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주(星州)의 유학(儒學)과 양강(兩岡)

        이세동 ( Se Dong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8

        가야의 고토였던 성주는 역사가 유구한 고장이다. 그러나 역사의 전면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羅末麗初부터이며, 고려말에는 인물들이 쏟아져 나온다. 고려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성주의 인물들을 분석한 결과, 전국적인 지명도를 가진 文人들이 많았으며, 그 가운데는 지금 성주에서 잊혀진 인물들도 있었다. 아직도 성주사람들이 기억하는 인물로는 李承休, 李兆年, 李崇仁, 李堅幹 등이 있으며, 잊혀진 인물로는 宋天逢과 都元興이 있었다. 본고는 비교적 덜 알려진 이견간과 잊혀진 송천봉, 도원흥의 자취를 추적하였다. 조선으로 들어오면서도 이런 문학적 기풍은 계승되어, 조선전기부터 중기까지 성주에는 문인들이 많았다. 그들 가운데 관인문학을 대표하는 李稷, 사림문학을 대표하는 金孟性, 방외문학을 대표하는 權應仁을 일별함으로써, 고려말부터 조선중기까지 성주가 文鄕이었음을 살펴보았다. 文鄕이었던 성주는 東岡 金宇옹과 寒岡 鄭逑가 출현하면서 분위기가 바뀐다. 조선의 성리학 수준을 최정상으로 끌어올린 퇴계와 선비적 실천을 보여준 남명의 공동제자였던 이 두 사람은 성주에 성리학의 물결을 初創하면서 성주를 학문의 고장으로 만들어갔다. 이후 이들의 제자들과 제자의 후손들이 성주의 문화적 분위기를 주도하면서 文鄕 성주가 儒鄕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두고 사람들은 성주를 동강과 한강의 고장, 兩岡之地라고 하고 있다. 본고는 이 ‘양강지지’의 실상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당대에 서로의 오른팔이었던 兩岡, 급문록의 초기 규모가 50여 명으로 비슷하였던 양강이 시대가 내려올수록 위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까닭을 추적하였다. 한강의 문인은 최종적으로 342명으로 확정되었고 동강은 56명의 급문록이 초라하게 남아있는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강 문인들의 활약으로 양강의 위상이 달라졌음을 짐작하게 하였다. 아울러 한강의 제자들이 스승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들과 그 제자의 후손들이 그들의 조상과 한강을 높이는 정황을 한개의 성산이씨 가문을 들어 예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향이었던 성주가 양강을 기점으로 문화적 분위기가 바뀌면서 유향으로 변모하여 양강지지가 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한강의 제자들과 淵源家의 활약으로 한강이 동강을 압도하는 실상이 있었다. Seongju, old region of Gaya Dynasty, has a long history. But not until the end of Shila Dynasty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did Seongju turn out the great figures in the history.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many great men poured out. Analyzing the figures of Seongju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many nationwide literary people. People of Seongju still remember Lee-Seunghue(李承休), Lee-Jonyeon(李兆年), Lee Sungin(李崇仁), Lee-Gyeongan(李堅幹). On the other hand, Song-Chenbong(宋天逢) and Do-Wonheong(都元興) were forgotten. This article traced less familiar Lee-Gyeongan, and forgotten Song-Chenbong and Do-Wonheong. This literary ethos succeeded in the Joseon Dynasty, many literary people appeared in Seongju from the early days to the middle of Joseon. Among them, this article covers Seongju was the town of literature by glancing at Lee-Jik(李稷), representing Literature of officials, Kim-Maengsung(金孟性) representing Literature of confucian scholar and Kwon-Ungin(權應仁) representing Literature of the under-privileged. Seongju, the town of literature changed its atmosphere by the appearance of Han-gang(寒岡), Jeong-Gu(鄭逑) and Dong-gang(東岡) Kim-Wuong(金宇옹). These two men, both of who were the joint pupils of two great scholars, Toe-gye(退溪) raising the level of Joseon Confucianism to the highest point and Nam-myeong(南冥) showing the scholastic practice made Seongju the town of learning, creating waves of Confucianism in Seongju. After that, the pupils and their descendants leading the cultural atmosphere, the town of literature turned to the town of confucianism. This situation made Seongju the Land of Two Gangs(兩岡), meaning Dong-gang and Han-gang. This article examines what the real aspect of the Land of Two Gangs was. The Two Gangs, the counterparts of those days having 50 persons as early scale of Pupil list, showed the difference of status descending the periods. The pupil of Han-gang was finally 342 persons and Dong-gang humbly had only 56 persons. Examination of this situation assumes the pupil of Han-gang boosted the status of the Two Gangs. Also by illustrating the Lee family at Hangye village(한개마을), this article explains the fact that the pupils of Han-gang made endeavors for their master and their descendants respected them and Han-gang. In conclusion, Seongju, the town of literature turned into the townof Confucianism by the cooperative efforts of Han-gang and Dong-gang. But the status of Han-gang became higher than that of Dong-gang with the activities of pupils of Han-gang and their descendants.

