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광주지역 일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량

        이성숙(Sung-Sug Lee),최인선(In-Seon Choi),오승호(Seung-Ho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광주 시내에 있는 일부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관찰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 상황을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남녀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두박근, 삼두박근, 복부 및 견갑골 하부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결과 이들 모두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아서 신장과 체중에는 차이가 없음에도 지방량은 여학생이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가슴둘레는 남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및 허벅지둘레는 남녀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영양소 섭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량을 상회하여 양호한 편이었으나 열량, 칼슘 및 비타민 E 섭취량은 권장량에 미치지 못한 바 이 부분에 대한 섭취 증가가 권장되며 특히 여학생은 칼슘(p<0.05), 나이아신(p<0.01)및 비타민 E(p<0.01) 섭취량이 남학생에 비하여 적었다. 식습관에 대하여 조사한 바 식사량은 13.6%가 많이 먹는다고 하였으며, 24.6%가 식사 속도가 빠른 편이라고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50%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침식사의 결식율이 상당히 높았으며, 67.6%가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이라고 하여 학생들이 식사 시간이 상당히 불규칙함을 알 수 있었다. 조사 대상자의 64.6%가 저녁식사후 간식을 먹고 있었으며, 전체 학생의 85.9%가 간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상적인 식사보다는 간식으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경향이었다. 식습관과 영양 섭취 실태와의 관계를 조사한 바 식사량이 많을수록 나이아신(p<0.05)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사속도가 빠른 사람이 느린 사람에 비해 비타민 E(p<0.01)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침식사를 안하는 사람이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에 비해 열량(p<0.001), 단백질(p<0.01), 탄수화물(p<0.0005), 칼슘(p<0.05), 철분(p<0.005) 및 비타민 A(p<0.05)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사 시간의 규칙성 여부는 본 조사에서는 영양 섭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식을 1일 3회 이상 먹는 사람이 안먹는 군에 비해 열량(p<0.05), 지방(p<0.05) 및 탄수화물(p<0.05)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녁식사후 간식을 먹는 대상자가 비타민 A, 나이아신 및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 섭취가 안먹는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보면 식사량, 식사속도, 아침식사섭취, 간식섭취, 저녁식사후 간식섭취가 영양소 섭취량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식사 시간의 규칙성은 영양소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256 third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134: boys, 122: girls) in Kwangju.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ights, weights, physical circumferences measurements between the boys and girls, but the skinfold thickness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ost nutrient intakes were higher tha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but the intake of energy, calcium, and vitamin E were lower than the RDA. The intakes of calcium, niacin, and vitamin E of the gir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boys. With regard to meal volume, 13.6% of the subjects has been ‘much’. With regard to meal speed, 24.6% of the subjects has been ‘fast’. The study also found that 50% of the subjects skipped breakfast, 67.6% of the subjects had irregular meal times, 64.6% of the subjects ate snacks after dinner and 85.9% of the subjects ate snack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utrient intake of children was related to snack eating more than regular meals. With regard to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meal volume, meal speed, skipping breakfast, eating snacks and eating snacks after dinner were major influences. But regularity of meal time was not influence on nutrient intak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eating behaviors are in needs of correction. This reasserts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through teachers, parents and dietitia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to nutrition education to ensure better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광주지역 초등 예비교사의 식생활능력 및 인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성숙(Lee Sung-Su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25 No.2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식생활능 력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바른 식생 활의 3대 가치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습 및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식생활교육 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G교육대학교 1학 년 학생(35명)을 대상으로 2016년 2학기에 14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전후 식생활능력 및 인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식생활능력은 식품선택, 식사준비, 영양관리, 지속가능한 식생활, 자기평가의 5개 영역, 인성은 도덕성, 사회성, 정서성 3개 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교육 프로 그램 적용 후 식생활능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영역별로 보면‘식품선 택’, 식사준비 및 식사하기’,‘영양관리’,‘지속가능한 식생활’,‘자기평가’등 모든 영역에서도 유의있게 증가하였다(p<.001). 특히 영양관리 영역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 며 영양소, 식품군에 관심을 가지고 식생활을 관리하는 능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 다. 인성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적으로 증 가하였으며(p<.05), 영역별로 보면‘사회성(배려ž봉사)’과‘정서성(긍정성)’에서 유의적 으로 증가하였고(p<.05), 도덕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초등 예 비교사를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역량교육 및 인성교육의 방법으로서 효과가 있음 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도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ducational directions by developing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pplying it and analyzing their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Based on the three core values of environment, health and gratitude from the National Dietary Education Plan,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as composed of various practices and experience for each subjects. It was applied to 1st-year students in the course of dietary life and environment during the second semester in 2016.