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일기문의 비판적 검토

        이성천(Lee, Seung-cheon)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8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의 일기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에 심연수 시인은 한․중 학계에서 공통적으로 1940년대 재만 조선인 문학을 대표하는 민족시인, 혹은 저항시인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고가 판단하기에 이제까지 전개된 대다수의 선행연구들은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 등 적지 않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그를 민족시인 또는 항일시인으로 규정한 논의의 경우, 실증적 자료와 부합하지 않는다거나 역사적 사실에 위배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전집에 수록된 전체 일기문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연수 시인이 일제강점하의 역사적 모순이나 민족적 현실에 대한 자각이 다소 부족했으며, 오히려 일제의 왜곡된 지배이데올로기에 노출된 측면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원천적 기록’으로서 심연수 일기문의 실증적 가치를 제시하고, 이후 그의 일기에 나타난 ‘민족동화정책’, ‘내선융화’, ‘동아협동체’, ‘동아신질서’ 사상 등의 흔적을 살펴보았다. 이와 아울러 ‘근로봉사’와 같은 만주국의 국책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조한 시인의 현실인식 능력을 비판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 inquiry for diary of Shim Yeon-Su’s,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Since 2000, he has recently studied intensively for the academic circles to,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meantime, Shim Yeon-Su’s, Korean poet received a high opinion as poet resistance or national poet representing the 1940’s literature of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for the academic circles to, South Korea and China in common. However, I ca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there had been serious limitations on the existing researches for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including all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willful distortion. In particular, anti-Japanese him as a poet that is different from historical facts. Accordingly, I thoroughly analyze contents of the total contained in the corpus of the diary. Based on this, this paper wish to find out that Shim Yeon-Su’s, Korean poet didn’t realize historical contradiction and national real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t all and that rather, he was unprotected exposure to the ideological divide of Japan’s distorted rule. In the process, I proved the objective value of diary of Shim Yeon-Su’s as original record and criticized his real awareness written in diary of Shim Yeon-Su’s for example traces of thought about ‘East Asian new order’ and active sympathy for labor service as National projects of Manchuria.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일기문에 나타난 네 편 영화의 의미

        이성천(Lee, Seung-Cheon)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 일기에 나타난 네 편 영화의 의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1940년 심연수가 쓴 일기문은 일상생활의 동선 뿐만 아니라 주체의 내면 의식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효하다. 특히 일기에 등장하는 네 편 영화에 대한 언급은 일제강점기 시인의 현실인식 및 역사의식을 투명하게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영화 「국경」과 「수업료」, 「민족의 제전」과 「흙과 병사」에 대한 심연수의 단상 및 관람평은 일제의 국책이념에 동화되었거나 현실인식의 치열성을 확보하지 못한 시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울러 친일 영화단체의 혐의가 있는 ‘고려영화협회’에 대한 왜곡된 평가와 우호적인 발언은 일제의 영화통제 정책에 담긴 모순성을 인지하지 못한 심연수의 역사의식을 단적으로 드러난다. 이렇게 볼 때, 심연수를 민족시인, 저항시인, 반일사상을 지닌 시인으로 규정해 온 기존의 논의는 전면적으로 재고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최종 판단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four movies mentioned in Manchuria poet Shim Yeon-Soo’s diary. Written in the 1940s, Shim Yeon-Soo’s diary has been effective for understanding his life pattern as well as his inner consciousness. In particular, a mention about four movies in his diary is interesting as it shows a Japanese colonial era poet’s awareness of reality. Shim Yeon-Soo’s appreciation of four movies, namely, 「Border」, 「Tuition」, 「Soil and Soldier」, and 「Festival of race」, shows that the poet was in uniso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concept of national policy or failed to secure the intensity of reality awareness. Moreover, the high praise and amicable mentions of the ‘Institute of Korea movie,’ which refers to a pro-Japanese public group, clearly reveal Shim Yeon-Soo’s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does not recognize the contradictions in the Japanese cinema control policy. From this perspective, existing research that defines Shim Yeon-Soo as a national poet, a resistance poet, and a poet of anti-Japanism needs to be reconsidered completely.

