 상태를 형상화했으며, 마지막 C부분의 짧은 리듬으로 이루어진 동기의 부분적 발전과 확대를 통해 결국 맞닥뜨리는 ‘화이트아웃‘ 상태를 표현하며 곡이 마무리 된다. 마지막 네 번째 작품인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 『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은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 1898-1967)의 작품 『빛의 제국 (L'empiredes lumières)』(1954)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된 곡으로, 맑은 하늘과 그 아래 반대되는 까만 어둠 속에 홀연히 가로등만 켜져 있는 집의 모순적인 회화적 느낌을 표현한 곡이다. 전체 형식은 ‘A-B-C-A’로 빛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주요 선율이 지속적으로 꼬리를 물고 등장하여 진행되며 각 부분에서 주제의 요소가 축소, 확대, 발전, 변주됨으로서 곡이 구성된다. 본 연구는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의 작곡 의도를 밝히고 또한 작품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다양한 음악적 어법의 적용하여 어떻게 음으로 구체화 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이소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지도교수님과의 협의를 거쳐 설문지를 작성한 후 어린이집 원장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고, t검증과 ANOVA검증 등을 실시하였으며,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ce)를 방법을 이용해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해서 어린이집 원장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었다.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적인 부분에서는 일반영유아와 장애 영유아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어린이집 운영과 학급 운영 등에서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부분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사 지원에 대한 요구,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 학급당 원아수 개선에 대한 순서로 요구가 높았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기초배경에 따른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인식과 요구에서는 이 둘 모두 어린이집의 유형과 재직 중 통합교육 관련 연수경험의 유무 등의 부분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장애 영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해서 어린이집 원장은 기초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인식과 요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어린이집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한정된 재원으로 어린이집 통합교육을 지원해야 할 경우 일괄적으로 똑같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기초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선택적인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사교육 경험,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230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안지영(200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실태와 관련된 연구들(김보림, 2007; 김수민, 2004; 박수진, 2001; 박지연, 2004)에 근거하여 아동이 일주일 동안 사교육을 받는 총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이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이와 동시에 어머니가 이러한 양육신념을 가질 때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고,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아동에게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아동은 보다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사교육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ere rated by mothers, and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nd stress was lowe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Second, wh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higher, children's stress was higher. Third,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Finally, results from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beliefs also it influenced indirectl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In other words,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gai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children's stress was lower. S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ultimately was higher through the path.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stress.

      • 손글씨 가독성 수준에 따른 국어교사 평가의 차이 분석

        이소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손글씨 전사 양식과 워드 전사 양식을 가진 동일한 학생 글 30편에 대한 국어교사 64명의 평가 결과를 차이를 중심으로 손글씨 가독성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사 양식에 따른 학생 글 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손글씨의 가독성 수준이 학생 글 평가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평가 요소와 관련이 있는지까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손글씨 양식 학생 글 30편의 평가 결과와 워드 양식 학생 글 30편의 평가 결과는 평균을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손글씨 양식은 25.89, 워드 양식은 25.39의 평균값을 가져 손글씨 양식의 평균이 0.5점 높게 나타났지만, 대응표본 t검증 결과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두 평가 결과의 분포 양상을 비교했을 때, 워드 양식 평가 결과가 사분위수 범위는 더 좁으면서 자료의 범위가 넓어 손글씨 양식 평가 결과보다 중심 경향성은 더 높고 산포도는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글에 대한 평가 결과임에도 워드 양식 평가 결과가 손글씨 양식 평가 결과의 중앙값보다 1.57점 낮았다. 이를 통해 두 전사 양식의 평가 결과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손글씨 가독성 수준과 학생 글 수준은 서로 독립적인 변수이지만 어느 정도의 일치도를 보였다. 