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measuring levels of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through pre-post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 test of SPSS packag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between the dietary life competency in the pretest(3.11) and that in the posttest(3.62). Every areas including food choice , preparing meals , nutrition management and sustainable dietary life , self-assessment showed significant increase(p<.001). The subjects score for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howed 3.33 and 3.39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Areas of personality such as ‘sociality’ showed 3.24 and 3.49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emotionality’ showed 3.30 and 3.38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ref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requesting further studies on dietary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KCI등재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성숙(Lee, Sung-su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시대적 변화와 상황, 국내외 교육관련 국제기구들이 제안하는 교육의 방향, 실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 수업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대변화에 따른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주요 이슈로는 팬데믹, 저출산·고령화, 기후 위기, 다문화, 식량안보, 인공지능 등이 있었다. 6가지 이슈의 교육적 해결 방안과 그에 따른 실과교육 관련성을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팬데믹은 자립적인 생활능력,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의 핵심개념에서 관계, 생활문화, 안전과 관계가 있었다. 기후위기는 지속가능한 환경유지, 핵심개념에서 관리, 지속가능과 관련이 있었다. 저출산·고령화, 다문화는 건강한 가족, 배려, 돌봄, 건강한 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식량안보는 지속가능한 생태 환경유지, 자원, 환경과의 건강한 상호작용, 핵심개념 중 생활문화, 창조, 지속가능과 관련이 있었다. 인공지능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 융합, 핵심개념 중 적응과 소통과 관련이 있었다. 국제기구들이 강조하고 있는 교육 내용과 실과교육 관련 내용은 지속가능교육의 양성평등, 문화 다양성과 상호간의 이해, 건강과 에이즈, 자연 자원, 기후 변화, 농촌 개혁과 관련이 있었다. OECD의 교육 2030은 UN의 SDGs과 맥을 같이하고 있고, 실과교과와도 많은 부분 일치되고 있으며 웰빙은 실과교과에서 구현할 수 있다. OECD의 교육 2030과 UN-SDGs 요소들은 시민참여를 제외하고 실과 모든 영역에 관련이 있었다. 실과교과는 미래사회의 새로운 교육적 요구들에 대해 자립적인 생활과 미래사회 대처 측면에서 필요하다. OECD의 교육 2030이 추구하는 웰빙은 실과교과에서 추구하는 목표인 행복감 향상, 행복한 삶, 조화로운 삶과도 일치하므로 실과교과는 웰빙을 추구하는 교과로서 필요하다. 실과교과는 지속가능을 강조하고 있고, UN-SDGs와 관련성이 높으므로 지속가능을 추구하는 교과로서 필요하다. 팬데믹 시대에 비대면이 늘어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포함한 키오스크 활용이 매우 증가하고 있으므로 자립, 지속가능, 웰빙 측면을 고려하여 모두를 위한 키오스크 디자인하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과교과는 미래교육에서 자립적인 생활교과, 지속가능 웰빙교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In order to fi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futur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times related to educati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sugges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educational solutions of the six issues and their relevance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nature, goal,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pandemic was related to the 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relationships, life culture, and safety among the core concepts. The climate crisis was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mong the core concepts. Low birth rate, aging population, and multiculturalism were associated with healthy families, caring, and healthy relationship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od security was related to maintaining a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healthy interactions with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and living culture, creation, and sustainability among the core concepts. Artificial intelligence was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convergence, and adapt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he core concep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emphasiz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sustainable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and mutual understanding, health and AIDS, natural resources, climate change, and rural reform. OECD s education well-being 2030 and UN s SDGs are in agreement with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well-being can be implement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ell-being 2030 and elements of UN-SDGs were relevant to all area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xcept for citizen particip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educational demands of the future society and to lead an independent life. The well-being pursued by the OECD s Education 2030 also coincides with the goal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mproving happiness, living a happy life, and living a harmonious life. Practical arts subjects are necessary as subjects that pursue well-being. Practical Arts education subjects emphasize sustainability and are highly related to UN-SDGs, so they are necessary as subjects pursuing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as independent life subjects and sustainable well-being subjects. A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increases in the pandemic era, the use of kiosk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Considering the aspects of self-reliance, sustainability, and well-being, a lesson plan for designing a kiosk for all was proposed.