      • KCI등재

        심연수 문학의 상징 시어 “봄”과 농본주의의 문제

        이성천 ( Lee Seung-che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7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 시세계에 나타난 상징 시어 “봄”과 농본주의 사상의 실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간의 선행연구는 심연수의 문학에 자주 등장하는 “봄”과 시인의 농본주의 및 귀농의식에 대해 특정한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해왔다. 가령 “봄”을 독립에의 의지 또는 광복의 의미로 해석한다든지, 그의 농본(農本) 정신과 귀농사상을 탈식민주의의 저항의식 차원에서 이해해 온 것이다. 그러나 심연수의 문학세계에서 “봄”은 자연에 대한 소박한 감정의 침전물이거나 식민지 이주민이 느꼈던 막연한 감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본고의 최종 판단이다. 뿐만 아니라 농본주의와 귀농의 사유에는 1940년대 일제의 왜곡된 이데올로기와 만주국 국책이념에 동화된 시인의식의 흔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전집』에 수록된 시 텍스트와 『농향(農香)』을 비롯한 주요산문의 분석을 통해 기존 논의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종국에는 심연수 문학의 성격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연구자들의 목표와 최종적으로 일치한다는 점을 재차 밝혀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 of symbolic poetic diction "spring" and thought of the physiocracy of Yeon-Su, Shim.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given particular meaning to the "spring" and his consciousness of the agriculture-first principle in the literature of Yeon-Su, Shim. For example, "spring" is interpreted as the will of independence or the meaning of national liberation and thought of physiocracy is understood as expressions of longing for his country. However, this paper understands that in the literary world of Yeon-Su, "spring" and thought of physiocracy are nothing but seditious emotions about nature or a vague impression of colonial migrants. On the contrary, there is a clear evidence of the distorted ideolog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40's and the poet's consciousness assimilated into the nationalist policy of Manchukuo. Therefore,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 poetry texts and the concepts of going back to farming in the completed works of Yeon-Su, Shim, this paper criticizes the fictitiousness of existing discussions. Finally, this article redefines the character of a literature of Yeon-Su, Shim. This paper reiterates that it ultimately agrees with the goal of the previous researchers who want to reach a complete understanding of Yeon Su, Shim's literature.

      • KCI등재

        『풍장』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인식론적 전환 양상

        이성천 ( Seung Cheo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이 논문의 목적은 황동규 시인의 『풍장』연작시를 살펴보는데 있다. 황동규 시인의 『풍장』은 삶과 죽음의 세계, 혹은 삶과 죽음의 본질적 관계에 대한 탁월한 시적 탐구의 결과이다. 또한 『풍장』은 죽음이라는 소재를 일관되게 살펴보면서도, 황동규 시세계의 존재론적 의미망을 연속적으로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집중적인 고찰을 필요로 한다. 황동규 시인은 『풍장』 연작 시편에서 죽음을 삶의 시간에서 분리된 이원화된 공간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시인에게 죽음의 의미는 시간의 단절이 아니라 지속이며, 삶의 분절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완성이고 이해이다. 하이데거 식으로 표현하면 『풍장』에서 시인은 "죽음에로의 선주(先走)"함으로써 오히려 더욱 풍요롭고 절실한 삶을 마주한다. 이처럼 황동규의 『풍장』에는 인식론적 전환을 통해 삶과 죽음의 관계를 유연하게 바라보는 시인의 모습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에 따라 본고는 황동규 시인이 『풍장』에서 삶과 죽음의 인식론적 전환을 이루는 과정을 시집의 구성 양식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황동규 시에서 `풍장`의 시적 차용은 죽음을 삶의 계기로 수용하기 위한 황동규 시인 고도의 시적 전략이며 방법론적 장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풍장』은 황동규의 이전 세계와 뚜렷한 주제의식의 변모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존재론적 의미 차원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his early poems, Hwang Dong Gyu`s has broken out from the category of Korean traditional poems and started to arm with western intelligence. However, the poems he published from 80`s reveal rather deep interests related to oriental thoughts. In particular, the series of `Burial` which had been written for 14 years are steeply toward Taoism and thinking of Zen. Hwang Dong Gyu`s `Burial` is the result of brilliant poetic research about the world of life and death or the essential relation between them. Furthermore, `Burial` is worth of careful consideration in the way that it consistently looks into the material "death" and simultaneously secures ontological semantic network for the realm of Hwang Dong Gyu`s poem. A poet, Hwang Dong Gyu, does not consider the life and death as dualistic spaces that separated from time. Ultimatley, the meaning of death is not a interruption of time but a completion and understanding of life. To qoute Heidegger, the poet faces more abundant and valuable life by "Death in advance" in `Burial` `Burial` is demonstrating the aspect of apparent thematic changes from Hwang Dong Gyu`s previous realm and secures consistency of ontological semantic stage. On this wise, the poet`s relaxed vision that gazing into the relations between life and death is clearly exposed in Hwang Dong Gyu`s `Burial` Thus, this manuscript is looking into the process of Hwang Dong Gyu making epistemological change regarding life and death. Firstly, handling with the section one of `Burial` series, the reflection of poetic narrator tends to harmonize with space of death is examined by bringing in hypothetical space. In the meantime, it is verified that the life and death is still remained as a symbolic space of binarity. In the section 2 of `Burial`, poet`s awareness that life and death is not a separated relation is more actively emitted. For the discussion of `Burial` section 3, the process to reach faithful death through dissolution of life comes into view. Lastly, in `Burial` section 4, a poetic narrator appears whom accepted death as an internal chance through "Death in advance" At this point, the narrator returns to space of life from death again after experiencing the epistemological switching process of life and death. This narrator is the one who recognizes ordinary life is filled with shadow of death and admit the beauty and value of life by that. Like this, Hwang Dong Gyu`s `Burial` suggests us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life and death or process of enlightenment through poet`s unique imagination.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문학에 나타난 `고향`과 `민족`의 표상 - 해방기와 건국시기 리욱의 시세계를 중심으로 -