이는 높은 수준의 글에서 가독성이 좋은 손글씨들이 다소 관찰되며, 낮은 수준의 글에서 가독성이 나쁜 손글씨들이 다소 관찰된다는 말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손글씨 유창성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셋째, 가독성 수준에 따라 전사 양식에 따른 학생 글 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손글씨 가독성 상, 중 수준에서는 손글씨 양식이 더 높은 점수를, 가독성 하 수준에서는 워드 양식이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lein & Taub(200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가독성 수준에 따라 결과가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가독성 상 수준에서만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독성 하 수준의 개별사례에서는 동일한 글에 대한 손글씨 양식 점수와 워드 양식 점수가 4점 이상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어 그 차이가 무시할 수 없는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손글씨 가독성 수준이 각 평가 요소별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때, 평가 요소인 내용, 조직, 표현 중 표현 요소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가독성 수준의 평가 요소별 점수를 비교하면, 가독성 중 수준의 표현 요소에서 가장 큰 효과 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평가자들은 평가 기준에 손글씨 가독성 관련 항목이 없음에도 손글씨 가독성이 중 수준인 글에 대해 표현 요소에서 상대적으로 더 좋은 점수를 부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표현 요소의 평가 기준 중에서 손글씨 가독성 변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평가 기준은 어문 규범 준수와 관련한 평가 기준이었다. 즉, 평가자들은 손글씨 가독성이 중 수준 이상일 때, 어문 규범 관련 평가 기준에서 손글씨 양식 글에 대해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이는 워드로 작성된 글이 손글씨로 작성된 글보다 글의 오류가 더 잘 확인되는 경향이 있어 감점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가독성이 뛰어나고 좋은 인상을 주는 손글씨에 대해 평가자들이 관대한 평가를 하는 경향이 어문 규범에 대한 평가 기준에서 특히 반영된다는 의미이다. 여섯째, 가독성 하 수준의 학생 글 사례에서 평가자들은 워드 양식보다 손글씨 양식에 대해 표현 요소에서 눈에 띄게 낮은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손글씨 가독성이 표현 요소 중에서도 어문 규범 관련 평가 기준에 대해 큰 효과 크기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어문 규범을 거의 어기지 않은 학생 글에 대해 평가자들이 나쁜 손글씨로 인한 감점을 해당 평가 기준에서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어문 규범과 손글씨의 가독성은 전혀 다른 평가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한 감점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학생 글 평가에서 손글씨로 인해 손해를 보는 학생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는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하면, 손글씨 가독성은 평가자 편향을 일으키는 요소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일곱째, 손글씨 평가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손글씨 양식 학생 글을 평가할 때 워드 작성 양식 학생 글을 평가할 때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고 생각하였으며, 학생의 글씨체가 교사의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그렇지 않다는 의견보다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씨체가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글씨체에 의한 후광효과,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씨체로 인한 피로도와 부정적 감정, 글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겪는 어려움 등이 언급되었다. 이를 통해 국어교사들은 손글씨가 학생 글 평가 결과에 편향을 일으키는 요소임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국어교사들은 손글씨 작성 과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실제 쓰기 교육의 상황에서는 두 전사 양식을 비슷한 비중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국어교사의 학생 글 평가 결과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손글씨 가독성에 의한 평가자 편향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평가 방식의 측면에서는 학생 글 평가 기준에 손글씨 가독성 요소를 포함하는 방안, 평가 자료로서의 학생 글을 워드 양식으로 전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평가자의 측면에서는 손글씨 가독성이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교사 스스로 인지하는 것과 평가자 간 협의, 교사 연수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표본의 크기가 작고 분포가 균일하지 않다는 점, 평가 대상인 학생 글을 논설문으로 한정하였다는 점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글만을 표집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추후에는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다른 학교급의 학생들이 작성한 글이나 다른 유형의 글에 대한 평가 결과를 다루는 연구, 혹은 평가 대상의 개수와 평가자의 수를 더 확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서의 손글씨 가독성을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논의하였다는 점, 손글씨 가독성 수준에 따라 평가 결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손글씨 가독성이 평가자 편향을 일으키는 요소임을 밝히고 그 경향의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쓰기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국어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앨런 맥컬럼(Allan McCollum, 1944)의 《석고 대용물 Plaster Surrogates》(1982)을 중심으로 분석한 저자 담론

        이소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econd half of 20’s Art can be described as Post-Modernism. Art of this era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and the flow was led in accordance with the point of view of art criticism rather than the form. Post-Modernism so-called the 'Death of the Author' is an aspect beyond the art across cultures. At the time, the art has faced on a new turning point, and society and economic have also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the unstable moment, Allan McCollum decided to be an artist in 1967. He has been working as an artist and reflecting his concerns in own work until now. He tried to think about what the painting and wanted to know about the position and role within the social system outside the framework of the mainstream. He thought that 'Painting' can be cleared by the frame and they can consider as "the true picture" when 'representa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picture is removed. McCollum expressed the concern through the signed painting and, the sign was repeated and produced considerably. 