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웨슬리의 성만찬 신학

        이세형 ( Se Hyoung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이 논문은 은혜의 수단과 성찬을 규칙적으로 시행해야 할 의무라는 웨슬리의 설교 두 편과 『웨슬리 형제의 성만찬 찬송』( Hymns on the Lord`s Supper)에 나타난 웨슬리의 성만찬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의 예배 갱신을 제안한다. 웨슬리의 성만찬은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은총이 임하는 통로요 수단이다. 성만찬에서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고, 그리스도의 현재적 은총을 경험하며, 종말로 하나님 나라의 백성임을 보증 받는다. 또한 성만찬에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한 봉헌제물이 되시고 우리도 주님을 향해 봉헌제물이 됨으로써 주님과 연합을 경험한다. 이 연합은 생명의 역환으로서 구원의 자리이다. 웨슬리는 초대 교회를 모델로 삼아 성만찬을 예배 속에 회복시켰고, 자신의 부흥운동에 활용하였다. 성찬상에 나오는 자들은 겸손히 자신을 낮추어 스스로 제물이 되시고 동시에 자신들을 위해 대언하시는 대제사장으로서의 주님을 만났다. 이 겸손한 봉헌이 영국 교회를 새롭게 한 원동력이었다. 오늘 한국의 교회는 웨슬리의 성만찬에서 만나는 복음적 회심, 성화적 양육, 겸손한 봉헌의 영성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both understand John Wesley`s Lord`s Supper by exploring his two sermons, The Means of Grace and The Duty of Constant Communion, and his Hymns on the Lord`s Supper and to suggest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worship. Wesley understands the Lord`s Supper as the means of God`s grace. In the Lord`s Supper, the partakers remember the suffering of Jesus Christ, experience the spiritual presence of the Lord Jesus Christ in the Holy Spirit, and have the pledge to confirm that they are people of the Heavenly Kingdom. Also, in the Lord`s Supper, Christ himself becomes an offering for all of us and we are an offering ourselves to the Lord by being united in Christ. I called this unity as the exchange of life between the partaker and Jesus Christ. John Wesley recovered the power of the Lord`s Supper in Christian worship by appealing to the Early Church model and he used the Lord`s Supper as the means of his evangelical movement. In this sense, his sacrament is an evangelical sacrament. The partakers in his days humbly came to the Lord`s table and met Jesus Christ who became an offe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riest. This humble offering was the dynamic power which brought about growth in the English church. Today, we the Korean churches need earnestly the spirit of such evangelical conversion, along with sanctificational nurture, and humble offering.

      • KCI등재

        암면큐브를 이용한 육묘에서 LED 광질에 따른 파프리카 묘의 생육 특성

        이세형(Se-Hyoung Lee),고바울(Baul Ko),배종향(Jong Hyang Bae),구양규(Yang Gyu Ku),김호철(Ho Cheol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파프리카 육묘 시 다양한 LED 광질(red:blue = 10:0, 8:2, 2:8, white)에 따른 생육변화에 대하여 구명하여 수경재배용 묘 생산을 위한 전용육묘장의 기반기술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초장과 줄기직경의 생육은 red 비율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길거나 굵었고, 엽면적은 LED red:blue = 8:2에서 가장 넓었다. 건물 중량도 엽면적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LED white에서는 모든 묘의 소질에서 다른 처리들보다 뚜렷하게 저조하였다. 상대생장률은 red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순동화율은 blue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LED를 활용한 파프리카 육묘 시 초장, 엽면적, 단위엽면적당 건물생산능력 등을 고려하였을 때 혼합광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LED red:blue = 8: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red와 blue 파장의 적절한 혼합 비율을 통해 파프리카 묘의 초장 및 절간장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paprika seedlings according to various qualities of LED light (red : blue = 10 : 0, red : blue = 8 : 2, red : blue = 2 : 8, white). Plant height and stem were significantly longer or thicker as red light ratio increased. Leaf area of paprika seedlings with red light was larger o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mixed light of red and blue. Dry weight of seedling was in the same with the result of leaf area. Seedlings with White ligh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others in all characteristics. As red light ratio was increased, relative growth rate increased. As blue light ratio was increased, the net assimilation amount increased. Considering plant height, leaf area and production ability of dry matter per unit leaf area, the using mixed red and blue lights was suitable, especially at a mixed red : blue = 8 : 2.