      • 투고논문 :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의 삶과 학문

        이세동 ( Se Dong Lee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홍와 이두훈은 조선말에 태어나 일제 초기에 세상을 떠난 경상도 고령 출신의 유학자이다. 당대의 거유였던 한주 이진상에게 배워 학문적 소양을 쌓아 그의 8대 제자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그는 학문과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당시 고령 유림의 중심인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영남에서 명망이 높던 선비였다. `心卽理`로 대표되는 한주의 학설이 이단으로 비판받을 때 스승의 학설을 고수하며 적극적으로 해명하여 유림의 지지를 받았으며, 동문들이 시류에 편승하여 스승의 문하를 떠나갈 때도 흔들림 없이 지조를 지켰다. 홍와는 모든 방면의 학술에 일정정도의 성취를 이루고 있지만 특히 예학에 뛰어나 예설과 관계된 서간문을 많이 남기고 있는데, 조리가 정연하고 명쾌하다. 400여 수의 시를 남길 만큼 문학적인 소양도 갖추었으나 輓詩나 贈答詩 등 필요에 의한 목적성의 작품들이 많다. 성리학자들이 詩作에 전념하지 않던 전통을 따라 개성적인 감흥을 기탁한 작품을 별로 남기지 않았지만 빼어난 意境의 작품들이 더러 보인다. 조선이 망하고 난 뒤 홍와는 우리역사를 정리하면서 치욕의 세월을 보냈다. 고조선부터 조선 중종 2년까지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정리한 『東華世紀』는 그의 역사가적 안목과 소양을 웅변하고 있다. 아직 역사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는데 연구가 필요하다. 홍와는 성리학자답게 『중용』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중용의 자체 논리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용』의 논리구조와 성리학적인 이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용』을 이해하고 있다. Hongwa, Lee Doohun is a Confucian scholar from Koryung county, Kyungsang province who was born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passed away in the early age of Japanese imperialism. Learning from Hanju, Lee Jinsang, the greatest Confucianist those days and reaching academic attainment, he gained recognition as one of eight brilliant disciples. He stuck with teacher`s theory in favor of it even when Hanjus academic statement was severely criticized as heterodoxy, and was supported by the class of Confucians due to his positive elucidation for Lees opinion. He kept his way even in bad times when many colleagues turned into timeservers and left master. Hongwa established a quite level of achievement in every area of learning. Especially he showed excellence in `Yehak` and left behind a number of letters related to `Yeseul`, of which writings are self-consistent and lucid. His literary attainment let him create more than 400 poems and among these are many works just aimed to mourn death or communicate personally. In accordance to the tradition that confucianists werent usually absorbed in writing poems, he also didn`t produce works with unique inspiration but some outstanding ones can be found now. Observing the downfall of Chosun dynasty and organizing our history, he endured those humiliated days. His historical record, `Donghwasegi` describing the historical facts from ancient Chosun to the 2nd year of King Joongjong, Chosun dynasty, indicates his appreciation and culture toward history. This book wasn`t ye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and so requires more research. Hongwa showed a deep understanding to `Zhongyong` as an advocate of Sung Confucianism. Beyond simple understanding of theory itself, he extensively comprehended `Zhongyong`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oretic structure and the viewpoint of Sung Confucianism.

      • KCI등재

        《 주역 》 의 문학이론 - 문 도 관계론을 중심으로 -

        이세동(Se Dong Lee) 영남중국어문학회 1997 중국어문학 Vol.30 No.1

        這篇文章認爲, 《周易》含有文與道相關論的初步理論, 而進行檢討, 得出三個結論. 第一, 對於作家在作品衰寫甚마的提問, 《周易》說: 作家該寫三才之道. 道三才之道就是天道·地道和人道, 換句話說, 人間和自然的普遍原則. 但這裏的入道主要是人類的道德原則. 第二, 如果作家在作品裏該寫包括人類道德的宇宙原則, 那廳把道樣的文章, 到底즘마寫니? 《周易》說: 爲了寫這樣的文章, 最主要的是作家的道得修養, 此外, 還儒要眞實的內容·分明的條理·明瞭的表現等等. 第三, 關於作家爲甚마寫作品的問題, 《周易》主張作家爲了提高讀者的道德水平和騎動讀者的道德實踐, 該從事寫作.