      • 운동과 에너지 제한이 비만아동의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이성숙(Sung Sug Lee),오승호(Seung Ho Oh) 한국가정과학회 2001 한국가정과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비만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및 식이요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12세의 비만아동(BMI 25.2±1.7)을 대상으로 3일간 실험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대조기간을 거친 후 1주간은 운동기간과 다음 1주간은 운동을 하면서 에너지를 제한하는 기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60∼75%HRmax 이었으며 에너지 제한량은 493㎉/day 이었다. 실험 전후 혈액 성상의 변화 측정한 결과 Hemoglobin 농도, Hematocrit치, 혈당, GOT 및 GPT 활성은 실험 전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 중 총 지방 함량은 실험전 680.0±83.1㎎/dl에서 실험 수에는 630.0±68.2㎎/dl으로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 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전 187.0±8.1㎎/dl에서 실험 후에는 192.6±6.9㎎/dl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 전 51.8±2.9㎎/dl에서 실험 후 70.2±6.4㎎/dl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 중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전 100.7±5.6㎎/dl에서 실험 후 108.5±2.3㎎/dl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혈 중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 전 34.5±5.1㎎/dl에서 실험 후 14.3±7.6㎎/d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 중 중성지방 농도는 실험전 192.0±27.1㎎/dl에서 132.3±9.7㎎/dl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 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실험 전 20.0±2.1μEq/l에서 실험 후 30.1±3.3μEq/l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HDL)또한 실험전 27.9에 비해 실험 후 34.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심혈 관질환의 위험도 판정에 사용되는 동맥경화지수는 실험 전 2.7에서 실험 후 1.8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및 에너지 제한을 실시한 결과 본 실험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체중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유의있게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소시켜서 혈 중 지질대사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일부 무지방조직의 감소를 동반하는 것으로 보아 본 실험의 프로그램 중 운동 부하량을 다소 줄여 비만 치료시 적용하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and diet control program on blood pattern in obes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obese boys aged from 8 to 12 participating in the control period(C) for 3 days, exercise period(E) for one week, and exercise+energy restriction period(EER) for another one week, consecutively.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was 60∼70% of HRmax and the energy was restricted at 493㎉/day. Daily mean total energy intake was 2,152±138㎉, 1,861±138㎉, and 1,368±87㎉ for the period C, E and EER, respectively. Body weight of after the progra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8.94±5.11㎏ to 45.94±4.74㎏(p〈0.01). And skinfold thickness, %fat, lean body mass,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Blood sugar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weight loss, but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entrations of total lipid, LDL-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But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H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oncentration of V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bese children had a tendency to decrease coronary heart disease risk in the respect of plasma HDL-cholesterol and VLDL-cholesterol concentration by the exercise plus energy restriction program. Thus if we apply the lower intensity or duration of exercise for them this program might be more effective on the obese children.

      • 초등 예비교사의 음료 섭취에 따른 식습관 조사

        이성숙(Sung-Sug Lee)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0 生活科學硏究 Vol.30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for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wangju, and also to suggest a plan for dietary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type of drink I enjoyed was ‘coffee’, followed by ‘carbonated drinks’, ‘others (milk, tea, ionized drinks, etc.)’ and ‘juice’. The average daily water intake was 41.3% of ‘1-3 glasses’. Male students consumed the most ‘carbonated beverage’ and female students consumed ‘coffee’, and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drink beverages as a meal replacement than male, and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group who consumed ‘others’ had the most balanced diet, and ‘coffee’. The group ingesting was not pretending to be a balanced die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group who enjoyed carbonated beverages had significantly higher intakes of fast food and processed foods. In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dietary life education,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fast food and processed food was significantly lower.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requency of intake of snacks such as candy, chocolate, and sweets according to the average daily water intake, the group who‘almost never drink wat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snack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beverage consumption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ects their eating habits, and accordingly, beverage consumption education is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water intake is the most necessary during beverage intake, an application for smart devices was presented as a water intake education method. Education needs to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application can be used for dietary education such as water consumption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 19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생활의 변화