《Plaster Surrogates》(1982), made by McCollum, was discussed differently from his purpose. The signed painting caused a criticism about copy and origin. It also could not deviate from the relevance of Minimalism. The criticisms were mostly related to the 'repetition', 'mass production' and 'series wor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a nature of Allan McCollum as an author, not to find the meaning of his work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e other paintings. For this, McCollum‘s interviews published in art media and journal were reviewed and the direct description of the artist was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evidence in this study. Through the review,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attitude of McCollum is very unique, unlike Post-Modernism that could explain its features to ‘Death of Author’. He explained his work in the articles and encouraged to regain the originality of the idea and expression of freedom for contemporary artists. He also challenged the norms set by the art world including viewers, critics and collectors. Moreover, he drove the viewer to think 'what is the true picture?' In fact, he studied to convey the message the other disciplines, including psychoanalysis, as well as contemporary art. McCollum’s attempt might be seemed to revive the traditional author, however, his obvious intention was to reveal his concerns and allowed the freedom for the viewer's imagination. In view of this, the nature of Allan McCollum as an author is referred to a validity through Jean-Paul Sartre's authors and readers symbiosis theory which was studied 20 years earlier than Roland Barthes. McCollum's comments prove that he tried to confront on contemporary artists' duty to disappear. In Post-Modernism time, he focused on author's original idea that was notable challenge. 20세기 후반의 미술의 특성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 일축할 수 있다. 이 시대의 미술은 그동안 타자로 치부되던 관람자의 해석에 중점을 두었으며, 또한 양식이 아닌 비평의 관점에 따라 미술의 흐름이 주도되었다. 이른바 ‘작가의 죽음’ 시대로 설명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은 미술 뿐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친 양상이었다. 1967년을 기준으로 미국은 미술 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불안정한 시기에도 불구하고 1967년 본격적으로 미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앨런 맥컬럼은 현재까지도 꾸준히 활동하면서 자신의 고민을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 그는 회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주류의 틀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체계 내에서 그것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파악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프레임에 의해 ‘회화’라고 하는 것이 더욱 분명해진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그림이 있어야 하는 중앙 부분에서 ‘재현’이 삭제되었을 때 ‘진정한 회화’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맥컬럼은 ‘회화’를 기호화하는 방식을 통해 이러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 또한 그 기호들은 반복되고 대량생산되었다. 그러나 1982년 맥컬럼이 제작한 《석고 대용물 Plaster Surrogates》에 대한 논의는 그의 의도와 다르게 진행되었다. 회화를 상징하는 기호는 복제품과 원본성에 대한 비평을 불러왔으며, 그 형태에 의해서 미니멀리즘과의 연계성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 기존의 앨런 맥컬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그의 작품 분석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초점은 미술 작품들과의 관계를 통해 작품의 의의를 찾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물을 통해 자신이 의도한 파장을 일으킨 앨런 맥컬럼의 작가성을 밝히는 데 있다. 다시 말해, 《석고 대용물》(1982)의 초기 제작 의도와 이후 이 작품과 관련된 논의에 직접 반박하는 작가로서 앨런 맥컬럼이 지닌 아우라를 어느 위치에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 그의 작품에 대해 연구한 논문과 미술 관련 매체에 게재된 맥컬럼의 인터뷰 자료를 활용한다. 연구 목적이 앨런 맥컬럼의 작가성을 밝히는 데 있는 만큼 작가의 직접적인 설명은 매우 중요한 증거자료가 된다. 일명 작가의 죽음으로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맥컬럼의 태도는 매우 독특하다. 그는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작품 설명을 뒷받침 하고, 동시대 작가들에게 표현의 자유와 아이디어의 독창성을 되찾을 것을 독려한다. 또한 비평가와 감상자를 비롯한 미술계 전반이 설정해 둔 회화의 규범에 대해 정면으로 도전하고, 작품의 수용자들에게 진정한 회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할 것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맥컬럼은 정신분석학을 비롯하여 당시 미술과 여러 학문을 스스로 탐구한다. 또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여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고 분명하게 전달한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마치 ‘저자’로서의 미술가들을 과거 전통적인 위치로 다시 격상시키고자 노력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그의 제작 의도는 작가의 주장을 드러냄과 동시에 감상자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내포하고 있다. 《석고 대용물》 연작에서 각각의 대용물 중앙의 검게 채색된 부분은 모더니즘의 환원과 달리 ‘지워진 공간’이다. 그 공간은 관람자의 무한한 상상력을 위한 장소이면서 동시에 그들의 무의식을 활용하기 위해 맥컬럼이 의도한 위장된 공간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의 의도로 감상 해석을 유도하기 위해 미세한 차이를 지닌 기호들을 수천 개씩 반복 제작했다. 그는 미술가들에게 표현의 자유와 독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맥컬럼은 저자로서 미술가들의 존엄성을 고집하면서, 관람자의 자유로운 해석까지 고려한다. 이러한 앨런 맥컬럼의 저자성은 롤랑 바르트 보다 20여년 앞서 독자와 작가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 장 폴 사르트르(Jean Paul Sartre)의 ‘저자와 독자의 공생 이론’을 통해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다. 여러 인터뷰에서 드러난 그의 언급은 앨런 맥컬럼이 동시대 미술가들에게 부여된 ‘사라질 의무’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음을 입증한다. 비평을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던 시기에 앨런 맥컬럼은 작가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다시 흐름을 주도하려 한다. 이는 작가의 위상을 되찾을 뿐 아니라 당시 억압적인 미술계에 대한 도전이다. 앨런 맥컬럼의 이러한 시도는 매우 주목할 만한 노력이 아닐 수 없다.