      • KCI등재

        ≪예기(禮記) ≫의 ≪ 오경(五經)≫ 편입과 그 의의

        이세동 ( Se Dong Lee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9 중국어문학 Vol.0 No.53

        現存禮學的儒家經典共有≪儀禮≫·≪周禮≫·≪小戴禮記≫·≪大戴禮記≫四種. 但其中唯有≪禮記≫被納入≪五經≫, 從而영得獨一無二的地位. 可是就漢代言之, ≪儀禮≫和≪周禮≫却是經; ≪禮記≫不過是解經的`記`. 東漢末鄭玄所註≪儀禮≫·≪周禮≫·≪小戴禮記≫三種, 由是獲≪三禮≫之名. 從此≪大戴禮記≫失勢, 到唐代八十五篇中僅存三十九篇. 唐太宗爲統一經學詔顔師古考定≪五經≫正文, 幷詔孔穎達與諸儒撰定≪五經≫義疏. 此義疏正是≪五經正義≫, 而≪三禮≫之中僅有≪禮記≫被納入禮經. 從此≪儀記≫成爲≪五經≫之一, ≪儀禮≫和≪周禮≫的地位不如≪禮記≫. 顔師古和孔穎達采納≪禮記≫的原因不明確. 依筆者考究, 孔穎達關注≪禮記≫的涵蓋整個朝代的節文義理及體履兼備的綜合性, 認爲比記錄周朝規範和職制的≪儀禮≫·≪周禮≫更有用於世, 從而意圖以≪禮記≫包羅≪三禮≫來撰定≪禮記正義≫. 故此, 孔穎達撰定≪禮記正義≫的結果, 形成`禮`不是規範節次和職官制度, 是囊括一切古代文化的觀念, ≪禮記≫被納入≪五經≫的意義就在於此.

      • KCI등재

        회천(晦川) 송홍래(宋鴻來)의 처사적(處士的) 삶과 사상

        이세동 ( Lee¸ Se-d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9

        송홍래가 살았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는 조선 왕조가 무너지고, 국토가 식민지가 되는 변혁의 격동기였다. 본 논문은 이 격동기에 조선의 백성으로 태어나 일본의 신민으로 살기를 요구받았던 한 선비의 삶과 사상을 조명한 글이다. 그는 일본의 신민이기를 거부하고 조선의 처사로 남기를 원했던 지식인이었다. 일본의 신민이기를 거부하는 것은 그 시대 이 땅의 보편적인 정서였지만, 누구나 다 처사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처사는 올바름을 닦고 덕을 길러 시대가 부여한 사명을 묵묵히 수행하며 바른 길을 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송홍래는 분명 처사였다. 그는 올바름을 닦기 위해 스승들을 찾아다녔다. 그는 스승들을 찾아다 님에 있어 학파와 색목을 구분하지 않았다. 장복추와 이종기는 執贄를 통해 맺어진 그의 훌륭한 스승들이었으며, 김흥락과 김도화, 장승택과 김형모, 한주학파의 곽종석과 이승희와 장석영, 기호학파의 전우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명망가들이 모두 그의 집지하지 않은 스승들이었다. 그는 이 스승들에게 배워 덕을 기르고 학문을 익혀, 스스로 또 다른 스승이 되었다. 그의 제자들은 이 새로운 스승의 학문과 덕행에 감동해, 자원하여 學舍를 세우고 계를 만들었으며, 그의 장례 때에는 100여 명이 제자로서의 상복을 입었다. 그 제자의 후손들은 현재까지도 격년으로 釋菜禮를 거행하며 회천의 학덕을 기리고 있다. 그는 시대가 요구하는 바른 길을 알고 실천한 사람이었다. 유학의 맥을 면면히 이어온 조선의 선비로서 세계만방에 조선의 독립을 요구하는 청원서에 서명하였다. 목숨을 담보해야 할지도 모르는 이 일을 올바름[義]을 지키기 위해 과감하게 실천함으로써, 136명의 동지들과 함께 조선 유림의 대표가 된 것이다. 그래서 그는 조선의 처사인 것이다. 그는 성리학자라고 할 만한 전문적인 글들을 집필하지는 않았지만, 조선 학술의 근간이었던 성리학에 대한 입장은 분명했다. 퇴계의 학설을 종지로 삼고 기호학파의 학설을 절충하려 했던 스승들의 견해를 지지하고 따랐다. 퇴계학파의 일원임을 분명히 하면서, 스승의 학설을 묵수했다고 할 것이다.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Song Hong-rae lived, it was a turbulent period of transformation in which the Joseon Dynasty collapsed and the land became a colony.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life and thoughts of a scholar who was born as a people of Joseon during this turbulent period and was asked to live as a people of Japan. He was an intellectual who refused to be a Japanese people and wanted to remain a secluded scholar of Joseon. Refusing to become a citizen of Japan was a universal emotion of the land in that era, but not everyone was a secluded scholar. This is because a secluded scholar is a person who silently carries out the mission given by the times and goes on the right path by cultivating correctness and virtue. In this regard, Song Hong-rae was definitely a secluded scholar. He went around looking for teachers to cultivate the righteousness. He did not distinguish between school and party in searching for teachers. Jang Bok-chu(張福樞) and Lee Jong-ki(李種杞) were his teachers who held a set ceremony, and from Kim Heung-rak(金興洛), Kim Do-hwa(金道和), Jang Seung-taek(張升澤) and Kim Hyung-mo(金瀅模), Kwak Jong-seok(郭鍾錫), Lee Seung-hee(李承熙) and Jang Seok-young(張錫英) of the Hanju school(寒洲學派) to Jeonwoo(田愚) of the Kiho school(畿湖學派), all were his teachers. He learned from these teachers, cultivated virtue, learned learning, and became another teacher himself. His disciples were moved by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is new teacher, and volunteered to build a school building and build a school to adore him. It is not a small number that about 100 people wore mourning clothes as disciples at his funeral. He was a man who knew and practiced the right path required by the times. As a scholar of Joseon who has succeeded to the Confucianism, he signed a petition demanding Joseon's independence from all over the world. By boldly practicing this task, which may have to guarantee life, for righteousness, he became the representative of Joseon Confucianism with 136 comrades. That's why he is a secluded scholar of Joseon. He did not write articles that could be called Neo-Confucianism, but his position on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basis of Joseon studies, was clear. With Toegye's theory as their motto, they supported and followed the views of teachers who tried to compromise the theories of the Kiho school. While making it clear that he was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he would say that he kept his teacher's theory.