        이성숙(Lee, Sung-su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코로나 19 전후 생활의 변화를 분석하여 코로나 시대 실과교육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전후 생활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사노동은 매우 증가하였고, 집밥, 배달음식, 편의점이용, 온라인 식품 구입은 증가하였고 외식은 감소하였다. 의복구입은 감소하였고 뜨개질, 바느질 등 만들기는 증가하였다. 집안 꾸미기, 집 정리 및 청소는 증가하였고, 가족돌보기는 증가하였다. 식물 가꾸기는 증가하였고, 인터넷 검색, 컴퓨터 게임, 영상물 시청도 매우 증가하였다. 식사 및 간식시간과 외식 빈도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에게 식생활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바느질, 뜨개질 등을 이용해 만들기, 식물 가꾸기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들 대상으로 다양한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족과 대화, 가족과 활동, 가족과 관계는 증가하였다. 코로나 시대 교육 방향과 관련하여 실과가 가장 관련이 많았고 다음으로 체육, 과학, 사회이었다. 실과교과 역량 중 생활자립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발전과 관련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생활의 변화에 따른 실과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족관계에서는 가족과 의사소통 방법과 가족관계 향상 방법, 가사노동의 중요성과 가사노동 분담의 필요성, 가족 돌보기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생활문화에서는 전통적인 집밥의 중요성과 집밥 레시피, 배달음식의 문제점, 편의점 음식 선택 방법, 위생적인 옷 관리, 다양한 생활 공예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위생적인 식사 방법, 온라인 식품 구입시 유의점, 식생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시간 관리 방법, 생활시간 계획, 쾌적한 집 꾸미기, 공간관리, 위생적인 집 관리, 식물 가꾸기의 장점 및 방법, 재활용품의 리포밍, 홈 가드닝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예비교사들의 코로나 이후 생활은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가족돌보기, 가족관계 등 모든 영역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코로나 19는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생활과 밀접한 교육 내용을 가지고 있는 실과교과가 더욱 중요하며, 코로나 시대 핵심교과로서 실과교과가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rona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life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Coronavirus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life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Corona 19, ‘housework’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VID-19, ‘home-cooked food, delivery food, convenience store use, online food purchase’ increased, and eating out decreased after COVID-19. ‘Clothing purchase’ decreased, ‘knitting, sewing etc., making’ increased after COVID-19. ‘House decoration’ and ‘house tidying and cleaning’ increased, and ‘family care’ increased. ‘Plant care’ increased, ‘internet search, computer games and video viewing’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nversation with family’, ‘activities with family’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increased after COVID-19. Meal and snack time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and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needed dietary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planting and making using needlework and knitting,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educate male students on how to spend various leisure time.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corona era, the subjects that were most relevant were practical arts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science and social studies. Among the practical arts subject competence, they said that ‘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corona era. The most important thing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rona era was ‘a healthy and happy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pla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life of COVID-19 is presented as follows. In ‘Living Cultur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home-cooked meals, home-cooked recipes, problems with delivery food, convenience store food selection methods, indoor clothing methods, sanitary clothing management and various lifestyle crafts are discussed. In ‘Safety’, there are hygienic food selection and eating methods, things to keep in mind when purchasing online food, the impact of eating habits on the environment, and reduction of disposable products. In ‘Management’, there are time management, life time planning, pleasant home decoration, space management, hygienic house management, advantages and methods of planting, reforming of recyclables, home gardening etc. As such, the life of pre-service teachers after Corona has brought changes in all areas, including clothing, diet, main life, family care, and family relationships.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hanges, practical arts subjects that have educational contents closely related to life are more important, and practical arts subjects should play a pivotal role as core subjects in the Corona era.