        이성천 ( Lee Seung-che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 Vol.0 No.46

        This paper, a representative of the ethnic Koreans in China Ll,Uk poetry writer with experience from overseas Koreans diaspora divided in the literature `home` over representation, combined with the political world through like topophilia `ethnic` look at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oncept to evaluate. Individuals occupying a major part in shaping the identity of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home, such as adult ethnic identity, coupled with specific locations at birth with the notion of invariant forms. Historically, however, are products of society, such as national identity and political community are bound to vary depending on external conditions. Before settling for survival,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of overseas Koreans to form a new identity and go out to coordinate a break with the past. Koreans in China`s leading poet Li, Uk home if you work appeared in abstract spatial representations as the starting point of liberation from the concrete holds its history as a place to change. Traces of previous generations and cherished as a place of their home life and collective self-identity, the origin is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free time after the founding of Chinese representation in the early home of the new political ideology of the community coupled nation will be extended to representations ever. Li, Uk`s poetry, ethn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the bonds of kinship and ethnic ties, emphasizing territorial and political community to be together reveals a strong future-oriented nature. Through the experience of place and a place that reveals a strong bond with Lee, Wouk`s poetry topopilriahneun Chinese linguistic and cultural history to overcome heterogeneity is a reflection of a hearing. In short Li, Uk`s poetry appeared at the home of Korea`s modern literary representations in the home appeared to reflect the loss of home to immigrants, as opposed to a positive place for the new settlement, which is a further new member nations of the nation of the political community which is the birth place.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