      • KCI등재
      • KCI등재

        한훤당문학 연구의 과거와 미래

        이세동 ( Se Dong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2

        본고는 寒暄堂 金宏弼의 문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집필 되었다. 과거의 한훤당문학 연구가 주로 그의 도덕적 실천과 사상을 문학세계를 통해 증명하려는 경향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밝히고, 향후의 연구는 새로운 자료들에 대한 검증과 작품 자체의 문학적 성취를 조명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한훤당이 조선초기 유학의 가장 저명한 인물이 될 수 있었던 요인을 추적하였고, 그의 작품이 중국에까지 소개될 정도의 문학적 재능을 소유하고 성취를 이룬 인물임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고증을 촉구하기 위해 한훤당의 새로운 시편들을 싣고 있는 『淡軒詩集』에 대한 서지적 고찰도 부분적으로 시도하였다. 한훤당이 조선 유학사에서 저명한 인물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그의 도덕적 실천과 학문적 성취라는 내적요인과 사림파의 정통성 확보 차원에서 이루어진 외적 기림이 작용하였음을 지적하였고, 『담헌시집』이 비록 일제시대에 간행된 서적이지만 날조가 아니라 가문에서 소장되어온 원고를 바탕으로 편집되었음을 밝혀 연구의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훤당의 문학 연구가 한훤당 자신의 작품만을 대상으로 함에서 한 걸음 나아가 그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기림의 시문들을 연구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추적하는 것도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임을 언급하였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literary of Hanhwondang, Kim Goengpil. It stated that the past research had the tendency of proving his ethical practices and thoughts through literary world an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in the direction of validating the new materials and shedding new lights on literary achievement itself. Above all, this article sought the reasons that he could be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racters in the early Chosun Confucianism and revealed his literary talent was such that his works were introduced to China and made a remarkable achievement. In addition, this writing partially tried bibliographical considerations on ``DamHun Collection of Poems(淡軒詩集)`` containing new poems of Hanhwondang. This article pointed that both internal element of his ethical practic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external element, the tribute in a dimension of establishing Sarimpa(士林派)`s legitimacy led him to a celebrated scholar in the history of Chosun Confucianism. It emphasized that DamHun Collection of Poems had value of research because it had been edited out of the manuscript a family long possessed despite its publication date of Japanese colonial era. Into the bargain, this writing mentioned that the literary research would be a meaningful work as it would pursue certain directivity not only by studying Hanhwondang`s works themselves but analyzing future generation`s poetry and prose aimed at hi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