      • KCI등재

        광주지역 초등학교 6학년의 식생활능력 및 인성에 관한 연구

        이성숙(Lee, Sung-su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이 연구는 광주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능력 및 인성을 조사하고, 식생활능력 및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식생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1개 초등학교의 6학년 총 96명(남 48명, 여 48명)을 대상으로 식생활능력 및인성 검사지를 통해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생활능력은 ‘식사준비 및 식사하기’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식품선택’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연구 대상자들이 실과를 배우는 6학년 학생이었기 때문에 조리 실습 경험이 있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최근 스스로 식사나 간식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므로 ‘식품선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변인에 따른 식생활능력 조사 결과 경제 수준은 ‘식사 준비 및 식사하기’영역과 ‘영양관리’영역에서(p<.05), 학교생활만족도는 ‘자기평가’영역에 서(p<.05)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인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인성 영역 중 ‘사회성’영역이 가장 높았고, ‘정서성’영역이 가장 낮았으나,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생활능력 정도에 따른 인성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능력의 상위군은 사회성(p<.01), 정서성(p<.001), 도덕성(p<.05)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생활능력, 인성 전체 및 인성 영역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능력은 인성 전체및 인성 영역 중 사회성, 정서성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1), 도덕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식생활능력과 인성은 서로 관계가 있으며, 하위 영역 중 사회성과 정서성에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초등학교 에서 식생활교육은 인성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사려된다. This study examined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in order to suggest a desirable dietary life education direction. For this,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ith the whole 98 6 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city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Dietary life competency was highest in the area of preparing a meal and eating a meal and lowest in the area of food choice . It was considered that as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the sixth graders who learned practical course, they had the experience of cooking and then education of food choice was required because there would be many occasions for elementary students to choose their meals or snacks for themselves. As a result of examining dietary life competency according to variables, economic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preparing a meal and eating a meal and nutrition management whereas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self-assessment . As a result of examining personality, the area of sociality was highest and that of emotionality was low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s a result of analyzing personality scores according to dietary life competency, personality scores in superior group of dietary life competency in sociality, emotionality and mor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it was found that dietary life competen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ity and emotionality among personality are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ity. Therefore, sin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life competency and personality in elementary students a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sociality and emotionality in sub-areas, it is considered that dietary life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ersonality.

      • KCI등재

        업 사이클링을 활용한 실과 의생활 단원의 용품 만들기 수업 자료 개발

        이성숙(Sung-sug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1

        이 연구는 업 사이클링을 통한 의생활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실과 교과서 6 종에 대한 재활용 관련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고,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업사이클링 용품 만들기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실과 교과서의 재활용 관련 교육 내용을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핵심개념에 따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학년 실과교과서에서 재활용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단원은 핵심개념 ‘관리’6 종 교과서, ‘창조’1 종,‘효율’1 종으로‘관리’에서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6 학년은 ‘생활문화’4 종,‘생애설계’1 종,‘혁신’3 종,‘지속가능’3 종이었으며,‘생활문화’에서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5, 6 학년 실과교과서에서 나타난 재활용 재료는 대부분 입지 않는 옷, 페트병, 우유갑 등으로, 만드는 용품은 가방, 쿠션, 주머니, 화분, 연필꽂이 등으로 한정된 재료로 한정된 용품 만들기가 제시되어 있어 다양한 재료와 방법을 활용한 지도 방안의 모색이 요구되었다. 업 사이클링을 활용한 용품 만들기 수업 자료 개발을 위하여 교과서 분석결과 재활용 재료로 제시된 양말, 티셔츠, 수건, 커피 자루, 이불보, 포장지 리본 등을 재료로 활용하였다. 업사이클링 용품 만들기는 업 사이클링 디자인 기법과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의생활 관련 내용을 고려하였다. 8 가지 업 사이클링 용품 만들기를 제안하였으며 양말목을 이용하여 직조하기, 양말 링을 만들어 바구니 만들기, 티셔츠를 이용하여 대바늘뜨기로 바구니 만들기, 수건을 잘라 꼬아 냄비 받침 만들기, 티셔츠로 프린지 달린 주머니 만들기, 커피자루로 수세미 만들기, 포장 리본으로 브로치 만들기, 이불 천과 이불솜을 이용하여 컵받침 만들기이었다. 이 연구는 개발한 자료의 검증 절차를 거치지 못하여 한계점이 있으나, 기후 변화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업 사이클링 수업은 환경, 지속가능, 자원 관리 등을 고려한 의생활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추후 개발된 자료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method of clothing life education through upcycling. The content of education related to recycling was analyzed for six types of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making upcycling products were proposed based on this textbook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cycling of practical arts and textbooks were as follows. In the practical textbooks for 5th grade, the units containing content related to recycling were the core concepts of “management” (6 types), “creation” (1 type), and “efficiency” (1 type), of which management included the most. In the 6th grade, the core concepts were “living culture” (4 types), “life planning” (1 type), “innovation” (3 types), and “sustainability” (3 types), of which living culture included the most. Most of the recycled materials that appeared in the 5th and 6th grade practical textbooks were clothes, plastic bottles, and milk cartons, while the items to make included bags, cushions, pockets, flower pots, and pencil holders. To propose upcycling-based clothing education material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as recycled materials to use from the textbook analysis: T-shirts (and yarn cut from T-shirts), towels, coffee sacks, blankets, and wrapping paper ribbons. Up-cycling fashion design techniques and clothing-related conten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curriculum were considered, from which eight were suggested: weaving with sock necks, making sock rings to make baskets, cutting T-shirts and knitting them, cutting and twisting towels to make potholders, making fringe pockets from T-shirts, making scrubbers from coffee sacks, creating brooches from packing ribbons, and duvet fabric. Furthermore, there was a proposal to make coasters using cotton. This study had the limitation of not conducting a verification process on the developed data. However, at a time whe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such as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recycling classe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othing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 Moreover, it is envisag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the data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3D 푸드 프린터의 실과교육 활용 방안 탐색