        이성천 ( Lee Seung-cheon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천 년대 이후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재만 시인 심연수(1918.5.20-1945.8.8) 문학에 대한 논의를 꾸준히 거듭해 왔다. 그런데 본 연구자가 판단하기에, 그동안 전개된 심연수 문학 연구는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한계를 노출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의 논의들마저도 앞선 연구결과를 무분별하게 수용하며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선행연구가 노출한 논리적 모순과 한계, 실증적 자료 확보의 미숙성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텍스트 해석과정에 나타난 선행연구의 오류, 시인의 전기적 사실과 관계된 역사적 모순, <일본대학> 졸업일자의 실증적 고찰 등은 그 세부 내용에 해당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연구자가 어떤 텍스트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시적 주제의식이 다르게 파악될 수 있다는 것, 이런 측면에서 선행연구는 다소 객관적이지 못했다는 사실을 이본(異本) 연구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시인의 전기적 생애와 관련된 기존 논의의 한계성은 1차 자료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지적한 후, 중학시절의 심연수가 소설가 강경애에게 문학수업을 받았다는 선행연구와 1943년 7월에 학병을 피해 만주로 돌아왔다는 그간의 논의에 대해 재고를 요청했다. 한편 본 연구자는 심연수 시인이 다녔던 <일본대학>의 1943년 졸업식 일정을 공지한 『일본대학 신문』 및 졸업생 명부록(名簿錄), <전문부예술과창작>과 명단과 같은 실증적 자료를 새롭게 발굴하고, 논문에 첨부함으로써 후속 논의의 진전을 도모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연구자들의 목표와 최종적으로 일치한다는 점을 거듭 밝혀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sitively consider the literature of Shim, Yeon- Su`s,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research from China and Korea, on Shim, Yeon-Su(1918.5.20-1945.8.8), who wro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I ca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there had been serious limitations on the existing researches for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including all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willful distortion. The latest researches, nevertheless, indiscriminately embrace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continuously reproduce what had been already done. This research gradually reviews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and immaturity over procuring positive reference which had been expos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The details would include the error of the previous researches during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historical contradiction in relation to the biological facts of the poet and positivist consideration of the graduation date of the < Japanese University >. This research proposes, with the help of the research on rare books, that the poetic subject consciousness may be differently interpreted depending on what type of text were chosen and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did not hold somewhat an objective view in them. Through this research, I have also made an request for the re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him was taught the literature class from Kang, Kyung-Ae, the novelist during his academic days in middle school and the fact that Shim had returned to Manchu trying to avoid the student soldier in July 1943. While conducting researches on Shim, I have discovered new positive references including < Japanese University Newspaper > and alumni directory which had details of the graduation ceremony of < Japanese University > in 1943 where Shim had attended and the list of < Professional Arts and Creation >, and have attached them in the research so that the follow-up discussion may be proceeded. It should be certainly noted tha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dentical to the ones of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sough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uth of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이성천(Seung-Cheon, Lee)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이 논문은 재만(在滿)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심연수는 그동안 한국 현대 시사(詩史)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이다. 그러다가 2000년대 이후, 심연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큼 급속도로 전개되었다. 심연수 초기 작품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몇몇 논문을 제외하면 이제까지 선행연구의 공통된 견해는 “일제 암흑기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 “또 하나의 시성(詩聖)” “암흑기의 민족의 별”이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듯이, 대개가 민족시인 혹은 저항시인으로 그의 문학사적 위상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가 판단하기에 이들의 연구는 단순 착오에서부터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이 글의 2장에서는 시인의 생애와 초기의 작품들을 살펴보면서 전기적(傳記的) 사실에 대한 오류 및 한계를 지적할 것이다. 이후 구체적 작품 분석을 통하여 심연수의 일부 작품이 기존의 연구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민족의식과 저항의식을 드러내기 보다는, 이와는 상반되게 1941년 당시 일제의 정책 이념과 왜곡된 지배 이데올로기에 동화되어 있음을 밝힐 것이다. 3장에서는 『돌아가신 할아버지』라는 작품 해석에 나타난 선행 연구자들의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 작품을 다루면서 기존의 연구자들은 시 본문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거나 ‘의미의 과잉’이라는 측면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의 윤리적 태도의 문제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본문의 훼손으로 인해 시적 주제 및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앞으로의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4장에서는 심연수가 일본 유학을 떠난 1943년 이후 시인의 행적과 관련된 논의를 펼칠 것이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심연수 시인의 일본대학 졸업 일자를 1943년 7월 13일로 규정하고 있는 데,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이 시기 일본 주요 대학의 졸업 일자는 9월 25일 혹은 9월 26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논문은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도 많은 오류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문제가 학병 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보다 심도 깊은 논의가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고는 이제까지 전개된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몇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최종적으로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 연구자들의 목표와 일치한다는 점을 끝으로 밝혀둔다. This paper studies a Korean poet on Manchuria, Shim, Yeon-Su’s poetry raised some issues which are intended. Sim, Yeon-Su’s early work that takes a critical stanc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apers, the ever previous studies of common opin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 dark days of the typical resistance poet,” “Another great poet” “Dark Ages of the nation’s star,” the phrase implies, As you can usually resist the national poet, or poet, his literary and historical position is very highly regarded. However, at the discretion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m from a simple mistake, from a logical contradiction and intentional distortion has exposed serious problems. This paper begins with awareness of these issues. Accordingly, in the second chapter, his early works of the poet’s life by looking at the biographical and about the fact that the error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Specifically, since the number of works by analyzing the abyss of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some work as claimed in national consciousness and a sense of resistance, rather than exposing, 1941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ver assimilated into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policies that will reveal. Chapter 3, “deceased grandfather” appeared to interpret the work of leading researchers will point out the problem. As this work deals with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ers at the ‘deliberate’ damage or ‘an excess of meaning’ is in terms of committing errors. The researcher’s ethical attitude can not but suspect a problem. Chapter 4, he left to study in Japan since 1943 and a discussion regarding his past. Meanwhile, previous studies of the poet Sim, Yeon-su graduation date July 13, 1943(Nihon University in Japan) to the date of the regulations, which is an obvious error. I got confirmation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Japan this time of the September 25 date of graduation or date of September 26 is recorded. Therefore, the leading liberal paper, empirical research reveals many errors in terms of how it can be seen that. In particular, this problem the student conscription system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e in-depth discussion will be deployed.