      • 프로이트의 자아 이해

        이세형 ( Lee Se H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0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3 No.-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저서를 중심으로 자아 이해를 살펴본 논문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치료 초기 명제는 “무의식의 의식화”에 있었다. 그러나 후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과제는 “자아를 강화시키고 그 자아를 초자아로부터 독립적으로 만들어주고 그의 지각범위를 확장하고 그 조직을 확대하여 이드의 새로운 부분을 자기것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뀐다. 말하자면 “이드가 있었던 곳에 자아가 생성되게 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자아는 병리적 정신세계의 뿌리를 살피는 과정에서 찾아진 것이고, 전의식적인 외적 실재에 대한 지각에서 구성을 시작하여 접촉 경계를 통한 위치를 갖게 되었고 무의식 영역의 이드와 초자아와의 관계 속에서 한편으로는 지배를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배를 받는 위협에 처한 중재자로서 자리하고 있다. 또한 프로이트의 자아는 고정된 인식이나 실체가 아니라 신체와 심리를 옮겨가는 에너지인 충동에 기초한바 외적 실재와 이드와 초자아 사이에서 동일화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확장하고 강화해 가는 과정 중에 있는 어떤 것 혹은 우리의 존재 안에 대상을 대면하고 있는 경계로서의 어떤 것이다. 프로이트의 자아는 의식도 아니고 주체로서의 자기도 아니다. 그러나 자기를 대변할 수 있는 우리의 정신건강의 표준이 되는 어떤 자리이다. 이런 점에서 정신분석적 치료 과제는 자아의 관계 구조의 건강을 살피는 것에 주목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ego by centering on Freud’s writings. Freud’s early proposition on psychoanalytical therapy was “making the unconscious conscious.” Yet later themes of Freud’s psychoanalysis changed to “strengthen the ego and make independent the ego from the superego, extend its range of perception, expand that structure to be able to claim the new areas of the id for the ego.” This means “where the id was is the place where the ego is born.” Freud’s ego is foun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roots of the pathological psychic world beginning the form from the perception of the preconscious external existence led to being located at the contact barrier, serving as the mediator in the realm of the unconsciou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d and the super-ego where on the one hand is dominating, while on the other in danger of becoming dominated. Also, Freud’s ego is not a fixed realization or actualization but is the thing or the boundary of the thing confronting the subject within our own being found in the conflict of energy moving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mental, undergoing the unending process of expanding and strengthen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process between the external reality, the id and the superego. The ego of Freud is not the conscious nor self-as-subject. However, it is a place of the standard of our mental health that can represent the self. From this perspective, the task of psychoanalytical therapy is focused on examining the health of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ego.