      •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휴대폰 중독 및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이소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휴대폰 중독 및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여 청소년들이 휴대폰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학부모 교육자료 근거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청소년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상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인과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M중학교와 M여중학교 남, 여학생 각 300여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을 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중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561명(남자 279명, 여자 282명)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지수를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조사대상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부모양육방식 지각과 휴대폰 중독 및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이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한 결과, 부 양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아버지의 자율-통제를 제외한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양육방식에 대해서 여자가 남자보다 부모가 애정, 자율, 성취, 합리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많이 가진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안녕감은 성별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우울은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도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적응정도가 더 높았고 하위요인 중 교사 · 학교환경, 학업관계, 교우관계요인에서도 여자가 남자보다 적응을 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방식,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모 양육방식은 부 양육방식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었고 우울, 휴대폰 중독과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 양육방식도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우울, 휴대폰 중독과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양육방식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학생이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우울과 휴대폰 중독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양육방식,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부모양육방식이 휴대폰 중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대해서는 직접적 효과 및 휴대폰 중독을 매개로한 간접적 효과를 같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도 부모의 양육방식은 직접적 효과 및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적 효과를 같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중독은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직접 효과와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한 간접적 효과를 같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an effort to provide educational information on parent education geared toward helping adolescents break away from cell-phone addiction. And it's also meant to provide counseling data for the sou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boys and 300 girls who were respectively selected from M middle school and M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C,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ould be any gender gaps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in perceived parental attitude,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analyz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gaps in all the subfactors of paternal attitude except paternal autonomy-control. The girls considered their parents to take a more positive parental attitude than the boys such as parental affection, parental autonomy, parental achievement orientation and parental rationality. No significant gender gaps were found in cell-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boys scored higher in depression than the girls. The girls were better than the boys at school adjustment, and the former could be said to adapt themselves better than the latter to teacher/school environments, studies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parental attitude,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it's found that maternal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paternal attitude. Maternal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negatively to depression and cell-phone addiction. Paternal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epression and cell-phone addiction as well. In a word, the students who perceived parental attitude in a more positive way were better at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ffered less depression and were less addicted to cell phones. Thir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parental attitude was found to affect cell-phone addiction in a significant way. Parental attitude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had indirect effects on the two variables through cell-phone addiction at the same time. Also, parental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at through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Cell-phone addiction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a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at through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he same tim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 다양한 형태 초점 교수법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소유한정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소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it comes to language acquisit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e forms of a language; it is said that knowing a language is equated with knowing about its forms. A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Focus on Form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conclusion as to which types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are more effective as compared to others. This is due to learners' personalities and target language forms which can act as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research of language acquis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influences elementary English learners' acquisition of the possessive determiners. An experimental lesson was conducted targeting three classes of 71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Korea. Of the three classes, two were assigned as the experiment groups, while the other as a comparative group. One of the experiment groups featured recast, a relatively implicit way of feedback, and the other featured the technique of explicit rule presentation. Meanwhile,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the same content as both experimental groups, but recast and explicit rule presentation were not utilized. Subsequently, an oral and grammar comprehension test ensued in order to see how successfully the learners acquired possessive determiners. The purpose of the oral test was to analyze the learners’ application ability of the grammatical forms in speaking, while the grammar comprehension test was used as an analysis of their grammatic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mmar test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oral test. It is evident that the distinction in instruction types affected learners’ application of the linguistic feature in speaking. The analysis of the groups' performance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cas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recast is more effective in helping elementary English learners use possessive determiners in speaking. In the meantime, the inquiry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oral and grammar test performance, while the comparative group did not. This study reconfirmed that Focus on Form instruction would be effectiv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cast, the immediate and implicit way of teaching, is also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when integrated with other communicativ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