      • KCI등재

        김조규 시세계의 애도와 멜랑콜리 연구

        장예원(Jang Ye-won),이성천(Lee Seung-cheo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이 논문은 김조규의 시세계에 나타난 ‘애도’와 ‘멜랑콜리’의 정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가 이러한 접근 방법을 개진하는 이유는 김조규 시세계의 전반적 성격이 애도와 멜랑콜리의 정서적 측면에서 일관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실제로 김조규의 시세계는 시기별로 로맨티시즘/모더니즘/리얼리즘 기법을 차용하고 있으면서도, 각각의 시기에 발표된 작품들은 일정하게 애도와 멜랑콜리의 정서를 동반한다. 그의 시는 감상적 실향의식을 강하게 내포하는 초기 시에서부터, 민족/민중의식 지향의 리얼리즘적 성향이 드러나는 후기 시에 이르기까지 애도와 멜랑콜리가 주도하는 정서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의 작업에서 애도와 멜랑콜리에 대한 심리/철학적 개념 분석 및 문학적 차용의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 전제 작업은 필수적이다. 일제 식민지라는 재난적 사건과 ‘애도’라는 정동은 문학사의 측면에서 상호연관성을 지닌다. 식민지 문학인들에게 일제강점기는 ‘상실’이라는 공동적 속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으며, 애도란 이 ‘상실’에서 발생되는 중추적 정동인 까닭이다. 물론 국권 상실이라는 심각한 상황은 사회적 차원의 애도 가능성을 일차적으로 폐쇄하고, 급진적으로 강제한다. 제국과 식민이라는 모순적 현실에서 사회적 차원의 애도란 그 자체로 체제 저항의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 시기 김조규의 시편들을 ‘문학적’ 애도의 상징적 의미망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제강점기 그의 시는 조국과 자기존재의 근원적 뿌리를 상실한 시적주체의 공허감을 자주 사회변혁에 대한 의지로 변환하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에서 상실의 정서는 단순한 ‘병리적’ 감정이 아니다. 그것은 폐허가 된 세계를 향하는 시적 주체의 정직한 대응자세이자 정서적 결과물이다. 시인에게 멜랑콜리의 시적 차용과 예술적 형상화는 특정한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문화적 차원의 실천행위이자 미학적 정서의 표출이었던 셈이다. Kim Jo-gyu"s oetic sirit and asects of oetry show various changes deending on the eriod. In revious studies, the transformation of diversity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sentimental romanticism and modernism oetry in the early 1930s, and nationalist oetry during the reign of Korea. In addition,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on the creative techniques and subject consciousness of each eriod, focusing on the literary trend of romanticism, modernism and surrealism, and realism techniques, the consciousness of home imrovement, self-consciousness of intellectuals, and diasora consciousness of nomads. However, while Kim Jo-gyu"s oetic asect basically ursues modernism, it seems that the sentimental dislaced consciousness that he showed at the beginning, that is, the melancholy sentiment, was maintained. Based on the remise that it is more aroriate to see the realist tendency toward national consciousness or eole"s consciousness as revealed in the later oetry as a oetic tendency revealed with the addition of the specific exerience of staying in Manchuria, the inner emotion of his loss consciousness Focusing o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nges of melancholy in more detail. First of all, Kim Jo-gyu"s oems originated from comassion for the nation and feelings of debt. The sense of emtiness that the fundamental roots of self-existence were lost due to the loss of the motherland was linked with a new image using various oetic materials. In other word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subject, the sorrow of the colonial youth can be said to be the main emotion. Nevertheless, in Kim Jo-gyu"s early oems, a historical ersective that contains assion and ambition for social transformation is revealed, and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for it is mourning work based on inner emotion rather than extroverted elements such as ideology or social intellectuals" calling. Mourning is a work in which the subject internalizes the value of loss through loss and transforms one"s life into a sace of creative lack. However, the imortant fact is that in the disaster situation of Jaanese colonization, since social mourning is already imossible, ersonal mourning is also imossible. However, oetic subjects who try to overcome the imossibility through oetic shae a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