      • 꿈 생성 조건으로서의 수면상태와 분석카우치

        이세형 ( Lee Se H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꿈 이론 중에서 꿈 생성 조건으로서 수면상태가 만들어내는 퇴행의 과정 혹은 퇴행의 해석학을 다룬다. 동시에 분석상황에서 분석 카우치의 자리가 꿈에서의 수면상태와 상응하는 기능을 하는 점에 주목하여 수면상태와 분석 카우치가 꿈 형성 곧 분석세팅의 생성 조건임을 밝힌다. 아울러 현대 정신분석에서 꿈 분석의 중요성이 간과된 것은 수면과 꿈에서의 퇴행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한 결과이며 꿈 분석에 대한 훈련의 부족임을 밝힌다. 꿈 형성이 퇴행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은 수면이라는 독특한 환경 때문이다. 수면은 수면에 드는 것과 수면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의 움직임은 분석가의 이중적 기능으로 이어진다. 분석가는 꿈과 수면에 들게 하는 자이면서 동시에 꿈과 수면을 깨우는 자이다. 분석가는 환자와 함께 꿈과 수면에 함께 드는 자이고 더 적극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잠을 잘 수 있는 능력과 꿈을 꿀 수 있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자이다. 동시에 분석가는 카우치에서 자유연상을 통해 꿈 작업을 풀어가게 함으로써 환자와 함께 깊은 퇴행의 여정을 떠날 수 있는 자이다. 그리고 마침내는 환자와 함께 퇴행의 여정에서 과거로부터 무의식으로부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보상을 얻어 꿈과 카우치에서 깨어나는 자이다. 수면과 꿈은 우리를 퇴행으로 안내하여 무의식에 접속하게 하지만 경계를 가지고 있어 안전한 자리이다. 프로이트의 꿈과 수면에 소개된 퇴행의 여정이 지형학적인 모델에서 소개된 것이라고 해서 현대 정신분석이 간과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꿈과 수면에서 퇴행의 여정은 우리를 창조성의 자리로 안내하는 엄마의 품으로의 여정이다. 퇴행은 돌아감으로 다시 되돌려지는 재탄생의 여정이다. 정신분석이 새로운 분화를 계속한다 해도 꿈 형성에서 퇴행의 여정은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이 더해질 뿐 간과되어야 할 영역이 아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r analytics of the regression brought on by the sleeping state, a condition of dream-formation from Sigmund Freud’s dream theo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analytical couch in the analytical situation with the sleeping state while dreaming, thereby revealing the sleeping state and the analytical couch as conditions for the building of the analytical setting. In addition,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e importance of dream analysis has been overlooked in modern psychoanalysis resulting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ression of sleep and dreams being ignored, along with the lack of training for dream analysis. The unique environment that is sleep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leep includes the processes of falling asleep and waking from sleep. Such dual movements are continued into the analyst’s dual functions. The analyst is both the one who induces and awakens people from dreams and sleep. The analyst joins the patient to dream and fall asleep together, and assertively helps the patient to recover the abilities of a good night’s sleep and being able to dream once more. At the same time, the analyst utilizes the couch via free association to embark on the path to the journey of regression together with the patient. Eventually, the analyst becomes the one who awakens the patient from dreams and the couch by allowing them to open up the reward of a new future from the journey of regression into the unconscious and the past. Sleep and dreams guide us into regression and create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but maintains borders and thus remains as a safe place. The journey of regression having been introduced by Freud regarding dreams and sleep as a topographical model by no means dictates that it should be ignored by modern psychoanalysis. Rather, the journey of regression from dreams and sleep is the journey to the place of creativity that is the mother’s embrace. Regression is the journey of returning and becoming reborn. Even if the field of psychoanalysis continues to see new divisions, the journey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hould not be overlooked, but moreover requires interpretation from a new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정의와 평화를 지향하는 레오나르도 보프의 생명 삼위일체론

        이세형 ( Se Hyoung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1 組織神學論叢 Vol.30 No.-

        Boff`s trinity is the process of God`s self-realization i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history and the cosmos, in which the God of life participates in triune communion and unity. For this reason, his truine God is the foundation of justice and peace in history and society. Therefore, the writer suggests that Boff`s doctrine of trinity can be a way for Korean Christianity to find justice and peace in the God of life. Boff`s trinity is the focus of his book Trinity and Society. Boff develops his trinity theology in the light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after exploring the traditional argument of trinity in the Bible and church history. Boff explores the trinitarian faith with three questions: 1) How is the triune God made of one unique God? 2) What is the mission and meaning of life for u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mystery of the trinitarian communion? 3) What kind of society is identified with God`s plan? For these questions, Boff explores trinity, the perichoretic mystery, trinitarian communion, and the mystery of divine society, for he believes that trinity serves as a basis for a just and equal society. Through his study, Boff points out that the unequal, poor society is linked closely with the monotheism and patriarchism of Christian theology. On the contrary, Boff believes that the trinitarian mystery which brings forth the perichoretic unity of communion, participation, and equality, suggests a way of life and liberation to those who are suffering in the social structure of poverty, oppression, and unequality. In the sense that "the image of God" shows the equality, reciprocity, and un-selfishness of trinity, trinity gives us a political mission which challenges us to achieve the society of justice and peace in the life of the triune G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