        이성숙(Lee, Sung Su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는 3D 푸드 프린터의 실과교육 활용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조사를 통해 3D 프린팅의 원리 및 활용 사례, 3D 푸드 프린팅의 원리, 활용 사례, 재료, 관련 연구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인터넷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3D 푸드 프린터가 교육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우므로 3D 푸드 프린터 활용 수업의 기초 단계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일회용 주사기를 활용한 3D 푸드 프린팅 원리 학습 방안, 분자요리를 활용한 3D 푸드 프린팅 재료 학습 방안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과 식생활영역에서 3D 푸드 프린터 활용 수업의 기초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3D 푸드 프린터로 식품 디자인하기, 3D 푸드 프린터의 프린팅 원리 탐구하기, 3D 푸드 프린터의 재료 탐구하기, 토론하기 등이 가능하다. 3D 푸드 프린터가 교육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우므로 3D 푸드 프린터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하여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였다. 일회용 주사기에 밀가루를 반죽하여 넣어 압출함으로써 3D 푸드 프린터의 적층원리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3D 과일 프린터는 분자요리 기법을 활용하는데, 과일을 진짜 과일과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망고 주스를 구체화시켜 망고 맛 스파게티와 카나페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3D 푸드 프린터의 재료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D 푸드 프린터의 활용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반면 교육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3D 푸드 프린터 활용 수업의 기초 단계에서 적용가능 하도록 일회용 주사기를 활용하여 3D 푸드 프린터의 원리를 이해하고, 분자요리를 이용하여 3D 푸드 프린터의 재료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추후 여러 가지 재료로 푸드 잉크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안정적인 레시피 개발과 온도 유지와 출력량 조절 등 기술적인 접근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3D 푸드 펜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way to utiliz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of 3D food printer. A method to applicate 3D food printers of family life areas was presented. Since the 3D food printer is difficult to access in the educational field, a method of using a disposable syringe and a method of using molecular gastronomy was propo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Disposable syringes were used because 3D food printers are difficult to acces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was made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lamination of 3D food printers by kneading and extruding flour into a disposable syringe. The 3D fruit printer has a short shelf life and uses molecular cooking techniques. Mango juice was formulated so that the fruit can have a taste and aroma similar to that of real fruit, and mango-flavored spaghetti and canapes were ma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aterials of the 3D food printer. While the use of 3D food printers has educational value,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so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3D food printers using disposable syringes, and to help understand the ingredients of 3D food printers using molecular gastronom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ble recipe that can function as a food ink with various materials. I would like to develop a 3D food pen that can be easily used through technical approaches such as maintaining temperature and controlling outp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